KR101385417B1 -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417B1
KR101385417B1 KR1020127023759A KR20127023759A KR101385417B1 KR 101385417 B1 KR101385417 B1 KR 101385417B1 KR 1020127023759 A KR1020127023759 A KR 1020127023759A KR 20127023759 A KR20127023759 A KR 20127023759A KR 101385417 B1 KR101385417 B1 KR 10138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ox
concrete
dimensional block
anchor member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017A (ko
Inventor
미츠히로 아다치
마사미츠 시마다
야스히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4Foundations for machines, engine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16Arrangement of bearings; Supporting or mounting bearings in casings
    • F01D25/162Bear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9/00Special layout of foundations with respect to machinery to be sup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98Work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35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assembly pal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796Puller or pusher means, contained force multiplying op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6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Abstract

콘크리트 가대 (12) 에 형성된 수용 공간 (S1 ∼3) 에 저압 또는 고압의 증기 터빈 차실 (LP1, LP2, HP) 을 로터축 방향과 직각 방향 (화살표 a 방향) 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트랜스버스ㆍ앵커 (20a, 20b) 를 돌출 형성한 입체 블록 (16) 을 준비하고, 입체 블록 (16) 의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 블록 (16) 을 콘크리트 가대 (12) 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FFIXING BEARING BOX}
본 발명은 증기 터빈이나 압축기 등, 대형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기초 가대 (架臺) 상에서, 특히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경우에 바람직한 고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기 터빈의 차실은, 저압 터빈 차실이나 고압 터빈 차실이 일렬로 배치되며, 각 터빈 차실 사이에 로터축이 걸쳐져 있다. 대중량의 로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박스가, 터빈 차실과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박스는, 당초 터빈 차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증기 터빈 플랜트가 대용량됨에 따라, 터빈 차실과 별체로 형성되고, 터빈 차실과 베어링박스를 개별적으로 기초가 되는 콘크리트 가대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왔다.
증기 터빈 플랜트의 건설에서는, 터빈 차실의 설치 고정과 함께, 대중량의 로터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의 설치 고정을 고강도로 콘크리트 가대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 베어링박스는, 콘크리트 가대에, 로터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 철물에 의해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이하, 특허문헌 1 의 도 3 및 도 4 에 개시된 베어링박스 일체형 증기 터빈 차실의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를 도 8 및 도 9 에 의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 에 있어서,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100) 는, 콘크리트제의 가대 (102) 의 지지면 (102a) 에, 터빈 차실을 수용하는 공간 (103 및 104) 이, 로터축의 가설 (架設)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 (103) 에 고압 터빈 차실이 설치 고정되고, 수용 공간 (104) 에 저압 터빈 차실이 설치 고정된다. 도 8 에서는, 예를 들어, 반으로 나누어 제작된 저압 터빈 외부 차실 (하부 절반) (105a 및 105b) 을, 수용 공간 (104) 에 설치 고정시키고 있다.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05a, 105b) 에는, 베어링박스 (106a, 106b) 가 차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면 (102a) 에는, 미리, 대판 (臺板 : 108) 이 기초 볼트 (112)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운전 상태가 되면, 터빈 차실은, 내부의 증기나 연소 가스 등의 온도 영향으로 인해 열팽창이 발생된다. 그 때문에, 터빈 차실의 설치에서는, 열팽창의 기점이 되는 고정점을 설정하고, 그 밖의 영역에서는, 열팽창을 허용하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기점 중에서, 로터축 방향과 직각 방향의 고정점이 되는 기점은, 로터축 방향의 터빈 차실의 전후에, 로터축선 상에 1 군데씩 형성되고, 로터축 방향의 고정점이 되는 기점은, 터빈 차실의 좌우 각 1 군데씩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 (104) 의 전후에 로터축선 상의 위치에, 지지면 (102a) 에 2 개의 대판 (110) 이 기초 볼트 (112) 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각 대판 (110)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트랜스버스ㆍ앵커 (114) 가 대판 (110) 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트랜스버스ㆍ앵커 (114) 가, 베어링박스 (106a 및 106b) 의 저부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오목형의 키 홈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터빈 차실을 로터축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고 있다.
도 9 (특허문헌 1 의 도 4) 에 있어서, 콘크리트 가대 (102) 에 매설된 액셜ㆍ앵커 (116) 가, 대판 (108) 에 천공된 끼워맞춤구멍 (122) 에 끼워맞춰져 있다. 이 액셜ㆍ앵커 (116) 가 로터축 방향의 고정점이 되고,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05a 또는 105b) 을 로터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고 있다.
또, 액셜ㆍ앵커 (116) 의 매우 가까운 위치에, 대판 (108) 에 형성된 키 홈 (118a) 및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05a 또는 105b) 에 형성된 키 홈 (118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키 홈 (118a, 118b) 에 키 (120) 가 삽입되고, 키 (120) 에 의해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05a 또는 105b) 을 대판 (108) 에 위치 결정 고정시킴과 함께, 키 (120) 가 로터축과 직각 방향으로 향해져 있으므로, 로터축과 직각 방향의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05a 또는 105b) 의 열신장을 허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베어링박스 일체형 증기 터빈 차실에 형성된 종래의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의 다른 예를 도 10 에 의해 설명한다. 도 10 에 있어서,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52) 및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54) 사이에 로터축 (156) 이 가설되어 있다.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52) 과 일체된 베어링박스 (158 및 160) 가 형성되고, 저압 터빈 외부 차실 (154) 과 일체로 베어링박스 (16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박스에 의해 로터축 (156)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150A) 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베어링박스 (158) 의 저벽 (164) 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트랜스버스ㆍ앵커 (166) 가 끼워맞춤 고정되고, 저벽 (164) 이 콘크리트 가대 (168) 의 상면에 재치 (載置) 되고, 트랜스버스ㆍ앵커 (166) 가 콘크리트 가대 (168) 에 매설되어 있다. 이로써 베어링박스 (158) 의 로터축 방향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베어링박스 (158) 의 로터축 방향과 직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고 있다.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150B) 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베어링박스 (160) 의 저벽 (170) 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트랜스버스ㆍ앵커 (174) 가 끼워맞춤 고정되고, 베어링박스 (162) 의 저벽 (172) 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트랜스버스ㆍ앵커 (176) 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저벽 (170 및 172) 은, 콘크리트 가대 (178) 의 상면에 재치되고, 트랜스버스ㆍ앵커 (174 및 176) 가, 콘크리트 가대 (178) 에 매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박스 (160 및 162) 의 로터축 방향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베어링박스 (160, 162) 의 로터축 방향과 직각 방향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터빈 차실 고정 장치를 도 11 에 의해 설명한다. 이 터빈 차실 고정 장치 (200) 는, 저압 터빈 외부 차실 (204) 의 레그 (206) 의 하면과 대판 (208) 의 상면에 키 홈을 형성하고, 이들 키 홈 사이에 키 (210) 를 삽입한다. 대판 (208) 의 돌출부 (208a) 에 키 삽입홈 (211) 이 형성되고, 그 키 삽입홈에 조정 라이나 (214) 를 사이에 끼우고 앵커블록 (212) 이 삽입되어 있다. 앵커블록 (212) 은, 콘크리트 가대 (202) 에 매설된 매립 철물 (216) 에 용접되어 있다. 이 앵커블록 (212) 에 의해 대판 (208) 을 고정시키고, 저압 터빈 외부 차실 (204) 을 위치 결정 고정시키고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55591호 (도 3, 도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92501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박스나 증기 터빈 차실은, 트랜스버스ㆍ앵커나 앵커블록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로터축 방향이나 로터축과 직각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그 고정 부재는, 콘크리트 가대 상에 기초 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콘크리트 가대에 매설된 매립 철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지지 강도는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특히, 대중량의 로터축을 지지하는 고정 장치의 지지 강도를 더 높일 필요가 있음과 함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어 신뢰성이 높은 고정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고정 장치로서 당초 본 발명자들은,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 장치를 생각해 냈다. 이하, 이 고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 고정 장치 (300) 는, 로터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터빈 차실 베어링박스를 위치 결정 고정시킨 장치이다.
도 12 에 있어서, 콘크리트 가대 (302) 의 지지면에, 대판 (308) 이 도시 생략된 기초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대판 (308) 의 상면에는, 베어링박스 (304) 와 일체된 저판 (306) 이 재치되어 있다. 저판 (306) 에는 키 홈 (306a) 이 새겨 형성되어 있다.
한편, 콘크리트 가대 (302) 에는, 강제의 매립판 (310) 이 매설되고, 매립판 (310) 에는 다수의 스터드 볼트 (312) 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매립판 (310) 의 상단에는, 트랜스버스ㆍ앵커 (31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트랜스버스ㆍ앵커 (314) 는, 대판 (308)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저판 (306) 의 키 홈 (306a) 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고정 장치 (300) 에서는, 강성의 매립판 (310) 의 콘크리트 가대 (302) 와의 면적이 비교적 크고, 또한 매립판 (310) 에 다수의 스터드 볼트 (312) 가 세워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가대 (302) 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콘크리트 가대 (302) 와의 접합 강도가 크다. 그래서, 상기 종래예와 비교하여, 베어링박스 (304) 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예와 비교하여, 지지 강도나 신뢰성에 대폭적인 개선이 보이지지 않았으므로, 더나은 개선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증기 터빈이나 압축기 등의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의 설치 고정 수단으로서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어 신뢰성이 높은 고정 수단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은,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앵커블록에 의해,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한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벽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앵커부재가 돌출 형성된 강성의 입체 블록을 준비하고,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되고,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에 면하여 형성된 오목부에 입체 블록을 수용시킴과 함께, 앵커부재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 배치시키는 제 1 공정과, 입체 블록의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 블록을 콘크리트 가대에 고정시키는 제 2 공정과, 앵커부재에 베어링박스를 걸리게 하고, 그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제 3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 방법에서는, 상기 구성의 입체 블록을 사용하며, 이 입체 블록을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매립하고, 입체 블록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입체 블록과 콘크리트 가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베어링박스를 지지하는 앵커부재의 강성을 높여 베어링박스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앵커부재 자체를 비교적 좁은 접촉 면적으로 콘크리트 가대에 매립한 종래예와 비교하여, 베어링박스로부터 앵커부재에 부가되는 하중을, 입체 블록을 개재하여 넓은 접촉 면적으로 콘크리트 가대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박스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앵커부재를 강성의 입체 블록과 고착 또는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어 신뢰성이 높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앵커부재를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시킨 것에 의해, 앵커부재를 입체 블록의 회전 기계측 최접근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회전 기계의 안정 지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입체 블록의 개방된 한 쌍의 대향면에 철근을 관통 배치한 후, 입체 블록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면 된다. 이로써 입체 블록과 콘크리트 가대의 접합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어, 베어링박스에 대한 지지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베어링박스는 증기 터빈 차실과 일체형 또는 별체형 어느 것이어도 된다. 대중량의 로터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높은 지지 강도로 고정시킴으로써, 증기 터빈 플랜트의 설치 고정을 높은 지지 강도로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회전 기계가 증기 터빈으로서, 베어링박스가 로터축을 지지하는 차실 일체형 베어링박스이며, 입체 블록을 로터축 방향에서 증기 터빈 차실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하고, 앵커부재에 의해 증기 터빈 차실 및 베어링박스의 로터축 방향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베어링박스를 로터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하면 된다.
베어링박스가 증기 터빈 플랜트의 차실 일체형 베어링박스일 때, 터빈 차실의 중량 및 열팽창이 베어링박스에 부가된다. 이 때, 앵커부재가 로터축 방향의 증기 터빈 차실 및 베어링박스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로터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 고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앵커부재를 로터축 방향에서 증기 터빈 차실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앵커부재를 다른 기기의 방해가 되지 않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방법의 실시에 직접 사용 가능한 본 발명의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는,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으로부터 앵커부재를 돌출 형성하고, 콘크리트 가대 상에서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그 앵커부재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한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벽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앵커부재가 돌출 형성된 강성의 입체 블록과,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되고,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에 면하여 형성되고, 앵커부재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입체 블록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입체 블록을 그 오목부에 수용하고,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 블록을 고정시킴과 함께, 앵커부재에 베어링박스를 걸리게 하고,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입체 블록을 상기 오목부에 수용하고, 입체 블록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함으로써, 입체 블록과 콘크리트 가대의 접합 강도를 높여 베어링박스를 지지하는 앵커부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베어링박스로부터 받는 하중을 입체 블록을 개재하여 넓은 접촉 면적으로 콘크리트 가대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박스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앵커부재를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시킨 것에 의해, 앵커부재를 입체 블록의 회전 기계측 최접근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회전 기계의 안정 지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입체 블록의 상면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연통되는 콘크리트 유입구멍을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로써 입체 블록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것이 용이해져, 고정 장치의 콘크리트 가대에 대한 설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회전 기계가 증기 터빈으로서, 베어링박스가 로터축을 지지하는 차실 일체형 베어링박스이며, 상기 오목부가 로터축 방향에서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된 증기 터빈 차실 수용 공간의 편측 또는 양측에 인접 배치되고, 앵커부재가 입체 블록의 증기 터빈 차실측 최접근 위치에 형성되고, 그 앵커부재에 의해 증기 터빈 차실 및 베어링박스의 로터축 방향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베어링박스를 로터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로써 앵커부재가 로터축 방향의 터빈 차실 및 베어링박스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로터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 고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앵커부재를 로터축 방향에서 증기 터빈 차실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하기 때문에, 다른 기기의 방해가 되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앵커부재가 입체 블록의 터빈 차실측 최접근 위치에 형성되므로, 터빈 차실의 안정 지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 방법에 따르면,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앵커부재에 의해,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한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벽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앵커부재가 돌출 형성된 강성의 입체 블록을 준비하고,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되고,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에 면하여 형성된 오목부에 입체 블록을 수용시킴과 함께, 앵커부재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 배치시키는 제 1 공정과, 입체 블록의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입체 블록을 콘크리트 가대에 고정시키는 제 2 공정과, 앵커부재에 베어링박스를 걸리게 하고, 그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제 3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입체 블록과 콘크리트 가대의 접합 강도를 높여 베어링박스를 지지하는 앵커부재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베어링박스로부터 앵커부재에 부가되는 하중을, 입체 블록을 개재하여 넓은 접촉 면적으로 콘크리트 가대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박스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앵커부재를 강성의 입체 블록과 고착 또는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어 신뢰성이 높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앵커부재를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시킨 것에 의해, 앵커부재를 입체 블록의 회전 기계측 최접근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회전 기계의 안정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 장치에 따르면,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으로부터 앵커부재를 돌출 형성하고, 콘크리트 가대 상에서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그 앵커부재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한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벽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앵커부재가 돌출 형성된 강성의 입체 블록과,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되고,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에 면하여 형성되고, 앵커부재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입체 블록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입체 블록을 그 오목부에 수용하고,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 블록을 고정시킴과 함께, 앵커부재에 베어링박스를 걸리게 하고,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본 발명 방법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1 은 본 발명 방법 및 장치를 증기 터빈 플랜트에 적용한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 방법 및 장치를 증기 터빈 플랜트에 적용한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 방법 및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입체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중의 B-B 선을 따른 평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입체 블록의 좌측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입체 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8 은 베어링박스 일체형 증기 터빈 차실에 형성된 종래의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중의 A 부 확대도이다.
도 10 은 베어링박스 일체형 증기 터빈 차실에 형성된 종래의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의 별도의 예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종래의 터빈 차실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자들이 본 발명에 이르는 과정에서 생각해 낸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 방법 및 장치를 증기 터빈 플랜트에 적용한 제 1 실시 형태를 도 1 및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10) 는, 차실과 별체로 형성된 베어링박스를 로터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1 에 있어서, 터빈 차실이 설치 고정되는 콘크리트제의 가대 (12) 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콘크리트 가대 (12) 의 상면은, 수평 방향에 배치된 평탄면을 이루고, 터빈 차실이 설치 고정되는 지지면 (14) 을 형성하고 있다. 그 지지면 (14) 에는, 각각 터빈 차실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S1, S2 및 S3) 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 (S1) 에는 2 단 저압 터빈 차실 (LP2) 이 설치되고, 수용 공간 (S2) 에는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1) 이 설치되고, 수용 공간 (S3) 에는 고압 터빈 차실 (HP) 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공간 (S1) 과 수용 공간 (S2) 사이이며, 또한 지지면 (14) 의 중앙부 (로터축이 배치되는 위치) 에 형성된 오목부 (C2) 에 수용 고정되는 입체 블록 (16) 이 사용된다. 이하, 입체 블록 (16) 의 구성을 설명한다.
입체 블록 (16) 은, 그 구성 부재가 모두 강제로 제조되어 높은 강성을 갖는다. 입체 블록 (16) 은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고, 상부벽 (18) 은 장방형을 이룬다. 상부벽 (18) 의 장변의 양 단에 접합된 측벽 (20a, 20b) 에는, 상부벽 (18) 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 (20a, 20b) 의 하부에는, 하방이 중앙 근처로 경사지는 경사벽 (26a, 26b)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벽 (26a, 26b) 의 하단은 저벽 (28) 과 연결되어 있다.
입체 블록 (16) 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이 형성되고, 내부 중앙에 상부벽 (18) 및 저벽 (28) 사이에 가설된 구획벽 (30) 이 상하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측벽 (20a, 20b) 과 직교하는 방향의 측면은, 양면 모두 전면 개방되어 있다. 트랜스버스ㆍ앵커 (20a, 20b) 의 중앙역에는, 더 상방으로 돌출된 키 판 (24a, 24b)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벽 (18) 에는, 복수의 원형 콘크리트 유입구멍 (32) 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입체 블록 (16) 이 오목부 (C2) 에 삽입 고정된다. 트랜스버스ㆍ앵커 (20a) 는 수용 공간 (S1) 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트랜스버스ㆍ앵커 (20b) 는 수용 공간 (S2) 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유입구멍 (32) 으로부터 액상 콘크리트가 주입된다. 이 액상 콘크리트가 고화되어, 입체 블록 (16) 이 오목부 (C2) 에 설치 고정된다.
입체 블록 (16) 이 오목부 (C2) 에 고정되면,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가 지지면 (14)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는, 2 단 저압 터빈 차실 (LP2) 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S1)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트랜스버스ㆍ앵커 (22b) 는,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1) 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S2) 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 2 에, 오목부 (C2) 에 설치된 입체 블록 (16) 으로 베어링박스 (35) 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베어링박스 (35) 에는 로터축 (34) 이 관통하고 있고, 베어링박스 (35) 에 의해 로터축 (34) 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베어링박스 (35) 는, 2 단 저압 터빈 차실 (LP2) 의 외부 차실 (LPO2) 또는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1) 의 외부 차실 (LPO1) 과는 별체로 배치되어 있다. 로터축 (34) 의 중량은 베어링박스 (35) 에 부가된다. 베어링박스 (35) 의 저벽 (35a) 의 외면에는 대판 (36) 이 고착되어 있다. 입체 블록 (16) 의 상부벽 (18) 의 외면에는 폴리머 시멘트 (c) 가 피복되어 있다.
대판 (36) 이 폴리머 시멘트 (c) 를 개재하여 상부벽 (18) 에 맞닿게 되어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의 키 판 (24a, 24b) 이 대판 (36) 에 형성된 도시생략된 키 홈에 끼워맞춰진다. 이로써 베어링박스 (35) 를 로터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화살표 a 방향) 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가대 (12) 의 측면에는, 다수의 스터드 볼트 (38) 가 세워 형성된 매립판 (37) 이 매립되어 있다. 2 단 저압 터빈 외부 차실 (LPO2) 및 1 단 저압 터빈 외부 차실 (LPO1) 이 결합판 (39) 을 개재하여 매립판 (37) 과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외부 차실 (LPO1, JPO2) 을 콘크리트 가대 (12) 로 직접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어링박스 (35) 로부터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에 부가되는 로터축 방향과 직각 방향 (화살표 a 방향) 의 하중은, 입체 블록 (16) 에 전달된다. 입체 블록 (16) 은, 콘크리트 가대 (12) 에 매설되고,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입체 블록 (16) 과 콘크리트 가대 (12) 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래서, 베어링박스 (35) 의 하중을 받는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베어링박스 (35) 로부터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에 부가되는 하중을, 입체 블록 (16) 을 개재하여 넓은 접촉 면적으로 콘크리트 가대 (12) 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박스 (35) 에 대한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가 입체 블록 (16) 과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어 신뢰성이 높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입체 블록 (16) 의 상부벽 (18) 에 콘크리트 유입구멍 (32) 이 천공되어 있으므로, 입체 블록 내부의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에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것이 용이해져, 입체 블록 (16) 의 설치 공사가 용이해진다.
또,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는, 로터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화살표 a 방향) 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판 (36) 과의 사이에서 로터축 방향 (화살표 b 방향) 의 베어링박스 (35) 의 열팽창을 수용하는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그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화살표 a 방향의 베어링박스 (35) 의 위치 결정 고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가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1) 또는 2 단 저압 터빈 차실 (LP2) 에 대해 최접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목부 (C1) 나 오목부 (C3) 에 배치되는 후술하는 트랜스버스ㆍ앵커와의 거리를 최단으로 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저압 터빈 차실의 화살표 b 방향의 고정점 간의 거리를 최단으로 할 수 있으므로, 이들 저압 터빈 차실의 안정 지지가 가능해진다.
또, 오목부 (C2) 를 저압 터빈 차실 간의 중앙역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른 기기의 배치의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의 배치 스페이스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체 블록 (16) 설치시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에 철근을 배치하도록 하면, 입체 블록 (16) 과 콘크리트 가대 (12) 의 접합 강도를 더 높여, 트랜스버스ㆍ앵커 (22a, 22b) 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도 12 에 나타낸 고정 장치에서 실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입체 블록 (16) 의 내부에 다수의 스터드 볼트를 세워 형성하도록 하면, 콘크리트 가대 (12) 와의 접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베어링박스 (35) 가 저압 터빈 차실과 일체형일 때, 베어링박스 (35) 에는 저압 터빈 차실의 하중 중과 열팽창이 양방 부가된다. 그 때문에, 증기 터빈 차실과 일체형 베어링박스에 본 실시 형태의 고정 장치 (10) 를 적용했을 때, 트랜스버스ㆍ앵커 (20a, 20b) 를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1) 또는 2 단 저압 터빈 차실 (LP2) 에 대해 최접근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더 효과적으로 터빈 차실의 안정 지지가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 방법 및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 3 ∼ 도 7 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1 중의 오목부 (C3) 에 제 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의 입체 블록을 사용한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의 예이다. 본 실시 형태도, 베어링박스를 로터축 방향과 직각 방향 (화살표 a 방향) 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의 예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입체 블록 (40)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에 있어서, 입체 블록 (40) 의 상부벽 (42) 에는, 복수의 콘크리트 유입구멍 (44) 과 다수의 공기구멍 (46) 이 형성되고, 상부벽 (42) 의 다른 영역은 차폐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벽 (42) 의 외면에는 폴리머 시멘트가 피복되고, 그 위에 베어링박스가 배치된다. 상부벽 (42) 의 외면에는, 폴리머 시멘트와의 융합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전면에 걸쳐 격자상의 홈 (48) (도 3 에서는 일부만 도시) 이 새겨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블록 (40) 의 내부는, 길이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구획벽 (50) 에 의해 구획되고, 외측에 배치된 구획벽 (50) 에 의해 장변측의 양 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 (50) 에는, 각각 동일 위치에 개방구멍 (52)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방구멍에 의해 불어서 빠져나가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 구획벽 (50) 의 양면에 다수의 스터드 볼트 (54) 가 등간격으로 심어 설치되어 있다. 구획벽 (50) 의 일단에서는, 하부가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 (56) 이 형성되어 있다. 단변측의 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구획벽 (58 및 60) 으로 차폐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경사면 (56) 의 상방에서는, 직선상의 상단면과 원호상의 하단면을 갖는 지지판 (62) 이 구획벽 (50)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그 지지판 (62) 의 외측면 및 상부벽 (18) 의 단면에 트랜스버스ㆍ앵커 (64) 가 필렛 용접되어 있다. 트랜스버스ㆍ앵커 (64) 의 중앙역에는 상부벽 (42)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키 판 (64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벽 (60) 의 내면에는, 다수의 스터드 볼트 (66) 가 등간격으로 심어 설치되어 있다. 구획벽 (60) 상방의 상부벽 (42) 에는, 트랜스버스ㆍ앵커 (68) 가 상부벽 (42)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용착되어 있다. 구획벽 (50) 의 하단에 대좌 (70) 가 부착되고, 입체 블록 (40) 의 저면은 대좌 (70) 이외의 영역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입체 블록 (40) 의 구성 부재는 모두 강제로 되어 있다. 입체 블록 (40) 의 내부에는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입체 블록 (40) 을, 경사면 (56) 을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1) 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오목부 (C3) 에 삽입한다. 입체 블록 (40) 을 오목부 (C3) 에 삽입한 상태에서 트랜스버스ㆍ앵커 (64 및 68) 가 지지면 (14)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구획벽 (50) 의 외면에 세워 형성된 스터드 볼트 (54) 가, 대면하는 오목부 (C3) 의 콘크리트면에 매설된 웨브판 (72) 에 닿도록 입체 블록 (40) 을 배치한다.
그 후, 콘크리트 유입구멍 (44) 으로부터 콘크리트를 흘려 넣어, 콘크리트를 고화시킴으로써, 입체 블록 (40) 을 오목부 (C3) 에 설치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입체 블록 (40) 의 상부벽 (42) 에는, 폴리머 시멘트를 개재하여 터빈 차실과 별체의 베어링박스가 재치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박스의 저벽에 고착된 대판에 형성된 키 홈에 트랜스버스ㆍ앵커 (64) 의 키 판 (64a) 및 트랜스버스ㆍ앵커 (68) 를 삽입하여, 그 베어링박스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체 블록 (40) 이 콘크리트 가대 (12) 에 매설되고,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므로, 입체 블록 (40) 과 콘크리트 가대 (12) 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입체 블록 (40) 에 고착된 트랜스버스ㆍ앵커 (64 및 68) 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베어링박스로부터 트랜스버스ㆍ앵커 (64, 68) 에 부가되는 하중을 입체 블록 (40) 을 개재하여 넓은 접촉 면적으로 콘크리트 가대 (12) 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터빈 차실에 대한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강제의 트랜스버스ㆍ앵커 (64 및 68) 를 고강성을 갖는 강제의 입체 블록 (40) 에 일체로 고착시키고 있으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어 신뢰성이 높은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체 블록 (40) 의 내부에 다수의 스터드 볼트 (54, 66) 를 심어 설치하고 있으므로,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현격히 넓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입체 블록 (40) 의 콘크리트 가대 (12) 에 대한 접합 강도를 더 증대할 수 있다.
또, 입체 블록 (40) 의 상부벽 (42) 에 콘크리트 유입구멍 (44) 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입체 블록 (40) 의 내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트랜스버스ㆍ앵커 (64 및 68) 는, 화살표 a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어링박스의 저판의 사이에 로터축 방향 (화살표 b 방향) 의 베어링박스의 열팽창을 수용하는 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베어링박스의 열팽창을 허용하면서, 화살표 a 방향의 베어링박스의 위치 결정 고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 트랜스버스ㆍ앵커 (64) 가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1) 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트랜스버스ㆍ앵커 (68) 가 고압 터빈 차실 (HP) 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터빈 차실의 위치 결정 고정점을 터빈 차실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래서, 이들 터빈 차실의 안정 지지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체 블록 (40) 설치시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 (S4) 에 철근을 배치하도록 하면, 입체 블록 (40) 과 콘크리트 가대 (12) 의 접합 강도를 더 높일 수 있고, 이로써 베어링박스의 지지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1 중의 오목부 (C1) 에 설치 고정되는 입체 블록을 사용하여, 오목부 (C1) 의 상방에 배치되는 베어링박스의 화살표 a 방향의 위치 결정 고정을 실시하는 고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오목부 (C1) 에는, 일방에만 터빈 차실의 수용 공간이 존재하므로, 입체 블록 (40) 으로부터 트랜스버스ㆍ앵커 (68) 를 없애고, 트랜스버스ㆍ앵커 (64) 만을 갖도록 구성한 입체 블록 (80) 을 사용한다.
이 입체 블록 (80) 을, 경사면 (56) 및 트랜스버스ㆍ앵커 (64) 가 수용 공간 (S1) 에 근접한 측에 위치하도록 오목부 (C1) 에 설치 고정시킨다. 이로써 2 단 저압 터빈 차실 (LP2) 에 대해 가장 근접한 위치에 트랜스버스ㆍ앵커 (64) 를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박스의 저벽에 고착된 대판에 형성된 키 홈에 트랜스버스ㆍ앵커 (64) 를 삽입함으로써, 베어링박스 (2) 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변형예에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오목부 (C4) 에는, 로터축의 축단을 지지하는 베어링 장치 등을 설치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터빈 차실 별체형의 베어링박스를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의 예였지만, 본 발명은 터빈 차실 일체형의 베어링박스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터빈 플랜트, 압축기 등,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기초 가대 상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높은 강성과 베어링박스에 대한 높은 지지 강도를 가지며, 신뢰성이 높은 고정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10, 100, 150A, 150B, 300 :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12, 102, 168, 178, 202, 302 : 콘크리트 가대
14, 102a : 지지면
16, 40, 80 : 입체 블록
18, 42 : 상부벽
20a, 20b : 측벽
22a, 22b, 64, 68, 114, 166, 174, 176, 314 : 트랜스버스·앵커 (앵커부재)
24a, 24b, 64a : 키 판
26a, 26b : 경사벽
28 : 저벽
30, 50, 58, 60 : 구획벽
32, 44 : 콘크리트 유입구멍
34, 156 : 로터축
35, 106a, 106b, 158, 160, 162, 304 : 베어링상자
35a, 164, 170, 172 : 저벽
36, 108, 110, 208, 308 : 대판
37, 310 : 매립판
38, 54, 66, 312 : 스터드 볼트
39 : 결합판
56 : 경사면
46 : 공기구멍
48 : 홈
52 : 개방구멍
62 : 지지판
70 : 대좌
72 : 웨브판
103, 104, S1, S2, S3 : 수용 공간
105a, 105b : 저압 터빈 외부 차실 (하부 절반)
112 : 기초 볼트
116 : 액셜·앵커
118a, 118b, 306a : 키 홈
120, 210 : 키
122 : 끼워맞춤구멍
152, 154, 204 : 저압 터빈 외부 차실
206 : 레그
208a : 돌출부
211 : 키 삽입홈
212 : 앵커블록
214 : 조정 라이나
216 : 매립 철물
300 : 터빈 차실 고정 장치
306 : 저판
C1, C2, C3, C4 : 오목부
HP : 고압 터빈 차실
LP1 : 1 단 저압 터빈 차실
LP2 : 2 단 저압 터빈 차실
LPO1, LPO2 : 외부 차실
S4 : 콘크리트 유입 공간
c : 폴리머 시멘트

Claims (8)

  1.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앵커부재에 의해,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한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벽단(端)에서 상방을 향하여 앵커부재가 돌출 형성된 강성의 입체 블록을 준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에 면하여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입체 블록을 수용시킴과 함께, 상기 앵커부재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 배치시키는 제 1 공정과,
    입체 블록의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 블록을 콘크리트 가대에 고정시키는 제 2 공정과,
    상기 앵커부재에 상기 베어링박스를 걸리게 하고, 그 베어링박스를 콘크리트 가대 상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제 3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블록의 상기 한 쌍의 대향면에 철근을 관통 배치한 후, 입체 블록의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계가 증기 터빈으로서, 상기 베어링박스가 증기 터빈 차실과 일체형의 베어링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계가 증기 터빈으로서, 상기 베어링박스가 증기 터빈 차실과 별체형의 베어링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로터축이고,
    상기 입체 블록을 로터축 방향에서 증기 터빈 차실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하고, 상기 앵커부재에 의해 증기 터빈 차실 및 베어링박스의 로터축 방향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6.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으로부터 앵커부재를 돌출 형성하고, 콘크리트 가대 상에서 회전 기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박스를 그 앵커부재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한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콘크리트 유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벽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앵커부재가 돌출 형성된 강성의 입체 블록과,
    상기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기계의 수용 공간에 면하여 형성되고, 상기 앵커 부재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입체 블록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입체 블록을 그 오목부에 수용하고, 상기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입체 블록을 고정시킴과 함께, 상기 앵커부재에 상기 베어링박스를 걸리게 하고, 상기 베어링박스를 상기 콘크리트 가대 상에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결정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블록의 상부벽에 상기 콘크리트 유입 공간에 연통되는 콘크리트 유입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계가 증기 터빈으로서, 상기 베어링박스가 로터축을 지지하는 차실 일체형 베어링박스이며,
    상기 오목부가 로터축 방향에서 콘크리트 가대의 지지면에 형성된 증기 터빈 차실 수용 공간의 편측 또는 양측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앵커부재가 입체 블록의 증기 터빈 차실측 최접근 위치에 형성되고, 그 앵커부재에 의해 증기 터빈 차실 및 베어링박스의 로터축 방향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박스 고정 장치.
KR1020127023759A 2010-07-16 2011-07-01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및 장치 KR101385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1998A JP5374454B2 (ja) 2010-07-16 2010-07-16 軸受箱固定方法及び装置
JPJP-P-2010-161998 2010-07-16
PCT/JP2011/065229 WO2012008322A1 (ja) 2010-07-16 2011-07-01 軸受箱固定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017A KR20120116017A (ko) 2012-10-19
KR101385417B1 true KR101385417B1 (ko) 2014-04-14

Family

ID=4546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759A KR101385417B1 (ko) 2010-07-16 2011-07-01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89258B2 (ko)
EP (1) EP2551471B1 (ko)
JP (1) JP5374454B2 (ko)
KR (1) KR101385417B1 (ko)
CN (1) CN102933799B (ko)
WO (1) WO2012008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8795A (ja) 2011-05-31 2012-12-13 Toshiba Corp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43914B2 (ja) * 2012-01-23 2015-07-01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軸受の支持構造および蒸気タービン
TW201430436A (zh) * 2013-01-22 2014-08-01 Hon Hai Prec Ind Co Ltd 相機致動器可動架組裝裝置與相機致動器可動架組裝方法
CN103195511B (zh) * 2013-04-03 2015-05-06 杭州天桥电器有限公司 拼装式汽轮机罩壳
JP6049529B2 (ja) * 2013-04-15 2016-12-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車室の支持構造
CN105442628B (zh) * 2014-08-20 2017-04-19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悬挑基础侧壁重型埋件施工方法
JP6596267B2 (ja) * 2015-08-28 2019-10-2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機器設置用架台及びその製造方法、プラント
JP6701052B2 (ja) * 2016-10-18 2020-05-2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CN109227066B (zh) * 2018-07-18 2020-07-03 钟祥博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用能够快速组装主机的安装模具
CN110193671B (zh) * 2019-05-13 2021-03-19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冷轧大型板带激光焊机底座的安装调整方法
EP4050160A1 (de) * 2021-02-24 2022-08-31 Sommer Anlagentechni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undaments einer produktionsanlage, fundamentverankerungskasten und produktionsanl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701A (ja) * 1983-01-20 1984-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軸型フイルタ
JPH01113109U (ko) * 1988-01-22 1989-07-31
CN2547877Y (zh) * 2002-06-07 2003-04-30 王东曦 汽轮机轴承箱支承装置
JP2007262798A (ja) 2006-03-29 2007-10-11 Shinko Electric Co Ltd 発電設備の設置方法及び設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0263A (en) * 1969-03-07 1971-06-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nsverse anchor arrangement for a turbine powerplant
DE2610737C3 (de) * 1976-03-13 1980-02-21 Kurt 4156 Willich Koehler Verankerung einer Stütze oder eines Maschinenfußes in Beton
US4335765A (en) * 1979-11-23 1982-06-22 Murphy Rholand D Portable multi-purpose construction table
JPS59133701U (ja) * 1983-02-28 1984-09-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ビン車室据付調整装置
JPS60102429A (ja) * 1983-11-09 1985-06-06 Tokyo Tatsuno Co Ltd 機械基礎の施工法
JPH0332877Y2 (ko) * 1984-09-18 1991-07-11
JPH0334554Y2 (ko) * 1985-03-29 1991-07-22
CH673516A5 (ko) * 1986-09-26 1990-03-15 Bbc Brown Boveri & Cie
JPH0192501A (ja) 1987-10-02 1989-04-11 Hitachi Ltd 蒸気タービン固定装置
US4910934A (en) * 1988-10-28 1990-03-27 Hennings Carl W Blind construction lock and method of utilization of the lock in building construction
JPH04269216A (ja) 1991-02-22 1992-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機器据付用埋設金物の据付工法
DE19523923C2 (de) * 1995-06-30 2003-09-18 Alstom Niederdruck-Dampfturbine
JPH10176789A (ja) * 1996-12-16 1998-06-30 Hitachi Ltd 蒸気タービン用基礎設定方法およびそのボルト構造
JP3782747B2 (ja) * 2002-03-26 2006-06-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
US7793476B2 (en) * 2007-10-12 2010-09-14 Sanders Steven H Non-top supported fence installation brack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701A (ja) * 1983-01-20 1984-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同軸型フイルタ
JPH01113109U (ko) * 1988-01-22 1989-07-31
CN2547877Y (zh) * 2002-06-07 2003-04-30 王东曦 汽轮机轴承箱支承装置
JP2007262798A (ja) 2006-03-29 2007-10-11 Shinko Electric Co Ltd 発電設備の設置方法及び設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21513A (ja) 2012-02-02
WO2012008322A1 (ja) 2012-01-19
EP2551471A1 (en) 2013-01-30
CN102933799A (zh) 2013-02-13
US20120013033A1 (en) 2012-01-19
EP2551471B1 (en) 2016-10-19
KR20120116017A (ko) 2012-10-19
EP2551471A4 (en) 2014-12-17
CN102933799B (zh) 2014-12-31
US8789258B2 (en) 2014-07-29
JP5374454B2 (ja)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417B1 (ko) 베어링박스 고정 방법 및 장치
KR101420071B1 (ko) 콘크리트제 가대의 제조 방법, 콘크리트제 가대 및 이음재
KR101452178B1 (ko) 프리캐스트 교대흉벽을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743914B2 (ja) 蒸気タービン軸受の支持構造および蒸気タービン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536485B1 (ko) 터빈 외부 차실, 터빈 외부 차실용 가대 및 터빈 외부 차실용 가대의 시공 방법
KR101691635B1 (ko) 골조유닛 운송 및 시공을 위한 베이스 템플레이트
CN102108885B (zh) 汽轮机组低压内缸落地支撑装置
JP3851974B2 (ja) 鉄骨用基礎
US6554199B1 (en) Trackway for transrapid
JP4358408B2 (ja) 発電設備用架台及び発電設備用架台の製造方法
JP6506436B1 (ja) 設備機器の設置構造
JP3878546B2 (ja) 横桁一体型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方法
JP6596268B2 (ja) 機器設置用架台及びその製造方法、プラント
CN210790693U (zh) 一种无线震动传感器夹具
CN206884709U (zh) 一种发动机悬置组件及汽车
KR101757254B1 (ko) 캠버 수용이 가능한 pc하부플랜지-스틸웨브 합성보 및 이의 제작방법
JP291924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基礎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27231A (ko) 루프 철근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0792735B1 (ko) 거푸집 지지구조
JP2019015048A (ja) 布基礎、布基礎施工方法、べた基礎施工方法、及び当該施工方法に用いられる型枠
JPH048504A (ja) フック固定用型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