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143B1 - 보드 게임 세트 - Google Patents

보드 게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143B1
KR101384143B1 KR1020120094344A KR20120094344A KR101384143B1 KR 101384143 B1 KR101384143 B1 KR 101384143B1 KR 1020120094344 A KR1020120094344 A KR 1020120094344A KR 20120094344 A KR20120094344 A KR 20120094344A KR 101384143 B1 KR101384143 B1 KR 10138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oard
position indicator
symbols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332A (ko
Inventor
오윤석
박준영
유정훈
표상우
Original Assignee
오윤석
표상우
유정훈
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윤석, 표상우, 유정훈, 박준영 filed Critical 오윤석
Priority to KR102012009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1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697Playing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63F2003/00943Box or container for bo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 N개의 게임판들(상기 게임판들의 각각에는 가로 방향으로 M개 및 세로 방향으로 K개인 M×K 배열로 위치부들이 형성된다); N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1 위치표시기; M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2 위치표시기; K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3 위치표시기; 및 복수 개의 게임말들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말은 상기 제 1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게임판; 상기 제 2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가로 방향의 위치;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위치부에 위치되고, 어느 하나의 게임판 상에서 L개의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직선으로 위치되는 것, L개의 게임판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것, 및 L개의 게임판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경사방향으로 직선을 형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달성되면 게임이 종료되는 것(상기 N, M, K 및 L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보드 게임 세트는 재미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공간적 사고를 계발하도록 하고, 다양한 게임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드 게임 세트{BOARD GAME SET}
본 발명은 보드 게임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게임판을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재미 뿐 아니라, 공간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규칙을 적용할 수 있는 보드 게임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보드 게임(board game)은 게임판(보드) 위에서 게임말이나 카드를 놓고 일정한 규칙에 따라 진행하는 게임으로서, 부루마블 등과 같이 일정한 게임판을 두고 그 위에 몇 개의 게임말을 올려 정해진 규칙에 따라 진행하거나, 포커나 화투처럼 정해진 숫자의 카드를 통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게임을 진행하는 종류의 게임을 모두 포함한다. 세부적으로는 카드로 게임을 진행하는 카드게임과 주사위 및 병마를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둘 모두를 보드 게임이라 칭한다.
보드 게임은 플레이어가 직접 대면하여 즐기기 때문에 주로 혼자 즐기게 되는 컴퓨터 게임과 다른 색다른 맛을 지니게 된다. 최근의 보드 게임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해져서 1만여 종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보드 게임은 상호 작용을 통해 또래 문화 습득, 친구 수용에 필요한 교육적 가치와 수세기, 수의 대소 비교하기, 지각변별, 공간적/논리적 사고 등과 같은 인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주의 집중력, 인지적 융통성, 정보처리, 계획력 및 언어능력 등이 함께 계발될 수 있다.
하지만, 보드 게임은 실제로 단순 재미나 흥미 유발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예를 들어, 평면적으로 게임이 진행되기에 공간적 사고나 공간 지각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다소 제한되기도 한다. 또한, 게임의 진행에 있어서 게임 규칙을 다양하게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재미를 제공할 뿐 아니라 공간적 사고를 계발하도록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게임 규칙을 적용할 수 있는 보드 게임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 N개의 게임판들; 상기 게임판들의 각각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으로 M개 및 세로 방향으로 K개인 M×K 배열의 위치부; N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1 위치표시기; M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2 위치표시기; K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3 위치표시기; 및 복수 개의 게임말들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말은 상기 제 1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게임판; 상기 제 2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가로 방향의 위치;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위치부에 위치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게임판 상에서 L개의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직선으로 위치되는 것, L개의 게임판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것, 및 L개의 게임판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경사방향으로 직선을 형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달성되면 게임이 종료되는 것(상기 N, M, K 및 L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 N개의 게임판들(상기 게임판들의 각각에는 가로 방향으로 M개 및 세로 방향으로 K개인 M×K 배열로 위치부들이 형성된다); N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1 위치표시기; M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2 위치표시기; K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3 위치표시기; 및 복수 개의 게임말들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말은 상기 제 1 위치표시기, 상기 제 2 위치표시기,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들 중 어느 하나의 기호에 대응되는 게임판; 상기 제 1 위치표시기, 상기 제 2 위치표시기,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들 중 다른 하나의 기호에 대응되는 가로 방향의 위치; 및 상기 제 1 위치표시기, 상기 제 2 위치표시기,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들 중 나머지 하나의 기호에 대응되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위치부에 위치되고, 어느 하나의 게임판 상에서 L개의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직선으로 위치되는 것, L개의 게임판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것, 및 L개의 게임판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들이 가장 먼저 경사방향으로 직선을 형성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달성되면 게임이 종료되는 것(상기 N, M, K 및 L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위치부는 상기 게임판을 관통하는 구멍이며, 상기 게임말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게임말이 상기 게임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게임말은 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위치부는 상기 게임판을 관통하는 구멍이되, 상기 게임말의 일부가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게임판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위치표시기, 상기 제 2 위치표시기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는 정다면체의 주사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보드 게임 세트는, 수직으로 배열된 게임판들을 상호간에 고정시키는 수직 연결 바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는 게임판들, 위치표시기들 및 게임말들을 포함하여, 게임말들을 위치표시기들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에 대응하는 게임판들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게임말들은 복수 개의 게임판들에 의해 형성된 입체 공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는 게임의 플레이어에게 입체 공간에 배열되는 게임말들을 통해 공간적 사고나 공간 지각능력의 계발 기회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는 예를 들어, 단순히 위치표시기들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을 인지한 후에 위치표시기들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의 조합으로 게임말들을 게임판들 상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판들 상에 위치된 게임말들을 이용하여 입체 공간 오목 게임 또는 많은 개수의 게임말들을 게임판들 상에 위치시키는 게임 등의 규칙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는 다양한 게임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드 게임 세트에서 게임말들이 게임판들 상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드 게임 세트(100)에서 게임말(103)들이 게임판(101)들 상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100)는 게임판(101)들,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들, 게임말(103)들을 포함하여, 게임말(103)들을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게임판(101)들 상의 위치에 위치시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게임판(101)들은 N개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게임판(101) 상에는 가로 방향으로 M개이고 세로 방향으로 K개인 M×K의 배열로 위치부(11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N, M, K은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기호들의 개수를 나타내고, 2 이상의 자연수이다.
한편, 게임판(101) 상에서 위치부(111)들의 위치가 손쉽게 확인될 수 있도록, 게임판(101) 상에는 제 1 좌표부(113a), 제 2 좌표부(113b) 및 제 3 좌표부(113c)가 표시된다.
제 1 좌표부(113a)는 제 1 위치표시기(102a)에 의해 제공되는 기호들이 N개의 게임판(101)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표시된다. 여기서, 기호는 문자, 숫자, 그림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좌표부(113b)는 각각의 게임판(101) 상에서 제 2 위치표시기(102b)에 제공되는 기호들이 가로방향을 따라 M개의 위치부(111)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표시된다.
제 3 좌표부(113c)는 각각의 게임판(101) 상에서 제 3 위치표시기(102c)에 제공되는 기호들이 세로 방향(제 2 좌표부(113b)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K개의 위치부(111)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부(111)는 구멍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한다. 하지만, 위치부(111)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게임판(101) 상에서 홈, 자석, 벨크로 테입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은 3개로 이루어지되, 제 1 위치표시기(102a), 제 2 위치표시기(102b) 및 제 3 위치표시기(102c)는 각각, N개, M개 및 K개의 기호들을 중 하나를 플레이어가 선택하도록 표시한다.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은 제 1 좌표부(113a), 제 2 좌표부(113b) 및 제 3 좌표부(113c)에 각각 대응되며, 제 1 좌표부(113a), 제 2 좌표부(113b) 및 제 3 좌표부(113c)에 의해 게임말(103)이 놓여질 위치부(111)가 결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이 3개의 정육면체 주사위로서, N = M = K = 6인 경우로 예시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게임판(101)들의 개수(N)는 6개이고, 게임판(101) 상에서 위치부(111)들의 배열(M×K)은 6×6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된 제 1 좌표부(113a), 제 2 좌표부(113b) 및 제 3 좌표부(113c)는 주사위 숫자에 대응되는 아라비아숫자로 표시된다.
또한, 제 1 위치표시기(102a)는 N개 중 하나의 기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N개의 면을 갖는 정다면체의 주사위일 수 있고, 제 2 위치표시기(102b)는 M개 중 하나의 기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M개의 면을 갖는 정다면체의 주사위일 수 있고, 제 3 위치표시기(102c)는 K개 중 하나의 기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K개의 면을 갖는 정다면체의 주사위일 수 있다. 이러한 주사위들의 각각의 면에는 상이한 N개, M개 및 K개의 기호들이 표시된다. 이러한 주사위에 맞추어, 게임판(101)들의 개수는 N개이고, 게임판(101)들 상에는 위치부(111)들은 M×K의 배열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은 주사위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룰렛, 돌림판, 휴대폰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N, M 및 K개의 기호들 중 하나를 동일한 확률 하에서 임의로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도구라도 가능하다.
게임말(103)들은 각각 위치부(111)에 위치되어, 게임판(101) 상에 위치된다. 게임말(103)이 대응되는 위치부(111)의 위치는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에 의해 결정된다. 이로 인해, 게임말(103)은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 중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호에 대응되는 게임판에 위치되고,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 중 임의로 선택된 다른 하나의 기호에 대응되는 가로 방향의 위치 및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 중 나머지 하나의 기호에 대응되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100)를 이용하여 1명의 플레이어만으로도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지만, 2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게임말(103)들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색상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치부(111)가 게임판(101)을 관통하는 구멍인 경우에는, 게임말(103)들에 돌출부(131)가 형성되어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게임판(10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게임말(103)은 구 형상일 수 있으며, 게임말(103)들의 일부가 게임말(10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에 삽입되어 게임판(103) 상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드 게임 세트(100)는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게임판(101)들에서 게임말(103)들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게임말(103)들은 입체 공간에서 배치된다. 이로 인해, 보드 게임 세트(100)를 통해 게임이 진행될 때, 게임의 플레이어는 게임판(101)들에 의해 형성된 입체 공간에 위치되는 게임말(103)들을 통해 공간적 사고나 공간 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드 게임 세트(100)는 다양한 규칙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명의 플레이어는 보드 게임 세트(100)를 이용하여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을 인지한 후에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의 조합으로 게임말(103)들을 게임판(101)들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는 유아가 사물을 인지하고 공간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2명 이상의 플레이어들은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의해 표시된 기호들의 조합으로 게임판(101)들 상에 위치되는 게임말(103)들을 이용하여 입체 공간 오목 게임 또는 일정 시간 내에 많은 개수의 게임말(103)들을 게임판(101)들 상에 위치시키는 게임 등의 규칙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명 이상의 플레이어들이 보드 게임 세트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또한,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이 정육면체 주사위이고,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의 표시된 기호들이 숫자이며, 위치부(111)는 구멍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플레이어들 간의 게임 순서를 정하기 위하여, 주사위들(102a, 102b, 102c)을 던져 얻어진 숫자들의 합이 큰 플레이어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게임을 진행하도록 한다. 만일, 위치표시기들(102a, 102b, 102c)에 표시된 기호들이 숫자가 아닌 문자나 그림인 경우인 경우에는 특정한 기호를 얻은 플레이어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게임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어에 의해 게임이 진행되면서, 주사위들(102a, 102b, 102c)에 표시된 숫자들에 의해 게임말(103)이 놓여져야 할 게임판, 가로 방향 위치 및 세로 방향 위치가 결정되고, 플레이어는 해당 구멍(111)에 제한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안에 게임말(103)을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주사위들(102a, 102b, 102c)을 던져 얻은 숫자가 각각 2, 3, 5라면 게임말(103)은 2가 표시된 게임판, 3이 표시된 가로 방향 위치, 및 5가 표시된 세로 방향 위치에 형성된 구멍(11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주사위들(102a, 102b, 102c)의 기호가 반드시 순서대로 게임판, 가로 방향 위치 및 세로 방향 위치를 표시하는 것만은 아니며, 플레이어가 상황에 따라 자신에게 유리하게 3개의 기호를 게임판, 가로 방향 위치 및 세로 방향 위치에 임의로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주사위들(102a, 102b, 102c)이 표시한 숫자들이 동일한 숫자(예를 들어, 1, 1, 1)인 경우, 게임말(103)을 해당 구멍(111)에 위치시킨 플레이어는 한 번 더 주사위들(102a, 102b, 102c)을 던질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주사위들(102a, 102b, 102c)이 표시한 숫자들이 짝수들(예를 들어, 2, 4, 6)인 경우에는, 플레이어는 다음 차례에는 게임을 한 번 쉬게 되고, 주사위들(102a, 102b, 102c)이 표시한 숫자들이 홀수들(예를 들어, 1, 3, 5)인 경우에는, 게임의 진행 방향이 변경(예를 들어,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변경)된다. 주사위들(102a, 102b, 102c)이 표시한 숫자들의 합이 특정한 값(예를 들어, 7)일 때에는, 다음 순서의 플레이어가 게임을 한 번 쉬게 된다.
플레이어에 의해 던져진 주사위들(102a, 102b, 102c)이 표시한 숫자들의 조합이 이미 다른 플레이어의 게임말(103)이 위치된 구멍(111)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이미 해당 구멍(111)에 위치된 다른 플레이어의 게임말(103)을 대신하여 플레이어의 게임말(103)이 해당 구멍(111)에 위치된 후에, 게임이 다음 순서의 플레이어에 의해 진행된다. 한편, 다른 플레이어의 게임말(103)이 위치된 구멍(111)에는 플레이어의 게임말(103)이 위치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게임을 진행하다가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가 어느 하나의 게임판(101) 상에 L개의 게임말(103)들을 가장 먼저 직선으로 위치시키면 게임의 승자가 되고, 게임은 종료된다. 여기서, L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앞서 언급된 N, M, K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이 4인 경우,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가 4개의 게임말(103)들을 하나의 게임판(101) 상에 직선으로 위치시킬 때, "4 라인"이라 외쳐야 게임의 승자로 확정될 수 있다. 이때, 4라인을 달성한 플레이어가 "4 라인"이라 외치지 못하고 다른 플레이어가 "4 라인"이라고 외치면, 4라인을 달성한 플레이어는 게임의 승자가 되지 못하고, 4라인을 외친 다른 플레이어가 직선으로 위치된 4개의 게임말(103)들 중 하나를 자신의 게임말(103)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가 L개의 게임판(101)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103)들을 수직방향으로 가장 먼저 위치시키거나, L개의 게임판(101)들마다 1개씩 위치된 게임말(103)들을 경사방향으로 직선을 형성하도록 가장 먼저 위치시키면 게임의 승자가 될 수도 있다. 즉, 게임판, 가로 방향 위치 및 세로 방향 위치를 (z, x, y) 좌표로 보았을 때, [(1,3,3), (2,3,3), (3,3,3), (4,3,3)]을 달성하거나, [(1,1,1), (2,2,2), (3,3,3), (4,4,4)]를 달성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플레이어가 소유한 모든 게임말(103)들을 사용한 상태에서, 게임의 승자가 가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먼저 모든 게임말(103)들을 사용한 플레이어가 게임의 승자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드 게임 세트(100)는 수직 연결 바아(104)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연결 바아(104)들은 상호 간에 이격된 게임판(101)들을 연결시킨다. 이때, 수직 연결 바아(104)들은 게임판(101)의 가장 자리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게임판(101)들은 안정적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게임말(103)들은 안정적으로 게임판(101) 상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드 게임 세트
101: 게임판
111: 위치부
113a: 제 1 좌표부
113b: 제 2 좌표부
113c: 제 3 좌표부
102a: 제 1 위치표시기
102b: 제 2 위치표시기
102c: 제 3 위치표시기
103: 게임말
131: 돌출부
104: 수직 연결 바아

Claims (6)

  1.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 N개의 게임판들;
    상기 게임판들의 각각에 형성되는 가로 방향으로 M개 및 세로 방향으로 K개인 M×K 배열의 위치부;
    N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1 위치표시기;
    M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2 위치표시기;
    K개의 기호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제 3 위치표시기; 및
    복수 개의 게임말들을 포함하며,
    상기 게임말은
    상기 제 1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게임판; 상기 제 2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가로 방향의 위치;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가 표시한 기호에 대응되는 세로 방향의 위치에 형성된 위치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상기 N, M 및 K는 2 이상의 자연수이다)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부는 상기 게임판을 관통하는 구멍이며, 상기 게임말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게임말이 상기 게임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말은 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위치부는 상기 게임판을 관통하는 구멍이되,
    상기 게임말의 일부가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게임판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표시기, 상기 제 2 위치표시기 및 상기 제 3 위치표시기는 정다면체의 주사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 게임 세트는,
    수직으로 배열된 게임판들을 상호간에 고정시키는 수직 연결 바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게임 세트.
KR1020120094344A 2012-08-28 2012-08-28 보드 게임 세트 KR10138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344A KR101384143B1 (ko) 2012-08-28 2012-08-28 보드 게임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344A KR101384143B1 (ko) 2012-08-28 2012-08-28 보드 게임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32A KR20140028332A (ko) 2014-03-10
KR101384143B1 true KR101384143B1 (ko) 2014-04-15

Family

ID=50641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344A KR101384143B1 (ko) 2012-08-28 2012-08-28 보드 게임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1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275A (ko) * 2006-06-14 2007-12-20 김성철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KR20090066338A (ko) * 2007-12-19 2009-06-24 김성철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275A (ko) * 2006-06-14 2007-12-20 김성철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KR20090066338A (ko) * 2007-12-19 2009-06-24 김성철 입체 바둑판 및 바둑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32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710A (en) Educational number game
US20160199727A1 (en) Geometrical shape apparatus
WO2005067509A3 (en) Spelling games
JP2011130973A (ja) 電子化ボードゲームシステム
US7114720B1 (en) Game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KR101384143B1 (ko) 보드 게임 세트
JP2005137531A (ja) Icブロックによる電子ゲーム・教育システム
US4241923A (en) Board game
US20130143632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generating a puzzle game using various exemplary properties of the visual world
JP6454022B2 (ja) トランプカード
US6871854B2 (en) Strategic board game
JP3808460B2 (ja) 駒並べゲーム具および電子駒並べゲーム機
US20180008884A1 (en) Polar Coordinate Board Game and Method of Play
JP2011078724A (ja) カード式トライアングル計算パズル具
JP3187137U (ja) 絵合わせカードパズル
JP4251656B2 (ja) ゲーム機
KR20230121218A (ko) 바둑을 주제로 한 보드게임용 카드
WO2012111383A1 (ja) 遊具
JPH05228234A (ja) 対戦式クロスワード陣取りゲーム
KR200388194Y1 (ko) 19단 학습용 빙고게임도구
JP3096563U (ja) カード遊技具
US20120288832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Bingo
JP2004195207A (ja) 駒並べゲーム具および電子駒並べゲーム機
JP2005000469A (ja) 遊戯具および遊戯システム
JP3122152U (ja) 計算ゲーム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