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402B1 - 방현성 부재,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및 스크린 - Google Patents

방현성 부재,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및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402B1
KR101383402B1 KR1020097004455A KR20097004455A KR101383402B1 KR 101383402 B1 KR101383402 B1 KR 101383402B1 KR 1020097004455 A KR1020097004455 A KR 1020097004455A KR 20097004455 A KR20097004455 A KR 20097004455A KR 101383402 B1 KR101383402 B1 KR 10138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lare
fine particles
particles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507A (ko
Inventor
히데키 에토리
다카유키 아이카와
다케히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모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4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372Particulate matter
    • Y10T428/24405Polymer or resin [e.g., natural or synthetic rubber,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거나, 표시를 번쩍이게 하지 않고, 표시장치나 스크린의 표면으로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방현성(防眩性)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미립자와 투명 바인더로 되는 방현층(11)을 갖는 방현성 부재(1)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흑색 미립자이고, 상기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의 절대값을 상기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나눈 값(n)이 0.95~1.05이며, 또한 상기 방현층(11) 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0.3~1.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현성 부재,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및 스크린{Anti-dazzl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and scree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등의 각종 표시장치나, 투과형 스크린, 반사형 스크린 등의 각종 스크린의 표면에 배치하여, 이들 표시장치나 스크린의 표면에 외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현성 부재에 관한 것이다.
LCD 등의 표시장치나 각종 스크린은, 표면에 형광등 등의 실내조명 등이 반사되면 표시 화상을 보기 어려워져 표시 품위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표시장치나 스크린의 표면에는, 매트상의 방현층이 설치되어 있다. 방현층의 형성방법으로서는, 구조의 미세화가 용이한 점, 또한 생산성이 좋은 점에서, 미립자를 분산한 수지를 도포, 건조하여 도막화하는 방법이 주류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46258호 공보(특허청구의 범위)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들의 수법으로는 방현층(防眩層) 표면의 요철로 발생하는 광산란에 의해 방현층이 흰 빛을 띠는 듯이 보여 표시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방현층 표면의 요철이 렌즈와 같은 작용을 하여 표시가 번쩍인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거나, 표시를 번쩍이게 하지 않고, 표시장치나 스크린의 표면으로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방현성(防眩性)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미립자와 투명 바인더로 되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흑색 미립자이고, 상기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의 절대값을 상기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나눈 값(n)이 0.95~1.05이며, 또한 상기 방현층 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0.3~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상기 흑색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1.0~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상기 흑색 미립자의 흡수 단면적을 산란 단면적으로 나눈 값(S)이 1.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상기 흑색 미립자는 적어도 흑색 안료와 수지로 되고, 흑색 미립자 중에 차지하는 상기 흑색 안료의 비율이 2~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상기 흑색 미립자가 적어도 흑색 안료로 되고, 당해 흑색 안료로서 카본블랙을 사용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표면에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를 배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은, 스크린의 표면에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를 배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평균 입자경이란, 콜터 카운터법에 의해 산출한 값을 말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방현층 중에 흑색 미립자를 포함하며,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의 절대값을 상기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나눈 값(n)을 특정의 범위로 하고, 또한 방현층 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Ra)를 특정의 범위로 한 것으로부터,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거나, 표시를 번쩍이게 하지 않고, 표시장치나 스크린 표면으로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먼저,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미립자와 투명 바인더로 되는 방현층을 갖는 방현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흑색 미립자이고, 상기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의 절대값을 상기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나눈 값(n)이 0.95~1.05이며, 또한 상기 방현층 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0.3~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2는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방현성 부재(1)로서는, 도 1과 같이 방현층(11) 단독으로 되는 것, 도 2와 같이 투명 지지체(12) 및 방현층(11)으로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현성 부재(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장치(2)나 스크린(2) 상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방현성 부재(1)는, 미립자와 투명 바인더로 되는 방현층을 가지며, 미립자로서 흑색 미립자를 사용한다. 그리고,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의 절대값을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나눈 값(n)을 0.95~1.05로 하고, 또한 방현층 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Ra)를 0.3~1.0 ㎛로 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방현성 부재(1)는,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거나, 표시를 번쩍이게 하지 않고, 표시장치나 스크린 표면으로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흑색 미립자는 주로 표시의 콘트라스트, 번쩍임, 반사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미립자를 함유하는 방현층을 설치한 경우, 통상, 헤이즈의 상승에 수반하여 후방 산란광이 증가하여, 본래 어두운 표시인 부분의 밝기가 상승하여 표시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립자로서 흑색 미립자를 사용하여 방현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후방 산란광의 증가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현층이 흑색이 되기 때문에 암표시(暗表示) 부분이 보다 어두워져, 반대로 콘트라스트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방현층 자체를 흑색 염료 등으로 흑색으로 착색한 경우에는 방현층 자체의 투과율이 균일하게 저하되어, 표시를 어둡게 하거나, 스크린 게인(SG값)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흑색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에는, 미시적으로 보면 미립자가 존재하지 않는 개소는 착색되지 않는 점으로부터, 이 부분의 투과율은 저하되지 않아, 표시의 밝기나 SG값을 저하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의 절대값을 후술하는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나눈 값(이하, 간단하게 「n」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은, 주로 표시의 번쩍임에 영향을 미친다. n을 0.95~1.05로 함으로써 표시의 번쩍임을 방지할 수 있다.
방현층 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이하, 간단하게 「Ra」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는, 주로 반사, 표시의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친다. 흑색 미립자를 사용하여 n을 전술한 범위로 하고, 또한 Ra를 0.3~1.0 ㎛로 함으로써, 반사를 방지하고,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Ra는 0.4~0.8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a는 흑색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나 첨가량으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흑색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은 1.0~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 ㎛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을 1.0 ㎛ 이상으로 함으로써, 방현층에 표면 요철을 부여하기 쉬워져 방현성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을 6.0 ㎛ 이하로 함으로써, 미립자에 기인하는 요철이 렌즈와 같은 작용을 하여 발생하는 산란광에 의한 표시의 번쩍임을 방지할 수 있다.
흑색 미립자의 흡수 단면적을 산란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하, 간단하게 「S」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은 1.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3~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수 단면적은 입자가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고, 산란 단면적은 입자가 빛을 산란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S는 흑색 미립자의 빛의 흡수량과 산란양의 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값을 조정함으로써 흑색 미립자의 광 흡수성과 광산란성을 나타내는 흡수계수를 제어할 수 있다. S를 1.1 이상으로 함으로써, 흑색 미립자의 광 흡수성이 충분한 것이 되어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를 5.0 이하로 함으로써, 흑색 미립자의 광산란이 억제되기 때문에 표시의 번쩍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값은,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 흑색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조정할 수 있다.
1개의 흑색 미립자의 산란 단면적(Qs), 흡수 단면적(Qa)은,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을 ns(=m+ki; k는, 소쇠계수), 입자경을 D,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을 nm, 입사광의 파장을 λ로 하면, 하기의 수학식 1 및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1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2
여기서 R은 {} 안의 실수부를 나타내고, Aj, Bj는 하기의 수학식 3, 4로 표시된다.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3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4
또한, 수학식 3, 4 중, q, nsm, ψj, ζj는, 하기의 수학식 5, 6, 7, 8과 같다.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5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6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7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8
또한, 수학식 3 및 수학식 4의 ψj’(z), ζj’(z)는 각각 ψj(z), ζj(z)의 z에 의한 미분을 나타내고, 수학식 7의 Jj+1/2(z), 수학식 8의 Yj+1/2(z)는 각각 제1종 및 제2종 베셀 함수(Bessel function)이다. 또한, 입자경 분포를 갖는 흑색 미립자에서는, 입자경(D)을 그 평균 입자경으로 대표할 수 있다.
흑색 미립자의 방현층 중의 함유량은, 투명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해 20~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방현층 표면의 Ra를 전술한 범위로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흑색 미립자로서는, 카본블랙, 산화철 등의 흑색 안료 이외에, 상기 흑색 안료에 의해 착색된 흑색 수지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평균 입자경을 전술한 범위로 제어하기 쉽고, 복소 굴절률을 제어하기 쉬운 흑색 수지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흑색 안료로서는 카본블랙이 바람직하다.
흑색 수지 미립자는 흑색 안료와 수지로 된다. 사용하는 흑색 안료로서는 취급성이 우수한 카본블랙이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한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흑색 수지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은, 미립자를 구성하는 수지의 굴절률과 미립자를 구성하는 흑색 안료의 복소 굴절률의 중량 평균으로서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미립자를 구성하는 수지의 굴절률과 당해 수지의 미립자 중의 중량 비율을 곱한 값과, 미립자를 구성하는 흑색 안료의 복소 굴절률과 당해 흑색 안료의 미립자 중의 중량 비율을 곱한 값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흑색 미립자가 흑색 안료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흑색 안료의 복소 굴절률이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이 된다.
흑색 수지 미립자 중에 차지하는 흑색 안료의 비율은 2~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 중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비율을 2 중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미립자의 광 흡수성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고, S를 1.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당해 비율을 20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흡수 계수를 적절하게 할 수 있고, S가 5.0 이하가 되는 입자경의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흑색 수지 미립자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다관능 비닐 단량체 및 단관능 비닐 단량체 등의 중합성 모노머에 흑색 안료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롤밀이나 샌드밀로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어서, 혼합물에 친수성 용매와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낮춘다. 이어서, 별도로 준비한 보호 콜로이드제와 물로 되는 용액을 첨가한다. 이어서, 목적으로 하는 입자경으로 될 때까지 전단력이 있는 고속 교반기로 교반을 행한다. 이어서, 내용물을 통상의 날개부착 교반기를 갖는 용기에 옮기고 가열하여 용매의 일부를 제거하고, 추가적으로 승온하여 중합반응을 완결시킨다. 이어서, 중합한 현탁 슬러리를 여과, 수세, 건조함으로써, 흑색 수지 미립자를 얻을 수 있다.
방현층의 투명 바인더로서는, 투명한 동시에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기에, 유리나 고분자 수지 등의 고체를 들 수 있지만, 취급성이나 분산 안정성의 관점에서 고분자 수지가 바람직하다.
유리로서는 방현층의 광투과성이 상실되는 것이 아니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규산염 유리, 인산염 유리, 붕산염 유리 등의 산화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1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현층은 필요에 따라 투명 지지체 상에 형성된다. 투명 지지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으로 되는 플라스틱 필름,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250 ㎛ 정도이다.
방현층 중에는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흑색 미립자 이외의 미립자를 첨가해도 된다.
방현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방현층의 구성성분을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하고, 당해 도포액을 롤 코팅법, 바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투명 지지체 상에 도포· 건조시키는 방법, 방현층을 구성하는 수지성분을 용융하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 안료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켜서 시트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현층은, 상기 방법에 의해 직접 표시장치나 스크린의 표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대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현층 상이나 투명 지지체의 방현층과는 반대쪽 면에 대전방지층을 설치하거나, 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 지지체의 방현층과는 반대쪽 면에 백코트층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는, 표시장치나 스크린에 첩합(貼合)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방현층 상에, 방현층의 표면형상에 따른 반사방지층을 설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표면에 전술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를 배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표시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브라운관 디스플레이(CRT),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DP),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종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CD 등의 표시장치(2) 표면에 전술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1)를 배치하여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표시장치는,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거나, 표시를 번쩍이게 하지 않고, 표시장치 표면으로의 반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표시장치 표면으로의 방현성 부재의 배치방법은, 접착제로 양쪽 부재의 일부의 면 또는 전면을 첩합시키거나, 프레임으로 양쪽 부재를 고정하거나 하는 수단을 들 수 있지만, 방현성 부재와 표시장치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없애기 위하여,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표시장치 표면에 방현성 부재를 전면 첩합시키는 수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크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은, 스크린의 표면에 전술한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를 배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스크린으로서는, 반사형 스크린, 투과형 스크린 등의 종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스크린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형 스크린 등의 스크린(2) 표면에 전술한 실시형태의 방현성 부재(1)를 배치하여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스크린은,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거나, 표시를 번쩍이게 하지 않고, 스크린 표면으로의 반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스크린 표면으로의 방현성 부재의 배치방법은, 접착제로 양쪽 부재의 일부의 면 또는 전면을 첩합시키거나, 프레임으로 양쪽 부재를 고정하거나 하는 수단을 들 수 있지만, 방현성 부재와 스크린 표면 사이의 공기층을 없애기 위하여, 접착제 층을 사용하여 스크린 표면에 방현성 부재를 전면 첩합시키는 수단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부」, 「%」는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중량기준으로 한다.
1. 흑색 수지 미립자의 합성
메타크릴산 메틸(중합 후의 굴절률 1.49)에 카본블랙(복소 굴절률 2.0+1.0i)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롤밀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물, 폴리비닐알코올 및 라디칼 중합개시제(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를 첨가하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으로 될 때까지 고속 교반기(디졸바)로 교반을 행하였다. 이어서, 내용물을 통상의 프로펠러식 교반기를 갖는 용기에 옮기고 65~75℃ 사이에서 50분간 유지하여 중합시켰다. 이어서, 중합한 현탁 슬러리를 여과, 수세, 건조하여 흑색 수지 미립자를 얻었다.
또한, 메타크릴산 메틸 및 카본블랙의 혼합 비율 및 미립자의 입자경을 상이하게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흑색 수지 미립자를 준비하였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투명 바인더 중의 흑색 미립자의 S값(흡수 단면적을 산란 단면적으로 나눈 값)은, 입사광의 파장 λ를 550 nm으로 하여 산출한 값이다.
2. 방현성 부재의 제작
실시예 1~10의 방현성 부재, 및 비교예 1~8의 방현성 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두께 100 ㎛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루밀러 T60: 도오레사) 상에, 하기 처방의 방현층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2 ㎛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방현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1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56 ㎛였다. 또한, 방현층의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은 1.54이고, n은 0.98이었다.
<방현층 도포액>
·아크릴 수지 16.2부
(아크리딕 A807: 다이닛폰 잉크 화학공업사)
(고형분 50%)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3.5부
(다케네이트 D110N: 미쯔이 다케다 케미컬사)
(고형분 60%)
·흑색 수지 미립자 4.0부
(카본블랙 5 중량%, 평균 입자경 3 ㎛)
(복소 굴절률 1.52+0.05i, S: 1.59)
·희석용제 30.0부
[실시예 2]
실시예 1의 흑색 수지 미립자의 첨가량을 3.5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47 ㎛이고, n은 0.98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흑색 수지 미립자의 첨가량을 5.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71 ㎛이고, n은 0.98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흑색 수지 미립자의 첨가량을 2.5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32 ㎛이고, n은 0.98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흑색 수지 미립자의 첨가량을 7.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97 ㎛이고, n은 0.98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의 평균 입경을 1.4 ㎛로 변경하고(평균 입경의 변경에 따라, S는 2.98), 추가적으로 흑색 수지 미립자의 첨가량을 7.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35 ㎛이고, n은 0.98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랙 3 중량%, 복소 굴절률 1.51+0.03i, 평균 입경 2.9 ㎛, S: 1.34)로 변경하고, 추가적으로 흑색 수지 미립자의 첨가량을 5.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54 ㎛이고, n은 0.98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랙 10 중량%, 복소 굴절률 1.54+0.10i, 평균 입경 2.8 ㎛, S: 1.3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54 ㎛, n은 1.00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랙 15 중량%, 복소 굴절률 1.57+0.15i, 평균 입경 3.2 ㎛, S: 1.13)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56 ㎛, n은 1.02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랙 20 중량%, 복소 굴절률 1.59+0.20i, 평균 입경 2.0 ㎛, S: 1.18)로 변경하고, 추가적으로 흑색 수지 미립자를 3.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0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48 ㎛, n은 1.04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 미립자(케미스노우 MX-300: 소켄 화학사, 평균 입경 3.0 ㎛, 굴절률 1.49, S: 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59 ㎛, n은 0.97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투명 수지 미립자(케미스 노우 MX-300: 소켄 화학사, 평균 입경 3.0 ㎛, 굴절률 1.49, S: 0)로 변경하고, 추가적으로 미립자의 첨가량을 7.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95 ㎛, n은 0.97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의 첨가량을 1.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18 ㎛이고, n은 0.98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평균 입자경 5.5 ㎛의 것으로 변경하고(평균 입경의 변경에 따라, S는 1.16), 추가적으로 미립자의 첨가량을 5.0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1.21 ㎛, n은 0.98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랙 5 중량%, 복소 굴절률 1.52+0.05i, 평균 입경 0.5 ㎛, S: 8.89)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5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08 ㎛, n은 0.98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 랙 5 중량%, 복소 굴절률 1.52+0.05i, 평균 입경 8.0 ㎛, S: 1.0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6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1.33 ㎛, n은 0.98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의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랙 25 중량%, 복소 굴절률 1.62+0.25i, 평균 입경 2.0 ㎛, S: 1.1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7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54 ㎛, n은 1.06이었다.
[비교예 8]
실시예 1의 방현층 도포액으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제거하고, 아크릴 수지를 스티렌 수지(스타이런 666R: 아사히 화성공업사, 굴절률 1.60, 고형분 100%) 10.2부로 변경하고, 추가적으로 흑색 수지 미립자를, 흑색 수지 미립자(카본블랙 3 중량%, 복소 굴절률 1.51+0.03i, 평균 입경 2.9 ㎛, S: 0.43)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8의 방현성 부재를 얻었다. 방현층 표면의 Ra는 0.57 ㎛, n은 0.94였다.
3. 평가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8에서 얻어진 방현성 부재를, 투과형 스크린(딜라드 스크린 T90S: 키모토사)의 표면에 배치하고, 얻어진 스크린에 대해 이하의 항목에 대해 평가를 행하였다. 스크린에 투영하는 프로젝터는, 세이코 엡손사의 제품명 ELP-8000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반사
외광이 반사되지 않은 것을 「◎」, 외광이 매우 조금 반사된 것을 「○」, 외광이 많이 반사되어 표시를 보기 힘들었던 것을 「×」로 하였다.
(2) 콘트라스트
스크린면의 조도가 500 lx인 환경하에 있어서 콘트라스트를 측정하였다. 콘트라스트는, 백표시(명표시)의 밝기와 흑표시(암표시)의 밝기의 비로 하였다. 또한, 콘트라스트가 10 이상인 것을 「◎」, 8 이상 10 미만을 「○」, 8 미만을 「×」로 맞춰 표기하였다.
(3) 번쩍임
번쩍임이 없었던 것을 「◎」, 매우 조금 번쩍였던 것을 「○」, 번쩍임이 많아 표시를 보기 힘들었던 것을 「×」로 하였다.
Figure 112009012909048-pct00009
미립자로서 흑색 미립자를 사용하고, n이 0.95~1.05이며, 또한, 방현층 표면의 Ra가 0.3~1.0 ㎛의 범위인 실시예 1~10의 방현성 부재에서는, 반사, 콘트라스트, 번쩍임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양호한 평가였다. 특히, 방현층 표면의 Ra가 0.4~0.8 ㎛의 범위이고, 또한, S가 1.3~2.0의 범위인 실시예 1, 2, 3, 7, 8의 것은, 반사, 콘트라스트, 번쩍임의 모든 성능이 극히 양호하였다.
또한, 실시예 1~10의 방현성 부재를 액정 디스플레이 표면에 배치한 바, 반사, 콘트라스트, 번쩍임 모두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 2의 것은, Ra는 0.3~1.0 ㎛이지만, 흑색 미립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콘트라스트나 번쩍임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비교예 3~6의 것은, 흑색 미립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Ra가 0.3~1.0 ㎛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반사, 콘트라스트, 번쩍임 모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었다.
비교예 7~8의 것은, 흑색 미립자를 사용하고, 또한 방현층 표면의 Ra가 0.3~1.0 ㎛인 것이지만, n이 0.95~1.05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이들은 콘트라스트나 번쩍임에 악영향이 보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현성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 또는 스크린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방현성 부재
11 … 방현층
12 … 투명 지지체
2 … 표시장치 또는 스크린

Claims (9)

  1. 미립자와 투명 바인더로 되는 방현층(防眩層)을 갖는 방현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흑색 미립자이고,
    상기 흑색 미립자의 복소 굴절률의 절대값을 상기 투명 바인더의 굴절률로 나눈 값(n)이 0.95~1.05이며,
    상기 흑색 미립자는 적어도 흑색 안료와 수지로 되는 흑색 수지 미립자이고, 흑색 미립자 중에 차지하는 상기 흑색 안료의 비율이 2~20 중량%이고, 또한
    상기 방현층 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0.3~1.0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이 1.0~6.0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미립자의 흡수 단면적을 산란 단면적으로 나눈 값(S)이 1.1~5.0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미립자의 흑색 안료는 카본블랙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부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흑색 미립자의 함유량은 20~100 중량부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성 부재.
  8. 표시장치의 표면에,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현성 부재를 배치하여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스크린의 표면에,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현성 부재를 배치하여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KR1020097004455A 2006-08-09 2007-08-01 방현성 부재,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및 스크린 KR101383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6527 2006-08-09
JPJP-P-2006-216527 2006-08-09
PCT/JP2007/065059 WO2008018339A1 (fr) 2006-08-09 2007-08-01 Élément anti-éblouissement, et dispositif d'affichage et écran l'incorpor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507A KR20090047507A (ko) 2009-05-12
KR101383402B1 true KR101383402B1 (ko) 2014-04-08

Family

ID=3903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455A KR101383402B1 (ko) 2006-08-09 2007-08-01 방현성 부재,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및 스크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72505B2 (ko)
JP (1) JP4571691B2 (ko)
KR (1) KR101383402B1 (ko)
CN (1) CN101501535B (ko)
TW (1) TWI435143B (ko)
WO (1) WO2008018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6767B2 (ja) * 2009-04-20 2013-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機能層用微粒子、ディスプレイ用光学部材及び防眩機能層
JP5676928B2 (ja) 2010-06-11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回折光学素子、光学系、及び、光学機器
JP5676929B2 (ja) 2010-06-11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回折光学素子、光学系および光学機器
JP5777353B2 (ja) * 2010-06-11 2015-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回折光学素子、光学系、及び、光学機器
JP5603726B2 (ja) * 2010-09-28 2014-10-0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着色樹脂粒子及びその用途
KR101751720B1 (ko) * 2010-09-28 2017-06-28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착색 수지 입자,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EP2692779B1 (en) * 2011-03-31 2017-01-25 Sekisui Plastics Co., Ltd. Colored resin particl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KR101213540B1 (ko) 2011-08-18 2012-12-18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멤스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향감지 장치 및 음향카메라
JP6152089B2 (ja) * 2012-03-12 2017-06-21 株式会社きもと 筆記性スクリーン
KR101574850B1 (ko) 2013-08-28 2015-12-04 제일모직주식회사 방현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N106462048B (zh) 2014-04-14 2018-08-28 国立大学法人东京工业大学 透明屏幕用膜及其制造方法以及具备该透明屏幕用膜的透明屏幕
WO2015174132A1 (ja) * 2014-05-14 2015-11-19 旭硝子株式会社 透明基体の光学特性を評価する方法および透明基体
CN106147357B (zh) * 2015-06-02 2019-05-21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吸光性防眩硬涂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133522B1 (ja) 2015-06-15 2017-05-24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影システム
WO2017094550A1 (ja) 2015-12-02 2017-06-08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反射型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CN109976082B (zh) * 2017-12-14 2021-11-23 台湾扬昕股份有限公司 投影幕及吸光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433A (ko) * 1999-05-28 2001-06-15 기타지마 요시토시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4110002A (ja) * 2002-08-29 2004-04-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の拡散シート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KR20060014432A (ko) * 2004-03-29 2006-02-15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방현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004A (ja) * 1994-04-07 1995-10-27 Asahi Glass Co Ltd 着色低抵抗膜形成用塗布液、着色低抵抗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3374299B2 (ja) * 1994-04-20 2003-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JPH0854502A (ja) * 1994-08-11 1996-02-27 Catalysts & Chem Ind Co Ltd 着色低抵抗膜形成用塗布液、着色低抵抗膜及び着色低抵抗膜を形成したガラス物品
JP3661491B2 (ja) * 1999-05-28 2005-06-15 住友化学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防眩性直線偏光板
JP2002365731A (ja) * 2001-06-11 2002-12-18 Toppan Printing Co Ltd 透過型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ン用前面板および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
JP2003301141A (ja) * 2002-04-11 2003-10-21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低透過率透明導電層形成用塗液及び表示装置前面板
US6995907B2 (en) * 2002-08-29 2006-02-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Diffusion sheet for use in transmission-type screen and transmission-type screen
JP2004046258A (ja) * 2003-10-27 2004-0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91883B2 (ja) * 2004-01-30 2011-06-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用粒子の製造方法
US20060153979A1 (en) * 2004-11-30 2006-07-13 Fuji Photo Film Co., Ltd. Anti-glare an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using the anti-glare and anti-reflectio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433A (ko) * 1999-05-28 2001-06-15 기타지마 요시토시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04110002A (ja) * 2002-08-29 2004-04-08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の拡散シート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KR20060014432A (ko) * 2004-03-29 2006-02-15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방현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9956A1 (en) 2010-07-29
CN101501535B (zh) 2010-12-22
JP4571691B2 (ja) 2010-10-27
TW200815857A (en) 2008-04-01
US8372505B2 (en) 2013-02-12
JPWO2008018339A1 (ja) 2009-12-24
KR20090047507A (ko) 2009-05-12
CN101501535A (zh) 2009-08-05
WO2008018339A1 (fr) 2008-02-14
TWI435143B (zh)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402B1 (ko) 방현성 부재, 이를 사용한 표시장치 및 스크린
JP4155337B1 (ja)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US8182899B2 (en)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46252B2 (ja) 防眩性フィルム、防眩性偏光子および表示装置
KR100352456B1 (ko)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1410729B (zh) 光学层积体
CN101163994B (zh) 防眩性光学层叠体
KR100951290B1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CN102073082B (zh) 防眩性光学层叠体
US9684098B2 (en) Antiglare hard coat film
JP4155338B1 (ja) 防眩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020268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防眩性フィルム、光学層付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KR20160024803A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 조성물로 형성되는 경화 피막 및 방현 필름과, 경화 피막 및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
JP2008304638A (ja)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子ならびに表示装置
JPH11286083A (ja) 防眩性フイルム
JP5548485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モニタ
KR101537839B1 (ko) 광학 기능층용 미립자,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재 및 방현 기능층
CN112646501A (zh) 一种高透过率防眩防爆保护膜及其制备方法
TWI827243B (zh) 顯示器
CN117761805A (zh) 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