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062B1 -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062B1
KR101381062B1 KR1020120121861A KR20120121861A KR101381062B1 KR 101381062 B1 KR101381062 B1 KR 101381062B1 KR 1020120121861 A KR1020120121861 A KR 1020120121861A KR 20120121861 A KR20120121861 A KR 20120121861A KR 101381062 B1 KR101381062 B1 KR 101381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oor
blind
damper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지환
신일섭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도어에 블라인드 차양막을 올려 설치할 경우, 도어의 도어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도어의 도어 프레임 사이의 편차를 완충시키는 스토퍼가 별도의 완충부재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100)에 설치되는 블라인드(200)의 차양막(210)을 상부로 이동시켰을 경우, 차양막(210)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거나 블라인드(200)의 차양막(210) 상단을 지지하는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있어서, 배면은 도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어프레임(150)에 고정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는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의 상부 끝단이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부(310)가 구비되며, 블라인드 지지부(310)와 인접한 곳에는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 상부 전면을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턱(320)이 구비되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는 댐퍼 설치홀(330)이 형성되며, 댐퍼 설치홀(330) 하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돌기(350)가 구비된 지지플랜지(360)가 형성되는 스토퍼(300);와 스토퍼(300)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되, 상면(410) 내부에는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돌기(350)와 대응되는 곳에 스프링 설치돌기(450)가 구비되고, 스프링 설치돌기(450)와 스토퍼(300)의 스프링 고정돌기(350) 사이에 스프링(500)을 구비하여 하면(420)으로부터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서 상하로 유동되게 설치되는 댐퍼(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blinds and awnings stopper of do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도어의 도어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막을 올릴 경우, 차양막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과 도어의 도어 프레임과의 편차를 완충시키기 위한 스토퍼 하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발력을 가지는 댐퍼를 구비하여, 도어의 도어 프레임과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 사이의 편차를 완충시키고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편의장치들이 구비되는 것이다.
특히, 외부의 햇빛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야나 피부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선바이저(sun-visor)나 블라인드(blind)가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도어의 창 등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선바이저는 차량의 전면 유리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열에 승차하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외부의 햇빛에 따라 직접 각도를 조절하여 햇빛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는 전면이나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햇빛에 의해 시야가 흐려져 전방의 상황을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면이나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것은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블라인드는 주로 차량의 도어나 후면 유리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평상시 도어의 도어트림이나 차량의 후열시트에 있던 블라인드의 차양막이 상승하면서 도어의 유리나 차량의 후방 유리를 햇빛으로부터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어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차양막은 운전자 및 탑승자가 블라인드의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차양막이 차양막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과 도어의 도어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스토퍼가 맞닿을 때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은 도어의 도어 프레임의 형태와 동일하게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이 도어의 도어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스토퍼와 맞닿아 정지할 경우, 각각의 스토퍼와 상부 프레임의 단차가 다름으로써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 사이에서 진동과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 사이에 완충부재가 구비되지 않아서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의 반복되는 마찰 충격에 의해 차양막이 오작동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도어 프레임과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 사이의 편차를 완화시키고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의 도어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막을 올릴 경우, 차양막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과 도어의 도어 프레임과의 편차를 완화시키기 위한 스토퍼 하부에 스프링에 의해 안충력을 가지는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은 도어의 도어 프레임의 형태와 동일하게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이 도어의 도어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스토퍼와 맞닿아 정지할 경우, 각각의 스토퍼와 상부 프레임의 단차가 다름으로써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 사이에서 진동과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 사이에 완충부재가 구비되지 않아서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의 반복되는 마찰 충격에 의해 차양막이 오작동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의 차양막을 상부로 이동시켰을 경우, 차양막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거나 블라인드의 차양막 상단을 지지하는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있어서, 배면은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어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는 차양막의 상부프레임의 상부 끝단이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부가 구비되며, 블라인드 지지부와 인접한 곳에는 차양막의 상부프레임 상부 전면을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턱이 구비되되, 블라인드 지지부에는 댐퍼 설치홀이 형성되며, 댐퍼 설치홀 하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돌기가 구비된 지지플랜지가 형성되는 스토퍼;와 스토퍼의 블라인드 지지부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에 설치되되, 상면 내부에는 스토퍼의 댐퍼 설치홀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곳에 스프링 설치돌기가 구비되고, 스프링 설치돌기와 스토퍼의 스프링 고정돌기 사이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하면으로부터 스토퍼의 댐퍼 설치홀에서 상하로 유동되게 설치되는 댐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한다.
그리고, 스토퍼의 블라인드 지지부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의 형태를 블라인드 지지부로 부터 스토퍼의 배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고, 댐퍼 설치홀에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댐퍼의 형태를 스토퍼의 댐퍼 설치홀과 대응되도록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여, 스토퍼의 댐퍼 설치홀에 설치되는 댐퍼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스토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하며, 스토퍼의 댐퍼 설치홀에 설치되는 댐퍼를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여, 차양막의 상부프레임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의 도어 프레임과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 사이의 편차를 완충시키고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댐퍼를 설치하여 스토퍼와 상부 프레임의 단차가 다름으로써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 사이에서 진동과 이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 사이에 스프링에 의해 완충력을 구비하는 댐퍼를 설치하여 상부 프레임과 스토퍼의 반복되는 마찰 충격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특히, 댐퍼가 도어 프레임의 스토퍼와 차양막의 상부 프레임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부품의 고장발생 빈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에 블라인드 차양막이 설치된 모습을 도어 내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에 블라인드 차양막이 설치된 모습을 도어 외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에 블라인드 차양막이 설치된 모습을 도어 내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에 블라인드 차양막이 설치된 모습을 도어 외부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100)에 설치되는 블라인드(200)의 차양막(210)을 상부로 이동시켰을 경우, 차양막(210)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거나 블라인드(200)의 차양막(210) 상단을 지지하는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있어서, 배면은 도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어프레임(150)에 고정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는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의 상부 끝단이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부(310)가 구비되며, 블라인드 지지부(310)와 인접한 곳에는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 상부 전면을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턱(320)이 구비되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는 댐퍼 설치홀(330)이 형성되며, 댐퍼 설치홀(330) 하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돌기(350)가 구비된 지지플랜지(360)가 형성되는 스토퍼(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300)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되, 상면(410) 내부에는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돌기(350)와 대응되는 곳에 스프링 설치돌기(450)가 구비되고, 스프링 설치돌기(450)와 스토퍼(300)의 스프링 고정돌기(350) 사이에 스프링(500)을 구비하여 하면(420)으로부터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서 상하로 유동되게 설치되는 댐퍼(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300)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330)의 형태를 블라인드 지지부(310)로 부터 스토퍼(300)의 배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고, 댐퍼 설치홀(330)에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댐퍼(400)의 형태를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과 대응되도록 상면(410)에서 하면(420)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여,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는 댐퍼(400)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스토퍼(3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하며, 특히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는 댐퍼(400)를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여,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즉, 운전자 및 탑승자가 블라인드(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스위를 누르면 평상시 차량의 도어트림 내부에 구비되는 블라인드(200)가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블라인드(200)의 차양막(210) 상단에는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차양막(210)이 상부 프레임(220)을 따라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 하단에는 다수 개의 스토퍼(300)가 구비되어 있어서,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까지 상승한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은 스토퍼(300)와 맞닿으면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 상단이 맞닿는 스토퍼(300)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는 댐퍼(400)가 설치되어 있어서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과 스토퍼(300) 사이의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댐퍼(400)는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과 맞닿는 상면(410) 내측에 스프링 설치돌기(450)가 형성되고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는 지지플랜지(360)에 스프링 고정돌기(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댐퍼(400)의 스프링 설치돌기(450)와 댐퍼 설치홀(330)의 스프링 고정돌기(350) 사이에는 스프링(500)이 구비되어 있어서,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과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생산공정에서 댐퍼(100)를 스토퍼(300)에 설치할 경우 스토퍼(300)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330)의 형태를 블라인드 지지부(310)로 부터 스토퍼(300)의 배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고, 댐퍼 설치홀(300)에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댐퍼(400)의 형태를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과 대응되도록 상면(410)에서 하면(420)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는 댐퍼(400)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스토퍼(30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토퍼(300)에 구비되는 댐퍼(400)를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과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 사이에서 완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300)에 구비되는 댐퍼(400)는 스프링(500)과 댐퍼(400)의 탄발력에 의해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과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 사이의 완충작용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이 도어(100)의 도어 프레임(150)까지 상승하여 정지한 후, 차양막(210)의 상부 프레임(220)과 각각의 스토퍼(300)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완충시켜줌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도어 150 : 도어 프레임
200 : 블라인드 210 : 차양막
220 : 상부 프레임 300 : 스토퍼
310 : 블라인드 지지부 320 : 블라인드 지지턱
330 : 댐퍼 설치홀 350 : 스프링 고정돌기
360 : 지지 플랜지 400 : 댐퍼
410 : 상면 420 : 하면
450 : 스프링 설치돌기 500 : 스프링

Claims (3)

  1. 삭제
  2. 배면은 도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어프레임(150)에 고정 결합되고 전면 일측에는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의 상부 끝단이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부(310)가 구비되며, 블라인드 지지부(310)와 인접한 곳에는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 상부 전면을 지지하는 블라인드 지지턱(320)이 구비되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는 댐퍼 설치홀(330)이 형성되며, 댐퍼 설치홀(330) 하부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고정돌기(350)가 구비된 지지플랜지(360)가 형성되는 스토퍼(300);와
    스토퍼(300)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되, 상면(410) 내부에는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돌기(350)와 대응되는 곳에 스프링 설치돌기(450)가 구비되고, 스프링 설치돌기(450)와 스토퍼(300)의 스프링 고정돌기(350) 사이에 스프링(500)을 구비하여 하면(420)으로부터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서 상하로 유동되게 설치되는 댐퍼(400);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도어(100)에 설치되는 블라인드(200)의 차양막(210)을 상부로 이동시켰을 경우, 차양막(210)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거나 블라인드(200)의 차양막(210) 상단을 지지하는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에 있어서,
    스토퍼(300)의 블라인드 지지부(310)에 형성되는 댐퍼 설치홀(330)의 형태를 블라인드 지지부(310)로 부터 스토퍼(300)의 배면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고,
    댐퍼 설치홀(330)에 유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댐퍼(400)의 형태를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과 대응되도록 상면(410)에서 하면(420)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마름모 형태로 형성하여,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는 댐퍼(400)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스토퍼(3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스토퍼(300)의 댐퍼 설치홀(330)에 설치되는 댐퍼(400)를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여,
    차양막(210)의 상부프레임(220)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KR1020120121861A 2012-10-31 2012-10-31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KR101381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861A KR101381062B1 (ko) 2012-10-31 2012-10-31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861A KR101381062B1 (ko) 2012-10-31 2012-10-31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062B1 true KR101381062B1 (ko) 2014-04-04

Family

ID=5065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861A KR101381062B1 (ko) 2012-10-31 2012-10-31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0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60A (ko) * 2008-01-29 2009-08-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160A (ko) * 2008-01-29 2009-08-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롤러 블라인드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077B1 (ko)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프의 슬라이딩 구조
KR101381062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블라인드의 차양막 스토퍼
KR102634401B1 (ko) 차광량 조절 도어커튼 어셈블리 및 그 작동 방법
KR20180054270A (ko) 투과율 가변구조를 갖는 도어커튼 장치
KR101283021B1 (ko) 차량용 도어프레임
JP2004284539A (ja) 自動車の側部構造
KR102669230B1 (ko) 창호의 추락방지 안전 장치
KR100534340B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장치
CN110065371B (zh) 倾斜天窗结构
KR20090094542A (ko) 자동차의 선루프 디플렉터
KR101984373B1 (ko) 차량의 보조창
KR20130002495A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KR100828600B1 (ko) 차량용 선바이저의 시야 확보 장치
KR200480273Y1 (ko)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KR100527139B1 (ko) 자동차용 디플렉터의 지지구조
KR101282444B1 (ko) 자동차용 전동식 블라인드
KR101185193B1 (ko)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가이드 슈 구조
KR102240561B1 (ko)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JP3281456B2 (ja) 自動車用ドア
KR100368374B1 (ko) 자동차용 도어커튼
JP4642187B2 (ja) 自動車のドアガラス昇降装置
KR100298696B1 (ko) 자동차의 레귤레이터
KR100968761B1 (ko) 차량의 선바이저
WO2015047137A2 (ru)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для окна передней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для окна задней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для ветрового заднего ок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для задней форточ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зажим-держатель для установки защитного экрана без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струмента и удерживающих материалов в оптимальной близости к окну (варианты)
KR20170058554A (ko) 차량의 도어 웨더스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