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561B1 -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 Google Patents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561B1
KR102240561B1 KR1020190061083A KR20190061083A KR102240561B1 KR 102240561 B1 KR102240561 B1 KR 102240561B1 KR 1020190061083 A KR1020190061083 A KR 1020190061083A KR 20190061083 A KR20190061083 A KR 20190061083A KR 102240561 B1 KR102240561 B1 KR 10224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window
shaft
sha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902A (ko
Inventor
김도식
이성주
이종린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코리아(주) filed Critical 아시모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6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5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일측 영역에서 권취축(22) 상의 메인쉐이드(25)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제1커튼(20); 상기 윈도우의 타측 영역에서 권취축(32) 상의 서브쉐이드(35)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제2커튼(30);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의 상단에 각각의 지지대(27)(37)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후크수단(40); 및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결합되는 변위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차량 도어의 일측 선쉐이드와 타측 선쉐이드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양호한 차광성과 시야 확보의 동시 구현에 의한 편의성 및 실용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Dual type window curtain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쉐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도어의 창문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윈도우에 대한 차양은 커튼, 블라인드, 시트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어느 방식이나 차광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외에 설치/사용의 편의성과 외관의 미감도 요구된다. 자동차 도어에 권취식으로 장착되는 선쉐이드는 편의와 미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구성의 간편성과 연비를 고려할 때 전동 권취식보다는 수동 권취식이 실용적이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선쉐이드의 분할 구조를 채용하기도 한다. 이는 선쉐이드의 일측과 타측에서 차광 정도를 차등화하기 용이하다.
분할형 선쉐이드와 관련되어 하기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39482호(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24302호(특허문헌 2) 등과 같은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전자는 메인 커튼과 수평 커튼을 구비하여 된 차량용 도어 커튼 조립체에 있어서, 메인 커튼의 한번의 조작으로 수평 커튼이 동시에 전개됨으로 기존의 수평 커튼 전개 조작이 필요 없는 구조를 제시하며, 이에 따라 원가절감과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기대한다.
그러나, 메인 커튼의 수직 운동에 수평 커튼의 수평 전개가 연동되므로 양자를 독립적으로 전개하여 시야를 확보하기 곤란하다.
후자는 2개의 롤업 쉐이드로 이루어지고, 롤업 쉐이드는 둘 다 서로 독립된 와인딩 샤프트에 와인딩되며, 와인딩 샤프트는 서로 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해당 가이드 레일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공간이 절약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2개의 롤업 쉐이드가 전동 권취식이면서 운동의 동기화를 고려하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단순화하기에 한계성을 드러낸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39482호 "차량용 도어 커튼 조립체" (공개일자 : 2017.04.1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724302호 "사이드 윈도우 롤업 쉐이드용 장치" (공개일자 : 2006.05.1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의 창문으로 유입되는 햇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에 있어서 일측 선쉐이드와 타측 선쉐이드의 독립적 구동을 기반으로 양호한 차광성과 시야 확보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일측 영역에서 권취축 상의 메인쉐이드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제1커튼; 상기 윈도우의 타측 영역에서 권취축 상의 서브쉐이드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제2커튼; 상기 제1커튼과 상기 제2커튼의 상단에 각각의 지지대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후크수단; 및 상기 제1커튼과 상기 제2커튼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결합되는 변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커튼과 상기 제2커튼은 상호 독립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분리된 권취축 상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메인쉐이드와 상기 서브쉐이드는 각각 일단과 타단에서 차등적인 신축율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후크수단은 지지대에 형성되는 레일, 레일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편, 레일과 이동편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1요철부, 이동편 상에 힌지축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이편, 이동편과 걸이편 사이에 회전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2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변위수단은 권취축의 양단을 동심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케이스에 고정되는 안내봉, 권취축과 안내봉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3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도어의 일측 선쉐이드와 타측 선쉐이드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양호한 차광성과 시야 확보의 동시 구현에 의한 편의성 및 실용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을 장착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을 분리된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의 변위수단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에 관하여 제안한다. 차량의 도어(10)에 탑재된 윈도우(16)의 차광을 위한 커튼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0)는 인너패널(12)과 프레임(14)으로 형성되는 개구에 윈도우(16)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탑재한다.
도 1에서 차량의 도어(10)의 윈도우(16)를 하나의 유리판으로 예시하지만 차량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윈도우(16)는 분할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윈도우(16)는 분할된 영역 간에 형태적으로 차이를 나타낸다. 윈도우(16)가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경우에 비하여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는 경우에 커튼의 차광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커튼(20)이 상기 윈도우의 일측 영역에서 권취축(22) 상의 메인쉐이드(25)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구조이다. 제1커튼(20)은 차량 실내의 시트에 밀착된 사용자와 근접한 일측 영역에 메인쉐이드(25)를 갖춘다. 메인쉐이드(25)는 케이스(21)의 내부에서 권취축(22)에 탄성적으로 감겨 있고 슬릿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커튼(30)이 상기 윈도우의 타측 영역에서 권취축(32) 상의 서브쉐이드(35)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구조이다. 제2커튼(30)은 차량 실내의 시트에 밀착된 사용자와 이격된 타측 영역에 서브쉐이드(35)를 갖춘다. 서브쉐이드(35)는 케이스(31)의 내부에서 권취축(32)에 탄성적으로 감겨 있고 슬릿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상하운동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케이스(21)(31)와 권취축(22)(32)은 내장된 탄성체(23)(33)에 의하여 커튼(25)(35)을 감아 내리는 공지의 권취기구이다. 권취기구는 도어(10)의 인너패널(12)에 내장될 수도 있고 인너패널(12)의 외부 상단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은 상호 독립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분리된 권취축(22)(32) 상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커튼(20)의 권취축(22)과 제2커튼(30)의 권취축(32)이 인너패널(12) 상에서 상호 다른 높이에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사용자는 메인쉐이드(25)만 인출하여 차광하고 서브쉐이드(35)는 그대로 두어 외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물론 메인쉐이드(25)와 서브쉐이드(35)를 모두 인출하여 윈도우(16)를 전체적으로 차광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쉐이드(25)(35)의 독립적 분할 구조에 의하면 권취축(22)(32)의 길이가 축소되어 사용자의 작동 감도가 향상된다.
이때, 메인쉐이드(25)와 서브쉐이드(35)가 모두 인출된 상태에서 양자는 일정 영역에 걸쳐 다소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의 편의성 측면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메인쉐이드(25)가 실내측으로 사용 빈도가 낮은 서브쉐이드(35)가 실외측으로 중첩된다. 물론 메인쉐이드(25)와 서브쉐이드(35)를 이와 반대로 중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메인쉐이드(25)와 상기 서브쉐이드(35)는 각각 일단과 타단에서 차등적인 신축율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메인쉐이드(25)는 좌우측으로 차등적인 신축율을 갖추는 구성이 선호된다. 이는 차량에 따라서 메인쉐이드(25)가 설치되는 영역의 윈도우(16)가 대략 장방형이 아닌 사다리꼴을 이루는 점을 고려한다. 차등적인 신축율을 2~3개로 구분된 영역별로 물성을 다르게 적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일예로, 후술하는 도 3(b)와 같은 사용 상태를 감안하여 메인쉐이드(25)의 일단인 우측 영역에서 타단인 좌측 영역보다 신축율을 높게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수단(40)이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의 상단에 각각의 지지대(27)(37)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각각의 메인쉐이드(25)와 메인쉐이드(25)는 인출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단에 지지대(27)(37)를 갖추는 것이 좋다. 각각의 지지대(27)(37)에는 후크수단(40)이 결합되어 쉐이드(25)(35)를 인출된 상태로 유지한다. 후크수단(40)은 제1커튼(20)의 지지대(27)에 1개소 및 제2커튼(30)의 지지대(37)에 1개소 설치한다. 도어(10)의 프레임(14)에는 후크수단(40)에 맞물리는 클립(18)을 설치할 수 있다. 후크수단(40)은 클립(18)의 기능을 겸하는 구성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후크수단(40)은 지지대(27)에 형성되는 레일(28), 레일(28)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편(41), 레일(28)과 이동편(41)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1요철부(42), 이동편(41) 상에 힌지축(44)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이편(45), 이동편(41)과 걸이편(45) 사이에 회전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2요철부(46)를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후크수단(40)의 레일(28), 이동편(41), 제1요철부(42), 걸이편(45), 제2요철부(46)가 도시된다. 후크수단(40)은 제1커튼(20)에 결합되는 상태로 예시하지만 제2커튼(30)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3(a)에서, 레일(28)은 지지대(27)의 중앙 부분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이동편(41)의 슬라이딩 행정거리를 한정한다. 이동편(41)은 지지대(27)의 레일(28)에 맞물리는 돌기를 구비하고, 레일(28)에 의해 설정된 거리만큼 왕복운동을 구현한다. 제1요철부(42)는 미세하고 연속적인 톱니형 또는 간헐적인 돌기형으로 형성한다. 이에, 사용자가 메인쉐이드(25)의 지지대(27)를 상측으로 인출하여 후크수단(40)을 클립(18)에 맞물린 다음에 메인쉐이드(25)나 지지대(27)를 측방향으로 당기면 이동편(41)의 슬라이딩으로 차광 영역의 변동이 수반된다. 제1요철부(42)는 메인쉐이드(25)의 측방향 변동된 위치를 유지하는 저항력을 발생한다. 메인쉐이드(25)나 지지대(27)를 반대방향으로 밀면 원위치로 복귀도 가능하다.
도 3(b)에서, 걸이편(45)은 클립(18)과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동편(41)에 힌지축(44)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제2요철부(46)는 힌지축(44)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톱니형이며, 이동편(41)과 걸이편(45)의 대향하는 면에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에, 사용자가 메인쉐이드(25)의 지지대(27)를 상측으로 인출하여 후크수단(40)을 클립(18)에 맞물린 다음에 지지대(27)의 일측을 기울이면 지지대(27)가 프레임(14)의 경사와 일치하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요철부(46)는 지지대(27)의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하는 저항력을 발생한다. 메인쉐이드(25)가 권취축(22)에 권취되는 경우 탄성체(23)의 탄성력과 케이스(21)의 슬릿에 의해 지지대(27)의 자세는 수평으로 복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위수단(50)이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결합된다. 변위수단(50)은 전술한 도 3(a)처럼 제1커튼(20)의 메인쉐이드(25)의 측방향 이동을 구현한다. 후술하듯이 제2커튼(30)의 서브쉐이드(35)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변위수단(50)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변위수단(50)은 권취축(22)(32)의 양단을 동심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케이스(21)(31)에 고정되는 안내봉(52), 권취축(22)(32)과 안내봉(52)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3요철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변위수단(50)의 안내봉(52)과 제3요철부(54)가 도시된다. 안내봉(52)과 제3요철부(54)는 제1커튼(20)에 적용되는 상태로 예시하지만 제2커튼(30)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4(a)에서, 권취축(22)이 케이스(21)의 양단에 결합된 안내봉(52)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를 예시한다. 안내봉(52)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어 권취축(22)의 양단을 헐거운 끼워맞춤과 유사한 상태로 지지한다. 이에, 도 4(b)처럼 사용자가 메인쉐이드(25)를 당기면 상측의 레일(28)과 하측의 안내봉(52)에 의하여 차광 위치를 변동하기 용이하다. 메인쉐이드(25)와 권취축(22)의 이동 경로 상에 제3요철부(54)를 형성한다. 제3요철부(54)는 전술한 제1요철부(42)와 유사한 톱니형 또는 돌기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쉐이드(25)를 당기는 동안 제3요철부(54)가 적절한 저항력을 제공하여 이동된 위치를 유지한다. 제3요철부(54)가 마모되기 쉬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볼플란저(56)를 대체적/병용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a)처럼 안내봉(52)의 일정 영역에 외경이 변동되는 구배부(5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b)처럼 당겨진 메인쉐이드(25)의 차광을 해제하기 위해 권취축(22)에 권취하는 경우 권취축(22)이 구배부(53)를 통하여 도 4(a)처럼 원위로 복귀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도어 12: 인너패널 14: 프레임
16: 윈도우 18: 클립 20: 제1커튼
21: 케이스 22: 권취축 23: 탄성체
25: 메인쉐이드 27: 지지대 28: 레일
30: 제2커튼 31: 케이스 32: 권취축
33: 탄성체 35: 서브쉐이드 37: 지지대
40: 후크수단 41: 이동편 42: 제1요철부
44: 힌지축 45: 걸이편 46: 제2요철부
50: 변위수단 52: 안내봉 53: 구배부
54: 제3요철부 56: 볼플란저

Claims (5)

  1.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일측 영역에서 권취축(22) 상의 메인쉐이드(25)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제1커튼(20);
    상기 윈도우의 타측 영역에서 권취축(32) 상의 서브쉐이드(35)를 종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제2커튼(30);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의 상단에 각각의 지지대(27)(37)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후크수단(40); 및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 중의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결합되는 변위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제1커튼(20)과 상기 제2커튼(30)은 상호 독립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분리된 권취축(22)(32) 상에 수용되고,
    상기 메인쉐이드(25)와 상기 서브쉐이드(35)는 각각 좌우측에서 차등적인 신축율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크수단(40)은 지지대(27)에 형성되는 레일(28), 레일(28)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편(41), 레일(28)과 이동편(41)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1요철부(42), 이동편(41) 상에 힌지축(44)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걸이편(45), 이동편(41)과 걸이편(45) 사이에 회전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2요철부(46)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수단(50)은 권취축(22)(32)의 양단을 동심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케이스(21)(31)에 고정되는 안내봉(52), 권취축(22)(32)과 안내봉(52) 사이에 슬라이딩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제3요철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1083A 2019-05-24 2019-05-24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KR102240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83A KR102240561B1 (ko) 2019-05-24 2019-05-24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83A KR102240561B1 (ko) 2019-05-24 2019-05-24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02A KR20200134902A (ko) 2020-12-02
KR102240561B1 true KR102240561B1 (ko) 2021-04-15

Family

ID=7379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83A KR102240561B1 (ko) 2019-05-24 2019-05-24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5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463B2 (ja) * 1997-04-04 2000-06-26 ロレアル 自己タンニング化粧用組成物
JP2014065350A (ja) * 2012-09-24 2014-04-17 Ashimori Ind Co Ltd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463U (ja) * 1998-08-05 1999-02-16 健二 今川 自動車用シェード
DE102004036075B3 (de) 2004-07-24 2006-02-16 Bos Gmbh & Co. Kg Anordnung für Seitenfensterrollo
KR20110100561A (ko) * 2010-03-04 2011-09-14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블라인드장치
KR20170039482A (ko) 2015-10-01 2017-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커튼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463B2 (ja) * 1997-04-04 2000-06-26 ロレアル 自己タンニング化粧用組成物
JP2014065350A (ja) * 2012-09-24 2014-04-17 Ashimori Ind Co Ltd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02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926A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openings
US8646509B2 (en) Blind with looped blind sheet for adjusting opacity
AU713936B2 (en) Light control covering device for architectural openings
CN104691286B (zh) 使用双辊的卷式遮光帘的结构
WO2019183800A1 (zh) 一种含移动伸缩遮阳板的汽车
KR20150051613A (ko) 루프랙 거치용 차양막
KR102240561B1 (ko) 차량의 듀얼형 윈도우 커튼
KR20110046972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US5101878A (en) Deployable sun screen for automobile windows
KR101264631B1 (ko) 차량용 롤 블라인드
US11524560B1 (en) Retractable jeep top and associated methods
TW202204177A (zh) 遮光裝置
JP2001180278A (ja) 巻取式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9001267A (ja) 電動の側面窓巻上日よけ
KR101189411B1 (ko) 전동 커튼 장치
KR101876057B1 (ko) 차광량 조절 도어커튼 어셈블리
KR102337871B1 (ko) 자력 지지 기반의 도어커튼 기구
KR200420204Y1 (ko) 차창 햇빛가림장치
TW202237430A (zh) 遮光裝置和車輛
CN217227263U (zh) 一种天窗遮阳帘装置
KR20130140292A (ko) 유리창이 구비된 문
CN216317021U (zh) 一种新型窗帘滑轨结构
CN113492658B (zh) 遮光装置和车门
CN214355483U (zh) 天窗的遮阳帘结构、天窗及车辆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