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73Y1 -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73Y1
KR200480273Y1 KR2020150003161U KR20150003161U KR200480273Y1 KR 200480273 Y1 KR200480273 Y1 KR 200480273Y1 KR 2020150003161 U KR2020150003161 U KR 2020150003161U KR 20150003161 U KR20150003161 U KR 20150003161U KR 200480273 Y1 KR200480273 Y1 KR 200480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frame
window
fixed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2020150003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bstract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는, 창문이 형성된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사행활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커튼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이동 프레임;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저면 양쪽에는 상기 제1,2 관통공들과 대응되는 제3,4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이동 프레임; 하부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주름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이동 프레임과 제2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된 커튼지; 일단이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단으로 빠져 나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튼지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커튼지를 관통한 후 상기 제4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의 일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안내줄; 및 일단이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단으로 빠져 나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1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튼지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커튼지를 관통한 후 상기 제3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의 타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안내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이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2 안내줄의 각 타단이 창문의 상부 양쪽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2 이동 프레임을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커튼지가 일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2 이동 프레임을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일부만을 가리거나,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상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상부 영역을 가리거나, 제2 이동 프레임이 창문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하부 영역을 가리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이동 프레임을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창문의 원하는 영역만을 가릴 수 있고, 제2 이동 프레임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이동 프레임을 상부로 이동시켜 창문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제1 이동 프레임이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이동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켜 창문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음으로써, 창문의 원하는 구간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TWO-WAY OPENING TYPE CURTAIN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지의 상부가 고정되는 상부이동 프레임과 커튼지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부이동 프레임이 안내줄에 안내되고 정지위치가 임의로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상,하부 이동 프레임의 상,하부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커튼지의 구간 개방 또는 양방향 개방이 가능하도록 된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람들을 어떠한 목적지로 이동시켜주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나, 최근 들어 사회문화의 발달과 다양한 직업군의 형성으로 이동수단 뿐만 아니라 휴식공간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장거리 여행시나 길이 막히는 경우 오랜 주행에 의해 운전자나 탑승자 모두가 피로하게 되는데, 마땅히 쉴 곳이 없는 경우 차량을 휴게소나 졸음쉼터 등에 주차한 후 쉬는 것이 안전운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승합차나 일부 승용차에서는 시트의 배열을 변경시켜 시트를 간이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내부의 시트를 변경하여 탑승자가 편히 누울 수 있다 하더라도 차량의 윈도우 글래스를 통해 내부가 훤히 보이기 때문에 사생활이 보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자동차 윈도우 글래스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의 시계 확보와 쾌적한 차 실내 거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나, 상기와 같이 차 실내의 상황을 외부로 그대로 노출시키기 때문에 사생활을 침해받게 하는 등 불편을 주기도 한다.
또한, 하절기와 같이 일조량이 많은 경우에는 윈도우 글래스를 통하여 직사광선이 다량으로 투광되므로 차 실내의 온도상승은 물론 운전자의 눈부심 등으로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도어 윈도우 글래스(사이드 윈도우 글래스) 및 리어 윈도우 글래스는 물론이고 윈드실드 글래스까지 포함한 차량 글래스 전체를 대상으로 썬텐 처리를 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 글래스의 썬텐 처리는 사생활 보호 및 차광, 특히 자외선 차단과 같은 장점들을 제공하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시야를 어둡게 하여 안전운전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는 만큼 최근에는 짙은 썬텐 처리를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글래스 썬텐 처리 외에 커튼을 설치하여 사생활을 보호하거나 햇빛을 차단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자동차에 설치되고 있는 커튼으로는 일반 가정집의 커튼과 마찬가지로 글래스 상측으로 레일을 설치하여 이 레일을 통해 커튼 상단이 이동하면서 커튼이 접혀지거나 전개되도록 하는 구조가 있으며, 이는 대형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튼 구조는 글래스 상측으로 레일이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단 레일이 장착된 상태에서 커튼을 접거나 제거하는 경우에는 미관상 좋지 않은 레일이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결정적으로 일반 승용차나 소형승합차, SUV 차량과 같이 레일을 부착하기 곤란한 차량의 경우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차량용 커튼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131597호(공개일자 : 2012.12.05)에는 차량용 커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커튼장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권취 파이프와, 일단이 상기 권취 파이프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당김 고리부가 마련되며 상기 권취 파이프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된 블라인드와, 상기 권취 파이프가 상기 블라인드를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권취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커튼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 파이프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권취 파이프의 직선 이동시 소정구간에서 상기 권취유닛에 의해 감기는 상기 권취 파이프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감쇄유닛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차량용 커튼장치는, 블라인드가 감기는 경우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커튼장치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높은 감성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블라인드가 권취 파이프에 감긴 상태에서 상부로 인출되면서 창문을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창문의 특정 구간을 가릴 수는 없는 문제점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131597호(공개일자 : 2012.12.05)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커튼의 커튼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창문의 원하는 구간을 선택적으로 가릴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창문이 형성된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사행활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커튼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이동 프레임;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저면 양쪽에는 상기 제1,2 관통공들과 대응되는 제3,4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이동 프레임; 하부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주름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이동 프레임과 제2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된 커튼지; 일단이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단으로 빠져 나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튼지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커튼지를 관통한 후 상기 제4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의 일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안내줄; 및 일단이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단으로 빠져 나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1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튼지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커튼지를 관통한 후 상기 제3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의 타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안내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이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2 안내줄의 각 타단이 창문의 상부 양쪽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2 이동 프레임을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커튼지가 일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2 이동 프레임을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일부만을 가리거나,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상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상부 영역을 가리거나, 제2 이동 프레임이 창문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하부 영역을 가리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하는,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하부로 이동하여 서로 밀착된 상태의 상기 제1,2 이동 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림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이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는 수평단; 및 상기 수평단에 결합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쪽으로 이동한 제1,2 이동 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도록 상기 수평단의 단부에 직각되게 결합되는 수직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 안내줄의 각 타단에는, 창문의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과 제1,2 이동 프레임은, 수용홈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용홈을 커버하기 위한 덮개 프레임; 및 안내공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을 폐쇄하고 상기 제1,2 안내줄을 안내하기 위한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덮개 프레임에는, 상기 제1,2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덮개 프레임에는 제3,4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의 덮개 프레임 상면에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하부 이동으로 인한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2 이동 프레임을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창문의 원하는 영역만을 가릴 수 있고, 제2 이동 프레임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이동 프레임을 상부로 이동시켜 창문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제1 이동 프레임이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이동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켜 창문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음으로써, 창문의 원하는 구간을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5,6,7은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고정 프레임(30), 제1,2 이동 프레임(40,50)을 기준으로 일단 또는 일측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하고, 타단은 우측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는, 창문(W)이 형성된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사행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20)이 설치되며, 창문(W)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0)과,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관통공(42,44)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고정 프레임(3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이동 프레임(40)과,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저면 양쪽에는 제1,2 관통공(42,44)들과 대응되는 제3,4 관통공(52,54)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제1 이동 프레임(40)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이동 프레임(50)과, 하부가 제1 이동 프레임(4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는 제2 이동 프레임(50)에 결합되며, 주름을 구비하여 제1 이동 프레임(40)과 제2 이동 프레임(50) 사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된 커튼지(60)와, 일단이 스프링(2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 프레임(30)의 일단으로 빠져 나와 제1 이동 프레임(40)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관통공(44)을 통과하여 커튼지(60)의 타측을 관통하고, 커튼지(60)를 관통한 후 제4 관통공(54)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50)의 일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안내줄(70)과, 일단이 스프링(2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 프레임(30)의 타단으로 빠져 나와 제1 이동 프레임(40)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1 관통공(42)을 통과하여 커튼지(60)의 일측을 관통하고, 커튼지(60)를 관통한 후 제3 관통공(52)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50)의 타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안내줄(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 프레임(30)은, 차량의 창문(W)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2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30)은, 가림부재(90)를 통하여 창문(W)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즉, 창문(W)의 내측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판 형태의 수평단(92)이 수평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이 수평단(92)의 길이방향 일측에 길이방향을 긴 판 형태의 수직단(94) 하단부가 수평단(92)과 직각이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고, 고정 프레임(30)은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96)에 의해 수평단(92)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수평단(92)의 상면과 수직단(94)의 내측면 사이에는 고정 브라켓(30)과 제1,2 이동 프레임(40,5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데, 이 수용공간(S)에 의해 고정 프레임(30)을 포함하여, 하부로 이동한 제1,2 이동 프레임(40,50)이 수납될 수 있다. 즉, 하부로 이동하여 서로 밀착된 상태의 제1,2 이동 프레임(40,50)이 수평단(92)의 상면에 결합된 고정 프레임(30)에 접하게 되어 수용공간(S)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직단(94)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차량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 프레임(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31)과, 메인 프레임(31)에 결합되어 수용홈을 커버하기 위한 덮개 프레임(33)과, 메인 프레임(31)의 양쪽에서 제1,2 안내줄(70,80)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35A)을 각각 구비하여 메인 프레임(31)의 양쪽 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홈을 폐쇄하고 제1,2 안내줄(70,80)들 안내하기 위한 마개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레임(31)에는 개구된 입구 양쪽에 걸림단이 형성되어, 덮개 프레임(33)이 메인 프레임(3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림단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30)의 메인 프레임(31)에는 고정 브라켓(96)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30)의 덮개 프레임(33) 상면에는, 제1 이동 프레임(40)의 하부 이동으로 인한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39)가 부착된다. 이는 제1 이동 프레임(40)을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 프레임(30)의 상면에 접촉될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 완충부재(39)는 스펀지나 직물지, 부직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0)은 제1,2 안내줄(70,80)에 인장력 및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제1 이동 프레임(40)은, 커튼지(60)의 하부와 결합되어 커튼지(60)의 하부를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저면이 고정 프레임(30)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이동 프레임(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41)과, 메인 프레임(41)에 결합되어 수용홈을 커버하기 위한 덮개 프레임(43)과, 제1,2 안내줄(70,80)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45A)을 각각 구비하여 메인 프레임(41)의 양쪽 단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수용홈의 길이방향 양쪽을 폐쇄하고 제1,2 안내줄(70,80)들을 안내하기 위한 마개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이동 프레임(40)의 메인 프레임(41)에는 개구된 입구 양쪽에 걸림단이 형성되어, 덮개 프레임(43)이 메인 프레임(4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림단에 걸리도록 결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프레임(40)의 덮개 프레임(43) 양쪽에는 제1,2 안내줄(70,80)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2 관통공(42,4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 덮개 프레임(43)의 상면에 커튼지(60)의 하부 영역이 부착되어 결합된다. 이 제1,2 관통공(42,44)에는 제1,2 안내줄(70,80)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그로멧(GROMMET)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동 프레임(50)은, 커튼지(60)의 상부와 결합되어 커튼지(60)의 상부를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저면이 제1 이동 프레임(40)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 이동 프레임(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51)과, 메인 프레임(51)에 결합되어 수용홈을 커버하기 위한 덮개 프레임(53)과, 메인 프레임(51)의 양쪽에서 제1,2 안내줄(70,80)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55A)을 각각 구비하여 메인 프레임(51)의 양쪽 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홈의 길이방향 양쪽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부재(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이동 프레임(50)의 메인 프레임(51)에는 개구된 입구 양쪽에 걸림단이 형성되어, 덮개 프레임(53)이 메인 프레임(51)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림단에 걸리도록 결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 프레임(50)의 덮개 프레임(53) 양쪽에는 제1,2 안내줄(70,80)을 안내하기 위한 제3,4 관통공(52,54)이 각각 형성되며, 이 덮개 프레임(53)의 상면에 커튼지(60)의 상부 영역이 부착되어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30)과 제1,2 이동 프레임(40,50)을 메인 프레임(31,41,51)과 덮개 프레임(33,43,53)으로 구성하는 것은, 스프링(20) 및 제1,2 안내줄(70,8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유지관리 또는 정비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고정 프레임(30)과 제1,2 이동 프레임(40,50)을 일체형의 중공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 스프링(20)을 설치하거나 제1,2 안내줄(70,80)을 설치하는 작업이 곤란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다.
커튼지(60)는, 하부가 제1 이동 프레임(40)의 상면(제1 이동 프레임의 덮개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부는 제2 이동 프레임(50)의 저면(제2 이동 프레임의 덮개 프레임)에 결합되며, 주름을 구비하여 제1 이동 프레임(40)과 제2 이동 프레임(50) 사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커튼지(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햇빛을 차단하고 차량 외부로부터 내부를 가릴 수 있는 재질이나 구조이면 만족한다.
제1,2 안내줄(70.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일단이 고정 프레임(30)의 내부에서 스프링(2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1 이동 프레임(4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된 후 제1 이동 프레임(40)의 덮개 프레임(43)에 형성된 각 제1,2 관통공(42,44)을 통과한 후 커튼지(60)의 양쪽을 관통하고, 제2 이동 프레임(50)의 덮개 프레임(53)에 형성된 제3,4 관통공(52,54)으로 삽입되어 제2 이동 프레임(50)의 내부에서 다시 서로 교차한 후 양단의 각 마개부재(55)를 통과하여 차량의 창문(W) 내부의 상부 쪽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2 안내줄(70,80)은 제1 이동 프레임(40)과 커튼지(60) 및 제2 이동 프레임(50)을 지지하고 안내하여 제1,2 이동 프레임(40,50)과 커튼지(60)의 이동을 안내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이동 완료된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안내줄(70)은, 일단이 고정 프레임(30)의 내부에서 스프링(2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 프레임(30)의 일단에 결합된 마개부재(35)의 안내공(35A)을 통하여 빠져나와 제1 이동 프레임(40)의 일단에 결합된 마개부재(45)의 안내공(45A)를 통하여 제1 이동 프레임(4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1 이동 프레임(40)의 덮개 프레임(43)에 형성된 제2 관통공(44)을 통과하여 커튼지(60)의 타측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고, 커튼지(60)의 타측을 관통한 후 제2 이동 프레임(50)의 덮개부재(53)에 형성된 제4 관통공(54)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50)의 일단에 결합된 마개부재(45)의 안내공(45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후에, 차량의 창문(W)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안내줄(70)의 타단부에는 차량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12)를 구비한다. 이 고정구(12)는 제1 안내줄(70)의 타단이 고정됨은 물론, 차량의 창문(W) 상부에 미리 고정되는 고정나사(14)의 체결부(14A)와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1 안내줄(70)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차량의 내측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안내줄(80)은, 일단이 고정 프레임(30)의 내부에서 스프링(2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 프레임(30)의 타단에 결합된 마개부재(35)의 안내공(35A)을 통하여 빠져나와 제1 이동 프레임(40)의 타단에 결합된 마개부재(45)의 안내공(45A)를 통하여 제1 이동 프레임(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안내줄(70)과 교차된 후 제1 이동 프레임(40)의 덮개 프레임(43)에 형성된 제1 관통공(42)을 통과하여 커튼지(60)의 일측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고, 커튼지(60)의 일측을 관통한 후 제2 이동 프레임(50)의 덮개부재(53)에 형성된 제3관통공(54)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50)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1 안내줄(70)과 교차된 후에, 제2 이동 프레임(50)의 타단에 결합된 마개부재(45)의 안내공(45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후에, 차량의 창문(W) 상단 타측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안내줄(80)의 타단부에는 차량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92)가 구비된다. 이 고정구(12)는 제2 안내줄(80)의 타단이 고정됨은 물론, 차량의 창문(W) 상부에 미리 고정되는 고정나사(14)의 체결부(14A)와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2 안내줄(80)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차량의 내측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안내줄(70,80)의 각 일단이 고정 프레임(30)의 내부에서 스프링(2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제1 이동 프레임(40)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된 후 커튼지(60)의 양쪽을 수직방향으로 각각 관통한 후, 제2 이동 프레임(50)의 내부에서 다시 서로 교차한 후 제2 이동 프레임(50)의 양쪽 단부를 빠져나와 창문(W)의 상부 양쪽에 각각 고정되고, 고정 프레임(30)은 가림부재(90)의 수평단(92)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이동 프레임(40,50)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커튼지(60)의 일부를 펼치고, 제1,2 이동 프레임(40,50)을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2 이동 프레임(40,5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제1,2 이동 프레임(40,50) 및 커튼지(60)는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1,2 안내줄(70,80)이 스프링(20)에 의해 탄성력을 구비하고, 제1 이동 프레임(40)에서 서로 교차한 후 커튼지(60)의 양쪽을 관통하며, 제2 이동 프레임(50)의 내부에서 다시 교차한 후 창문(W)의 내측 상부 양쪽에 고정되므로, 제1,2 이동 프레임(40,50)의 이동 후 움직임이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2 이동 프레임(40,50)이 제1,2 안내줄(70,8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1,2 이동 프레임(40,50)을 이격시켜 커튼지(60)를 펼친 후에, 제1,2 이동 프레임(40,50)을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창문(W)을 가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 프레임(40)이 고정 프레임(30)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 이동 프레임(50)만을 취부하여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 프레임(50)만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제2 이동 프레임(50)이 이동한 거리만큼 커튼지(60)이 펼쳐지면서 창문(W)을 가리게 된다. 즉, 제2 이동 프레임(50)의 이동거리를 조작하여 창문(W)의 하부는 가리고 상부 영역은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이동 프레임(50)을 하부로 이동시켜 제1 이동 프레임(40)과 근접시키게 되면, 제1,2 이동 프레임(50) 및 커튼지(60)가 수직단(94)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S)에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이동 프레임(40,50)이 모두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창문(W)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이동된 제1,2 이동 프레임(40,50) 중에서, 제1 이동 프레임(40)만을 취부하여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40)만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제1 이동 프레임(40)이 이동한 거리만큼 커튼지(60)이 펼쳐지면서 창문(W)의 상부와 중간부를 가리게 된다. 즉, 제1 이동 프레임(40)의 이동거리를 조작하여 창문(W)의 상부는 가리고 하부 영역은 선택적으로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 이동 프레임(40,50)이 제1,2 안내줄(70,80)에 안내되어 상,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창문(W)의 전체, 또는 상부나 하부 등 원하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가릴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좌,우측 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2 : 고정구 14 : 고정나사
14A : 체결부 20 : 스프링
30 : 고정 프레임 40 : 제1 이동 프레임
42 : 제1 관통공 44 : 제2 관통공
50 : 제2 이동 프레임 52 : 제3 관통공
54 : 제4 관통공 60 : 커튼지
70 : 제1 안내줄 80 : 제2 안내줄
90 : 가림부재 92 : 수평단
94 : 수직단 S : 수용공간

Claims (5)

  1. 창문이 형성된 차량의 내측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사행활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용 커튼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상면 양쪽에는 제1,2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이동 프레임;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저면 양쪽에는 상기 제1,2 관통공들과 대응되는 제3,4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며, 저면이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이동 프레임; 하부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며, 주름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이동 프레임과 제2 이동 프레임 사이에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된 커튼지; 일단이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단으로 빠져 나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튼지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커튼지를 관통한 후 상기 제4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의 일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1 안내줄; 및 일단이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타단으로 빠져 나와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타단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1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커튼지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커튼지를 관통한 후 상기 제3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2 이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제2 이동 프레임의 타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내측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안내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이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2 안내줄의 각 타단이 창문의 상부 양쪽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2 이동 프레임을 소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커튼지가 일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2 이동 프레임을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일부만을 가리거나,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상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상부 영역을 가리거나, 제2 이동 프레임이 창문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하부로 이동시켜 펼쳐진 커튼지로 창문의 하부 영역을 가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2 안내줄의 각 타단에는,
    창문의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하부로 이동하여 서로 밀착된 상태의 상기 제1,2 이동 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림부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고정 프레임이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창문의 하부에 고정되는 수평단; 및 상기 수평단에 결합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 쪽으로 이동한 제1,2 이동 프레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도록 상기 수평단의 단부에 직각되게 결합되는 수직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제1,2 이동 프레임은,
    수용홈을 구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수용홈을 커버하기 위한 덮개 프레임; 및
    안내공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수용홈을 폐쇄하고 상기 제1,2 안내줄을 안내하기 위한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덮개 프레임에는, 상기 제1,2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덮개 프레임에는 제3,4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덮개 프레임 상면에는,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하부 이동으로 인한 접촉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KR2020150003161U 2015-05-18 2015-05-18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KR200480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161U KR200480273Y1 (ko) 2015-05-18 2015-05-18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161U KR200480273Y1 (ko) 2015-05-18 2015-05-18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273Y1 true KR200480273Y1 (ko) 2016-05-18

Family

ID=5609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161U KR200480273Y1 (ko) 2015-05-18 2015-05-18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873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200480273Y1 (ko) 양방향 개방형 차량용 커튼장치
JP3867703B2 (ja) 側面美観向上タイプ車両用サンルーフ
KR200488580Y1 (ko)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KR20150110158A (ko) 차량 도어용 차우막
KR20170032562A (ko) 도어커튼의 세이드바 구조
KR100997248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01666210B1 (ko) 기성 버스의 사이드 윈도우용 롤블라인드 장착시스템
KR20130002495A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KR20120003963U (ko) 차량용 차광장치
CN213291951U (zh) 卷帘系统和用作车顶的敞开式车顶系统
KR20190016151A (ko) 자동차용 앞유리 차광 장치
KR20110099613A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CN216268607U (zh) 一种汽车内饰门板
KR100997247B1 (ko) 자동차용 롤러 블라인드
KR101003763B1 (ko)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
KR200494818Y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KR20110033877A (ko) 자동차용 자외선 차단기
JP2016141284A (ja) 車両用ドアサンシェード
JP5857807B2 (ja) 車両用のシート型ドア
JP3201941U (ja) 引出フロントガード
CN107344487A (zh) 一种用于汽车的遮阳装置
JP3119898U (ja) 自動車用補助日除け
JP2574823Y2 (ja) 後席用サンバイザ
JP5251527B2 (ja) 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