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068B1 -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068B1
KR101378068B1 KR1020127009945A KR20127009945A KR101378068B1 KR 101378068 B1 KR101378068 B1 KR 101378068B1 KR 1020127009945 A KR1020127009945 A KR 1020127009945A KR 20127009945 A KR20127009945 A KR 20127009945A KR 101378068 B1 KR101378068 B1 KR 101378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tank
processing apparatus
stirring blade
rotating shaf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279A (ko
Inventor
요수케 나카노
요시아키 코야지마
오사무 이시카와
야수요시 세키네
유우수케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니혼코크스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코크스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코크스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1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in stationary drums or troughs, provided with kneading or mix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sickle-shaped, i.e. cur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27/90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cooperating with intermeshing elements fixed on the receptacle walls
    • B01F27/90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cooperating with intermeshing elements fixed on the receptacle walls the elements being vertically arranged, e.g. fixed o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Abstract

분립체에 강한 압축력이나 전단력을 주어서 복합화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며 최적의 처리조건을 간단하게 발견할 수 있는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세로형의 혼합조(20)와, 혼합조(20)의 조 바닥을 삽입 통과해서 마련된 회전축(30)과, 회전축(30)에 마련된 복수의 교반날개(40)와, 혼합조(20)에 고정해서 마련되는 복수의 충돌판(50)을 구비한다. 혼합조(20)의 직경을 d로 할 때, 교반날개(40)와 충돌판(50)의 최단거리가 0.1d이하로 한다.

Description

처리장치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분립체(粉粒體, 가루나 알갱이 등이 뒤섞여 있는 것)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장치로서 특히 복합화(複合化)나 구형화(球形化) 등의 고도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경이 미크론 오더(micron-order) 또는 나노 오더(nano-order)의 분립체를 취급하는 처리에 있어서 종횡비(縱橫比)가 큰 입자를 구형화하거나, 입경이 큰 입자의 표면상에 입경이 작은 입자를 코팅하거나, 여러 종류의 입자를 일체화된 구상(球狀) 입자로 복합화하거나 할 수 있는 분립체의 처리가 널리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10에서와 같은 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처리장치(110)는 가로형 원통 모양의 혼합조(120)와, 한쪽의 측벽을 삽입 통과해서 마련된 회전축(130)과, 회전축(130)에 마련된 복수의 교반(攪拌)날개(140)을 구비하고 있다. 분립체의 처리는 큰 발열을 수반하기 때문에 혼합조(120)에는 재킷(193)을 설치하고 통수(通水)에 의해 냉각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혼합조(120)의 양측에는 분립체의 투입구(191)와 배출구(192)가 설치되어, 연속처리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교반날개(140)는 회전에 의해 처리물을 배출구(192)를 향해서 보낼 수 있는 경사를 구비한 「이송날개」와, 회전에 의해 처리물을 투입구(191)를 향해 되돌릴 수 있는 경사를 구비한 「반송날개」가 번갈아 조합되어 있다.
처리장치(110)에서는 「이송날개」와 「반송날개」로 서로 번갈아 처리물에 반복적으로 강한 힘을 가할 수 있다. 그래서, 분립체의 복합화나 코팅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분립체에 대한 작용 효과는 교반날개(140)의 형상이나 배열 등의 구조적인 요소에 따라 크게 영향받을 수 있다. 그러나, 구조적 요소를 변경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처리조건을 간단하게는 변경할 수 없고, 최적의 처리조건을 찾아내는 것이 힘든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도11에서 나타내는 처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처리장치(210)는 세로형(竪形)의 혼합조(220) 내부에, 혼합조(220)의 조(槽) 바닥을 삽입 통과해서 설치되는 회전축(230)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230)에는 통 모양의 회전체(281) 및 복수의 교반날개(240)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체(281)에는 복수의 개구(282)가 마련되고, 그 내면은 프레스헤드(283)로 눌려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혼합조(220)에는 재킷(293)이 설치되고, 통수에 의해 냉각되도록 되어 있다.
이 처리장치(210)에서는 배치(batch)처리가 이루어진다. 혼합조(220)에 투입된 처리물은 회전체(281)의 안팎을 순환 유동하면서 처리를 받는다. 즉, 처리물은 개구(282)를 통해서 회전체(281)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흘러나가고, 회전체(281)의 외측에서 교반날개(240)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흘러나가서 회전체(281)의 상부에서 외측에서 내측으로 되돌아 온다. 그리고, 회전체(281)의 내측에 있어서 프레스헤드(283)에 의해 처리물에 강한 압축력 및 전단력(剪斷力)을 주어 분립체의 복합화나 코팅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장치(210)는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고가의 장치가 된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처리물의 흐름을 억제하는 것이 힘들고 최적의 처리조건을 찾아내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5-270955호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5-15910호
본 발명의 과제는 분립체의 처리물에 강한 압축력이나 전단력을 줌으로써 복합화나 코팅 등의 고도의 처리를 수행하는 처리장치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처리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며 최적의 처리조건을 쉽게 찾아낼 수 있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과 관련된 발명은 세로형의 혼합조와, 상기 혼합조의 조(槽) 바닥을 삽입 통과하여서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복수의 교반날개와, 상기 혼합조에 고정해서 설치된 복수의 충돌판을 구비한 분립체의 처리장치로서, 상기 혼합조의 직경을 d로 했을 때, 상기 교반날개와 상기 충돌판과의 최단거리가 0.1d 이하인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와 관련된 처리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의 크기는 상기 혼합조의 직경을 d로 했을 때, 폭이 0.05d~0.25d이며, 높이가 0.05d~0.2d인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과 관련된 처리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합조가 원통 모양으로서 조 바닥 코너부가 둥글고 매끄럽게 형성되어 상기 혼합조의 직경을 d로 했을 때, 그 곡률반경이 0.05d이상인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와 관련된 처리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가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보스부의 경사면에 배열되어 있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와 관련된 처리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의 상부가 링모양 상판에서 연결되고, 그 링모양 상판과 상기 경사면 사이를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분립체가 유동하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과 관련된 처리장치는,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교반날개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날개를 구비하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과 관련된 처리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교반날개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처리물에 강한 압축력이나 전단력을 줄 수 있으며 분립체의 복합화나 코팅 등의 고도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며 최적의 처리조건을 간단하게 찾아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1)는 개략 종단면도, (2)는 개략 횡단면도이며,
도2는 도1의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1)은 개략 종단면도, (2)는 (1)의 A부 상세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1)은 개략 종단면도, (2)는 (1)의 B부 상세도, (3)은 (2)에서의 X-X선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1)은 개략 종단면도, (2)는 (1)의 C부 상세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1)은 개략 종단면도, (2)는 개략 횡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1)은 개략 종단면도, (2)는 (1)의 Y-Y선에서 본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1)은 개략 종단면도, (2)는 개략 횡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처리장치로 얻어진 제품의 샘플사진이며,
도9는 종래의 처리장치로 얻어진 제품의 샘플사진이며,
도10은 종래의 처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며,
도11은 종래의 처리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일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도1 (1)은 종단면도, 도1 (2)는 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상세 설명도로, 도2 (1)은 종단면도, 도2 (2)는 (1)의 A부분 상세도이다.
이 처리장치(10)는 세로형의 혼합조(20)와, 혼합조(20)의 조 바닥을 삽입 통과해서 설치된 회전축(30)과, 회전축에 설치되는 복수의 교반날개(40)와, 혼합조(20)에 고정해서 설치되는 복수의 충돌판(50)을 구비하고 있다. 혼합조(20)의 상부에는 뚜껑을 구비하고, 플랜지(61)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60)에는 처리물의 투입구가 마련되고, 혼합조(20)의 바닥에는 제품의 배출구가 마련되는데 이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10)는 혼합조(20) 내에 분립체의 순환류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혼합처리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교반날개(40)의 회전에 의해 분립체에 관성력을 주어, 분립체를 조(槽) 바닥 코너부 부근에서 조 벽을 따라 상방으로 방출한다. 분립체는 조 벽 부근에서 상승하여 조 중심 부근에서 하강함으로써 혼합조 내에 순환류를 형성한다.
혼합조(20)는 원통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이나 구(球) 형상 등으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형상이라도 혼합조(20)는 회전축(30)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세로형(竪形)으로 한정될 것이다. 이하, 혼합조(20)의 내부의 직경을 d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혼합조(20)의 직경이 높이에 따라 변화되는 경우에는 직경d는 최대 직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혼합조(20)가 원통 형상인 경우에는 조 바닥 코너부가 둥글고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교반날개(40)에 의해 관성력을 받은 분립체가 원활하게 상방을 향해 방출되기 위해서이다. 도2 (2)에서와 같이 바닥 코너부의 둥근 정도의 곡률반경을 R로 하면, R은 0.05d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d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R에는 상한이 있는데, 0.5d이하이다.
회전축(30)은 혼합조(20)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은 그랜드씰이나 에어씰 등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30)은 전동기 등에 의해 구동되는데, 회전수를 가변하게 해서 설정조건의 하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장치(10)에서는 교반날개(40)는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보스부(41)의 경사면에 배치되어서 회전축(30)에 설치되고, 혼합조(20)의 조(槽) 바닥에 근접해서 배치된다. 교반날개(40)는 그 형상 및 수에 관해서 한정되지 않지만, 분립체에 강한 관성력을 주어 조 바닥부 부근에서 조 바닥을 따라 상방으로 강하게 방출할 것이 요망된다.
분립체에 주는 관성력을 크게 하기 위해 교반날개(40)의 직경(I)은 조 바닥에 있어서 가능한 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혼합조(20)가 원통 형상인 경우에는 교반날개(40)의 직경(I)은 0.7d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85d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장치(10)는 혼합조(20)에 고정해서 마련되는 복수의 충돌판(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순환류의 일부에 충돌판(50)을 둠으로써 분립체에 강한 압축력 및 전단력을 주어, 분립체의 복합화나 코팅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처리장치(10)에서는 충돌판(50)은 혼합조(20)의 조 벽에 용접되어 있다.
교반날개(40)의 근방은 순환류 중에서도 관성력이 가장 강한 장소가 된다. 따라서, 충돌판(50)은 교반날개(40)에 근접해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2)에 간극(e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날개(40)와 충돌판(50)의 최단거리는 0.1d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1d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립체에 강한 관성력을 주기 위해서는 교반날개(40)의 회전속도는 고속일수록 바람직하지만, 너무 고속이면 코팅한 입자의 박리, 혹은 베이스가 되는 모(母) 입자의 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교반날개(40)의 실용적인 선단 속도는 20~150m/s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 30~100m/s인 범위이다.
충돌판(50)은 그 형상 및 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립체의 순환류에 대해서 강한 충격을 주면서 분립체의 순환류를 저해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그 수는 4~12장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크기는 도2 (2)에서와 같이 그 폭(W)이 0.05~0.25d이며 그 높이(H)가 0.05d~0.2d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도3 (1)은 종단면도, 도3 (2)는 (1)의 B부 상세도, 도3 (3)은 (2)에서의 X-X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 처리장치(11)는 충돌판(50)을 구비한 내삽관(內揷管)(51)이 혼합조(2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점에서 처리장치(10)와는 다르다. 내삽관(51)은 그 테두리부(鍔部)(52)가 혼합조(20)의 플랜지(61)에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내삽관(51)을 준비함으로써 충돌판(50)의 형상 등을 바꿔서 처리를 할 수 있다.
처리장치(11)를 이용하여서 충돌판(50)의 설치각도(θ)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3) (2)에서의 X-X선에서 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3 (3)은 근접해서 설치된 교반날개(40)와 충돌판(50)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화살표로 나타낸 교반날개(40)의 회전방향과 충돌판(50)의 충돌면이 이루는 각도를 θ로 한다.
각도θ는 30도~90도의 범위이다. 이와 같은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분립체가 충돌판(50)에 충돌했을 때에 그 순환류에는 혼합조(20)의 바닥면을 향하는 힘이 주어져, 특별히 강한 전단력이 발생한다. 각도θ가 90도를 넘을 경우에는 전단력이 작아지고, 30도 미만의 경우에는 순환류를 저해하는 작용이 커진다. 최적의 각도θ는 분립체의 성상에 따라 다르고, 유동성이 양호한 분립체에서는 45도~75도, 유동성이 나쁜 분립체에서는 60도~90도가 된다.
도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도4 (1)은 종단면도, 도4 (2)는 (1)의 C부 상세도이다.
이 처리장치(12)의 특징은 충돌판(50)이 지지부(55) 및 지지환(56) 등에 의해 뚜껑(6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구조는 예를 들면 뚜껑(60)에 대해서 지지부(55)를 제거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충돌판(50)을 준비하여서 조건을 바꾼 처리를 할 수 있다.
처리장치(12)에서는 충돌판(50)과 조(槽) 벽 사이에 간극(e2)을 마련해 두었다. 간극(e2)을 마련함으로써 간극(e2) 부분도 순환 유로의 일부가 되어서 처리물이 흘러가게 된다. 충돌판(50)에 대해서 처리물이 충돌하는 충돌면의 안쪽(안쪽면)에는 데드 스페이스가 되어서 처리물이 부착되는 일이 있지만, 간극(e2)을 설치함으로써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e2)의 값은 통상 10mm 정도로 충분하다.
도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도5 (1)는 종단면도, 도5 (2)는 횡단면도이다.
이 처리장치(13)는 처리장치(10)와 마찬가지로 혼합조(20)에 고정해서 설치되는 복수의 충돌판(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처리장치(13)는 처리장치(10)와 마찬가지로 교반날개(40)가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보스부(41)의 경사면에 배치되어 있는데 각 교반날개(40)의 상부가 링모양 상판(42)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모양 상판(42)과 보스부(41)의 경사면 사이에는 처리물의 유로가 형성되게 되어,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안정된 상태로 분립체가 유동하게 된다.
도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고, 도6 (1)은 종단면도, 도6 (2)는 (1)의 Y-Y선에서 본 도면이다.
이 처리장치(14)는 충돌판(50)이 지지부(55) 및 지지환(56)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처리장치(12)와 유사하지만, 상부에 테두리부(鍔部)(52)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는 처리장치(11)에 유사하다. 또한, 처리장치(14)는 교반날개(40)가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보스부(41)의 경사면에 배치되면서 각 교반날개(40)의 상부가 링모양 상판(42)에서 연결되어 있는 점에서 처리장치(13)에 유사한데, 회전축(30)이 교반날개(40)보다도 상부에 보조날개(45)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조날개(45)는 도6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주위의 처리물을 혼합조(20)의 중심으로 끌어넣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 결과, 보조날개(45)는 처리물의 순환류를 촉진하게 되어 유동성이 나쁜 분립체의 처리에 적합하다.
도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며, 도7 (1)은 종단면도, 도7 (2)는 횡단면도이다.
이 처리장치(15)는 교반날개(41)에 특징이 있는데, 링모양 바닥판(43)의 상면에 배열된 교반날개(40)와, 보스부(41)에 마련된 경사날개(46)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경사날개(46)는 교반날개(4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처리물을 긁어넣도록 경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날개(46)는 도7 (2)에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혼합조(20)의 중앙부에서 분립체를 위에서 아래로 그러모아서 처리물의 순환류를 촉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의 처리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처리물도 단순한 순환류를 형성해서 처리된다. 따라서, 처리물 흐름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고 이것을 억제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처리조건의 변경은 교반 날개의 형상과 회전속도, 및 충돌판의 형상 등에 따르지만, 어느 것도 비교적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최적의 처리 조건을 간단하게 발견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처리장치는 상당히 넓은 분야에서 이용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전극재료로서 코발트산리튬에 카본을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장품 재료로서 나일론에 이산화티탄을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기(無機)유리의 대용으로서 사용되는 PMMA 가루에 안료를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체(粉體)도료로서 에폭시 수지 등의 입자 표면에 안료를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지재료로서 흑연입자를 구형화(球形化)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인쇄용으로서 토너 입자의 표면에 초미립자 실리카나 이산화티탄을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도8은 처리장치(10)로 처리된 제품의 현미경 사진이다. 처리물은 평균 입경 약 5㎛의 가교 PMMA(70%)와 이산화티탄(30%)의 혼합물이다. 도9는 충돌판을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처리장치로 처리된 제품의 현미경 사진이며 처리물은 동일하다. 양자의 비교에 의해 충돌판의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내어져 있다. 즉, 도8에서는 모든 입자가 구형이면서 그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9에서는 입자의 형상이 꼭시 구형은 아니고 그 표면이 거친 상태로 머물러 있다.
10,11,12,13,14,15,110,210; 처리장치
20,120,220; 혼합조
30,130,230; 회전축
40,140,240; 교반날개
41; 보스부
42; 링모양 상판
43; 링모양 바닥판
45; 보조날개
46; 경사날개
50; 충돌판
51; 내삽관(內揷管)
52; 테두리부(鍔部)
55; 지지부
56; 지지환
60; 뚜껑
61; 플랜지
191; 투입구
192; 배출구
193,293; 재킷
281; 회전체
282; 개구
283; 프레스헤드

Claims (7)

  1. 세로형의 혼합조와, 상기 혼합조의 조 바닥을 삽입 통과해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복수의 교반날개와,
    상기 혼합조에 고정해서 설치되는 복수의 충돌판을 구비한 분립체의 처리장치로서,
    상기 혼합조의 직경을 d로 했을 때, 상기 교반날개와 상기 충돌판과의 최단거리가 0.1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의 크기는 상기 혼합조의 직경을 d로 했을 때, 폭이 0.05d~0.25d이며, 높이가 0.05d~0.2d임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조가 원통 모양으로서 조 바닥 코너부가 둥글고 매끄럽게 형성되며, 상기 혼합조의 직경을 d로 했을 때, 그 곡률반경이 0.05d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보스부의 경사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의 상부가 링 모양 상판에서 연결되며, 그 링모양 상판과 상기 경사면 사이를,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분립체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교반날개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교반날개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사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KR1020127009945A 2009-10-02 2010-09-27 처리장치 KR101378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0482 2009-10-02
JP2009230482 2009-10-02
PCT/JP2010/067309 WO2011040620A1 (ja) 2009-10-02 2010-09-27 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279A KR20120073279A (ko) 2012-07-04
KR101378068B1 true KR101378068B1 (ko) 2014-03-27

Family

ID=4382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945A KR101378068B1 (ko) 2009-10-02 2010-09-27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75139B2 (ko)
KR (1) KR101378068B1 (ko)
CN (1) CN102574084B (ko)
DE (2) DE112010006106B4 (ko)
WO (1) WO2011040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8383B2 (ja) * 2013-04-05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処理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6108921B2 (ja) * 2013-04-05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処理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6108922B2 (ja) * 2013-04-05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処理装置及びトナーの製造方法
JP6497863B2 (ja) * 2014-08-07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の製造方法
JP6384404B2 (ja) * 2015-06-01 2018-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複合活物質粉体の製造装置、及び、複合活物質粉体の製造方法
CN108722590A (zh) * 2018-06-10 2018-11-02 淮北卓颂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简易型建筑废料破碎装置
CN108816393A (zh) * 2018-06-10 2018-11-16 淮北卓颂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废料破碎装置
CN108724458A (zh) * 2018-06-10 2018-11-02 淮北卓颂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破碎建筑废料的功能单元
CN113117564A (zh) * 2021-05-15 2021-07-16 龙从新 一种环氧树脂防粘搅拌设备
CN115960580B (zh) * 2023-01-19 2023-09-19 深圳市东信硅材料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阻燃密封胶及其制备工艺
CN116272811A (zh) * 2023-04-21 2023-06-23 英德市新联化工有限公司 一种水性丙烯酸树脂乳液合成反应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5368U (ko) * 1974-12-27 1976-07-08
JP2004255348A (ja) * 2003-02-28 2004-09-16 Tsukishima Kikai Co Ltd 粉体の混合方法および混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42451A (de) * 1955-03-17 1959-11-15 Henschel Flugmotorenbau Gmbh Verfahren zum Mischen und Zerkleinern von pulverförmigen und körnigen Stoffen und 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3201095A (en) * 1963-02-27 1965-08-17 Dierks & Soehne Mixer
FR2238528A1 (en) * 1973-07-27 1975-02-21 Vergne Claude Mixer for liquids, solids, or pastes - radial moton of material avoids dead spaces and gives homogeneity rapidly
FR2383700A1 (fr) * 1977-03-18 1978-10-13 Soudure Autogene Francaise Dispositif de granulation de matieres pulverulentes
JPS591692Y2 (ja) * 1981-12-16 1984-01-18 富士産業株式会社 粉の造粒装置
US20030146314A1 (en) * 2002-02-06 2003-08-07 Mcnally Eugene Moveable granulating container
JP2005015910A (ja) 2003-06-03 2005-01-20 Hosokawa Funtai Gijutsu Kenkyusho:Kk 複合粒子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複合粒子
JP4669253B2 (ja) 2004-02-23 2011-04-13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及び粉体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5368U (ko) * 1974-12-27 1976-07-08
JP2004255348A (ja) * 2003-02-28 2004-09-16 Tsukishima Kikai Co Ltd 粉体の混合方法および混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4084A (zh) 2012-07-11
WO2011040620A1 (ja) 2011-04-07
DE112010003894T5 (de) 2012-11-22
DE112010006106A5 (de) 2014-09-11
KR20120073279A (ko) 2012-07-04
JP5575139B2 (ja) 2014-08-20
JPWO2011040620A1 (ja) 2013-02-28
DE112010003894B4 (de) 2018-02-01
DE112010006106B4 (de) 2017-12-14
CN102574084B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068B1 (ko) 처리장치
US10369535B2 (en) Rapid stirring machine
AU2007216423B2 (en) Method and mixer apparatus for mixing gas into slurry in a closed reactor
CN1094900C (zh) 制备沉淀碳酸钙的设备和方法
JP6170339B2 (ja) 低剪断型同芯2軸ミキサー及びそれを用いた水系負極ペーストの製造方法
JP2003071262A (ja) 分散装置
JP2010046646A (ja) 媒体攪拌型粉体処理装置
US10865459B2 (en) Reactor for gas-liquid mass transfer
JP2004255345A (ja) 配合物の分散方法及び分散装置
CN104209034A (zh) 一种金属软磁粉末颗粒的分散搅拌装置
WO2017217093A1 (ja) メディア循環型粉砕機
CN202315896U (zh) 一种生产化学清洗剂的反应釜
JP3640994B2 (ja) 高速撹拌型分散機
CN205495438U (zh) 一种涂料搅拌分散罐
JP2014188384A (ja) 粘性流動物の撹拌方法及びその装置
CN203842513U (zh) 一种新型电气搅拌混合装置
CN208599519U (zh) 聚酰胺酸溶液用搅拌桨
CN113491995B (zh) 搅拌桨及具有其的搅拌反应器
CN209663199U (zh) 一种分散装置
CN216419196U (zh) 一种快速匀浆装置
KR200459067Y1 (ko) 교반기의 배플구조
CN206139163U (zh) 化工设备反应釜
EP1372861B1 (en) Flotation machine
JP2009112939A (ja) 粒子微細化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