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48B1 - 축전지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48B1
KR101377048B1 KR1020120129474A KR20120129474A KR101377048B1 KR 101377048 B1 KR101377048 B1 KR 101377048B1 KR 1020120129474 A KR1020120129474 A KR 1020120129474A KR 20120129474 A KR20120129474 A KR 20120129474A KR 101377048 B1 KR101377048 B1 KR 10137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olt
tightening
connection termin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Priority to KR102012012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3Bolt, screw or threaded ferrule parallel to the battery po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전지와 커넥션 터미널을 연결시키기 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삽입부(10)와; 삽입부(10)의 양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탄성편(21)과, 탄성편(21)에 결합된 조임볼트(23)에 체결되어 탄성편(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너트(24) 및 탄성편(21)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조임볼트(23)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탄성편(21)의 수평 방향 움직임으로 변화시키는 조임부재(25)로 이루어진 조임부(20)와; 삽입부(10)의 개구된 부분의 반대쪽에 연결되며 커넥션 터미널(40)이 연결되는 전원인출부(30);를 포함하고, 조임부재(25)는 중앙에 조임볼트(23)가 삽입되는 관통홀(25')이 형성된 상판(25a)과, 상판(25a)의 양측이 각각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25b)과, 탄성편(21)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측판(25b)의 하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탄성편(21)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25d)가 각각 형성된 수용홈(2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접속단자{A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전지와 커넥션 터미널을 연결시키기 위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측방향이 아닌 상측 방향에서 조임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 작업이 용이하고 주변 장치와의 간섭을 피해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전기장치가 설치되므로, 이들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엔진의 구동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알터네이터(Alternator)가 설치되어, 각종 전기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엔진이 일정 회전수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소비 전력에 비해 생산되는 전기의 양이 더 많아지게 되고, 엔진이 정지 상태에 있거나 저속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소비 전력이 생산되는 전기의 양보다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에는 남아도는 전기는 저장하고 부족한 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축전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축전지에는 (+) 단자와 (-) 단자라는 원통형의 포스트 단자 2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진동에 관계없이 이들 포스트 단자로부터 안전하게 전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접속단자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체결공이 구비된 전원인출부(120)와, 상기 전원인출부(120)의 중앙에 구비된 체결공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연결볼트(130)와, 상기 전원인출부(1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축전지(도시 생략)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140)와, 상기 삽입부(140)의 일측에 상/하 대칭식으로 형성되는 조임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임부(150)는, 전/후방에 조임공을 구비하여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로 상기 삽입부(140)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151)와 조임너트(152)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부(140)의 과다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공형의 고정통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100)는, 직렬 또는 병렬식으로 연결되어 축전지로부터 자동차내에 전력을 공급할수 있도록 된 커넥션 와이어(도시 생략)가 설치되는 커넥션 터미널(1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넥션 터미널(170)은 일측에 상기 연결볼트(130)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됨으로써 고정너트(131)가 와셔(132)를 개재하여 상기 터미널(17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연결볼트(130)에 체결되어 상기 전원인출부(120)에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조임볼트가 축전지의 측방향에 위치되어 작업자들이 체결작업을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동차 내의 다른 부품들로 인하여 조임공구를 사용할 때 간섭이 발생함으로써 작업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간섭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조임볼트를 경사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조임공구를 이용한 조임너트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후술하는 특허문헌에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들은 대부분 체결이 완료된 조임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임볼트의 상단 가장자리를 훼손하도록 하고 있어 조임볼트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42760 Y1 KR 10-0821591 B1 KR 10-0821595 B1 KR 10-1188637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 방향에서 조임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임공구를 이용한 조임너트의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조임볼트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조임부재가 조임너트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탄성편의 수평 방향 움직임으로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측 탄성편에 조임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임너트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임너트의 고정을 위하여 조임볼트를 훼손시킬 필요가 없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대한 체결력이 향상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부와 탄성편 및 전원인출부를 판재로 형성하여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삽입부와 탄성편 및 전원인출부를 단조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삽입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에 결합된 조임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너트 및 상기 탄성편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탄성편의 수평 방향 움직임으로 변화시키는 조임부재로 이루어진 조임부와; 상기 삽입부의 개구된 부분의 반대쪽에 연결되며 커넥션 터미널이 연결되는 전원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는, 중앙에 상기 조임볼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이 각각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탄성편의 상단이 수용되도록 상기 측판의 하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탄성편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가 각각 형성된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에 비해 더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탄성편에 상기 각각 반원형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조임볼트는 상기 탄성편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 형상의 헤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조임너트는 내측면에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는 그 내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와 탄성편 및 전원인출부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와 전원인출부를 연결하는 목 부위가 상향 경사지게 벤딩된 후 다시 수평으로 벤딩되는 Z 벤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판부와, 상기 내측 수직부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의 경사부에 접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 접촉되는 외측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하향 절곡된 후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임볼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그 끝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의 측판을 감싸는 이탈방지 스토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전원인출부는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 및 상기 회전방지편의 중간 부분에서 연결볼트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볼트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전원인출부는 상기 회전방지편의 외측 저면을 가압하여 형성되는 비트 홀 및 상기 비트 홀에 대응하여 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넥션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돌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와 탄성편 및 전원인출부는 단조 구조로 이루어져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면 및 상면에 상기 조임볼트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조임볼트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ㅜ' 형상의 볼트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의 외측 경사면에 상기 조임부재의 경사부 저면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전원인출부에 사각 판재 형상의 헤드를 구비한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볼트의 헤드 일부가 안착되도록 그 저면에 일측이 개구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전원인출부와의 연결부 상측 일부 구간이 제거되어 상기 커넥션 터미널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안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조임너트를 조임볼트에 체결하면 조임너트의 하강에 따라 조임부재가 하강하면서 삽입부의 절개된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탄성편을 모아줌으로써 삽입부의 직경을 감소시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를 감싸게 되므로 상측에서 조임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이 최소화되고 작업의 편의성이 좋아짐은 물론 자동차의 내부 장치들에 대한 레이 아웃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탄성편의 하측에서 조임볼트의 헤드부를 고정하여 조임볼트가 회전하지 않게 하므로, 자동차의 진동에 따라 조임볼트가 회전되어 조임너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조임너트의 내측면에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됨에 따라 조임너트의 풀림 방지를 위하여 조임볼트를 훼손하지 않게 되어 조임볼트의 부식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삽입부의 내측면에 조임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삽입부의 포스트 단자에 대한 홀딩력과 고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삽입부와 탄성편 및 전원인출부가 하나의 판재로 제작됨에 따라 재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삽입부와 전원인출부를 연결하는 목 부위가 Z 벤딩 구조를 가짐에 따라 가공 경화에 따른 경도 상승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내측 수직부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부의 끝단에 가이드부의 끝단에서 절곡 형성된 외측 수직부가 지지되므로 경사진 가이드부의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지지부가 하향 절곡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조임볼트의 헤드부를 고정하게 되므로, 조임볼트의 회전 및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가이드부의 끝단부에 구비된 이탈방지 스토퍼가 조임부재의 측판을 감싸게 되므로 조임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전원인출부에 형성된 회전방지편 및 하부 고정편에 의해 연결볼트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자동차의 진동에 따른 크랙 발생이 방지되고 전기 저항값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전원인출부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가 커넥션 터미널의 위치결정홈에 삽입되어 커넥션 터미널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므로 커넥션 터미널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삽입부와 탄성편 및 전원인출부가 단조로 형성됨에 따라 가공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품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탄성편의 저면에 형성된 볼트 고정홈에 의해 조임볼트의 헤드부가 고정됨에 따라 조임볼트의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조임부재가 탄성편의 외측 경사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조임부재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조임 위치의 조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연결볼트의 헤드가 전원인출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어 자동차의 진동에 따른 크랙 발생이 방지되고 전기 저항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따르면, 삽입부에 형성된 안내홈에 커넥션 터미널의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커넥션 터미널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의 정면도.
도 5는 발명의 요부 구성인 조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발명의 요부 구성인 탄성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조임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전원인출부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저면도.
도 12는 도 9의 요부 구성인 탄성편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요부 구성인 조임부의 측면도.
도 14는 도 9의 요부 구성인 전원인출부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2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삽입부(10)와; 상기 삽입부(10)의 양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탄성편(21)과, 상기 탄성편(21)에 결합된 조임볼트(23)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편(2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너트(24) 및 상기 탄성편(21)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23)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탄성편(21)의 수평 방향 움직임으로 변화시키는 조임부재(25)로 이루어진 조임부(20)와; 상기 삽입부(10)의 개구된 부분의 반대쪽에 연결되며 커넥션 터미널(40)이 연결되는 전원인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10)와 탄성편(21) 및 전원인출부(30)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임부재(25)는, 중앙에 상기 조임볼트(23)가 삽입되는 관통홀(25')이 형성된 상판(25a)과, 상기 상판(25a)의 양측이 각각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25b)과, 상기 탄성편(21)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측판(25b)의 하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탄성편(21)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25d)가 각각 형성된 수용홈(25c)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측판(25b)은 상기 상판(25a)에 비해 더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탄성편(21)에 상기 각각 반원형의 볼트홀(21')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23)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조임볼트(23)는 상기 탄성편(21)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 형상의 헤드부(23')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탄성편(21)의 하측에서 상기 조임볼트(23)의 헤드부(23)를 고정되어 조임볼트(23)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볼트(23)에 전달된 자동차의 진동으로 인해 조임너트(24)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임너트(24)로는 내측면에 실리콘 코팅층(24')이 형성된 실리콘 너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실리콘 너트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조임너트(24)가 상기 조임볼트(23)에 체결된 후 잘 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24)의 풀리지 않도록 상기 조임볼트(23)를 훼손할 필요가 없어짐은 물론 조임볼트(23)가 부식되지 않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삽입부(10)는 그 내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임돌기(1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대한 상기 삽입부(10)의 회전 홀딩력과 고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0)와 전원인출부(30)를 연결하는 목 부위(15)는 상기 삽입부(10)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향 경사지게 벤딩된 후 다시 수평으로 벤딩되되어 상기 전원인출부(30)에 연결되는 Z 벤딩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목 부위(15)가 Z 벤딩 구조를 갖도록 하면, 가공 경화에 따른 강도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편(21)은 상기 삽입부(10)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부(21a)와, 상기 내측 수직부(21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판부(21b)와, 상기 내측 수직부(21a)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21c)와, 상기 상판부(21b)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25)의 경사부(25d)에 접하는 가이드부(21d)와, 상기 가이드부(21d)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21c)의 끝단에 접촉되는 외측 수직부(21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내측 수직부(21a)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지지부(21c)의 끝단에 가이드부(21d)의 끝단에서 절곡 형성된 외측 수직부(21e)가 접촉되어 지지하게 되므로, 경사진 가이드부(21d)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부(21d)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 상기 지지부(21c)는 하향 절곡된 후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임볼트(23)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편(21f)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21d)는 그 끝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25)의 측판(25b)을 감싸는 이탈방지 스토퍼(21g)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탈 방지편(21f)가 조임볼트(23)의 헤드부(23')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조임볼트(23)가 회전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되고, 상기 이탈방지 스토퍼(21g)가 조임부재(25)의 측판을 감싸 움직이지 않게 하여 조임부재(25)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전원인출부(30)는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볼트(35)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31) 및 상기 회전방지편(31)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연결볼트(35)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볼트(35)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편(32)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연결볼트(35)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볼트(35)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진동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 저항값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편(31)의 외측 저면을 가압하여 형성되는 비트 홀(34) 및 상기 비트 홀(34)에 대응하여 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넥션 터미널(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돌기(33)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돌기(33)는 커넥션 터미널(40)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넥션 터미널(4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조임너트를 상측 방향에서 체결하게 되어 조임공구를 이용한 체결 작업시 자동차의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측 방향에서 조임너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삽입부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대한 체결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주요 구성이 판재로 형성된 축전지용 접속단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구성을 단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단조 방식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도 9 내지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삽입부(10)와; 상기 삽입부(10)의 양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탄성편(22)과, 상기 탄성편(22)에 결합된 조임볼트(23)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편(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너트(24) 및 상기 탄성편(22)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23)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탄성편(22)의 수평 방향 움직임으로 변화시키는 조임부재(25)로 이루어진 조임부(20)와; 상기 삽입부(10)의 개구된 부분의 반대쪽에 연결되며 커넥션 터미널(40)이 연결되는 전원인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10)와 탄성편(22) 및 전원인출부(30)가 일체로 단조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22)은 상기 삽입부(10)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면(22a) 및 이에 이어지는 상면(22b)에 상기 조임볼트(23)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볼트공(22')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22a)에 이어지는 저면(22c)에는 '+'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조임볼트(23)의 헤드부(23')의 절반이 안착되는 'ㅜ' 형상의 볼트 고정홈(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한 쌍의 탄성편(22)에 각각 형성된 볼트 고정홈(22")에 '+' 형상의 헤드부(23')가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볼트(23)에 자동차의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조임볼트(23)는 회전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22)의 외측 경사면(22d)에는 상기 조임부재(25)의 경사부(25d) 저면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22e)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임부재(25)는 상기 가이드 홈(22e)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조임부재(25)의 이동 경로가 고정됨에 따라 조임부재(25)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 상기 조임부재(25)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조임 위치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전원인출부(30)에 사각 판재 형상의 헤드(35')를 구비한 연결볼트(35)가 삽입되는 구멍(3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볼트(35)의 헤드(35') 일부가 안착되도록 그 저면에 일측이 개구된 안착홈(3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연결볼트(35)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연결볼트(35)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진동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 저항값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안착홈(37)은 단조를 통해 상기 전원인출부(3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정이 수행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35)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톱니 형태의 걸림돌기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연결볼트(35)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전원인출부(30)와의 연결부 상측 일부 구간이 제거되어 상기 커넥션 터미널(4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안내홈(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안내홈(12)에 상기 커넥션 터미널(40)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넥션 터미널(4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10)의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축전지용 접속단자는 조임볼트에 체결된 조임너트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임부재가 탄성편의 외측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부를 이용하여 탄성편을 안쪽으로 모아줌으로써 삽입부의 직경을 감소시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임너트를 상측 방향에서 체결함에 따라 조임공구를 이용한 체결 작업시 자동차의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삽입부
11...조임돌기
12...안내홈
15...목 부위
20...조임부
21...탄성편
21'...볼트공
21a...내측 수직부
21b...상판부
21c...지지부
21d...경사부
21e...외측 수직부
21f...이탈 방지편
21g...이탈방지 스토퍼
22...탄성편
22'...볼트공
22"...볼트 고정홈
22a...내측면
22b...상면
22c...저면
22d...외측 경사면
22e...가이드 홈
23...조임볼트
23'...헤드부
24...조임너트
24'...실리콘 코팅층
25...조임부재
25'...관통홀
25a...상판
25b...측판
25c...수용홈
25d...경사부
30...전원인출부
31...회전방지편
32...하부 고정편
33...위치결정돌기
34...비트 홀
35...연결볼트
35'...헤드
36...구멍
37...안착홈
40...커넥션 터미널

Claims (17)

  1.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삽입부(10)와;
    상기 삽입부(10)의 양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탄성편(21)(22)과, 상기 탄성편(21)(22)에 결합된 조임볼트(23)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편(21)(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너트(24) 및 상기 탄성편(21)(22)의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조임볼트(23)의 수직방향 움직임을 탄성편(21)(22)의 수평 방향 움직임으로 변화시키는 조임부재(25)로 이루어진 조임부(20)와;
    상기 삽입부(10)의 개구된 부분의 반대쪽에 연결되며 커넥션 터미널(40)이 연결되는 전원인출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25)는, 중앙에 상기 조임볼트(23)가 삽입되는 관통홀(25')이 형성된 상판(25a)과, 상기 상판(25a)의 양측이 각각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판(25b)과, 상기 탄성편(21)(22)의 상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측판(25b)의 하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탄성편(21)(22)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부(25d)가 각각 형성된 수용홈(2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25b)은 상기 상판(25a)에 비해 더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편(21)(22)에 상기 각각 반원형의 볼트홀(21')(22')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23)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조임볼트(23)는 상기 탄성편(21)(22)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 형상의 헤드부(2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24)는 내측면에 실리콘 코팅층(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는 그 내측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조임돌기(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와 탄성편(21) 및 전원인출부(30)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와 전원인출부(30)를 연결하는 목 부위(15)가 상향 경사지게 벤딩된 후 다시 수평으로 벤딩되는 Z 벤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1)은 상기 삽입부(10)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부(21a)와, 상기 내측 수직부(21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판부(21b)와, 상기 내측 수직부(21a)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21c)와, 상기 상판부(21b)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25)의 경사부(25d)에 접하는 가이드부(21d)와, 상기 가이드부(21d)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21c)의 끝단에 접촉되는 외측 수직부(2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c)는 하향 절곡된 후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조임볼트(23)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편(21f)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1d)는 그 끝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상기 조임부재(25)의 측판(25b)을 감싸는 이탈방지 스토퍼(21g)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출부(30)는 폭 방향 양측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결볼트(35)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편(31) 및 상기 회전방지편(31)의 중간 부분에서 연결볼트(35)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볼트(35)를 지지하는 하부 고정편(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축전지용 접속단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출부(30)는 상기 회전방지편(31)의 외측 저면을 가압하여 형성되는 비트 홀(34) 및 상기 비트 홀(34)에 대응하여 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넥션 터미널(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결정돌기(3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와 탄성편(22) 및 전원인출부(30)는 단조 구조로 이루어져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2)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면(22a) 및 상면(22b)에 상기 조임볼트(23)가 삽입되는 반원형의 볼트공(22')이 형성되고, 저면(22c)에 상기 조임볼트(23)의 헤드부(23')가 안착되는 'ㅜ' 형상의 볼트 고정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축전지용 접속단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2)의 외측 경사면(22d)에 상기 조임부재(25)의 경사부(25d) 저면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22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인출부(30)에 사각 판재 형상의 헤드(35')를 구비한 연결볼트(35)가 삽입되는 구멍(3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볼트(35)의 헤드(35') 일부가 안착되도록 그 저면에 일측이 개구된 안착홈(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는 상기 전원인출부(30)와의 연결부 상측 일부 구간이 제거되어 상기 커넥션 터미널(4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안내홈(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20120129474A 2012-11-15 2012-11-15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377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74A KR101377048B1 (ko) 2012-11-15 2012-11-15 축전지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74A KR101377048B1 (ko) 2012-11-15 2012-11-15 축전지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048B1 true KR101377048B1 (ko) 2014-03-25

Family

ID=5064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474A KR101377048B1 (ko) 2012-11-15 2012-11-15 축전지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0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849B1 (ko) * 2016-03-08 2017-08-2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769850B1 (ko) * 2016-03-08 2017-08-30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791085B1 (ko) * 2015-10-22 2017-10-27 유장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60Y1 (ko) 2007-09-05 2008-12-05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60Y1 (ko) 2007-09-05 2008-12-05 김환창 축전지용 접속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085B1 (ko) * 2015-10-22 2017-10-27 유장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1769849B1 (ko) * 2016-03-08 2017-08-2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769850B1 (ko) * 2016-03-08 2017-08-30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US9893440B2 (en) 2016-03-08 2018-02-13 Chang Hwan Precision Terminal Co., Ltd. Vertical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960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377048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42760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398938B1 (ko) 단조 경사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CN103043174B (zh) 拨链器导向装置
KR101533635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EP2942533B1 (en) Battery sensor clamp assembly
JP5527550B2 (ja) 車両用バッテリの固定構造
KR101413083B1 (ko) 단조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JP6712425B2 (ja) バッテリー用アース回路
KR101769849B1 (ko)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434966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5692556B2 (ja) 車両用バッテリの固定構造
JP5692555B2 (ja) 車両用バッテリの固定構造
CN211709341U (zh) 一种用于机械手臂加工的夹持工具
KR101758129B1 (ko) 더블 와셔를 이용한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769850B1 (ko) 수직형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2190178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JP5447124B2 (ja) 導電板の取付方法およびその取付装置
JP2007265642A (ja) 端子構造
JP5675750B2 (ja) バッテリー端子
JP3871205B2 (ja) 点火コイル集合装置
JP7309591B2 (ja) 防振装置
KR100692714B1 (ko) 차량용 시스템 렌치 아답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