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085B1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085B1
KR101791085B1 KR1020150147388A KR20150147388A KR101791085B1 KR 101791085 B1 KR101791085 B1 KR 101791085B1 KR 1020150147388 A KR1020150147388 A KR 1020150147388A KR 20150147388 A KR20150147388 A KR 20150147388A KR 101791085 B1 KR101791085 B1 KR 10179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y
battery terminal
termi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017A (ko
Inventor
유장호
유다은
Original Assignee
유장호
유다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호, 유다은 filed Critical 유장호
Priority to KR102015014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0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차량 배터리의 단자에 접속되는 배터리단자 접속부; 증설단자; 상기 배터리단자 접속부와 증설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한 몸을 이루는 원적외선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BETTERY TERMINAL FOR VI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기계통회로 상의 전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배터리, 발전기, 각종 전장부하들이 폐회로를 이루는 전기계통회로가 마련된다.
차량은 먼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스타트모터가 시동되면서 엔진이 구동하게 되고, 이후에는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발전기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차량의 각종 전장부하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기의 일부는 배터리의 충전에도 이용된다.
그런데 차량의 운행시에는 각종 전장부하들이 온/오프 되거나, 그 사용상태가 달라지면서 전장부하들의 부하변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차량 전기계통회로 상에서의 전류는 수시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불안정한 전류는 전장부하들의 작동성능을 저하시켜 연비를 포함한 차량의 전반적인 효율감소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류 및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별도의 안정기를 채용한 차량들이 늘어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2917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의 전기계통회로 상의 전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차량에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구동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차량의 구동효율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과 교체가 용이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배터리의 단자에 접속되는 배터리단자 접속부; 증설단자; 상기 배터리단자 접속부와 증설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한 몸을 이루는 원적외선 방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를 덮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원적외선을 차폐하도록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와 절연부 사이에 마련된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입자 형태의 원적외선방사물질이 상기 연결부 표면에 코팅된 원적외선 방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베이스층 일면에 원적외선 방사층이 마련된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재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이 상기 연결부와 대면한 상태로 접하도록 상기 연결부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연결부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표면에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커버를 통해 폐쇄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중공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베이스층 일면에 원적외선 방사층이 마련된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재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이 상기 중공부 내벽과 대면하도록 상기 중공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호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연결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중공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배터리단자 접속부 사이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원적외선 방사부에서 연결부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연결부 상의 전자의 운동을 활성화시키고, 이에 따라 연결부를 통과하는 전류의 리플이 제거되고 노이즈가 저감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전기계통회로 상의 전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기존 차량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대체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차량에 새로운 구성이 추가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전기계통회로 상의 전류 개선에 기여함으로써 연비를 포함한 차량의 구동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 기존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과 대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본닛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바로 기존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차량의 전기계통회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에 결합된 차량의 엔진실 쪽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평면도로, 연결부와 배터리단자 접속부 사이의 회전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만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일부를 단면처리 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채용되기 전후 상태의 차량에 있어서 전기계통회로 상의 전류 파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채용되기 전후 상태의 차량에 있어서 배출가스 성분을 비교 분석한 분석표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채용되기 전후 상태의 있어서 연비를 비교 분석한 분석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일반 자동차,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배터리를 갖는 모든 차동차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연료의 연소 작용을 통해 구동하는 일반 자동차의 배터리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차량용 전기계통회로(1)에 채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1에는 과 같이 차량용 전기계통회로(1)는 배터리(2)와, 발전기(3)와, 각종 전장부하(4)들이 구성하는 폐회로를 가리킨다.
차량은 배터리(2)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스타트모터가 시동되면서 엔진이 구동하게 되고, 이후에는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발전기(3)에서 전기를 생산하여 차량의 각종 전장부하(4)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발전기(3)로는 교류발전기가 채용될 수 있다. 교류발전기를 통해서는 교류전기가 생산되므로, 발전기(3)는 생산된 교류전기를 전파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정류수단은 다이오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기(3)를 통해 생성된 교류전기는 정류수단을 통해 직류로 정류된 상태에서 배터리(2)나 전장부하(4) 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장부하(4)들은 ECU를 비롯하여 오디오, 공기조화기, 히터, 광원, 연료분사기, 점화기 등 차량의 각종 전기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발전기(3)에서 생산된 전기의 일부는 배터리(2)의 충전에도 이용된다. 발전기(3)의 전기는 배전판(7)을 통해 각각의 전장부하(4)들로 분배될 수 있다.
차량의 전기계통회로(1) 상의 배선은 발전기(3), 배터리(2), 전장부하(4)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전선(5)과, 각 구성들의 접지를 위해 자체에 연결되는 접지선(6)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운행시에는 각종 전장부하(4)들이 온/오프 되거나, 그 사용상태가 달라지면서 전장부하(4)들의 부하변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차량의 전기계통회로(1) 상에서의 전류는 수시로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불안정한 전류는 전장부하(4)들의 작동성능을 저하시켜 연비를 포함한 차량의 전반적인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는데, 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차량의 전기계통회로(1) 상의 전류를 개선하여 차량의 효율향상에 기여하도록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배터리(2)의 단자(2a,2b)에 접속되는 배터리단자 접속부(20)와, 증설단자(30)와, 배터리단자 접속부(10)와 증설단자(3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0)와, 연결부(40)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연결부(40)와 한 몸을 이루는 원적외선 방사부(50)를 포함한다.
연결부(40)는 도체로 마련된 판체(40a)로 구성되고, 증설단자(30)는 연결부(40) 일단 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부(50)는 베이스층(52) 일면에 원적외선 방사층(53)이 마련된 원적외선 방사부재(51)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부재(51)는 원적외선 방사층(53)이 연결부(40)와 대면한 상태로 접하도록 연결부(40) 중도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층(53)은 베이스층(52) 일면에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도포 또는 분사하여 고착시키거나,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베이스층(52) 형태를 갖도록 직접 성형하여 베이스층(52) 일면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베이스층(52)에 일체화 될 수 있다.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원적외선 방사부(50)를 덮는 절연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절연부(60)는 원적외선 방사부(50)를 연결부(40)에 고정시키는 절연테이프(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부재(50)가 원적외선 방사층(53)이 연결부(40) 표면에 대면한 상태에서 외측의 절연부(60)를 통해 연결부(40)에 고정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의 구조에서는 원적외선 방사층(53)이 접착제 등을 통하지 않고 단순히 연결부(40)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원적외선을 이물에 의한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 연결부(40)로 원활하게 방사할 수 있게 된다.
원적외선 방사부재(51)를 연결부(40)의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연결부(40) 표면에는 수용홈(4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홈(41)에 수용된 원적외선 방사부재(51)는 수용홈(41) 주변의 연결부(40)를 감싸는 절연테이프(61)를 통해 수용홈(41)에 수용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연결부(40)의 한쪽 면이나 양쪽면, 또는 연결부(40)의 일부나 전체 표면을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원적외산 방사부(50)는 연결부(40) 중도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연결부(4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수용홈(41)이 마련될 수 있고, 연결부(40)의 상면과 하면의 수용홈(41)에 수용된 한 쌍의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연결부(40) 중도 둘레를 감싸는 절연테이프(61)를 통해 함께 연결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단자 접속부(20)는 배터리(2)의 양 단자(2a,2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일측이 개구(21)를 통해 개방된 고리모양의 클램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21)는 조임나사(22)에 의해 벌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자(2a,2b) 둘레에 끼워진 배터리단자 접속부(20)는 조임나사(22)에 의해 조여진 상태로 단자(2a,2b)에 고정되고, 조임나사(22)를 풀어 개구(21)가 벌어지도록 함에 따라 단자(2a,2b)로부터 바로 빠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단자 접속부(20)는 회전결합부(70)를 통해 연결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결합부(70)는 배터리단자 접속부(20)와 연결부(4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회전핀(71)을 포함할 수 있다.
증설단자(30)는 배터리의 단자(2a,2b)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설단자(30)에는 배터리(2)에 연결되는 접지선(6b)이나, 발전기(3) 쪽과 연결되는 배선의 연결단자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단자 접속부(20)와 증설단자(30)는 이들이 접속되는 배터리의 단자(2a,2b)나 연결단자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에서 점선화살표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며, 실선화살표는 원적외선 방사부(50)의 원적외선 방사층(53)으로부터 연결부(40)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연결부(40)와 원적외선 방사부(50)가 한 몸을 이루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원적외선 방사부(50)로부터 연결부(40)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방사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부(40)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방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원적외선이라 함은 2.5 ~ 1000 마이크로미터까지의 파장을 가지는 전자파의 일종으로써, 산업분야에서는 2.5 ~ 30 마이크로미터 파장 영역의 원적외선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공명흡수작용과 방사 및 심달력의 물성을 가지고 있어 물질 내의 분자와 공명흡수작용을 일으킴으로써, 물질에 대한 높은 침투력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물질을 구성하는 분사는 특유한 변각진동, 회전진동 및 신축 진동 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분자구조의 특정 값으로 결정되는 분자의 진동수는 통상 2.5 ~30 마이크로미터의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원적외선의 방사에너지의 진동수와 물질 자체의 분자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게 되면, 물질 내의 분자는 원적외선의 방사에너지를 흡수하여 보다 활발하게 진동하게 되는 공명흡수작용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운동에너지의 일부가 활성화에너지로 변화되어 분자 운동이 활성화되는 것이다.
전류는 전자가 도체를 통해서 흐르는 율(rate)이므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에서 원적외선 방사부(5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연결부(40) 내 자유전자의 운동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전기계통회로(1) 상의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연결부(40)를 통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해지도록 하여 전력 손실을 줄이고 부하변동을 보상하여 전류의 흐름을 안정된 상태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배터리(2)의 양 쪽 단자(2a,2b) 중 어느 단자(2a,2b) 쪽으로 설치되더라도 폐회로를 이루는 전기계통회로(1) 상에 전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40)는 증설단자(30) 및 배터리단자 접속부(20)와 함께 구리, 알루미늄, 주석, 은, 금 등 도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일라이트, 견운모, 토르말린, 모나자이트, 모데나이트, 귀양석, 맥반석, 황토, 숯, 고령토, 백토, 의왕석 등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기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 터미널을 대체하는 형태로 차량에 채용되므로, 별도의 안정기와 같은 구성이 차량에 추가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차량의 전기계통회로(1) 상의 전류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배터리(2)에 연결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엔진실(a)에 위치하는 배터리(2)의 설치 특성에 의해 본닛 개방시 차량 외부로 바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차량의 본닛을 열고 기존의 배터리 터미널을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로 교체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차량 전기계통회로(1) 상의 전류의 흐름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때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배선을 풀고 배터리(2)에 연결되어 있던 기존의 배터리 터미널을 배터리(2)로부터 분리한 후,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을 분리된 기존 배터리 터미널 자리에 장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의 교체작업을 좁은 엔진실(a)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부(40)와 배터리단자 접속부(20) 사이는 전술한 회전결합부(7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엔진실(a)에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을 기존 배터리 터미널과 교체할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단자 접속부(20)를 배터리 단자(2b)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결합부(70)를 통해 연결부(40)를 회전시켜 증설단자(3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엔진실(a) 내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의 교체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이 장착된 차량이 구동하게 되면,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의 원적외선 방사부(5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연결부(40) 내의 자유전자의 운동이 활성화되어 연결부(40)를 통한 전류의 흐름이 개선되면서 차량의 전기계통회로(1) 상의 전류가 안정화 된다.
도 12와 도 13은 차량의 구동시 전기계통회로 상에서 배터리로 입력되는 전류의 파형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중 도 12는 기존 배터리 터미널을 장착했을 때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기존 배터리 터미널을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로 대체한 상태에서 측정한 전류 파형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배터리단자 접속부(20)가 배터리(2)의 마이너스 쪽 단자(2b)에 연결되고, 증설단자(30)에 배터리 접지선(6b)이 연결된 상태이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전류 파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기존에 비해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을 장착했을 때가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저감된 안정된 상태의 전류의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계통회로(1) 상의 전류 흐름이 개선되면, 개별 전장부하(4)에서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저감됨은 물론 연료 분사기 및 점화기와 같이 엔진구동과 관련된 전장부하(4)들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되면서 엔진 효율 및 차량 연비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4는 차량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검출량을 나타낸 것으로, 배터리 터미널을 기존의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였을 때와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로 대체했을 때를 비교한 것이다. 참고로 배출가스 시험은 1999년식 EF소나타 2000cc를 이용하여 온도조건을 달리해 가면서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이산화탄소의 량은 전반적으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을 사용했을 때가 그 전의 기존 상태에 비해 현저하게 저감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이 설치되었을 때, 이전 상태보다 연료의 연소효율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차량의 연비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 15와 같이, 차량 연비의 경우에도 배터리 터미널을 기존의 일반적인 것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로 대체했을 때가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차량 연비 시험은 1999년식 EF소나타 2000cc를 이용하여 온도 조건을 달리해 가면서 3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이 적용된 차량의 연비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 장착 이후 1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1)에서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연결부(40) 표면에 코팅시킨 원적외선 방사층(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층(54)은 입자화시킨 원적외선 방사물질 미분체를 경화제를 섞어 연결부(40) 표면으로 분사 또는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방식을 통해 연결부(40) 표면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층(54) 외측은 절연부(60)로 덮어 마감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1)은 연결부(40) 표면에 별도의 수용홈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원적외선 방사부(50)를 연결부(40) 표면에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2)을 도시한 도 7과 같이, 제3 실시 예에서 연결부(40) 표면에는 원적외선 방사부(50)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42)이 형성되고, 수용홈(42)은 커버(70)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2)의 구조에서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원적외선 방사층(53)이 수용홈(42) 바닥면에 대면하도록 수용홈(42)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홈(42)을 폐쇄하는 커버(70)를 통해 연결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수용홈(42) 내측으로 진입되는 커버(70)의 진입부 외주에는 수나사(71)가 가공되고, 수용홈(42)의 개구 쪽 내주에는 수나사(71)와 나사 체결되도록 암나사(42a)가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70)는 나사체결방식을 통해 수용홈(42)을 폐쇄하도록 연결부(40)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70)는 절연재질로 마련되어 절연부(6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커버(70)의 외면에는 커버(70)의 체결과정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의 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날삽입홈(7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 예에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3)은 원적외선의 차폐가 가능한 재질을 통해 원적외선 방사부(50) 외측에 마련된 차폐부(8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있다. 차폐부(80)는 절연부(60)를 덮기 전 단계에서 원적외선 방사부(50) 외면에 피복되는 형태로 원적외선 방사부(50)와 한 몸을 이룰 수 있으며, 그 외측이 절연부(60)를 통해 덮여진 상태에서 원적외선 방사부(50)와 절연부(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원적외선의 차폐가 가능한 재질이라 함은 원적외선을 차단하거나, 원적외선의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80)를 구비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3)은 원적외선 방사층(54)으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외부로 누설됨이 없이 연결부(40) 쪽으로 집중시켜 연결부(40)로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방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12)의 경우에도 베이스층(52)을 원적외선의 차폐가 가능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원적외선이 손실 없이 연결부(40) 쪽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 예에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4)에서 연결부(40)는 원통모양의 원통체(40b)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홈(43)은 연결부(40) 중도에 연결부(40) 둘레를 따라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유연한 시트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부재(51)로 마련되어 수용홈(43) 둘레에 슬리브 형태를 이루도록 감길 수 있다. 이 상태의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수용홈(43)을 덮도록 연결부(40) 둘레에 감기는 절연부(60)를 통해 수용홈(43)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절연부(40)는 절연테이프(41)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4)의 구조에서는 원적외선 방사층(53)이 연결부(40) 둘레에 감싸도록 배치되어 원적외선을 연결부(40)에 보다 고르게 방사할 수 있게 된다.
원통체(40b) 일측으로는 제1연장부(40b1)가 연장될 수 있고, 제1연장부(40b1)에는 배터리단자 접속부(20)가 회전결합부(7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체(40b) 타측으로는 증설단자(30)가 형성된 제2연장부(40b2)가 연장될 수 있다.
도면과 달리, 이때도 원적외선 방사부재(51)의 베이스층(52) 외측으로는 차폐부가 유연한 상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 예에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5)은 연결부(40)가 중공부(44)를 구비하고,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중공부(44)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40)는 상호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제1몸체(81)와 제2몸체(82)를 포함하는 원통체(40c)로 마련되고, 중공부(44)는 제1몸체(81)와 제2몸체(82)가 결합된 상태의 연결부(40) 내측에 형성되며, 원적외선 방사부(50)는 제1몸체(81)와 제2몸체(82)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중공부(44)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1몸체(81)와 제2몸체(82)는 연결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몸체(81)의 일측으로는 제1연장부(81a)가 연장될 수 있고, 제1연장부(81a)에는 배터리단자 접속부(20)가 회전결합부(7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82) 타측으로는 증설단자(30)가 형성된 제2연장부(82a)가 연장될 수 있다.
제1몸체(81) 내부에는 제2몸체(82) 쪽으로 개방된 제1공간부(81b)가 형성되고, 제2몸체(82) 내부에는 제1몸체(81) 쪽으로 개방된 제2공간부(82b)가 형성되며, 제1몸체(81)와 제2몸체(82) 사이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공간부(81b)와 제2공간부(82b)는 외부로부터 차단되면서 중공부(4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몸체(81)와 제2몸체(82) 사이의 결합을 위해 제1 및 제2몸체(81,82) 사이에는 결합부(83)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83)는 제1몸체(81)의 단부 외주에 마련된 수나사(81c)와, 수나사(81c)에 나사 체결되도록 제2몸체(82)의 단부 내주에 마련된 암나사(82c)를 포함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부(50)는 베이스층(52) 일면에 원적외선 방사층(53)이 형성된 유연한 시트 형태의 원적외선 방사부재(5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원적외선 방사부재(51)는 제1몸체(81)와 제2몸체(82) 사이를 결합시키기 전에 슬리브 형태가 되도록 말린 상태에서 제1공간부(8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원적외선 방사부재(51)는 원적외선 방사층(53)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감겨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및 제2몸체(81,82) 사이를 결합시키게 되면, 원적외선 방사부재(51)는 원적외선 방사층(53)이 중공부(44) 내벽과 대면하도록 중공부(44)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중공부(44) 둘레의 연결부(40)로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도 연결부(40)로 원적외선이 집중되도록 하는 차폐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차폐부는 원적외선 방사부재(51)의 베이스층(52) 내측에 원적외선 방사부재(51)와 일체화 될 수 있다.
1: 전기계통회로 2: 배터리
3: 발전기 4: 전장부하
5: 연결전선 6: 접지선
10: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20: 배터리단자 접속부
30: 증설단자 40: 연결부
50: 원적외선 방사부 51: 원적외선 방사부재
52: 베이스층 53: 원적외선 방사층
60: 절연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차량 배터리의 단자에 접속되는 배터리단자 접속부; 증설단자; 상기 배터리단자 접속부와 증설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한 몸을 이루는 원적외선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연결부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 표면에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이 마련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커버를 통해 폐쇄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커버를 통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9. 차량 배터리의 단자에 접속되는 배터리단자 접속부; 증설단자; 상기 배터리단자 접속부와 증설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한 몸을 이루는 원적외선 방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중공부에 마련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베이스층 일면에 원적외선 방사층이 마련된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재는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이 상기 중공부 내벽과 대면하도록 상기 중공부 내부에 수용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호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된 상태의 연결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는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중공부 내측에 수용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12. 삭제
KR1020150147388A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1791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388A KR101791085B1 (ko)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388A KR101791085B1 (ko)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017A KR20170047017A (ko) 2017-05-04
KR101791085B1 true KR101791085B1 (ko) 2017-10-27

Family

ID=5874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388A KR101791085B1 (ko) 2015-10-22 2015-10-22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0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88B1 (ko) * 2006-01-23 2007-05-08 주식회사 이피텍 미세 에너지 발생장치
JP2008135193A (ja) * 2006-11-27 2008-06-12 Ecous Inc 電子機器の消費電力低減及び搭載電池の長寿命化、稼動時間延長用のシート
KR101377048B1 (ko) * 2012-11-15 2014-03-25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88B1 (ko) * 2006-01-23 2007-05-08 주식회사 이피텍 미세 에너지 발생장치
JP2008135193A (ja) * 2006-11-27 2008-06-12 Ecous Inc 電子機器の消費電力低減及び搭載電池の長寿命化、稼動時間延長用のシート
KR101377048B1 (ko) * 2012-11-15 2014-03-25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017A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03947D1 (de) Elektrisch betätigbare schliessanordnung für kraftfahrzeug
JP6395095B2 (ja) 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ATE472848T1 (de) Stromwandler mit einstellbarem ausgangskabel
KR101791085B1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WO2015063938A1 (ja) 車両用回転電機
US6796792B1 (en) Electronic gas-lighting device integrated with a terminal board
KR20210006804A (ko) 컨버터
US6582108B1 (en) Light-emitting structure of an exhaust tailpipe of a motor vehicle
US20050173996A1 (en) Perpetual motion energy
KR20200001869U (ko) 배터리용 단자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대용량 배터리
WO2020179245A1 (ja) 外装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791079B1 (ko) 차량용 통전체
US10985632B2 (en) Electrical power system
US20240048029A1 (en) Circuit board and power supply device
US12081002B2 (en) Wire harness
WO2021124843A1 (ja) 端子付電線
FR2858121B1 (fr) Agencement de fixation d'une cosse de connexion a une borne de prise de courant fixee au dispositif redresseur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KR20180138370A (ko) 원적외선 에너지 공급용 어태치먼트 조립체
US20060250035A1 (en) On-vehicle alternator capable of adjustably orienting output cable
KR20120004701U (ko) 도장부스용 원적외선 건조히터
TWI699944B (zh) 用於車用交流電發電機之絕緣輸出總成
US10618478B2 (en) Wire harness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wire harness
JP3198620U (ja) 節電材料
KR20060003989A (ko) 차량용 발전기의 출력단자구조
KR20170052275A (ko) 차량용 통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