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209B1 -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 Google Patents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209B1
KR101373209B1 KR1020110136519A KR20110136519A KR101373209B1 KR 101373209 B1 KR101373209 B1 KR 101373209B1 KR 1020110136519 A KR1020110136519 A KR 1020110136519A KR 20110136519 A KR20110136519 A KR 20110136519A KR 101373209 B1 KR101373209 B1 KR 101373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xed
cylinder
suppor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9012A (ko
Inventor
박광서
남경호
하성철
Original Assignee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넥스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넥스메카 filed Critical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2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9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면치 그라인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글라스가 적재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의 외곽 영역을 접촉지지하며 상기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렬부는, 상기 글라스의 제1방향과 제2방향을 접촉하며 위치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와;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대향되는 제3방향과 제4방향에서 상기 글라스를 탄성적으로 접촉가압하며 상기 글라스를 상기 고정실린더부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정렬시키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ALIGN APPARATUS FOR GLASS GRINDER}
본 발명은 얼라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글라스 면치기기에서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하는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 면치기기는 일정크기로 절단된 유리의 절단면을 연마하여 부드럽게 가공하는 장치이다. 글라스 면치기기는 공개특허 10-2007-00905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상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유리의 네 변을 가공한다.
그런데, 종래 글라스 면치기기는 그라인더를 이용해 유리를 가공하기 전에 유리를 작업대 상에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즉, 유리의 테두리에 정확하게 가공이 되어야만 치수정밀도와 가공성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종래 글라스 면치기기는 유리의 정렬 또는 센터링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행하였다. 즉, 작업대 상에 위치정렬용 지그를 배치하고, 작업자가 지그에 맞게 유리를 배치하여 위치를 정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유리의 위치정렬 방식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므로 정밀도가 떨어지고, 작업능률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글라스를 정확한 위치에 자동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는, 면치 그라인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글라스가 적재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의 외곽 영역을 접촉지지하며 상기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렬부는, 상기 글라스의 제1방향과 제2방향을 접촉하며 위치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와;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대향되는 제3방향과 제4방향에서 상기 글라스를 탄성적으로 접촉가압하며 상기 글라스를 상기 고정실린더부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정렬시키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실린더부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실린더본체와;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가 구비된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실린더본체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고정블럭이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고정용 공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실린더부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실린더본체와; 상기 글라스를 접촉가압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된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실린더본체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가압블럭이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용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상기 가압블럭 내부에서 회동 및 직선이동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축과; 상기 베어링축이 탄성적으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는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는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에서 동시에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는 지지대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두 방향에서 고정된 위치에서 글라스를 지지하고, 대향되는 두 방향에서 글라스를 가압하여 고정된 위치에 정렬하므로 위치 정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실린더부와 가압실린더부가 공압의 공급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며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얼라인 장치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얼라인 장치의 고정실린더부의 고정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얼라인 장치의 가압실린더부의 가압블럭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얼라인 장치의 글라스 위치 정렬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얼라인 장치의 글라스 위치 정렬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라인 장치(100)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 장치(100)는 글라스(M)가 적재되는 지지대(110)와, 지지대(110)의 주변 영역에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배치되어 글라스(M)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120,130)와, 지지대(110)의 주변영역에 제3방향과 제4방향에 배치되어 글라스(M)를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140,15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통상 글라스 면치기기는 글라스를 지지대(110) 상으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이송부(미도시)와, 지지대(110) 상면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글라스(M)의 테두리의 절단면을 연마하는 그라인더(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얼라인 장치(100)는 이송부(미도시)로부터 이송받은 글라스(M)가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어 그라인더(미도시)에 의해 가공되도록 한다.
지지대(110)는 상면에 글라스(M)가 적재된다. 지지대(110)는 글라스(M)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장치(100)는 사각형의 글라스(M)를 위치 정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장치(100)는 사각형의 네 변이 위치하는 네 방향을 의미하나, 글라스(M)의 형상에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이격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M)가 원형인 경우 60도 간격으로 6개가 구비되는 것과 같이 4개 이상의 방향에 4개 이상의 실린더부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이송부(미도시)로부터 글라스(M)가 적재될 때 1차적으로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이송받는다. 지지대(110)는 위치정렬이 완료되면 진공흡착에 의해 글라스(M)를 고정하고, 그라인더(미도시)에 의해 가공되는 동안 글라스(M)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지지대(110)의 상면에는 공기유출입공(111)이 구비되어 글라스(M)를 진공흡착한다. 지지대(110)의 공기유출입공(111)은 고정실린더부(120,130)와 가압실린더부(140,150)의 공기유출입관(126,146)과 연결되어 진공을 형성한다.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120,130)는 지지대(110)의 제1방향과 제2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글라스(M)의 제1방향변과 제2방향변을 접촉지지한다. 제1고정실린더부(120)와 제2고정실린더부(130)는 작동하는 방향만 상이할 뿐, 그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1고정실린더부(12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제1고정실린더부(120)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실린더본체(121) 및 고정용 공압실린더(123)와, 고정용 공압실린더(123)의 단부에 구비되어 글라스(M)를 접촉지지하는 고정블럭(124)을 포함한다.
고정실린더본체(121)와 고정용 공압실린더(123)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공압을 형성하여 구동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장치(100)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게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유압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며, 모터와 복수개의 기어조합, 모터와 전동벨트 등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고정블럭(124)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124)은 고정용 공압실린더(123)의 단부에 구비되어 고정용 공압실린더(123)의 이송에 따라 글라스(M)의 제1방향변에 접촉되어 고정하거나, 이격되어 고정상태를 해지한다. 고정블럭(124)의 선단부에는 지지대(11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124a)가 구비된다. 스토퍼(124a)는 고정용 공압실린더(123)의 이송에 따라 고정블럭(124)이 이동될 때 고정나사(125) 보다 먼저 지지대(110)와 접촉되어 이동위치를 제한한다. 즉, 스토퍼(124a)가 먼저 지지대(110)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고정나사(125)가 글라스(M)에 접촉되는 위치가 고정된다.
고정나사(125)는 고정블럭(124) 내부에 나사축(125a)이 삽입되고, 나사머리(125b)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고정블럭(124)의 이동에 따라 나사머리(125b)가 글라스(M)의 제1방향변에 접촉된다.
한편, 고정블럭(124)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출입관(126)이 구비된다. 공기유출입관(126)은 고정블럭(124)이 지지대(110)와 접촉될 때 고정블럭(124) 내부의 공기유출입구(111)로 공기를 유출입시켜 진공을 형성하여 위치 정렬이 완료된 글라스(M)가 지지대(110) 표면에 흡착되도록 한다.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140,150)는 제3방향과 제4방향에 각각 구비되어 글라스(M)를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글라스(M)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가압실린더부(140)와 제2가압실린더부(15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1가압실린더부(14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1가압실린더부(140)의 가압블럭(144)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실린더부(140)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가압실린더본체(141)와, 가압실린더본체(141) 내부를 공압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가압용 공압실린더(143)와, 가압용 공압실린더(143)의 단부에 구비되어 글라스(M)를 탄성가압하는 가압블럭(144)을 포함한다.
가압실린더본체(141)와 가압용 공압실린더(143)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공압을 제공받아 구동된다. 가압블럭(1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용 공압실린더(143)의 단부에 구비되어 글라스(M)의 제3방향을 가압한다. 가압블럭(144)의 내부에는 베어링부(145)가 구비되어 글라스(M)를 접촉지지한다.
가압블럭(144)의 선단부에는 스토퍼(144a)가 구비되어 지지대(110)에 먼저 접촉되어 이송거리를 조절한다. 가압블럭(144)의 내부에는 베어링축(145b)이 지지되는 축지지홈(144b)이 관통형성된다. 이 때, 축지지홈(144b)은 베어링축(145b)의 직경에 비해 여유간격(d)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축지지홈(144b)에 형성된 여유간격(d)은 베어링(145a)이 탄성적으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여유 거리이다.
베어링부(145)는 가압용 공압실린더(143)의 이동에 따라 가압블럭(144)과 함께 이동되어 글라스(M)의 제3방향 변을 접촉지지한다. 베어링부(145)는 글라스(M)와 접촉되는 베어링(145a)과, 베어링(145a)을 회전 및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축(145b)과, 베어링축(145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145d)와, 탄성부재(145d)를 가압블럭(144)의 일측벽에 고정하는 탄성부재고정축(145c)을 포함한다.
베어링(145a)은 베어링축(145b)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글라스(M)와의 접촉시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다. 베어링축(145b)은 축지지홈(144b) 내부를 좌우로 이동하며 베어링(145a)이 글라스(M)에 접촉되도록 한다. 탄성부재(145d)는 베어링축(145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베어링(145a)이 글라스(M)를 제1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얼라인 장치(100)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120,130)와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140,150)가 순차적으로 글라스(M)를 접촉하도록 구동 타이밍이 제어된다. 즉, 제1고정실린더부(120)가 먼저 글라스(M)의 제1방향 변을 고정한 후, 제2고정실린더부(130)가 글라스(M)의 제2방향 변을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가압실린더부(140)가 글라스(M)의 제3방향 변을 가압하고, 제2가압실린더부(150)가 글라스(M)의 제4방향 변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얼라인 장치(100)는 이 외에도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120,130)가 동시에 제1방향과 제2방향에서 글라스(M)를 고정하고, 이후에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140,150)가 동시에 제3방향과 제4방향에서 글라스(M)를 가압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120,130)와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140,150)가 한 꺼번에 네 방향에서 글라스(M)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 타이밍은 동일한 구성을 가는 얼라인 장치(100)에서 제어부(미도시)가 공압의 구동타이밍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송부(미도시)에서 글라스(M)를 지지대(110) 상에 로딩한다. 이 때, 이송부(미도시)에 의해 1차적으로 위치가 정렬된 상태로 지지대(110) 상에 글라스(M)가 적재된다.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1고정실린더부(120)로 공압이 공급되고, 고정용 공압실린더(123)가 고정실린더본체(121)로부터 승강하여 이동된다. 도 4a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공압실린더(123)의 이송에 따라 고정블럭(124)이 이동되면서 고정블럭(124)의 스토퍼(124a)가 먼저 지지대(110)의 측면에 접촉되고, 고정용 공압실린더(123)의 이송거리(l1)가 제한된다. 고정블럭(124)이 정지되면서 고정나사(125)가 글라스(M)와 접촉된다. 이 때, 고정나사(125)는 글라스(M)의 제1방향 변을 정확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위치된다.
한편, 제1고정실린더부(120)의 이동이 정지되면, 제2고정실린더부(130)로 공압이 제공되어 도 4b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블럭(135)의 제2고정나사(135)가 글라스(M)의 제2방향 변에 접촉된다.
제2고정실린더부(130)의 이송이 완료되면, 제1가압실린더부(140)로 공압이 제공된다. 제1가압실린더부(140)로 공압이 제공되면 제1가압용 공압실린더(143)가 이동하며 가압블럭(144)이 글라스(M)의 제3방향 변으로 이동된다.
이 때, 도 4c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45a)이 먼저 글라스(M)의 제3방향 변에 접촉된 후, 가압블럭(144)의 스토퍼(144a)가 지지대(110)의 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베어링(145a)이 글라스(M)의 제3방향 변에 접촉된 상태에서 계속하여 가압용 공압실린더(143)가 이동하므로 베어링축(145b)은 축지지홈(144b)을 따라 이격공간(d)만틈 이동하게 된다. 베어링축(145b)이 축지지홈(144b)의 내벽면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하고, 베어링(145a)은 탄성적으로 글라스(M)의 제3방향 변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글라스(M)는 제3방향의 대향되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글라스(M)의 제1방향변이 제1고정블럭(124)의 고정나사(125)에 밀착되게 된다. 즉, 글라스(M)가 고정나사(125)와 베어링(145a) 사이에 밀착지지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2가압실린더부(150)도 동일하게 수행되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M)가 제2방향과 제4방향 사이에서도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M)가 네 방향 모두에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되고, 제1방향과 제2방향에서 고정실린더부가 위치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게 된다. 글라스(M)의 위치 정렬이 완료되면 진공을 형성하여 지지대(110) 표면에 글라스(M)를 흡착시키고, 그라인더(미도시)가 이동하며 면치가공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는 지지대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두 방향에서 고정된 위치에서 글라스를 지지하고, 대향되는 두 방향에서 글라스를 가압하여 고정된 위치에 정렬하므로 위치 정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실린더부와 가압실린더부가 공압의 공급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며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글라스만 위치 정렬하도록 구비되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매의 글라스를 동시에 위치 정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글라스의 크기에 따라 한 방향에 위치되는 고정실린더부의 개수와 가압실린더부의 개수가 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110 : 지지대
120 : 제1고정실린더부 121 : 고정실린더본체
123 : 고정용 공압실린더 124 : 고정블럭
124a : 스토퍼 125 : 고정나사
125a : 나사축 125b : 나사머리
126 : 공기유출입관 130 : 제2고정실린더부
140 : 제1가압실린더부 141 : 가압실린더본체
143 : 가압용 공압실린더 144 : 가압블럭
144a : 스토퍼 144b : 축지지홈
145 : 베어링부 145a : 베어링
145b : 베어링축 145c : 탄성부재고정축
145d : 탄성부재 150 : 제2가압실린더부

Claims (5)

  1.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면치 그라인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글라스가 적재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글라스의 외곽 영역을 접촉지지하며 상기 글라스의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렬부는,
    상기 글라스의 제1방향과 제2방향을 접촉하며 위치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와;
    상기 제1방향과 제2방향에 대향되는 제3방향과 제4방향에서 상기 글라스를 탄성적으로 접촉가압하며 상기 글라스를 상기 고정실린더부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를 정렬시키는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실린더부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고정실린더본체와;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가 구비된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실린더본체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고정블럭이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고정용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럭은 선단부에는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유출입관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실린더부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실린더본체와;
    상기 글라스를 접촉가압하는 베어링부가 구비된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실린더본체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가압블럭이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는 가압용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글라스와 접촉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상기 가압블럭 내부에서 회동 및 직선이동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축과;
    상기 베어링축이 탄성적으로 좌우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블럭은 선단부에는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베어링축이 지지되는 축지지홈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는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실린더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실린더부는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에서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KR1020110136519A 2011-12-16 2011-12-16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KR101373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519A KR101373209B1 (ko) 2011-12-16 2011-12-16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519A KR101373209B1 (ko) 2011-12-16 2011-12-16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012A KR20130069012A (ko) 2013-06-26
KR101373209B1 true KR101373209B1 (ko) 2014-04-14

Family

ID=4886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519A KR101373209B1 (ko) 2011-12-16 2011-12-16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80B1 (ko) * 2019-02-14 2020-06-26 유일에너테크(주)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장치에 이용되는 얼라인 장치
CN114523370A (zh) * 2022-02-11 2022-05-24 刘嘉良 一种钢化玻璃生产预处理加工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155Y1 (ko) * 1996-06-20 1999-06-01 김영환 액정디스플레이 얼라인장치
KR20040075291A (ko) * 2003-02-20 2004-08-2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지지 스테이지에 대한 기판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070103523A (ko) * 2006-04-19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155Y1 (ko) * 1996-06-20 1999-06-01 김영환 액정디스플레이 얼라인장치
KR20040075291A (ko) * 2003-02-20 2004-08-2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지지 스테이지에 대한 기판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070103523A (ko) * 2006-04-19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9012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7624C (zh) 部件安装装置及基板输送方法
TWI637449B (zh) 基板處理裝置及基板處理方法
KR101159876B1 (ko) 글래스판의 단부면 연삭 장치
CN106112659B (zh) 平头机的上、卸料加工方法及上、卸料加工装置及平头机
CN101912984B (zh) 大型箱体类工件侧面和侧面孔加工装备
CN105855959A (zh) 气动自锁夹紧夹具
CN103522144A (zh) 玻璃磨边除膜设备及其使用方法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CN109773617B (zh) 一种用于镜片的全自动磨边设备及其磨边方法
TWI604953B (zh)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373209B1 (ko) 글라스 면치용 얼라인 장치
CN104669086A (zh) 一种晶体片倒角装置
CN111113180A (zh) 灯罩打磨机构及其组装设备
TWI424911B (zh) 具有搖擺機構手和具有該手的基板輸送裝置
CN104759959A (zh) 一种非铁磁性圆钢试样工件批量加工方法
JP2011212767A (ja) 加工システムにおけるワーク搬入出装置及びその方法
CN103433836A (zh) 气缸套内孔珩磨端面定位外抱锁紧装置
CN203471506U (zh) 玻璃磨边除膜设备
JP2011212768A (ja) 棒状ワーク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CN208629159U (zh) 一种双机器人协同打磨装置
CN204487347U (zh) 一种平面磨床工作台结构
CN111069871A (zh) Led灯座组装设备
KR20160136115A (ko)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CN102756309A (zh) 一种高效半自动胶辊磨床
CN113458907A (zh) 一种芯取全自动上下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