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115A -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115A
KR20160136115A KR1020150069867A KR20150069867A KR20160136115A KR 20160136115 A KR20160136115 A KR 20160136115A KR 1020150069867 A KR1020150069867 A KR 1020150069867A KR 20150069867 A KR20150069867 A KR 20150069867A KR 20160136115 A KR20160136115 A KR 20160136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chining
magnet
process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구
Original Assignee
(주)디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더스 filed Critical (주)디더스
Priority to KR102015006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115A/ko
Publication of KR2016013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마그넷을 정렬시켜 척킹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딩유닛, 피딩유닛에 의해 척킹위치로 공급되는 마그넷을 척킹하여 가공위치와 척킹 해제위치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이동시키는 인덱스유닛, 인덱스유닛에 의해 척킹되어 가공위치로 이동된 마그넷의 양측 단변측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는 제1가공툴을 가지며 인덱스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공유닛, 제1가공유닛에 이웃하여 설치되며 제1가공유닛에 의해 가공된 뒤 이송된 마그넷의 어느 일측 장변을 면취 가공하는 제2가공툴을 가지는 제2가공유닛, 인덱스유닛과 제2가공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척킹해제위치에 놓인 마그넷을 제2가공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유닛, 제1이송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가공유닛으로 이동된 마그넷을 제2가공툴을 경유하도록 이동시키는 제2이송유닛, 제2가공유닛에 인접 설치되며 제2가공유닛에서 가공되어 이동되는 마그넷을 전달받아 상하로 반전시키는 반전유닛, 반전유닛에 의해 반전된 마그넷을 전달받아 나머지 장변을 면취 가공하는 제3가공툴을 가지는 제3가공유닛, 반전유닛에 의해 반전된 마그넷을 제3가공툴을 경유하도록 이동시키는 제3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AUTOMATIC MAGNET 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사각 형태의 마그넷(magnet)을 자동으로 면취 가공하기 위한 마그넷 자동 면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넷(magnet)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전동장치 및 전자제품 등에서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품목으로서, 통상적으로 사각형태의 구조로 생산되되, 전자제품(모터 등)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모서리부분 등을 모따기 하는 등의 면취가공을 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마그넷을 면취하는 방법으로써, 건식 바렐연마, 습식 바렐연마, 수작업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가공 상의 과정에서 불량이 많이 발생되어 수율이 70%를 하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면취 가공 과정에서 크랙(crack), 찍힘, 깨짐 등으로 인하여 바렐연마와 수작업등의 공정개선의 요구되고 있다.
즉, 기존의 면취 가공방법으로는 새로운 전제제품의 품질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정밀하고 안정적인 면취 가공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마그넷을 자동 면취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370호(자동 면취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각형태의 마그넷을 자동으로 면취 가공할 수 있는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마그넷을 정렬시켜 척킹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딩유닛;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상기 척킹위치로 공급되는 마그넷을 척킹하여 가공위치와 척킹 해제위치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이동시키는 인덱스유닛; 상기 인덱스유닛에 의해 척킹되어 상기 가공위치로 이동된 마그넷의 양측 단변측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는 제1가공툴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공유닛; 상기 제1가공유닛에 이웃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가공유닛에 의해 가공된 뒤 이송된 마그넷의 어느 일측 장변을 면취 가공하는 제2가공툴을 가지는 제2가공유닛; 상기 인덱스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척킹해제위치에 놓인 마그넷을 상기 제2가공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공유닛으로 이동된 마그넷을 상기 제2가공툴을 경유하도록 이동시키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2가공유닛에 인접 설치되며, 상기 제2가공유닛에서 가공되어 이동되는 마그넷을 전달받아 상하로 반전시키는 반전유닛; 상기 반전유닛에 의해 반전된 마그넷을 전달받아 나머지 장변을 면취 가공하는 제3가공툴을 가지는 제3가공유닛; 상기 반전유닛에 의해 반전된 마그넷을 상기 제3가공툴을 경유하도록 이동시키는 제3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유닛은, 원반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덱스몸체; 상기 인덱스몸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 피딩유닛에서 전달된 마그넷을 척킹하여 상기 척킹위치, 가공위치 및 척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척킹부; 상기 인덱스 구동부를 일정 회전 각도로 회전구동시키는 인덱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공유닛은, 상기 가공위치에 위치된 마그넷의 단변측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제1가공툴; 상기 제1가공툴을 지지하여 회전구동시키는 제1가공모터; 제1가공모터를 3축 방향(x,y,z) 각각으로 독립적으로 구동제어하는 3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가공유닛은, 마그넷이 지지되어 이동되도록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척킹해제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가공스테이지;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 상에서 이동되는 마그넷의 장폭 측 2개의 모서리를 면취가공하는 제2가공툴; 상기 제2가공툴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가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 상의 마그넷은 상기 제2이송유닛에 의해 밀려서 이동되어 상기 제2가공툴을 경유하면서 면취가공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인덱스유닛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척킹부에 의해 척킹해제된 마그넷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 상기 수평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마그넷을 전달받아,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 높이로 상승이동시키는 수직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1이송유닛의 상부에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가이더; 상기 제1이송가이더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가동부; 및 상기 제1가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이송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이동된 마그넷을 밀어서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로 이동되어 상기 제2가공툴을 경유하도록 하는 간섭바;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가공유닛과 상기 제3가공유닛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반전유닛은, 상기 제2가공유닛과 상기 제3가공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왕복 회전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2가공유닛에서 가공되어 이동된 마그넷을 클램핑하여 상하로 반전시켜서 상기 제3가공유닛 측으로 이동되어 크램핑해제하는 반전용 클램퍼; 및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반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3가공유닛은, 상기 제2가공유닛의 제1가공스테이지보다 낮은 높이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제2가공스테이지; 상기 제2가공스테이지상에서 이동되는 마그넷의 장변측 나머지 모서리를 면취가공하는 제3가공툴; 및 상기 제3가공툴을 회전구동시키는 제3가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이송유닛은, 상기 반전유닛에 의해 상기 제2가공스테이지에 놓인 마그넷을 상기 제3가공툴을 경유하도록 밀어서 이동시키는 제2간섭바; 상기 제2간섭바를 지지하여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가동부; 및 상기 제2가공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이송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에 따르면, 마그넷을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복수의 모서리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면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그넷의 면취 가공공정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고, 자동화 기계공정을 통해 가공함에 따라 정밀한 가공 및 일정한 수율을 확보하여 제품의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밀하게 자동화된 설비를 통해 가공함에 따라 가공오차를 줄이고, 종래의 방법에 의해 가공시 발생하던 크랙, 깨짐 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를 나타내 보인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를 나타내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이송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반전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인덱스유닛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면취 가공할 마그넷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면취 가공이 완료된 마그넷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10)는, 피딩유닛(100)과, 인덱스유닛(200), 제1가공유닛(300), 제1이송유닛(400), 제2가공유닛(500), 제2이송유닛(600), 제3가공유닛(700), 반전유닛(800) 및 제3이송유닛(900)을 구비한다.
상기 피딩유닛(100)은 가공할 마그넷(20)을 수용하여 공급하는 공급호퍼(110)와, 공급호퍼(110)에서 낱개씩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마그넷(20)을 인덱스유닛(200) 측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마그넷 가이드부(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넷(20)은 사각 형상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모양으로서 일정한 자세로 공급호퍼(110)에서 정렬되어 배출되고, 배출되는 마그넷(20)은 마그넷 가이드부재(1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인덱스유닛(200)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인덱스유닛(200)은, 인덱스몸체(210)와, 인덱스몸체(21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척킹부(220)와, 인덱스몸체(210)를 회전 구동시키는 인덱스 구동부(230)를 구비한다.
인덱스몸체(210)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구동부(230)에 의해 그 중심이 연결되어 회전구동된다. 이 인덱스 몸체(210)의 외주에는 척킹부(220)가 복수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척킹부(2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90도 회전 각도 간격으로 척킹부(220)가 설치되어, 마그넷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이동되는 마그넷(20)을 낱개씩 척킹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킹위치(A)로부터 가공위치(B)와, 척킹해제위치(C)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인덱스 구동부(230)는 인덱스 몸체(210)를 90도 각도씩 단계적으로 회전구동시키도록 제어된다.
상기 척킹부(220)는 인덱스 몸체(210)의 외주에 설치되어, 마그넷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척킹위치(A)로 이동된 마그넷(20)을 척킹하고, 척킹한 마그넷(20)을 가공위치(B;척킹위치에서 180도 각도 회전된 위치)로 이동시켜 제1가공유닛(300)에 의해 단변측 모서리부분(21; 도 11참조)이 면취가공되도록 한 뒤, 다시 90도 각도 더 회전된 위치(척킹 해제위치;C)에서 마그넷(20)을 놓아주어 제1이송유닛(400)에 의해 제2가공유닛(50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척킹부(220)는 리니어모터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척부재를 포함하여 마그넷(20)을 클램핑하거나 클램핑 해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공지의 척 장치로부터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덱스 구동부(230)는 인덱스 몸체(210)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는 회전축(231)과, 회전축(231)을 지지하는 한 쌍의 축 지지부(233) 및 구동모터(235)를 구비한다. 어느 한쪽 축 지지부(233)에 지지되는 회전축(231)에는 벨트풀리가 결합되고, 그 벨트풀리와 구동모터(235)가 구동벨트(236)로 연결되어 구동모터(235)의동력이 타이밍벨트(236)를 통해 회전축(231)으로 전달될 수 있다. 타이밍벨트(236)를 대신하여 체인이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덱스몸체(210)를 90도 각도 단위로 정확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가공유닛(300)은 한 쌍이 가공위치에 위치되는 마그넷(2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동유닛(300)은 마그넷(20)의 양측 단변측 모서리들(21)을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가공툴(310)과, 제1가공툴(31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가공모터(320)와, 제1가공모터(320)를 3축 방향(x,y,z) 각각으로 구동제어하는 3축 구동부(330)를 구비한다. 제1가공모터(320)는 3축 구동부(330)에 연결 지지되며, 그 회전축에 제1가공툴(310)이 지지된다.
3축 구동부(330)는 x축 이동블록(331)과, y축 이동블록(332) 및 z축 이동블록(333)을 구비하며, 각각의 이동블록(331,332,333)을 각각 리니어모터 또는 액추에이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x축, y축, z축 각각으로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z축 이동블록(333)에 지지된 제1가공모터(320)가 x축, y축, z축 각각으로 이동되면서 제1가공툴(310)에 의해 마그넷(20)의 모서리(21)를 자동으로 면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이송유닛(400)은, 가공위치에서 가공 후 척킹 해제위치(C)로 이동되어 척킹해제된 마그넷(20)을 제2가공유닛(500)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이송유닛(400)은 수평이송부(410)와, 수직이송부(420)를 구비한다.
수평이송부(410)는 인덱스유닛(20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진동패널(411)과, 진동패널(411)의 하부를 지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413) 및 진동패널(411) 상부에 설치되어 진동패널(411)을 따라 이동되는 마그넷(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415)를 구비한다. 진동패널(411)은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진동자(413)에 일단부의 하부가 지지되며, 그 상부에는 가이드부재(415)가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진동패널(411)의 상부에 1차 가공된 마그넷(20)이 놓이면, 진동자(413)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진동패널(411) 위의 마그넷(20)이 가이드부재(415)에 의해 가이드 되어 수직 이송부(420) 쪽으로 이동된다.
수직이송부(420)는 수평이송부((410)에 의해 이동된 마그넷(20)이 거치되는 마그넷 거치부(421)와, 마그넷 거치부(421)를 상승이동시키도록 장치 프레임(3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구동부(423)를 구비한다. 승강구동부(423)는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리니어모터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공유닛(500)은 마그넷(20)이 놓이는 제1가공스테이지(510)와, 제1가공스테이지(510)에서 이동되는 마그넷(20)의 장폭 측 2개의 모서리를 면취가공하는 제2가공툴(520)과, 제2가공툴(52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가공모터(5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510)는 장치 본체(30)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마그넷(2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슬릿(5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이송부(420)에 의해 제1가공스테이지(510)와 동일 높이로 이송된 마그넷(20)은 제2이송유닛(600)에 의해 가이드슬릿(511)을 따라 제1가공스테이지(510) 상에서 이동된다. 그리고 마그넷(20)이 제1가공스테이지(510) 위에서 이동되면서 제2가공툴(520)에 의해 그 상부에 노출된 장변측 2개의 모서리(23)가 면취 가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이송유닛(600)은 제1이송유닛(400)의 상부에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가이더(610)와, 제1이송가이더(610)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가동부(620) 및 제1가동부(620)에 연결되며 제1가공스테이지(510)에 놓인 마그넷(20)을 x축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제1간섭바(630)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간섭바(630)가 제1가공부(620)에 의해 x축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간섭바(630)에 의해 수직이송부(420)에 위치한 마그넷(20)이 제1가공스테이지(510) 위로 밀려 이동되고, 계속해서 제2가공툴(520)의 하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가공툴(520)은 이동하는 마그넷(20)의 장변측 모서리(23)를 면취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가공툴(520)에 의해 면취 가공된 마그넷(20)은 단계적으로 밀려서 이동되어 상기 반전유닛(800)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반전유닛(800)은 제2가공유닛(500)에 의해 두 장변 중 상부의 장변측 모서리(23)가 가공된 마그넷(20)을 상하로 180도 각도 반전시켜서 제3가공유닛(70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3가공유닛(700)에서는 나머지 장변의 모서리(25)를 면취 가공하여 가공공정을 완료할 수 있게된다.
이러한 반전유닛(800)은 반전용 클램퍼(810)와, 반전용 클램퍼(810)를 지지하며 상하 180도 각도로 왕복 회전되는 회동축(820)과, 회동축(820)을 회전시키는 반전모터(830)를 구비한다. 반전용 클램퍼(810)는 마그넷(20)을 척킹하고, 척킹해제하는 구성을 가지며 회동축(820)에 결합된다.
회동축(820)은 반전용 클램퍼(810)를 지지한 채 반전모터(830)의 구동에 의해 180도 각도로 회전 및 복귀운동을 반복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공유닛(500)에 의해 가공된 뒤 이동된 마그넷(20)은 반전용 클램퍼(810)로 밀려서 이동된다. 그러면, 반전용 클램퍼(810)가 마그넷(20)을 클램핑하고, 이어서 반전모터(830)가 구동되어 회동축(820)을 180도 각도 회전구동시킨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용 클램퍼(810)가 180도 각도로 회전되며, 이 상태에서 클램핑한 마그넷(20)을 제2가공스테이지(710) 위에 내려놓는다. 그러면, 마그넷(20)은 가공되지 않은 장면의 모서리(25)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자세 반전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3가공유닛(700)은 상기와 같이 제2가공유닛(500)에서 2차로 면취 가공된 뒤, 반전유닛(800)에 의해 상하로 자세 반전되어 이송된 마그넷(20)의 나머지 장변측 모서리(25)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3가공유닛(700)은 제1가공스테이지(510)보다 낮은 높이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제2가공스테이지(710)와, 제3가공툴(720) 및 제3가공모터(730)를 구비한다.
제2가공스테이지(710)의 상부에는 가이드슬릿(711)이 구비되어 마그넷(20)이 정렬되어 이동되도록 가이드 될 수 있다.
제2가공스테이지(710)에 반전되어 이동된 마그넷(20)은 상기 제3이송유닛(900)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3가공툴(720)을 통과하면서 제3가공툴(720)에 의해 면취 가공된다. 이러한 제3가공유닛(700)은 제2가공유닛(5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마그넷(20)의 반전위치를 고려하여 그 설치위치만 낮게 구성된다.
상기 제3이송유닛(900)은 제1가공스테이지(510)의 하부에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2이송가이더(910)와, 제2이송가이더(910)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가동부(920) 및 제2가동부(920)에 연결되며 제2가공스테이지(810)에 놓인 마그넷(20)을 x축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제2간섭바(9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이송유닛(900)은 제2이송유닛(600)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제9가동부(920)의 구동에 의해 제2간섭바(930)가 이동되면서 제2스테이지(810) 위의 마그넷(20)이 제3가공툴(720)을 경유하면서 면취 가공되도록 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1차, 2차 및 3차 면취 가공 공정을 거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모서리 부분에 대한 면취 가공이 완료된 마그넷(20')을 얻을 수 있게 되고, 가공 완료된 마그넷(20')은 이후의 공정(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어 검사 및 포장되어 출하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10)는 마그넷(20)을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각각의 모서리부분을 면취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자동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정밀한 면취 가공할 수 있게 되에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20,20'..마그넷
100..마그넷 피딩유닛 200..인덱스유닛
300..제1가공유닛 400..제1이송유닛
500..제2가공유닛 600..제2이송유닛
700..제3가공유닛 800..반전유닛
900..제3이송유닛

Claims (8)

  1.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마그넷을 정렬시켜 척킹위치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딩유닛;
    상기 피딩유닛에 의해 상기 척킹위치로 공급되는 마그넷을 척킹하여 가공위치와 척킹 해제위치로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이동시키는 인덱스유닛;
    상기 인덱스유닛에 의해 척킹되어 상기 가공위치로 이동된 마그넷의 양측 단변측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는 제1가공툴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공유닛;
    상기 제1가공유닛에 이웃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가공유닛에 의해 가공된 뒤 이송된 마그넷의 어느 일측 장변을 면취 가공하는 제2가공툴을 가지는 제2가공유닛;
    상기 인덱스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척킹해제위치에 놓인 마그넷을 상기 제2가공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가공유닛으로 이동된 마그넷을 상기 제2가공툴을 경유하도록 이동시키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2가공유닛에 인접 설치되며, 상기 제2가공유닛에서 가공되어 이동되는 마그넷을 전달받아 상하로 반전시키는 반전유닛;
    상기 반전유닛에 의해 반전된 마그넷을 전달받아 나머지 장변을 면취 가공하는 제3가공툴을 가지는 제3가공유닛;
    상기 반전유닛에 의해 반전된 마그넷을 상기 제3가공툴을 경유하도록 이동시키는 제3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유닛은,
    원반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덱스몸체;
    상기 인덱스몸체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 피딩유닛에서 전달된 마그넷을 척킹하여 상기 척킹위치, 가공위치 및 척킹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척킹부;
    상기 인덱스 구동부를 일정 회전 각도로 회전구동시키는 인덱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유닛은,
    상기 가공위치에 위치된 마그넷의 단변측 모서리를 면취 가공하기 위한 제1가공툴;
    상기 제1가공툴을 지지하여 회전구동시키는 제1가공모터;
    제1가공모터를 3축 방향(x,y,z) 각각으로 독립적으로 구동제어하는 3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공유닛은,
    마그넷이 지지되어 이동되도록 수평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척킹해제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가공스테이지;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 상에서 이동되는 마그넷의 장폭 측 2개의 모서리를 면취가공하는 제2가공툴;
    상기 제2가공툴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가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 상의 마그넷은 상기 제2이송유닛에 의해 밀려서 이동되어 상기 제2가공툴을 경유하면서 면취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은,
    상기 인덱스유닛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척킹부에 의해 척킹해제된 마그넷을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부;
    상기 수평이송부에 의해 이동된 마그넷을 전달받아,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 높이로 상승이동시키는 수직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유닛은,
    상기 제1이송유닛의 상부에 x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가이더;
    상기 제1이송가이더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1가동부; 및
    상기 제1가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이송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이동된 마그넷을 밀어서 상기 제1가공스테이지로 이동되어 상기 제2가공툴을 경유하도록 하는 간섭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공유닛과 상기 제3가공유닛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반전유닛은,
    상기 제2가공유닛과 상기 제3가공유닛 사이에 설치되며, 왕복 회전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2가공유닛에서 가공되어 이동된 마그넷을 클램핑하여 상하로 반전시켜서 상기 제3가공유닛 측으로 이동되어 크램핑해제하는 반전용 클램퍼; 및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반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공유닛은,
    상기 제2가공유닛의 제1가공스테이지보다 낮은 높이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제2가공스테이지;
    상기 제2가공스테이지상에서 이동되는 마그넷의 장변측 나머지 모서리를 면취가공하는 제3가공툴; 및
    상기 제3가공툴을 회전구동시키는 제3가공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이송유닛은,
    상기 반전유닛에 의해 상기 제2가공스테이지에 놓인 마그넷을 상기 제3가공툴을 경유하도록 밀어서 이동시키는 제2간섭바;
    상기 제2간섭바를 지지하여 x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제2가동부; 및
    상기 제2가공부의 왕복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2이송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면취 가공장치.
KR1020150069867A 2015-05-19 2015-05-19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KR20160136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67A KR20160136115A (ko) 2015-05-19 2015-05-19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867A KR20160136115A (ko) 2015-05-19 2015-05-19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15A true KR20160136115A (ko) 2016-11-29

Family

ID=5770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867A KR20160136115A (ko) 2015-05-19 2015-05-19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1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02B1 (ko) * 2018-10-30 2019-04-09 윤동규 페라이트 상하면 및 모서리 연마장치
KR101969509B1 (ko) * 2018-10-30 2019-04-16 윤동규 세그먼트 페라이트 연마장치
CN110370125A (zh) * 2019-08-07 2019-10-25 江苏汇博机器人技术股份有限公司 实训用研磨装置的研磨棒自动安装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902B1 (ko) * 2018-10-30 2019-04-09 윤동규 페라이트 상하면 및 모서리 연마장치
KR101969509B1 (ko) * 2018-10-30 2019-04-16 윤동규 세그먼트 페라이트 연마장치
CN110370125A (zh) * 2019-08-07 2019-10-25 江苏汇博机器人技术股份有限公司 实训用研磨装置的研磨棒自动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247B1 (ko) 가공품 표면의 가공시스템 및 가공방법
KR101266373B1 (ko) 절삭장치
JP5808190B2 (ja) 硬質脆性板の周縁加工装置
TWI703025B (zh) 被加工物的切割方法
KR101469654B1 (ko) 유리판의 가공 방법 및 유리판의 가공 장치
TW201628820A (zh) 修邊單元及具有該修邊單元之修邊裝置
KR20160136115A (ko) 마그넷 자동 면취장치
CN112589540B (zh) 板状工件的磨削方法
TW201821217A (zh) 磨削裝置
CN105328500B (zh) 内置有自动上卸料机构数控机床及进行工件装卸的方法
TW201313382A (zh) 刀庫、採用該刀庫之換刀系統及採用該換刀系統之機床
KR20180113165A (ko) 절삭 장치
KR20030093321A (ko) 톱날 연마기
JP5356879B2 (ja) 工作機械システムの機種切替方法及び装置
KR101460485B1 (ko) 홈 가공기
KR102486302B1 (ko) 가공 장치
JP2009297882A (ja) 加工装置
KR101939952B1 (ko) 절삭품 연마방법
KR101381704B1 (ko) 가공 대상물 고정수단을 구비한 면취기
CN115742046A (zh) 一种晶棒切磨系统
KR101630686B1 (ko) 플레이트 가공기
JP7339858B2 (ja) 加工装置及び板状ワークの搬入出方法
CN113825591A (zh) 数控机床
KR20170072136A (ko) 가공 장치
TWM536998U (zh) 工件取放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