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24B1 - 폐차 해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차 해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1624B1 KR101371624B1 KR20130098475A KR20130098475A KR101371624B1 KR 101371624 B1 KR101371624 B1 KR 101371624B1 KR 20130098475 A KR20130098475 A KR 20130098475A KR 20130098475 A KR20130098475 A KR 20130098475A KR 101371624 B1 KR101371624 B1 KR 1013716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bogie
- recovery
- locking
- trolle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5 mo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16 radical scaveng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906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3 scrap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와,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으로 구성되어, 폐차를 대차 위에 고정시킨 상태로 대차가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각 해체구간에서 폐차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해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사이즈의 폐차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처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차가 대차에 고정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폐차의 각종 부품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가 매년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수명이 끝난 폐차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매우 중요하며, 부품 및 재료의 재활용을 위한사전처리가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 폐차는 약 75%정도가 중고부품 및 고철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25%는 폐차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ASR)로서 매립되고 있다.
2008년 1월 1일부터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자원순환법’이 시행되어 환경을 고려한 폐차처리시스템 및 폐차처리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향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에서도 2005년 폐차 해체 플랜트(PLANT) 시설을 설립하여 운영중이며, 폐차의 친환경처리방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그러나,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커서 국내 폐차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환경친화적인 폐차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국내 폐차장의 실정에 맞는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종래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5727(2005년 09월 30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처음 폐차 입고부터 마지막 차체 압축까지의 각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들을 한 라인상에 직렬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각 설비들을 따라 폐차운반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이송레일을 지상에 설치하며, 최종 공정까지 폐차 운반을 완료한 대차를 지하에 구축한 피트 및 피트 내 이송레일을 통해 다시 최초 공정까지 회수하는 대차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들이, 해체대상부품 체크공정 →준비공정 →폭발위험부품 처리공정 →액상류 회수공정 →외장부품 해체공정 →내장부품 해체공정 →엔진/변속기/배기계/샤시부품 해체공정 →차체 압축공정의 설비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차 회수 시스템은, 대차 회수용 통로로서, 상기 이송레일 양 끝단지점에서 지하로 구축된 각 수직통로 및 지하 소정 깊이에서 상기 두 수직통로를 연결하도록 구축된 피트(pit)와, 상기 피트 내부를 따라 대차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송레일과, 상기 각 수직통로 내부에서 상기 대차를 지상과 지하 피트 사이에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대차의 사이즈가 정해져 있어 특정 사이즈의 폐차만 해체 가능하고 폐차의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 폐차의 해체가 어려워 다양한 사이즈의 폐차를 모두 해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차 회수용 통로에서 대차가 이동되도록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전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차를 대차 위에 고정시킨 상태로 대차가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각 해체구간에서 폐차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해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대차에 설치되는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폐차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처리가 가능한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차 회수레일에 경사부를 마련하여 대차를 별도의 구동원없이 이동시킬 수 있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상류 회수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액상류를 회수하기 편리하고, 여러 종류의 액상류를 한 번에 회수할 수 있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와,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설치되어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으로 이동된 대차를 이송레일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대차 승강부와,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레일의 후방에 위치된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로 안내하는 제2대차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대차 승강부는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와, 상기 전방 통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되면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대차 회수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승되면 이송레일의 전방에 이송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제1승강레일과, 상기 전방 통로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1승강레일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승강 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대차 승강부는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후방 통로부와, 상기 후방 통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강되면 대차 회수레일의 후방에 대차 회수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승되면 이송레일의 후방에 이송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제2승강레일과, 상기 후방 통로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2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 리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판 조절유닛은 프레임의 상면에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판은 평판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축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판부와 제2판부로 구획되고, 상기 제1판부는 제2판부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측면에는 제1록킹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록킹홈에 록킹되어 바디를 고정시키는 제1록킹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록킹홈에 록킹되어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제2록킹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부품 회수부는 폐차 인입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에서 각종 액상류를 회수하는 제1회수부와, 상기 제1회수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에서 타이어 및 외장부품을 해체하는 제2회수부와, 상기 제2회수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킨 후 폐차의 배면에 부착된 각종 배면 부품, 엔진 및 변속기를 해체하는 제3회수부와, 상기 제3회수부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의 내장부품 및 나머지 부품을 회수하는 제4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회수부는 대차를 들어올리는 제1리프트와, 폐차에서 액상류를 회수하는 액상류 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류 회수장치는 각종 액상류가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통이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로드와, 상기 제1링크로드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로드와, 상기 제2링크로드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액상류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류 회수부는 제2링크로드의 끝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되어 적어도 두 가지 종류의 액상류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를 대차 위에 고정시킨 상태로 대차가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각 해체구간에서 폐차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해체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대차에 설치되는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폐차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대차 회수레일에 경사부를 마련하여 대차를 별도의 구동원없이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액상류 회수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액상류를 회수하기 편리하고, 여러 종류의 액상류를 한 번에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은 폐차(100)가 안착되는 대차(10)와, 대차(10)가 이동되는 이송레일(20)과, 이송레일(20)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100)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30,32,34,36)와,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10)에서 내린 후 대차(10)를 이송레일(20)의 전방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40)을 포함한다.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는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된 대차(10)를 이송레일(20)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대차 승강부(50)가 설치되고,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0)의 후방에 위치된 대차(10)를 대차 회수레일(40)로 안내하는 제2대차 승강부(60)가 설치된다.
제1대차 승강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56)와, 전방 통로부(56)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어 하강되면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대차 회수레일(40)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승되면 이송레일(20)의 전방에 이송레일(20)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제1승강레일(52)과, 전방 통로부(56)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1승강레일(5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승강 리프트(5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승강 리프트(54)는 상면에 제1승강레일(52)이 고정되고,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타입 이외에 유압 실린더 타입 등 제1승강레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이면 어떠한 리프트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1승강레일(20)의 전면 및 후면에는 대차(20)가 제1승강레일(52)에 위치되면 대차(10)의 이동을 제한하여 대차(10)를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제1안전핀(57) 및 제2안전핀(58)이 설치되고, 제1안전핀(57)은 제1승강레일(52)의 전방에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제2안전핀(58)은 제1승강레일(52)의 후방에 상측방향으로 인출되거나 제1승강레일(52)에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10)가 제1승강레일(52)에 위치되면 제2안전핀(58)이 인출되어 대차(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에서, 제2안전핀(58)이 인출 및 인입되는 구조는 버튼을 누르면 제2안전핀(58)이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수동으로 작업자가 인출 및 인입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대차 승강부(50)는 제1승강레일(52)이 하강된 상태로 되면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 회수레일(40)을 따라 이동된 대차(10)가 제1승강레일(52)에 위치되면 제2안전핀(58)이 인출되어 제1승강레일(52)에 대차(1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승강 리프트(54)가 작동되면 제1승강 리프트(54)가 제1승강레일(52)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제1승강레일(52)이 이송레일(20)의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대차(10)에 폐차(100)를 안착시킨다. 이때, 폐차(100)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대차(10)에 폐차(100)를 올려 놓는다.
그리고, 제2안전핀(58)이 제1승강레일(52) 내부로 인입되면 대차(10)의 록킹이 해제되어 대차(10)는 제1승강레일(52)에서 이송레일(20)로 이동된다.
대차(10)에 구동부가 설치되어 이송레일(20)을 따라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대차(10)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2대차 승강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후방 통로부(66)와, 후방 통로부(66)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승강레일(62)과, 후방 통로부(66)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2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 리프트(64)를 포함한다.
후방 통로부(66)에는 제2승강레일(62)이 대차 회수레일(40)에 위치되면 대차를 푸시하여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유닛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은 유압 실린더 형태, 솔레노이드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대차를 푸시하는 푸시유닛(70)을 포함한다.
대차 회수레일(40)은 승강레일(20)의 설치된 지면의 아래쪽에 지하통로를 형성하고, 지하통로에 설치한다. 그리고, 대차 회수레일(4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2)가 구비되어 대차 회수레일(40)에 대차(10)가 놓여지면 대차(10)가 경사면(42)을 따라 자동으로 대차 회수레일(40)을 따라 이동된다.
제2승강레일(62) 및 제2승강 리프트(64)는 위에서 설명한 제1승강레일(52) 및 제1승강 리프트(54)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2대차 승강부(60)의 작용을 살펴보면, 이송레일(20)을 따라 이동되면서 복수의 부품 회수부를 통과하면서 모든 부품이 회수된 차체가 안착된 대차(10)가 제2승강레일(62)에 놓여지면 대차(10)에서 차체를 인출한다.
그리고, 차체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2승강 리프트(64)가 작동되어 제2승강레일(62)이 하강되어 제2승강레일(62)이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과 일치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푸시유닛(70)이 작동되어 대차(10)를 밀어주면 제2승강레일(62)에 놓여진 대차(10)는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되고,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된 대차(10)는 경사부(42)에 의해 자동으로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60)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대차 승강부(60)의 구성과 동일하고, 가이드 유닛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가이드 유닛은 제2승강레일(62)이 대차 회수레일(40)에 위치되면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승강 리프트(64)의 각도를 조절하는 푸시바(7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푸시바(71)는 제2승강 리프트(64)가 하강하면 제2승강 리프트(64)의 전방이 후방에 비해 더 이동되도록 하여 전방을 향하여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2승강 리프트(64)의 후방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2승강 리프트(64)의 상판 후방에 걸림되어 제2승강 리프트(64)의 상판이 경사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가이드 유닛은 푸시바(71) 구조 이외에 제2승강 리프트가 하강하면 제2승강 리프트의 상판 각도를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상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단면도이다.
대차(10)는 이송레일(20)의 상면에 배치되는 프레임(12)과, 프레임(12)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레일(20)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4)와, 프레임(12)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100)가 안착되는 지지판(16)과, 폐차(100)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지지판(16)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80)을 포함한다.
프레임(12)은 좌측 이송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12a)과, 우측 이송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12b)과, 좌측 프레임(12a)과 우측 프레임(12b)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12c)을 포함한다.
지지판(16)은 좌측 프레임(12a)의 양단 및 우측 프레임(12b)의 양단에 배치되는 4개로 구성되고 폐차(100)가 안착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된다.
지지판 조절유닛(80)은 프레임(12)의 상면에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82)과, 슬라이드 레일(8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디(84)와, 바디(84)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에 지지판(16)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회전축(86)을 포함한다.
프레임(12)의 네 모서리에는 힌지핀(15)이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13)이 형성되고, 힌지핀(15)에는 롤러(1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힌지핀(15)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8)이 장착되어 롤러(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드 레일(82)은 롤러(14)가 장착되는 프레임(12)의 상면에 볼트(88)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82)는 상면에 폭이 넓은 걸림부(90)가 형성되어 바디(84)가 걸림부(90)에 걸림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걸림부(90)의 측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록킹홈(110)이 형성된다.
바디(84)는 하측에 슬라이드 레일(82)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94)이 형성되고, 상측에 회전축(8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홈(9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삽입홈(94)의 하측은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 레일(82)의 걸림부(90)에 걸림된다.
이와 같이, 바디(84)는 슬라이드 레일(82)을 따라 대차(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므로 대차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따라서, 길이가 긴 폐차를 안착할 경우 바디(8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82)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대차(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A1)을 넓게 한다. 그리고, 길이가 짧은 폐차를 안착할 경우 바디(8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82)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대차(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A2)을 좁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차(10)는 폐차(100)의 길이에 따라 지지판(1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길이의 폐차를 안착할 수 있다.
회전축(86)은 그 상측이 바디(84)에서 돌출되어 지지판(16)에 고정되고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제2록킹홈(11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지지판(16)은 회전축이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일측은 제1판부(114)가 형성되고, 타측은 제2판부(11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판부(114)의 길이(L1)의 길이는 제2판부(116)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폭이 넓은 폐차를 대차(10)에 안착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제1판부(114)가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대차(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T2)을 넓힌다.
그리고, 폭이 좁은 폐차를 대차에 안착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제2판부(116)가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대차(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T1)을 좁힌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차(10)는 폐차의 폭에 따라 두 지지판(1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폭을 갖는 폐차를 대차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바디(84)의 일측에는 제1록킹홈(110)에 삽입되어 바디(84)를 록킹시키는 제1록킹유닛(130) 및 제2록킹홈(112)에 삽입되어 회전축(86)을 록킹시키는 제2록킹유닛(150)이 구비된다.
제1록킹유닛(130)은 바디(84)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132)과, 제1하우징(132)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1록킹홈(110)에 삽입되는 제1록킹로드(134)와, 제1록킹로드(134)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136)가 형성되어 제1하우징(132)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38)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부(135)와, 제1록킹로드(134)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1록킹로드(134)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142)과, 제1록킹로드(134)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1록킹로드(134)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레버(14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록킹유닛(130)의 작용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제1작동레버(144)를 회전시키면 제1록킹로드(134)가 회전되고, 제1록킹로드(134)에 형성된 제1나사부(135)의 숫나사부(136)가 제1하우징(132)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38)에서 나사 결합되어 회전된다. 그러면 숫나사부(136)와 암나사부(138)에 의해 제1록킹로드(134)는 후퇴되면서 제1록킹로드(134)의 일단이 제1록킹홈(110)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바디(84)의 록킹이 해제되어 바디(84)는 슬라이드 레일(82)을 따라 이동되면서 폐차(100)의 길이에 맞게 지지판(16)의 간격을 조절한다. 지지판(16)의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레버(1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록킹로드(134)가 전진되면서 슬레이드 레일(82)에 형성된 제1록킹홈(110)에 삽입되어 바디(84)를 록킹시킨다. 이때 스프링(142)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록킹로드(134)가 전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록킹로드(134)가 제1록킹홈(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록킹유닛(150)은 바디(84)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152)과, 제2하우징(152)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2록킹홈(112)에 삽입되는 제2록킹로드(154)와, 제2록킹로드(154)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158)가 형성되어 제2하우징(152)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60)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156)와, 제2록킹로드(154)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2록킹로드(154)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162)과, 제2록킹로드(154)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2록킹로드(154)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레버(16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록킹유닛(150)의 작용을 살펴보면, 제2작동레버(16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나사부(156)가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록킹레버(154)가 후퇴되면서 제2록킹홈(112)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하면 회전축(86)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회전축(86)을 회전시켜 대차(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지지판(16)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제2작동레버(1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나사부(156)가 조이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록킹레버(164)가 전진되면서 제2록킹레버(164)가 제2록킹홈(112)에 삽입되어 회전축(86)을 록킹시킨다. 이때, 제2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제2록킹레버(164)는 제2록킹홈(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부품 회수부(30,32,34,36)는 폐차 인입부(50)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100)에서 기름, 오일 등 각종 액상류를 회수하는 제1회수부(30)와, 액상류 회수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에서 타이어 및 외장부품을 해체하는 제2회수부(32)와, 제2회수부(32)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100)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킨 후 폐차(100)의 배면에 부착된 각종 배면 부품 및 엔진/변속기를 해체하는 제3회수부(34)와, 제3회수부(34)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100)의 내장부품 및 기타 나머지 부품을 회수하는 제4회수부(36)를 포함한다.
제1회수부(30)는 폐차(100)에서 액상류를 회수하는 것으로, 폐차(100)가 적재된 대차(10)를 들어올리는 제1리프트(22)와, 폐차(100)에서 액상류를 회수하는 액상류 회수장치(200)를 포함한다.
제1리프트(32)에는 대차(10)가 안착되는 리프트 받침대(24)가 구비되고, 리프트 받침대(24)의 네 모서리 부위에 대차(10)의 프레임(12)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고정봉(81)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대차(10)가 이동되어 제1리프트(22)의 상면에 위치되어 리프트 받침대(24)가 상승될 때 리프트 받침대(24)에 대차(10)의 고정봉(81)이 삽입되어 대차(10)가 제1리프트(22)의 의해 승강될 때 전후 및 좌우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폐차에 저장된 액상류는 연료, 엔진 오일, 미션 오일, 브레이크액, 냉각수, 냉매 및 와셔액 등으로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류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액상류 회수장치(200)는 이송레일(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연료, 엔진 오일, 미션 오일, 브레이크액, 냉각수, 냉매 및 와셔액 등 각종 액상류가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통이 구비되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로드(213)와, 제1링크로드(213)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로드(214)와, 제2링크로드(214)의 끝부분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액상류 회수부(218,219)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액상류 회수부(218,219)는 제2링크로드(214)의 타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액상류가 통과하는 파이프(218a)와, 파이프(218a)의 상단에 장착되는 깔대기(218b)를 포함한다. 파이프(218a)의 하단은 호스가 연결되고 호스는 저장통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액상류 회수부(218,219)는 일예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액상류 회수부(218,219)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외에 하나의 액상류 회수부도 가능하고, 2개 이상의 액상류 회수부도 설치가 가능하다.
제1링크로드(213)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그 일단이 본체부(210)에 장착된 제1힌지축(2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2링크로드(214)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그 일단이 제1링크로드(213)의 타단에 고정된 제2힌지축(2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액상류 회수부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액상류 회수장치(200)는 액상류 회수부(218,219)가 제1링크로드 (213) 및 제2링크로드(214)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제1링크로드(213) 및 제2링크로드(214)의 회전에 의해 액상류 회수부(218,219)를 폐차(100)의 배면 일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액상류 회수가 쉽고 편리하고, 복수의 액상류 회수부가 구비되어 여러 종류의 액상류를 하나의 액상류 회수장치로 회수가 가능하다.
제2회수부(32)는 액상류 회수가 완료된 폐차(100)에서 각종 외장 부품 및 타이어를 해체하는 공정으로, 대차(10)를 들어올리는 제2리프트(230)와, 폐차(100)에서 외장부품 및 타이어를 분리하는 각종 공구(미도시)을 포함한다.
제3회수부(34)는 폐차(100)를 90도 또는 180도로 회전시키는 폐차 회전장치와, 폐차 회전장치에 의해 90도 또는 180도 회전된 폐차에서 엔진, 변속기 및 차체 배면 부품을 해체하는 해체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폐차 회전장치는 크레인 구조로 구비되어 폐차를 들어올린 후 폐차를 90도 또는 180도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해체 장치는 폐차에서 엔진, 변속기 및 차체 배면 부품을 해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4회수부(36)는 폐차(100)가 안착된 대차를 들어올리는 제3리프트와, 폐차에서 내장부품을 해체하는 내장부품 해체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공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차 상태를 확인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폐차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부품을 선정하는 제1공정(S10)과, 폐차에서 기름, 오일 등 각종 액상류를 회수하는 제2공정(S20)과, 외장부품 및 타이어를 해체하는 제3공정(S30)과, 엔진/변속기 및 차체 배면 부품을 해체하는 제4공정(S40)과, 내장부품을 해체하는 제5공정(S50)과, 차체를 압축하는 제6공정(S60)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대차 12: 프레임
14: 롤러 16: 지지판
20: 이송레일 30: 제1회수부
32: 제2회수부 34:제3회수부
36:제4회수부 40: 대차 회수레일
42: 경사부 50: 제1대차 승강부
52: 제1승강레일 54: 제1승강 리프트
56; 전방 통로부 60:제2대차 승강부
70: 푸시유닛 80: 지지판 조절유닛
82: 슬라이드 레일 84: 바디
86: 회전축 130: 제1록킹유닛
150: 제2록킹유닛 200: 액상류 회수장치
210: 본체부 213: 제1링크로드
214: 제2링크로드 218.219: 액상류 회수부
14: 롤러 16: 지지판
20: 이송레일 30: 제1회수부
32: 제2회수부 34:제3회수부
36:제4회수부 40: 대차 회수레일
42: 경사부 50: 제1대차 승강부
52: 제1승강레일 54: 제1승강 리프트
56; 전방 통로부 60:제2대차 승강부
70: 푸시유닛 80: 지지판 조절유닛
82: 슬라이드 레일 84: 바디
86: 회전축 130: 제1록킹유닛
150: 제2록킹유닛 200: 액상류 회수장치
210: 본체부 213: 제1링크로드
214: 제2링크로드 218.219: 액상류 회수부
Claims (15)
-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 및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 조절유닛은 프레임의 상면에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설치되어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으로 이동된 대차를 이송레일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대차 승강부와,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레일의 후방에 위치된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로 안내하는 제2대차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차 승강부는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와,
상기 전방 통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되면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대차 회수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승되면 이송레일의 전방에 이송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제1승강레일과,
상기 전방 통로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1승강레일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승강 리프트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차 승강부는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후방 통로부와,
상기 후방 통로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강되면 대차 회수레일의 후방에 대차 회수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승되면 이송레일의 후방에 이송레일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제2승강레일과,
상기 후방 통로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2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 리프트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레일이 대차 회수레일와 일치되게 위치되면 상기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제2승강 리프트의 상판 각도를 조절하도록 제1승강 리프트의 후방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1승강 리프트의 상판이 걸림되는 푸시바 및 상기 후방 통로부의 벽면에 설치되어 대차를 푸시하는 푸시유닛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회수레일에는 대차가 대차 회수레일에 놓여지면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하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측에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평판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축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판부와 제2판부로 구획되고, 상기 제1판부는 제2판부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측면에는 제1록킹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록킹홈에 록킹되어 바디를 고정시키는 제1록킹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록킹홈에 록킹되어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제2록킹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유닛은 바디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1록킹홈에 삽입되는 제1록킹로드;
상기 제1록킹로드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부;
상기 제1록킹로드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1록킹로드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록킹로드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1록킹로드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레버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유닛은 제1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2록킹홈에 삽입되는 제2록킹로드;
상기 제2록킹로드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
상기 제2록킹로드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2록킹로드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록킹로드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2록킹로드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레버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 회수부는 폐차 인입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에서 각종 액상류를 회수하는 제1회수부와,
상기 제1회수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에서 타이어 및 외장부품을 해체하는 제2회수부와,
상기 제2회수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킨 후 폐차의 배면에 부착된 각종 배면 부품, 엔진 및 변속기를 해체하는 제3회수부와,
상기 제3회수부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의 내장부품 및 나머지 부품을 회수하는 제4회수부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부는 대차를 들어올리는 제1리프트와, 폐차에서 액상류를 회수하는 액상류 회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류 회수장치는 각종 액상류가 저장되는 복수의 저장통이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로드와,
상기 제1링크로드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로드와,
상기 제2링크로드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액상류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류 회수부는 제2링크로드의 끝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되어 적어도 두 가지 종류의 액상류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8475A KR101371624B1 (ko) | 2013-08-20 | 2013-08-20 | 폐차 해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98475A KR101371624B1 (ko) | 2013-08-20 | 2013-08-20 | 폐차 해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1624B1 true KR101371624B1 (ko) | 2014-03-07 |
Family
ID=5064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98475A KR101371624B1 (ko) | 2013-08-20 | 2013-08-20 | 폐차 해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162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527842A (zh) * | 2014-12-30 | 2015-04-22 | 格林美(天津)城市矿产循环产业发展有限公司 | 报废汽车拆解上线系统 |
KR101514381B1 (ko) * | 2014-10-01 | 2015-04-23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폐차 해체 시스템 |
CN108082334A (zh) * | 2017-12-15 | 2018-05-29 | 铜陵天奇蓝天机械设备有限公司 | 报废汽车拆解流水线及应用该流水线的信息化管理系统 |
KR101950795B1 (ko) * | 2018-05-29 | 2019-02-21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폐차 해체 시스템 |
CN110539827A (zh) * | 2019-09-09 | 2019-12-06 | 湖北博控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两轮机动车拆解线 |
KR102156182B1 (ko) * | 2019-12-12 | 2020-09-15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 해체 시스템 |
CN113212606A (zh) * | 2021-05-07 | 2021-08-06 | 湖南文理学院 | 一种新能源汽车报废回收动力电池包自动拆卸方法及系统 |
CN114620168A (zh) * | 2022-03-24 | 2022-06-14 | 湖北博控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适应多种车型拆解轨道行走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0682A (ja) * | 2004-03-27 | 2005-10-13 | Hyundai Motor Co Ltd | 廃車解体システム及び方法 |
KR20070002132A (ko) * | 2005-06-30 | 2007-01-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폐차 해체용 대차 |
KR20080021396A (ko) * | 2006-09-04 | 2008-03-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폐차의 액상류 분리 회수 장치 |
KR101221411B1 (ko) * | 2012-08-14 | 2013-01-22 | (주)우신시스템 | 워크 이송용 스키드 투입 및 회수 장치 |
-
2013
- 2013-08-20 KR KR20130098475A patent/KR1013716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0682A (ja) * | 2004-03-27 | 2005-10-13 | Hyundai Motor Co Ltd | 廃車解体システム及び方法 |
KR20070002132A (ko) * | 2005-06-30 | 2007-01-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폐차 해체용 대차 |
KR20080021396A (ko) * | 2006-09-04 | 2008-03-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폐차의 액상류 분리 회수 장치 |
KR101221411B1 (ko) * | 2012-08-14 | 2013-01-22 | (주)우신시스템 | 워크 이송용 스키드 투입 및 회수 장치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4381B1 (ko) * | 2014-10-01 | 2015-04-23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폐차 해체 시스템 |
CN104527842A (zh) * | 2014-12-30 | 2015-04-22 | 格林美(天津)城市矿产循环产业发展有限公司 | 报废汽车拆解上线系统 |
CN108082334A (zh) * | 2017-12-15 | 2018-05-29 | 铜陵天奇蓝天机械设备有限公司 | 报废汽车拆解流水线及应用该流水线的信息化管理系统 |
CN110539826B (zh) * | 2018-05-29 | 2022-02-18 | 英森汽车有限公司 | 报废车拆解系统 |
KR101950795B1 (ko) * | 2018-05-29 | 2019-02-21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폐차 해체 시스템 |
CN110539826A (zh) * | 2018-05-29 | 2019-12-06 | 英森汽车有限公司 | 报废车拆解系统 |
CN110539827A (zh) * | 2019-09-09 | 2019-12-06 | 湖北博控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两轮机动车拆解线 |
CN110539827B (zh) * | 2019-09-09 | 2020-09-15 | 湖北博控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两轮机动车拆解线 |
KR102156182B1 (ko) * | 2019-12-12 | 2020-09-15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 해체 시스템 |
WO2021118138A1 (ko) * | 2019-12-12 | 2021-06-17 |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 해체 시스템 |
CN113212606A (zh) * | 2021-05-07 | 2021-08-06 | 湖南文理学院 | 一种新能源汽车报废回收动力电池包自动拆卸方法及系统 |
CN114620168A (zh) * | 2022-03-24 | 2022-06-14 | 湖北博控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适应多种车型拆解轨道行走装置 |
CN114620168B (zh) * | 2022-03-24 | 2023-08-22 | 湖北博控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适应多种车型拆解轨道行走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1624B1 (ko) | 폐차 해체 시스템 | |
JP2005280682A (ja) | 廃車解体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04176153B (zh) | 退役乘用车拆解系统 | |
CN106183664B (zh) | 一种轮胎拆装车 | |
KR20120007578U (ko) | 롤러 조립장치 | |
CN207119962U (zh) | 一种履带维修装置 | |
CN204432704U (zh) | 一种车辆大型轮胎总成运输及安装的机械 | |
CN207792594U (zh) | 一种模具转运车 | |
KR101371625B1 (ko) |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 |
CN209904916U (zh) | 汽车拆解输送线 | |
CN107293979A (zh) | 互感器更换及装运辅助装置 | |
KR101825160B1 (ko) | 폐차 시스템 | |
CN205526792U (zh) | 一种厢式货车散杂件装卸装置 | |
KR101514381B1 (ko) | 폐차 해체 시스템 | |
KR101950795B1 (ko) | 폐차 해체 시스템 | |
CN109277462A (zh) | 一种大型钢管预弯模具更换装置及方法 | |
KR100938696B1 (ko) | 레일 이동식 폐차 해체장치 | |
KR20160088016A (ko) | 폐자동차 리프팅 및 견인장치 | |
CN207536389U (zh) | 汽车物流配送旋转货架 | |
CN207149988U (zh) | 互感器更换及装运辅助装置 | |
CN206406016U (zh) | 托辊快速修复装置 | |
CN107891096A (zh) | 一种用于汽车零配件的弯曲机智能换模系统 | |
CN201357830Y (zh) | 落下孔车 | |
CN205835272U (zh) | 报废汽车车门存放装置 | |
CN206901368U (zh) | 一种钢结构用快速装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