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381B1 - 폐차 해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차 해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381B1
KR101514381B1 KR1020140132527A KR20140132527A KR101514381B1 KR 101514381 B1 KR101514381 B1 KR 101514381B1 KR 1020140132527 A KR1020140132527 A KR 1020140132527A KR 20140132527 A KR20140132527 A KR 20140132527A KR 101514381 B1 KR101514381 B1 KR 101514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ogie
elevating
truck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와,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형성되는 회수통로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상기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과, 상기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형성되어 대차를 이송레일로 안내하는 전방 대차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대차 승강부는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와, 상기 전방 통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전방 통로부에 설치되고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 리프트와, 상기 승강 레일과 승강 리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 레일이 상승하여 이송레일가 일치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승강 레일의 전방을 들어올려 대차를 이송레일로 이동시키는 대차 이동유닛으로 구성되어, 대차를 자동으로 이송레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자동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폐차 해체 시스템{DISASSEMBLING SYSTEM FOR A SCRAPPED CAR}
본 발명은 폐차가 라인을 따라 이동되면서 폐차의 각종 부품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차가 안착되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를 자동으로 회수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가 매년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수명이 끝난 폐차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매우 중요하며, 부품 및 재료의 재활용을 위한사전처리가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 폐차는 약 75%정도가 중고부품 및 고철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25%는 폐차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ASR)로서 매립되고 있다.
2008년 1월 1일부터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자원순환법’이 시행되어 환경을 고려한 폐차처리시스템 및 폐차처리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향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에서도 2005년 폐차 해체 플랜트(PLANT) 시설을 설립하여 운영중이며, 폐차의 친환경처리방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그러나,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커서 국내 폐차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환경친화적인 폐차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국내 폐차장의 실정에 맞는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종래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5727(2005년 09월 30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처음 폐차 입고부터 마지막 차체 압축까지의 각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들을 한 라인상에 직렬 배치하여 설치하고, 상기 각 설비들을 따라 폐차운반용 대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이송레일을 지상에 설치하며, 최종 공정까지 폐차 운반을 완료한 대차를 지하에 구축한 피트 및 피트 내 이송레일을 통해 다시 최초 공정까지 회수하는 대차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해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별 설비들이, 해체대상부품 체크공정 →준비공정 →폭발위험부품 처리공정 →액상류 회수공정 →외장부품 해체공정 →내장부품 해체공정 →엔진/변속기/배기계/샤시부품 해체공정 →차체 압축공정의 설비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차 회수 시스템은, 대차 회수용 통로로서, 상기 이송레일 양 끝단지점에서 지하로 구축된 각 수직통로 및 지하 소정 깊이에서 상기 두 수직통로를 연결하도록 구축된 피트(pit)와, 상기 피트 내부를 따라 대차 이송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송레일과, 상기 각 수직통로 내부에서 상기 대차를 지상과 지하 피트 사이에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은 대차 회수용 통로에서 대차가 이동되도록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전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878962(2009년 01월 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폐차가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폐차를 이송하는 대차가 자동으로 회수되도록 하여 폐차 이송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폐차 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에 대차 이동유닛을 구비하여 승강레일이 이송레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면 자동으로 대차를 이송레일을 이동시킬 수 있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에 대차를 록킹하고 승강레일이 이송레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면 자동으로 대차의 록킹을 해제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자동화가 가능한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차 회수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의 속도를 자동으로 감속하여 승강레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차 해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와,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형성되는 회수통로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상기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과, 상기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형성되어 대차를 이송레일로 안내하는 전방 대차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대차 승강부는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와, 상기 전방 통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전방 통로부에 설치되고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 리프트와, 상기 승강 레일과 승강 리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 레일이 상승하여 이송레일가 일치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승강 레일의 전방을 들어올려 대차를 이송레일로 이동시키는 대차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대차 이동유닛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고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며 승강레일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승강로드 및 승강레일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로드와, 상기 제1승강로드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와, 상기 승강레일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이동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일정 두께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올라가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가 돌출부재에 올라가면 돌출부재의 두께만큼 상기 승강레일의 전방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레일에는 대차가 승강레일에 위치되면 대차를 록킹하고, 승강레일이 상승하여 이송레일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면 대차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승강레일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승강레일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대차에 걸림되고 상기 승강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고정후크와, 일단은 고정후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방 통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레일이 최대로 상승되면 상기 고정후크를 회전시켜 대차의 록킹을 해제하는 작동 와이어와, 상기 고정후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승강레일이 최대로 상승된 위치일 때 고정후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동 와이어에는 작동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장력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통로부의 상면에는 전방 통로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승강레일이 상승되면 열리고, 상기 승강레일이 하강하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통로에는 상기 대차 회수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의 속도를 감속하고 정속도로 대차를 상기 승강레일로 이동시키는 감속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유닛은 상기 회수통로의 전방측 양쪽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의 양쪽 측면과 접촉되어 대차의 속도를 감속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대차를 정속도로 승강레일로 이동시키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수통로에 설치되어 대차가 설정 위치에 도달하면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대차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가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폐차를 이송하는 대차가 자동으로 회수되도록 하여 폐차 이송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폐차 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에 대차 이동유닛을 구비하여 승강레일이 이송레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면 자동으로 대차를 이송레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승강레일에 록킹을 구비하여,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에 대차를 록킹하고 승강레일이 이송레일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면 자동으로 대차의 록킹을 해제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회수통로에 감속유닛을 구비하여 대차 회수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의 속도를 자동으로 감속하여 승강레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전방 대차 승강부의 대차 이동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이동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대차 승강부의 도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록킹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록킹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감속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감속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감속유닛의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 시스템은 폐차(510)가 안착되는 대차(10)와, 대차(10)가 이동되는 이송레일(20)과, 이송레일(20)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510)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30,32,34,36)와,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10)에서 내린 후 대차(10)를 이송레일(20)의 전방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40)을 포함한다.
부품 회수부(30,32,34,36)는 폐차 인입부(50)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510)에서 기름, 오일 등 각종 액상류를 회수하는 제1회수부(30)와, 액상류 회수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에서 타이어 및 외장부품을 해체하는 제2회수부(32)와, 제2회수부(32)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510)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킨 후 폐차(510)의 배면에 부착된 각종 배면 부품 및 엔진/변속기를 해체하는 제3회수부(34)와, 제3회수부(34)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510)의 내장부품 및 기타 나머지 부품을 회수하는 제4회수부(36)를 포함한다.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는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된 대차(10)를 이송레일(20) 전방으로 안내하는 전방 대차 승강부(50)가 설치되고,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0)의 후방에 위치된 대차(10)를 대차 회수레일(40)로 안내하는 후방 대차 승강부(60)가 설치된다.
이송레일(20)은 작업장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폐차가 고정된 대차를 이송하고, 대차 회수레일(40)은 이송레일(20)의 하측 지하에 회수통로(70)를 형성한 후 회수통로(70)에 설치되어 대차(10)를 전방으로 리턴시킨다.
이때, 대차 회수레일(40)은 대차가 대차 회수레일의 후방에 위치되면 자동으로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후방측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부(42)가 형성된다.
전방 대차 승강부(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56)와, 전방 통로부(5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되면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대차 회수레일(40)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승되면 이송레일(20)의 전방에 이송레일(20)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승강레일(52)과, 전방 통로부(56)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승강 레일이 설치되어 승강레일(5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리프트(54)와, 전방 통로부(56)의 상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 통로부(56)를 개폐하는 도어(58)를 포함한다.
승강 리프트(54)는 전방 통로부(56)의 바닥면에 힌지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82)와, 유압 실린더(82)가 연결되며 승강레일(52)의 전방 배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1승강로드(84)와, 제1승강로드(84)와 상호 교차되게 힌지 연결되고 승강레일(52)의 후방 배면에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로드(86)를 포함한다.
승강 리프트(54)와 승강레일(52) 사이에는 승강레일(52)이 상승하여 이송레일(20)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면 승강레일(52)의 후방을 들어올려주어 대차(10)를 이송레일(20)로 보내주기 위한 대차 이동유닛(80)이 설치된다.
대차 이동유닛(80)은 승강레일(52)이 상승하여 이송레일(20)과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대차(10)를 자동으로 이송레일(20)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승강로드(84)의 상단 끝부분에 형성되는 롤러(81)와, 승강레일(52)의 전방에 형성되어 롤러(81)를 구름 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87)와, 가이드부(87)에 일단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승강레일(52)이 상승하여 이송레일(20)과 서로 일치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롤러(81)가 타고 올라가면서 승강레일(52)의 전방을 들어올려주는 돌출부재(85)를 포함한다.
돌출부재(85)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고 그 일면은 가이드부(87)에 위치된 롤러(81)가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경사면(88)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대차 이동유닛(80)은 승강 리프트(54)의 제1승강로드(84)의 끝부분에 롤러(81)를 설치하고, 승강레일(52)의 후방 배면에 돌출부재(85)를 설치하여 승강 리프트(54)가 최대로 상승되는 위치가 되면 유압 실린더의 미는 힘에 의해 롤러(81)가 돌출부재(85)로 올라가고 이때 돌출부재(85)의 돌출된 두께만큼 승강레일(52)의 후방이 들려지게 되어 승강레일(52)에 위치되는 대차(10)가 자동으로 이송레일(20)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레일(52)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가 대차 회수레일(40)을 따라 이동되어 승강레일(52) 위에 도달하면 대차(10)를 정지시키는 스톱퍼(72)가 장착된다. 그리고, 승강레일(52)에는 대차(10)가 승강레일(52)의 정위치에 도달하면 대차(20)를 승강레일(52)에 록킹하고 승강레일(52)이 상승되어 이송레일(20)과 일치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대차(10)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유닛(100)이 설치된다.
록킹유닛(1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레일(52)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102)을 통과하여 승강레일(52)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대차(10)에 걸림되고 승강레일(5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후크(104)와, 일단은 전방 통로부(56)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후크(104)에 연결되어 승강레일(52)이 최대로 상승되면 고정후크(104)를 당겨주어 대차(10)의 록킹을 해제하는 작동 와이어(106)와, 고정후크(104)에 설치되어 고정후크(10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08)을 포함한다.
스프링(108)은 고정후크(104)와 승강레일(52)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후크(104)가 승강레일(52)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작동 와이어(106)는 승강레일(52)이 최대로 상승된 위치일 때 고정후크(104)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작동 와이어(106)의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장력 스프링(110)이 장착된다. 즉, 장력 스프링(110)에 의해 작동 와이어(106)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작동 와이어(106)의 길이가 변화되어도 정상적으로 고정후크(10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록킹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대차(10)가 승강레일(52)에 도착하면 고정후크(104)가 대차(10)의 하면에 걸림되어 대차(10)를 승강레일(52)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후크(104)는 스프링(108)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레일(52)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승강레일(52)이 상승하여 승강레일(52)과 이송레일(20)이 서로 일치되면 작동 와이어(106)에 의해 고정 후크(104)가 회전되면서 대차(10)의 록킹을 해제한다. 따라서, 대차(10)는 위에서 설명한 대차 이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이송레일로 이동된다.
대차 회수레일(40)은 후방측이 경사부(42)가 형성되어 대차(10)가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에 올려지면 자동으로 대차 회수레일(4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대차(10)의 속도가 빠르므로 대차(10)를 승강레일(52)에 위치시킬 때 감속시킨 후 일정 속도로 승강레일(52)에 올려져야된다. 따라서, 회수통로(70)에는 대차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유닛(120)이 구비된다.
감속유닛(12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가팅, 회수통로(70)의 전방측 양쪽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10)의 양쪽 측면과 접촉되어 대차(10)의 속도를 감속하는 회전부재(122,124)와, 회전부재(122,124)와 연결되어 회전부재(122,124)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6)와, 회수통로(70)에 설치되어 대차(10)가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구동모터(126)를 구동시키는 대차 감지센서(128)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22,124)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대차와 접촉할 때 충격을 흡수하고, 대차(10)의 속도를 감속하는 제1회전부재(122)와, 제1회전부재(122)와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어 감속된 대차(10)를 정속도로 승강레일(52)로 이동시키는 제2회전부재(12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26)의 구동축에는 제1구동풀리(130)가 장착되어 제1회전부재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1피동풀리(138)와 제1벨트(134)로 연결되고, 구동모터(126)의 구동축에는 제2구동풀리(132)가 장착되어 제2회전부재(124)의 회전축에 고정된 제2피동풀리(140)와 제2벨트(136)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감속유닛(120)은 대차(10)가 대차 회수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전장측에 도달하면 대차(10)의 속도를 감속함과 아울러 정속도로 승강레일(52)로 이동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대차 20: 이송레일
30,32,34,36: 부품 회수부 40: 회수레일
50: 전방 대차 승강부 52: 승강레일
54: 승강리프트 56: 전방 통로부
58: 도어 70: 회수통로
80: 대차 이동유닛 100; 록킹유닛
120: 감속유닛

Claims (8)

  1.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형성되는 회수통로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상기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 및
    상기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형성되어 대차를 이송레일로 안내하는 전방 대차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대차 승강부는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와,
    상기 전방 통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전방 통로부에 설치되고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 리프트와,
    상기 승강 레일과 승강 리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 레일이 상승하여 이송레일과 일치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 레일의 전방을 들어올려 대차를 이송레일로 이동시키는 대차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대차 이동유닛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고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며 승강레일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승강로드 및 승강레일의 후방에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로드와,
    상기 제1승강로드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와,
    상기 승강레일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이동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일정 두께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롤러가 올라가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가 돌출부재에 올라가면 돌출부재의 두께만큼 상기 승강레일의 전방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2. 삭제
  3.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형성되는 회수통로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상기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 및
    상기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형성되어 대차를 이송레일로 안내하는 전방 대차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대차 승강부는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와,
    상기 전방 통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전방 통로부에 설치되고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 리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레일에는 대차가 상기 승강레일에 위치되면 대차를 록킹하고, 승강레일이 상승하여 이송레일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면 대차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승강레일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승강레일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대차에 걸림되고 상기 승강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고정후크와, 일단은 고정후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방 통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레일이 최대로 상승되면 상기 고정후크를 회전시켜 대차의 록킹을 해제하는 작동 와이어와, 상기 고정후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후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승강레일이 최대로 상승된 위치일 때 고정후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동 와이어에는 작동 와이어의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장력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통로부의 상면에는 전방 통로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승강레일이 상승되면 열리고, 상기 승강레일이 하강하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7. 폐차가 안착되는 대차;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
    상기 이송레일이 형성되는 지면의 지하에 형성되는 회수통로에 설치되어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에서 내린 후 대차를 상기 이송레일의 앞쪽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 및
    상기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형성되어 대차를 이송레일로 안내하는 전방 대차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대차 승강부는 상기 이송레일 및 대차 회수레일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와,
    상기 전방 통로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를 승강하는 승강레일과,
    상기 전방 통로부에 설치되고 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 리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통로에는 상기 대차 회수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의 속도를 감속하고 정속도로 대차를 상기 승강레일로 이동시키는 감속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닛은 상기 회수통로의 전방측 양쪽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의 양쪽 측면과 접촉되어 대차의 속도를 감속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대차를 정속도로 승강레일로 이동시키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 및 제2회전부재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수통로에 설치되어 대차가 설정 위치에 도달하면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대차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
KR1020140132527A 2014-10-01 2014-10-01 폐차 해체 시스템 KR101514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27A KR101514381B1 (ko) 2014-10-01 2014-10-01 폐차 해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27A KR101514381B1 (ko) 2014-10-01 2014-10-01 폐차 해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381B1 true KR101514381B1 (ko) 2015-04-23

Family

ID=5305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527A KR101514381B1 (ko) 2014-10-01 2014-10-01 폐차 해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528B1 (ko) * 2016-12-07 2017-05-25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부품을 이용한 조형물 제조방법
US11597459B1 (en) 2018-07-20 2023-03-07 EMR (USA Holdings) Inc. Vehicle disassembly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717A (ja) * 1995-09-28 1997-06-10 Jidosha Recycle Res Center:Kk 廃自動車解体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KR19990004004A (ko) * 1997-06-27 1999-01-15 김영귀 폐자동차 해체 작업시의 대차 복귀 장치
KR101371624B1 (ko) * 2013-08-20 2014-03-07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
KR101371625B1 (ko) * 2013-08-20 2014-03-10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717A (ja) * 1995-09-28 1997-06-10 Jidosha Recycle Res Center:Kk 廃自動車解体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KR19990004004A (ko) * 1997-06-27 1999-01-15 김영귀 폐자동차 해체 작업시의 대차 복귀 장치
KR101371624B1 (ko) * 2013-08-20 2014-03-07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
KR101371625B1 (ko) * 2013-08-20 2014-03-10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528B1 (ko) * 2016-12-07 2017-05-25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부품을 이용한 조형물 제조방법
US11597459B1 (en) 2018-07-20 2023-03-07 EMR (USA Holdings) Inc. Vehicle disassembly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61065B (zh) 一种自装卸垂直升降尾板
CN103204342B (zh) 卧式自动循环工装板垂直输送机
JP2005280682A (ja) 廃車解体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71624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JP3443383B2 (ja) 使用済み自動車のリサイクル設備
CN101734306B (zh) 报废汽车拆解流水线设备
CN103661068A (zh) 一种自动装卸物流车
KR101514381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SE1351064A1 (sv) Hanteringssystem för torrt avfall
KR101873546B1 (ko) 중량물 이송 대차
CN1911765A (zh) 一种托盘式提升机的自动装卸货方法及其装置
CN112591401A (zh) 一种用于工件生产线的新型提升机
CN107161678A (zh) 一种物料自动上料和下料设备
CN106882601A (zh) 一种重盘升降输送机
CN108657839B (zh) 污泥运输系统
CN106241151B (zh) 自动装卸生活垃圾回收站
CN204038634U (zh) 轮胎拆垛机
CN110539826B (zh) 报废车拆解系统
KR101213961B1 (ko) 무한궤도용 롤러의 도장처리장치
CN107499844B (zh) 应用于热解炉上料的垃圾运输装置
CN111439540A (zh) 一种应用回转线上能自动装卸物件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144992A (zh) 横剪线双层辊筒接料车
CN214358511U (zh) 一种定位升降装置及系统
KR100656008B1 (ko) 폐차 해체용 대차 회수 시스템
CN211496511U (zh) 一种带有安全防护装置的升降货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