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625B1 -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 Google Patents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625B1
KR101371625B1 KR20130098477A KR20130098477A KR101371625B1 KR 101371625 B1 KR101371625 B1 KR 101371625B1 KR 20130098477 A KR20130098477 A KR 20130098477A KR 20130098477 A KR20130098477 A KR 20130098477A KR 101371625 B1 KR101371625 B1 KR 10137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upport plate
locking rod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7/00Systematic disassembly of vehicles for recovery of salvageable components, e.g. for 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5/00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 B66F5/04Mobile jacks of the garage type mounted on wheels or rollers with fluid-pressure-operated lifting 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6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으로 구성되어,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폐차를 안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TRANSPORT VEHICLE OF DISASSEMBLING SYSTEM FOR A SCRAPPED CAR}
본 발명은 폐차가 라인을 따라 이동되면서 폐차의 각종 부품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차가 안착되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자동차 보유대수가 매년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수명이 끝난 폐차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매우 중요하며, 부품 및 재료의 재활용을 위한사전처리가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 폐차는 약 75%정도가 중고부품 및 고철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나머지25%는 폐차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ASR)로서 매립되고 있다.
2008년 1월 1일부터 ‘전기,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자원순환법’이 시행되어 환경을 고려한 폐차처리시스템 및 폐차처리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러한 동향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에서도 2005년 폐차 해체 플랜트(PLANT) 시설을 설립하여 운영중이며, 폐차의 친환경처리방안을 위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그러나,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커서 국내 폐차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환경친화적인 폐차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설치비용이나 규모가 국내 폐차장의 실정에 맞는 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종래의 폐차 해체 시스템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878962(2009년 01월 08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물 상부에 위치하여 시스템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따라 시스템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주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기어구동부와, 상기 기어구동부 사이에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맞물리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반원형의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의 바닥면에 폐차가 안착되도록 링기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대차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차에 안착된 폐차가 구동모터로부터 기어구동부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링기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리프트에 의해 승하강된다.
하지만, 종래의 폐차 해체 시스템에서 대차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동일한 사이즈의 폐차만 안착될 수 있어 폐차의 길이 및 폭이 달라지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878962(2009년 01월 08일)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네 모서리 부위에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지지판은 프레임에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폐차를 안착시킬 수 있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와,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지판 조절유닛은 프레임의 상면에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디는 하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측에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판은 평판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축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판부와 제2판부로 구획되고, 상기 제1판부는 제2판부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측면에는 제1록킹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록킹홈에 록킹되어 바디를 고정시키는 제1록킹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록킹홈에 록킹되어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제2록킹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록킹유닛은 바디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1록킹홈에 삽입되는 제1록킹로드와, 상기 제1록킹로드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부와, 상기 제1록킹로드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1록킹로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록킹로드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1록킹로드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는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지지판은 지지판 조절유닛에 의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지지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폐차를 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제1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제2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대차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밟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처리 시스템은 폐차(100)가 안착되는 대차(10)와, 대차(10)가 이동되는 이송레일(20)과, 이송레일(20)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폐차(100)에서 부품을 순차적으로 회수하는 복수의 부품 회수부(30,32,34,36)와, 부품 회수가 마무리된 폐차를 대차(10)에서 내린 후 대차(10)를 이송레일(20)의 전방으로 리턴시키는 대차 회수레일(40)을 포함한다.
부품 회수부(30,32,34,36)는 폐차 인입부(50)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100)에서 기름, 오일 등 각종 액상류를 회수하는 제1회수부(30)와, 액상류 회수부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에서 타이어 및 외장부품을 해체하는 제2회수부(32)와, 제2회수부(32)의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100)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킨 후 폐차(100)의 배면에 부착된 각종 배면 부품 및 엔진/변속기를 해체하는 제3회수부(34)와, 제3회수부(34) 다음에 위치되어 폐차(100)의 내장부품 및 기타 나머지 부품을 회수하는 제4회수부(36)를 포함한다.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는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된 대차(10)를 이송레일(20)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1대차 승강부(50)가 설치되고,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이송레일(20)의 후방에 위치된 대차(10)를 대차 회수레일(40)로 안내하는 제2대차 승강부(60)가 설치된다.
제1대차 승강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방 통로부(56)와, 전방 통로부(56)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어 하강되면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대차 회수레일(40)과 일치되게 배치되고, 상승되면 이송레일(20)의 전방에 이송레일(20)과 일치되게 배치되는 제1승강레일(52)과, 전방 통로부(56)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1승강레일(5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승강 리프트(54)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승강 리프트(54)는 상면에 제1승강레일(52)이 고정되고,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 타입 이외에 유압 실린더 타입 등 제1승강레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이면 어떠한 리프트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1승강레일(20)의 전면 및 후면에는 대차(20)가 제1승강레일(52)에 위치되면 대차(10)의 이동을 제한하여 대차(10)를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제1안전핀(57) 및 제2안전핀(58)이 설치되고, 제1안전핀(57)은 제1승강레일(52)의 전방에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제2안전핀(58)은 제1승강레일(52)의 후방에 상측방향으로 인출되거나 제1승강레일(52)에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차(10)가 제1승강레일(52)에 위치되면 제2안전핀(58)이 인출되어 대차(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에서, 제2안전핀(58)이 인출 및 인입되는 구조는 버튼을 누르면 제2안전핀(58)이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수동으로 작업자가 인출 및 인입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대차 승강부(50)는 제1승강레일(52)이 하강된 상태로 되면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차 회수레일(40)을 따라 이동된 대차(10)가 제1승강레일(52)에 위치되면 제2안전핀(58)이 인출되어 제1승강레일(52)에 대차(1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승강 리프트(54)가 작동되면 제1승강 리프트(54)가 제1승강레일(52)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제1승강레일(52)이 이송레일(20)의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대차(10)에 폐차(100)를 안착시킨다. 이때, 폐차(100)는 지게차 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대차(10)에 폐차(100)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제2안전핀(58)이 제1승강레일(52) 내부로 인입되면 대차(10)의 록킹이 해제되어 대차(10)는 제1승강레일(52)에서 이송레일(20)로 이동된다.
대차(10)에 구동부가 설치되어 이송레일(20)을 따라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대차(10)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2대차 승강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레일(20) 및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후방 통로부(66)와, 후방 통로부(66)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승강레일(62)과, 후방 통로부(66)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제2승강레일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 리프트(64)를 포함한다.
후방 통로부(66)에는 제2승강레일(62)이 대차 회수레일(40)에 위치되면 대차를 푸시하여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유닛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은 유압 실린더 형태, 솔레노이드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대차를 푸시하는 푸시유닛(70)을 포함한다.
대차 회수레일(40)은 승강레일(20)의 설치된 지면의 아래쪽에 지하통로를 형성하고, 지하통로에 설치한다. 그리고, 대차 회수레일(40)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아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42)가 구비되어 대차 회수레일(40)에 대차(10)가 놓여지면 대차(10)가 경사면(42)을 따라 자동으로 대차 회수레일(40)을 따라 이동된다.
제2승강레일(62) 및 제2승강 리프트(64)는 위에서 설명한 제1승강레일(52) 및 제1승강 리프트(54)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제2대차 승강부(60)의 작용을 살펴보면, 이송레일(20)을 따라 이동되면서 복수의 부품 회수부를 통과하면서 모든 부품이 회수된 차체가 안착된 대차(10)가 제2승강레일(62)에 놓여지면 대차(10)에서 차체를 인출한다.
그리고, 차체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2승강 리프트(64)가 작동되어 제2승강레일(62)이 하강되어 제2승강레일(62)이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과 일치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푸시유닛(70)이 작동되어 대차(10)를 밀어주면 제2승강레일(62)에 놓여진 대차(10)는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되고,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된 대차(10)는 경사부(42)에 의해 자동으로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대차 승강부(60)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대차 승강부(60)의 구성과 동일하고, 가이드 유닛이 다른 구조를 갖는다.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가이드 유닛은 제2승강레일(62)이 대차 회수레일(40)에 위치되면 대차를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승강 리프트(64)의 각도를 조절하는 푸시바(7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푸시바(71)는 제2승강 리프트(64)가 하강하면 제2승강 리프트(64)의 전방이 후방에 비해 더 이동되도록 하여 전방을 향하여 일정 경사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제2승강 리프트(64)의 후방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2승강 리프트(64)의 상판 후방에 걸림되어 제2승강 리프트(64)의 상판이 경사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가이드 유닛은 푸시바(71) 구조 이외에 제2승강 리프트가 하강하면 제2승강 리프트의 상판 각도를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2대차 승강부(60)의 작용을 살펴보면, 이송레일(20)을 따라 이동되면서 복수의 부품 회수부를 통과하면서 모든 부품이 회수된 차체가 안착된 대차(10)가 제2승강레일(62)에 놓여지면 대차(10)에서 차체를 인출한다.
그리고, 차체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2승강 리프트(64)가 작동되어 제2승강레일(62)이 하강되어 제2승강레일(62)이 대차 회수레일(40)의 후방과 일치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푸시유닛(70)이 작동되어 대차(10)를 밀어주거나 푸시바(71)에 의해 제2승강 리프트(64)의 상판이 기울어지면 제2승강레일(62)에 놓여진 대차(10)는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되고, 대차 회수레일(40)로 이동된 대차(10)는 경사부(42)에 의해 자동으로 대차 회수레일(40)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의 상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 조절유닛의 단면도이다.
대차(10)는 이송레일(20)의 상면에 배치되는 프레임(12)과, 프레임(12)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레일(20)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14)와, 프레임(12)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100)가 안착되는 지지판(16)과, 폐차(100)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지지판(16)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80)을 포함한다.
프레임(12)은 좌측 이송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측 프레임(12a)과, 우측 이송레일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12b)과, 좌측 프레임(12a)과 우측 프레임(12b)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12c)을 포함한다.
지지판(16)은 좌측 프레임(12a)의 양단 및 우측 프레임(12b)의 양단에 배치되는 4개로 구성되고 폐차(100)가 안착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2)에는 내측방향으로 고정봉(81)이 돌출되게 장착되어 이후 공정에서 대차(10)를 승강시킬 때 리프트에 고정봉(81)이 고정되어 리프트에 대차를 고정시킨다.
지지판 조절유닛(80)은 프레임(12)의 상면에 프레임(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82)과, 슬라이드 레일(8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디(84)와, 바디(84)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에 지지판(16)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회전축(86)을 포함한다.
프레임(12)의 네 모서리에는 힌지핀(15)이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13)이 형성되고, 힌지핀(15)에는 롤러(1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힌지핀(15)의 외주면에는 베어링(18)이 장착되어 롤러(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드 레일(82)은 롤러(14)가 장착되는 프레임(12)의 상면에 볼트(88)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82)는 상면에 폭이 넓은 걸림부(90)가 형성되어 바디(84)가 걸림부(90)에 걸림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걸림부(90)의 측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록킹홈(110)이 형성된다.
바디(84)는 하측에 슬라이드 레일(82)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94)이 형성되고, 상측에 회전축(8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삽입홈(9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삽입홈(94)의 하측은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드 레일(82)의 걸림부(90)에 걸림된다.
이와 같이, 바디(84)는 슬라이드 레일(82)을 따라 대차(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므로 대차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따라서, 길이가 긴 폐차를 안착할 경우 바디(8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82)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대차(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A1)을 넓게 한다. 그리고, 길이가 짧은 폐차를 안착할 경우 바디(8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82)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대차(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A2)을 좁게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차(10)는 폐차(100)의 길이에 따라 지지판(1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길이의 폐차를 안착할 수 있다.
회전축(86)은 그 상측이 바디(84)에서 돌출되어 지지판(16)에 고정되고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제2록킹홈(11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지지판(16)은 회전축이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일측은 제1판부(114)가 형성되고, 타측은 제2판부(11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제1판부(114)의 길이(L1)의 길이는 제2판부(116)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된 두 지지판(16)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폭이 넓은 폐차를 대차(10)에 안착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짧은 제1판부(114)가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대차(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T2)을 넓힌다.
그리고, 폭이 좁은 폐차를 대차에 안착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제2판부(116)가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대차(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T1)을 좁힌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차(10)는 폐차의 폭에 따라 두 지지판(16)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폭을 갖는 폐차를 대차에 안착시킬 수 있다.
바디(84)의 일측에는 제1록킹홈(110)에 삽입되어 바디(84)를 록킹시키는 제1록킹유닛(130) 및 제2록킹홈(112)에 삽입되어 회전축(86)을 록킹시키는 제2록킹유닛(150)이 구비된다.
제1록킹유닛(130)은 바디(84)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132)과, 제1하우징(132)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1록킹홈(110)에 삽입되는 제1록킹로드(134)와, 제1록킹로드(134)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136)가 형성되어 제1하우징(132)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38)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부(135)와, 제1록킹로드(134)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1록킹로드(134)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142)과, 제1록킹로드(134)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1록킹로드(134)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레버(14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록킹유닛(130)의 작용을 살펴보면 작업자가 제1작동레버(144)를 회전시키면 제1록킹로드(134)가 회전되고, 제1록킹로드(134)에 형성된 제1나사부(135)의 숫나사부(136)가 제1하우징(132)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38)에서 나사 결합되어 회전된다. 그러면 숫나사부(136)와 암나사부(138)에 의해 제1록킹로드(134)는 후퇴되면서 제1록킹로드(134)의 일단이 제1록킹홈(110)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바디(84)의 록킹이 해제되어 바디(84)는 슬라이드 레일(82)을 따라 이동되면서 폐차(100)의 길이에 맞게 지지판(16)의 간격을 조절한다. 지지판(16)의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레버(1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록킹로드(134)가 전진되면서 슬레이드 레일(82)에 형성된 제1록킹홈(110)에 삽입되어 바디(84)를 록킹시킨다. 이때 스프링(142)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록킹로드(134)가 전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록킹로드(134)가 제1록킹홈(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록킹유닛(150)은 바디(84)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152)과, 제2하우징(152)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2록킹홈(112)에 삽입되는 제2록킹로드(154)와, 제2록킹로드(154)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158)가 형성되어 제2하우징(152)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60)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156)와, 제2록킹로드(154)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2록킹로드(154)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162)과, 제2록킹로드(154)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2록킹로드(154)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레버(16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록킹유닛(150)의 작용을 살펴보면, 제2작동레버(16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나사부(156)가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록킹레버(154)가 후퇴되면서 제2록킹홈(112)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하면 회전축(86)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회전축(86)을 회전시켜 대차(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지지판(1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지지판(16)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제2작동레버(1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나사부(156)가 조이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록킹레버(164)가 전진되면서 제2록킹레버(164)가 제2록킹홈(112)에 삽입되어 회전축(86)을 록킹시킨다. 이때, 제2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제2록킹레버(164)는 제2록킹홈(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대차 12: 프레임
14: 롤러 16: 지지판
20: 이송레일 30: 제1회수부
32: 제2회수부 34:제3회수부
36:제4회수부 40: 대차 회수레일
42: 경사부 50: 제1대차 승강부
52: 제1승강레일 54: 제1승강 리프트
56; 전방 통로부 60:제2대차 승강부
70: 푸시유닛 80: 지지판 조절유닛
82: 슬라이드 레일 84: 바디
86: 회전축 130: 제1록킹유닛
150: 제2록킹유닛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상기 프레임의 네 모서리 상면에 배치되어 폐차가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폐차의 길이 및 폭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직선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지지판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 조절유닛은 프레임의 상면에 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판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하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상측에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평판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고정되는 회전축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판부와 제2판부로 구획되고, 상기 제1판부는 제2판부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측면에는 제1록킹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록킹홈에 록킹되어 바디를 고정시키는 제1록킹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2록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2록킹홈에 록킹되어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제2록킹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유닛은 바디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1록킹홈에 삽입되는 제1록킹로드;
    상기 제1록킹로드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나사부;
    상기 제1록킹로드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1록킹로드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록킹로드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1록킹로드를 회전시키는 제1작동레버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유닛은 제1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2록킹홈에 삽입되는 제2록킹로드;
    상기 제2록킹로드의 외주면에 외경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그 외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
    상기 제2록킹로드의 외면에 감겨지게 배치되어 제2록킹로드에 일방향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록킹로드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제2록킹로드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레버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KR20130098477A 2013-08-20 2013-08-20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KR10137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477A KR101371625B1 (ko) 2013-08-20 2013-08-20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477A KR101371625B1 (ko) 2013-08-20 2013-08-20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625B1 true KR101371625B1 (ko) 2014-03-10

Family

ID=5064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477A KR101371625B1 (ko) 2013-08-20 2013-08-20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6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381B1 (ko) * 2014-10-01 2015-04-23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
CN111874128A (zh) * 2020-08-07 2020-11-03 北京华新凯业物资再生有限公司 一种柔性拆解报废小汽车的生产装置及其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597A (ko) * 1997-05-23 1998-12-05 김영귀 자동차의 이송수단
KR20070002132A (ko) * 2005-06-30 2007-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해체용 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4597A (ko) * 1997-05-23 1998-12-05 김영귀 자동차의 이송수단
KR20070002132A (ko) * 2005-06-30 2007-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해체용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381B1 (ko) * 2014-10-01 2015-04-23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 시스템
CN111874128A (zh) * 2020-08-07 2020-11-03 北京华新凯业物资再生有限公司 一种柔性拆解报废小汽车的生产装置及其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624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DE102018208905A1 (de) Hebeplattform für eine Hebevorrichtung und Hebevorrichtung
CN106494370A (zh) 解锁装置、换电移动平台和快换系统
KR101371625B1 (ko) 폐차 해체 시스템의 대차
CN104218481B (zh) 宽度、高度可调的真空断路器转运车
CN104527617A (zh) 一种液压工具车
EP1661847A1 (de) Flurförderzeug mit einer bewegbaren Aufstandsfläche für einen Batterieblock
CN205739506U (zh) 夹砖装置
CN104338883B (zh) 车轮旋转锻造压力机装卸模具小车
RU2630094C2 (ru) Способ замены верхнего штампа гибочного пресса и каретка верхнего штампа
CN105730982A (zh) 汽车门锁扣生产线的送料检测装置
CN206885955U (zh) 一种轿厢及码垛机
CN105857787A (zh) 一种打包机
KR20160088016A (ko) 폐자동차 리프팅 및 견인장치
KR101384678B1 (ko)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CN214059755U (zh) 轨道车辆抽拉式底板辅助安装车
KR101514381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CN205703449U (zh) 电梯导轨全自动金加工输送线
CN207861242U (zh) 一种用于汽车底盘流水运载的可升降轨道车
CN210881854U (zh) 一种电力线路警告牌专用车载支架
CN204657145U (zh) 一种自动锁紧式拉丝机砂盒固定结构
CN103663162B (zh) 一种用于车间工位处的轨道升降装置
KR101950795B1 (ko) 폐차 해체 시스템
CN104400376A (zh) 用于运输及更换工件的装置
CN105922006B (zh) 一种装配柜机空调外壳的装置及装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