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316B1 -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316B1
KR101371316B1 KR1020120027309A KR20120027309A KR101371316B1 KR 101371316 B1 KR101371316 B1 KR 101371316B1 KR 1020120027309 A KR1020120027309 A KR 1020120027309A KR 20120027309 A KR20120027309 A KR 20120027309A KR 101371316 B1 KR101371316 B1 KR 10137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leaves
plums
plu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138A (ko
Inventor
김용두
박종국
이중원
이아름
김소망
김대식
김기만
유태경
최병국
송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롬
Priority to KR102012002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31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근 알콜질환 및 간질환에 대한 효과와 활력유지 및 피로회복에 그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헛개나무 잎과 매실을 이용하여 헛개나무 잎과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에 사과 농축액과 구연산을 배합한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건강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everage composition containing saccharid extracts extracted from leaf of Hovenia dulcis Thunberg and Prunus Mu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에 사과 농축액과 구연산을 배합하여 알콜 질환, 간질환 및 피로 회복 등 건강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헛개나무는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의 산 중턱 이하 숲에서 자란다. 낙엽교목,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3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잎의 길이는 10-20㎝, 폭은 6-14㎝이다. 꽃은 취산화서로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붙고, 화서의 길이는 4-6㎝이며, 희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삼각형이고, 꽃잎은 5장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비틀린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갈색이며, 자루(꼭지)는 울퉁불퉁한 육질로 단맛이 난다. 헛개나무를 이용한 민간요법으로 열병으로 번열(煩熱) 증상이 있는 것을 치료하고, 딸꾹질과 구토에도 효력을 나타내며, 소변을 잘 못 볼 때, 알코올 중독에 유효하고, 간질환 치료제로 널리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헛개나무는 민간요법으로 잎, 줄기 및 열매로 만든 차가 주독제거와 과음 시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황달, 지방간, 간경화증, 위장병 및 대장염 등의 간 기능 보호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전해지는데, 이는 헛개나무 열매의 알코올 분해능과 간 해독작용에 대한 연구가 그 효능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헛개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분확물은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발암물질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으며{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1), 1371∼1376(2007)}, 또한 헛개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은 생체 내에서 자유기로 인해 야기되는 간장의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 569∼573(2009)}.
매실은 매화나무의 열매이며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이 나무의 핵과를 매실이라 한다. 매실은 본초강목, 명의별록 등의 각종 한의서에 만성기침, 하열에 의한 가슴의 열기나 목마름, 오랜 학질, 만성설사, 치질, 혈변, 혈뇨, 회충에 의한 급성복통이나 구토 등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까지 매실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항산화성, 항혈전, 아질산염 소거작용, 피로회복, 간기능 개선 효과 등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기전을 바탕으로 매실은 활력유지, 피로회복 등에 효과를 가진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Journal of Life Science 2010 Vol. 20. No. 1. 49-45).
또한, 인체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음식을 섭취하게 되고, 섭취된 음식은 신체 내로 흡수되어 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신체 내에서는 여러 화학적 작용을 거치게 되며,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영얄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은 이러한 화학 작용 중 citric acid cycle을 거치게 된다. 이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는데 필수적인 것이 citric acid(구연산)이다. 만약 citric acid cycle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는다면 혈중 젖산이 축적되어 피로유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헛개나무 중 그 잎과 매실로부터 당 추출액을 제조하고 citric acid cycle 활성화 물질인 구연산과 사과농축액을 배합하여 얻어지는 음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헛개나무 잎 및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잎 및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는 헛개나무 잎과 매실 및 설탕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일간 침출하고 여과하여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얻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에 대하여 정제수, 사과농축액, 설탕, 구연산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제2단계로부터 얻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최근 알콜질환 및 간질환에 대한 효과와 활력유지 및 피로회복에 그 효능이 확인되고 있는 헛개나무 잎과 매실을 이용하여 헛개나무 잎과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에 사과 농축액과 구연산을 배합한 음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건강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잎 및 매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는 헛개나무 잎과 매실 및 설탕을 중량비로 3 : 7 : 10로 혼합하고 상온(25℃)에서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얻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에 대하여 정제수, 사과농축액, 설탕, 구연산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 혼합 조성비로서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 20ml에 대하여 정제수가 200ml, 사과농축액이 2ml, 설탕이 5g, 구연산이 0.2g의 조성량 비로 혼합하는 제2단계; 제2단계로부터 얻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1)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의 제조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은 표 1과 같은 비율로 헛개나무 잎과 매실 및 설탕을 중량비로 3 : 7 : 10으로 혼합한 후 상온(25℃)에서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당 추출액 제조 배합비
헛개나무 잎 매실 설탕
300g 700g 1000g
(2) 음료의 조성
본 발명의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조성 배합의 선택을 위한 시험대상으로 표 2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후, 표 3과 같은 당추출액 희석비율 결정을 위한 관능평가를 통하여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조성비 음료로서, 헛개나무 잎과 매실을 30 : 70의 비율로 하여 얻어진 당 추출액을 한 대상 C를 본 발명의 음료의 조성으로 채택하였다.
Figure 112013084046482-pat00002
당 추출액 희석 비율 결정을 위한 관능평가 결과
구분 종합 기호도

헛개30%:매실70%
A 3.6 3.4 3.8 3.7
B 3.6 3.5 3.7 3.6
C 3.5 3.6 4.2 4.2
D 3.5 3.5 4.0 3.9
(3) 음료의 일반 성분 분석 ( % )
구분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당도(Brix)
헛개 30% : 매실 70% 87.39 0.01 0.02 10
(4) 음료의 유리당 함량 ( % )
구분 과당 포도당 설탕 총 당
헛개 30% : 매실 70% 2.34 2.85 3.12 8.31
(5) 음료의 유기산 함량 (mg%)
구분 옥살산 주석산 사과산 초산 구연산 총산
헛개 30% : 매실 70% 6.94 37.53 76.52 3.84 160.56 285.39
(6) 음료의 조사포닌 함량 (mg%)
구분 조사포닌
헛개 30% : 매실 70% 113.72
(7) 음료의 비타민 C 함량 (mg%)
구분 비타민 C
헛개 30% : 매실 70% 0.12

Claims (5)

  1. 헛개나무 잎과 매실 및 설탕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정제수, 사과농축액, 설탕, 구연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헛개나무 잎과 매실 및 설탕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3 : 7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 20ml에 대하여 정제수가 200ml, 사과농축액이 2ml, 설탕이 5g, 구연산이 0.2g의 조성량 비로 혼합되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5. 헛개나무 잎과 매실 및 설탕을 중량비로 3 : 7 : 10로 혼합하고 상온에서 30일간 침출한 후 여과하여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얻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에 대하여 정제수, 사과농축액, 설탕, 구연산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그 혼합 조성비로서 헛개나무 잎 및 매실의 당 추출액 20ml에 대하여 정제수가 200ml, 사과농축액이 2ml, 설탕이 5g, 구연산이 0.2g의 조성량의 비로 혼합하는 제2단계;
    제2단계로부터 얻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살균 및 포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27309A 2012-03-16 2012-03-16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7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309A KR101371316B1 (ko) 2012-03-16 2012-03-16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309A KR101371316B1 (ko) 2012-03-16 2012-03-16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138A KR20130105138A (ko) 2013-09-25
KR101371316B1 true KR101371316B1 (ko) 2014-03-12

Family

ID=4945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309A KR101371316B1 (ko) 2012-03-16 2012-03-16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713B1 (ko) * 2021-12-28 2023-11-17 슬로푸드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숙성매실을 활용한 매실음료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403A (ko) * 1996-05-20 1997-12-10 구형우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00139402A (ja) 1998-11-04 2000-05-23 Oju Seiyaku:Kk 植物発酵食品
KR100421586B1 (ko) 2002-03-05 2004-03-09 김형대 미나리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070083155A (ko) * 2006-06-21 2007-08-23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403A (ko) * 1996-05-20 1997-12-10 구형우 헛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2000139402A (ja) 1998-11-04 2000-05-23 Oju Seiyaku:Kk 植物発酵食品
KR100421586B1 (ko) 2002-03-05 2004-03-09 김형대 미나리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070083155A (ko) * 2006-06-21 2007-08-23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138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Akintola et al. Nutritional and medicinal importance of Tetrapleura tetraptera fruits (Aridan)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1868823B1 (ko) 경옥고에 꽃송이버섯이 포함된 꽃송이홍삼수옥고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40034620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71316B1 (ko)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4356B1 (ko) 새콤달콤한 동백꽃 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309486B1 (ko) 여주 및 뽕잎을 포함하는 당뇨병, 고혈압 예방 및 개선 작용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KR1023051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식품용 샐러드
KR10240464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에 좋은 식품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50025545A (ko) 비타민나무 과즙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350222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090050931A (ko) 동백(冬柏)꽃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5458B1 (ko) 항암작용을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470454B1 (ko) 돌외잎 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2962B1 (ko)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30031560A (ko)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줄기새순 및 갈화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90050930A (ko) 동백(冬柏)나무잎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