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280B1 -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 Google Patents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280B1
KR101368280B1 KR1020120044196A KR20120044196A KR101368280B1 KR 101368280 B1 KR101368280 B1 KR 101368280B1 KR 1020120044196 A KR1020120044196 A KR 1020120044196A KR 20120044196 A KR20120044196 A KR 20120044196A KR 101368280 B1 KR101368280 B1 KR 10136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ase
case part
moving
spac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944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28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16Special arrangements of articles in storage sp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는: 제1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내측에 제1공간이 구비되는 제1이동케이스부와, 제1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내측에 제2공간이 구비되는 제2이동케이스부 및 제2이동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이동케이스부의 내측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제1이동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REMOVABLE STORAGE FOR KEEPING PRODUCTS}
본 발명은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에 적재되어 있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생산된 제품은 부두로 이송된 후, 선박에 선적되기 전에 부두에 적치된다.
부두에 적치된 제품에 비나 눈이 내리면, 수분에 의해 제품이 산화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제품들은 고정형 창고의 내부로 이동되어 비나 눈으로부터 차단되므로, 제품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07752호(1999.01.2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식 이동 작업대를 이용한 자동창고 및 운영체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부두에 적재되어 있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는: 제1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내측에 제1공간이 구비되는 제1이동케이스부와, 제1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내측에 제2공간이 구비되는 제2이동케이스부 및 제2이동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이동케이스부의 내측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제1이동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이동케이스부는, 하측과 양측이 개구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제1몸체와, 제1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휠 및 구동휠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주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동케이스부는, 제1몸체의 개구된 측면을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가 작동축의 외측에 권선되어 보관이 이루어지는 보관부재 및 작동축과 체인부재로 연결되어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권선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동케이스부는, 제1이동케이스부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1지지부재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실린더 및 제1실린더에서 연장되어 제1고정홈에 삽입되는 제1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이동케이스부는, 하측과 양측이 개구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제2몸체와, 제2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제2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실린더 및 제2실린더에서 연장되어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동안내부는, 제2이동케이스부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안내몸체 및 제1안내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내측에 제3공간이 구비되는 제3이동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는, 제품이 적재된 위치로 제1이동케이스부와 제2이동케이스부 및 제3이동케이스부가 이동하여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창고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동케이스부와 제2이동케이스부 및 제3이동케이스부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제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케이스부가 제2이동케이스부의 외측에 겹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케이스부와 제2이동케이스부가 제3이동케이스부의 외측에 겹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가 제품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두에 설치되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케이스부가 제2이동케이스부의 외측에 겹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케이스부와 제2이동케이스부가 제3이동케이스부의 외측에 겹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가 제품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1)는, 제1레일(10)을 따라 이동하며 내측에 제1공간(24)이 구비되는 제1이동케이스부(20)와, 제1공간(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내측에 제2공간(64)이 구비되는 제2이동케이스부(60) 및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이동케이스부(20)의 내측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제1이동안내부(80)를 포함한다.
제품(16)이 놓여져 있는 부두를 따라 제1레일(10)과 제2레일(12) 및 제3레일(14)이 설치된다.
제1레일(10)과 제2레일(12) 및 제3레일(14)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레일(10)의 폭보다 제2레일(12)의 폭이 좁고, 제2레일(12)의 폭보다 제3레일(14)의 폭이 좁다.
따라서, 제1레일(10)의 내측에 제2레일(12)이 설치되며, 제2레일(12)의 내측에 제3레일(14)이 설치된다.
제1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동케이스부(20)의 내측에는 제품(16)을 보관하기 위한 제1공간(24)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케이스부(20)는, 하측과 양측이 개구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제1몸체(22)를 구비한다.
제1몸체(2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휠(28)은, 제1몸체(22)의 하측에 복수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1몸체(22)의 하측에 휠케이스(30)가 설치되며, 휠케이스(30)의 내측에는 구동휠(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휠케이스(30)에 고정되는 주행구동부(34)는, 구동휠(3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구동휠(3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구동부(34)는, 전원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모터(38) 및 주행모터(38)와 구동휠(32)의 사이에 설치되며 주행모터(38)의 회전을 감속시켜 구동휠(32)로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3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이동케이스부(20)의 양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내측에 있는 제1공간(24)으로 외부의 빗물 등이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해, 제1몸체(22)의 일측(도 2 기준 우측)에는 커버부재(40)가 설치된다.
커버부재(40)는, 제1몸체(22)의 개구된 측면을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차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몸체(22)의 내측에는 작동축(44)을 구비한 보관부재(42)가 설치되며, 커버부재(40)는 작동축(44)의 외측에 권선되어 보관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축(44)은 체인부재(48)에 의해 권선모터(46)와 연결되므로, 권선모터(46)의 동작시 작동축(44)도 함께 회전하여 커버부재(40)를 이동시킨다.
권선모터(46)의 동작으로 상하 이동하는 커버부재(40)는, 제1몸체(22)의 개구된 측면을 개폐한다.
제1이동케이스부(2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1이동케이스부(20)의 측면으로 제1지지부재(50)가 돌출되며, 이러한 제1지지부재(50)에 종 방향(도 2 기준)으로 제1실린더(5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실린더(52)에 구비된 제1로드(54)는, 제1실린더(52)에서 연장되어 부두에 형성된 제1고정홈(56)에 삽입되므로, 제1이동케이스부(20)의 이동이 구속된다.
제1실린더(52)는 유압이나 공압의 공급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전기의 공급만으로도 제1실린더(52)가 동작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직선구동장치가 제1실린더(52)로 사용될 수 있다.
제1공간(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이동케이스부(60)는, 제품(16)을 보관하기 위한 제2공간(64)이 내측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케이스부(60)는, 하측과 양측이 개구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제2몸체(62)를 구비한다.
제2몸체(6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휠(69)은, 제2몸체(62)의 하측에 복수로 구비된다.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측면으로 제2지지부재(70)가 돌출되며, 이러한 제2지지부재(70)에 종 방향으로 제2실린더(7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실린더(72)에 구비된 제2로드(74)는, 제2실린더(72)에서 연장되어 부두에 형성된 제2고정홈(76)에 삽입되므로,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이동이 구속된다.
제2실린더(72)는 유압이나 공압의 공급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전기의 공급만으로도 제2실린더(72)가 동작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직선구동장치가 제2실린더(72)로 사용될 수 있다.
제2이동케이스부(60)가 제1이동케이스부(20)의 내측을 따라 이동될 때,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외측면이, 제1이동케이스부(20)의 내측면이 접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하기 위해,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외측에 제1이동안내부(80)가 설치된다.
제1이동안내부(80)는, 제1이동케이스부(20)와 겹쳐지는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이동케이스부(20)의 내측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마찰저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안내부(80)는,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안내몸체(82) 및 제1안내몸체(8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부재(84)를 포함한다.
제2공간(6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3이동케이스부(90)는, 제품(16)을 보관하기 위한 제3공간(92)이 내측에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이동케이스부(90)는, 하측과 양측이 개구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제3몸체(91)를 구비한다.
제3몸체(9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회전휠(94)은, 제3몸체(91)의 하측에 복수로 구비된다.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측면으로 제3지지부재(100)가 돌출되며, 이러한 제3지지부재(100)에 종 방향으로 제3실린더(10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3실린더(102)에 구비된 제3로드(104)는, 제3실린더(102)에서 연장되어 부두에 형성된 제3고정홈(106)에 삽입되므로,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이동이 구속된다.
제3이동케이스부(90)가 제2이동케이스부(60)의 내측을 따라 이동될 때,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외측면이, 제2이동케이스부(60)의 내측면이 접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저감하기 위해,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외측에 제2이동안내부(96)가 설치된다.
제2이동안내부(96)는, 제2이동케이스부(60)와 겹쳐지는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이동케이스부(60)의 내측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마찰저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안내부(96)는,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안내몸체(97) 및 제2안내몸체(9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부재(98)를 포함한다.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1)의 내측에 보관되는 제품(16)의 양과 보관위치에 따라서, 제3이동케이스부(90)에 다른 이동케이스부가 연이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40)가 보관부재(42)의 내측에 보관된 상태에서, 제품(16)이 놓여있는 위치로 제1이동케이스부(20)와 제2이동케이스부(60) 및 제3이동케이스부(90)가 이동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케이스부(20)와 제2이동케이스부(60) 및 제3이동케이스부(90)가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로드(54,74,104)가 제1,2,3고정홈(56,76,106)에 삽입되어, 제1,2,3이동케이스부(20,60,90)의 이동을 구속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케이스부(20)가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외측을 감싸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이동케이스부(20)의 타측(이하 도 2기준 좌측)은 제2이동케이스부(60)의 타측에 돌출된 제2지지부재(70)에 걸린다. 따라서, 제2이동케이스부(60)가 제1이동케이스부(20)의 내측에 완전히 인입됨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케이스부(60)가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외측을 감싸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이동케이스부(60)의 타측(이하 도 2기준 좌측)은 제3이동케이스부(90)의 타측에 돌출된 제3지지부재(100)에 걸린다. 따라서, 제3이동케이스부(90)가 제2이동케이스부(60)의 내측에 완전히 인입됨을 방지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케이스부(20)가 제2이동케이스부(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이동케이스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내측걸림턱(26)이, 제2이동케이스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외측걸림턱(66)에 걸린다. 따라서, 제1이동케이스부(20)가 일측(이하 도 2기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외측걸림턱(66)이 제1내측걸림턱(26)에 걸리므로, 제2이동케이스부(60)도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이동케이스부(60)가 제3이동케이스부(9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이동케이스부(60)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내측걸림턱(68)이, 제3이동케이스부(9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3외측걸림턱(93)에 걸린다. 따라서, 제2이동케이스부(60)가 일측(이하 도 2기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외측걸림턱(93)이 제2내측걸림턱(68)에 걸리므로, 제3이동케이스부(90)도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1)는, 제품(16)이 적재된 위치로 제1이동케이스부(20)와 제2이동케이스부(60) 및 제3이동케이스부(90)가 이동하여 제품(16)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제품(16)을 창고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케이스부(20)와 제2이동케이스부(60) 및 제3이동케이스부(90)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제품(16)이 보관되는 공간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부두에 설치되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장소에 놓여있는 제품의 저장 및 보관에도 본 발명에 의한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10: 제1레일 12: 제2레일
14: 제3레일 16: 제품
20: 제1이동케이스부 22: 제1몸체
24: 제1공간 26: 제1내측걸림턱
28: 제1회전휠 30: 휠케이스
32: 구동휠 34: 주행구동부
36: 변속기 38: 주행모터
40: 커버부재 42: 보관부재
44: 작동축 46: 권선모터
48: 체인부재 50: 제1지지부재
52: 제1실린더 54: 제1로드
56: 제1고정홈 60: 제2이동케이스부
62: 제2몸체 64: 제2공간
66: 제2외측걸림턱 68: 제2내측걸림턱
69: 제2회전휠 70: 제2지지부재
72: 제2실린더 74: 제2로드
76: 제2고정홈 80: 제1이동안내부
82: 제1안내몸체 84: 제1롤러부재
90:제3이동케이스부 91: 제3몸체
92: 제3공간 93: 제3외측걸림턱
94: 제3회전휠 96: 제2이동안내부
97: 제2안내몸체 98: 제2롤러부재
100: 제3지지부재 102: 제3실린더
104: 제3로드 106: 제3고정홈

Claims (7)

  1. 제1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내측에 제1공간이 구비되는 제1이동케이스부;
    상기 제1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내측에 제2공간이 구비되는 제2이동케이스부; 및
    상기 제2이동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이동케이스부의 내측에 접하여 구름운동을 제공하는 제1이동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케이스부는, 상기 제1이동케이스부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실린더; 및
    상기 제1실린더에서 연장되어 제1고정홈에 삽입되는 제1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안내부는, 상기 제2이동케이스부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1안내몸체; 및
    상기 제1안내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케이스부는, 하측과 양측이 개구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제2몸체;
    상기 제2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에서 연장되어 제2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케이스부는, 하측과 양측이 개구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휠; 및
    상기 구동휠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주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케이스부는, 상기 제1몸체의 개구된 측면을 개폐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가 작동축의 외측에 권선되어 보관이 이루어지는 보관부재; 및
    상기 작동축과 체인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는 권선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간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내측에 제3공간이 구비되는 제3이동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KR1020120044196A 2012-04-26 2012-04-26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KR10136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196A KR101368280B1 (ko) 2012-04-26 2012-04-26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196A KR101368280B1 (ko) 2012-04-26 2012-04-26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944A KR20130120944A (ko) 2013-11-05
KR101368280B1 true KR101368280B1 (ko) 2014-03-03

Family

ID=4985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196A KR101368280B1 (ko) 2012-04-26 2012-04-26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48A (ko) * 2018-12-05 2020-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확장형 클린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312B1 (ko) * 2018-11-02 2019-10-28 (주)에이티엘 이동식 벽체
KR102529257B1 (ko) * 2021-11-16 2023-05-10 주식회사 아스카프리컷 공간 확장형 퍼걸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05U (ja) * 1991-08-01 1994-05-13 尚生 犬束 簡易倉庫型空間形成構造体
JPH07324502A (ja) * 1994-05-31 1995-12-12 Kotobuki:Kk 伸縮式階段状観覧席のスライド式サイドパネル
JP2001003660A (ja) * 1999-06-23 2001-01-09 Kyushu Fujisash Co Ltd シャッター
KR200447060Y1 (ko) * 2009-08-14 2009-12-21 (주)휴머니 도어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05U (ja) * 1991-08-01 1994-05-13 尚生 犬束 簡易倉庫型空間形成構造体
JPH07324502A (ja) * 1994-05-31 1995-12-12 Kotobuki:Kk 伸縮式階段状観覧席のスライド式サイドパネル
JP2001003660A (ja) * 1999-06-23 2001-01-09 Kyushu Fujisash Co Ltd シャッター
KR200447060Y1 (ko) * 2009-08-14 2009-12-21 (주)휴머니 도어 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48A (ko) * 2018-12-05 2020-06-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확장형 클린 텐트
KR102184657B1 (ko) * 2018-12-05 2020-11-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확장형 클린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944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8667B2 (ja) タイヤ挟持装置とそれを備えた自動車搬送装置
KR101368280B1 (ko)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WO2018214673A1 (zh) 分拣型自动导引运输车
ITTO20110599A1 (it) Stazione per il carico e lo scarico di cassoni portapezzi
CN203863293U (zh) 一种变速器辅助装配装置
KR101296731B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 천막장치
KR101455296B1 (ko) 풀인 윈치 시스템
JP2009007170A (ja) ヘッドブロックおよびこのようなヘッドブロックを備えるコンテナクレーン
KR200471318Y1 (ko) 캠핑카
KR101579685B1 (ko) 화물차량용 윙바디
CN205312568U (zh) 转盘过渡式双向装卸机
AU2004276114B2 (en) Cab slide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CN109956425A (zh) 一种用于叉车的固定装置
JP2011189849A (ja) 運搬装置
KR20210004531A (ko) 윙바디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 개폐장치
CN203079234U (zh) 运纸车
KR101252985B1 (ko)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102368663B1 (ko) 크레인용 와이어 가이딩 장치
KR101703893B1 (ko) 고강도 섬유시트를 이용한 커튼식 밀폐형 적재함 덮개
CN104229630B (zh) 用于岸桥小车的横向平移系统
CN204079284U (zh) 用于岸桥小车的横向平移系统
KR101536911B1 (ko) 연속식 하역기
CN204098575U (zh) 摆动式摩擦轮驱动机构及装有该驱动机构的立体停车设备
KR101440242B1 (ko) 염색기용 원단 배출 장치
JP5524007B2 (ja) 給電ケーブル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