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312B1 - 이동식 벽체 - Google Patents

이동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312B1
KR102037312B1 KR1020180133501A KR20180133501A KR102037312B1 KR 102037312 B1 KR102037312 B1 KR 102037312B1 KR 1020180133501 A KR1020180133501 A KR 1020180133501A KR 20180133501 A KR20180133501 A KR 20180133501A KR 102037312 B1 KR102037312 B1 KR 10203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nel member
closing
side pane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석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엘 filed Critical (주)에이티엘
Priority to KR102018013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7Partitions constituted of slid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55Wheeled arch-typ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특정 공간에 설치되어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동식 벽체에 있어서, 천장 및 양측벽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성되고, 경첩에 의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면서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벽체{A MOBILE WALL}
본 발명은 이동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벽체는 특정 공간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필요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공개특허 2006-0001163호에 의해 알려진 이동식 벽체는 건물의 천장과 바닥에 각각 레일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복수 개의 벽체 패널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며, 복수 개의 벽체 패널은 슬라이딩 구동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벽체는 건물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어, 건물 내부의 특정 공간을 분할하는 비내력벽에 해당할 뿐, 건물 외부의 공간 등에서 새로운 공간을 구성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천장 및 양측벽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로 구성되는 측면부 및 측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폐쇄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고, 폐쇄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새롭게 형성된 공간의 개폐가 가능한 이동식 벽체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동식 벽체는 천장 및 양측벽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성되고, 경첩에 의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면서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폐쇄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측면부는, 천장 및 천장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양측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겹겹이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펼쳐지는 경우, 일직선상의 계단 형태로 배치되며, 내측에 겹쳐지는 다른 측면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는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와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 중 상기 측면부가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가장 전방에 배치되는 폐쇄 패널 부재가 구성하는 천장 부분에는 상기 폐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폐쇄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 상측면의 전체 너비 길이 중 중간 지점에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폐쇄 레일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폐쇄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공간을 자유자재로 변경 또는 형성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측면부 및 폐쇄부의 이동 동작이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시스템 자체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바닥에 별도의 레일이 필요하지 않아 기능적인 측면과 실용적인 측면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내측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폐쇄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폐쇄부가 일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는 도 6의 촬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지주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6의 지주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는 측면부(100) 및 폐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는 특정 공간에 설치되어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한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면부(100) 및 폐쇄부(200)는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는 도 1과 같이 일측이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측면부(100)는 도 1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양측벽 및 천장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폐쇄부(200)는 도 1을 기준으로 양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어 측면부(100)와 후측 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측면부(100)는 제1 측면 패널 부재(11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측면부(100)가 제1 측면 패널 부재(11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의 7 개의 패널 부재로 구성됨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측면부(100)의 개수는 이동식 벽체(1000)의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측면 패널 부재(11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각각 천장 및 천장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양측벽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대략 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 부재(11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겹겹이 겹쳐질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부(100)는 도 1과 같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측면 패널 부재(110)의 내측에 제2 측면 패널 부재(120)가 겹쳐지고, 제2 측면 패널 부재(120)의 내측에 제3 측면 패널 부재(130)가 겹쳐지고, 제3 측면 패널 부재(130)의 내측에 제4 측면 패널 부재(140)가 겹쳐지고, 제4 측면 패널 부재(140)의 내측에 제5 측면 패널 부재(150)가 겹쳐지고, 제5 측면 패널 부재(150)의 내측에 제6 측면 패널 부재(160)가 겹쳐지며, 제6 측면 패널 부재(160)의 내측에 제7 측면 패널 부재(170)가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 부재(110)의 일측은 내력벽에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제2 측면 패널 부재(12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사용자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제1 측면 패널 부재(110) 및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일직선상의 계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측면 패널 부재(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2 측면 패널 부재(12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에 전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2 측면 패널 부재(12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펼쳐지면서 양측벽면 및 천장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 부재(11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완전히 펼쳐져서 도 2와 같이 서로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경우, 각 패널 부재 사이에 틈(gap)이 발생하지 않도록 맞물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면 패널 부재(110) 내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각각 레일 및 롤러 부재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6 측면 패널 부재(160)를 대표적으로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측면 패널 부재(120) 내지 제6 측면 패널 부재(160)는 동일하게 레일 및 롤러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 부재는 내측에 겹쳐지는 다른 측면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고, 롤러 부재는 레일 부재와 맞물려 측면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제2 측면 패널 부재(120) 내지 제6 측면 패널 부재(160)는 동일하게 레일 및 롤러 부재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1 측면 패널 부재(110)는 내력벽에 설치 고정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2 측면 패널 부재(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는 레일 부재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7 측면 패널 부재(170)는 내측에 겹쳐지는 다른 측면 패널 부재가 없으므로 제7 측면 패널 부재(17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 부재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내측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6 측면 패널 부재(160)는 측면 패널(161), 측면 프레임(162), 레일(163), 하부 브라켓(164) 및 롤러(16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패널(161)은 평평한 사각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 프레임(162)은 측면 패널(161)의 변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164)은 레일(163) 및 롤러(165)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브라켓(164)은 바닥면과 마주하는 측면 프레임(162)의 하단면과 대응되어, 측면 프레임(162)의 하단면에 설치되며, 측면 패널(161)과의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브라켓(164)은 측면 패널(161)에 의한 공간 형성 시, 측면 패널(161)의 하단부에서 공간 내측으로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브라켓(164)은 본 발명의 이동식 벽체(1000)의 설치 시, 바닥면과 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벽체(1000)는 레일(163) 및 롤러(165)가 마련되는 하부 브라켓(164)에 의해 이동식 벽체(100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레일이 불필요하며, 이로 인해 이동식 벽체(100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도 노출되는 레일로 인하여 겪게 되는 통행상의 각종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는다.
레일(163)은 하부 브라켓(164)의 상부면에 형성되는데, 측면 패널(16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브라켓(164)은 레일(163)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내측에 겹쳐지는 다른 측면 패널 부재를 구성하는 측면 패널 및 측면 프레임의 안착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턱부의 상단면 일측으로부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브라켓(164)은 결합부를 통해 측면 프레임(162)의 하단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단턱부는 바닥에 위치하게 된다. 즉, 측면 프레임(162) 및 측면 패널(161)의 하단부는 하부 브라켓(164)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부상될 수 있으며, 외측에 겹쳐지는 다른 측면 패널 부재를 구성하는 하부 브라켓의 단턱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단턱부에는 측면 패널(161)의 슬라이딩 이동 시(후방 이동), 이동식 벽체(1000)가 설치되는 내벽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165)는 레일(163)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데, 결합부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결과적으로는 측면 프레임(162)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롤러(165)은 외측에 겹쳐지는 다른 측면 패널 부재를 구성하는 하부 브라켓의 레일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6 측면 패널 부재(160)는 이와 같이 레일(163) 및 롤러(165)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천장 및 양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폐쇄부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폐쇄부가 일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폐쇄부(200)는 폐쇄 레일(201), 제1 폐쇄부(202) 및 제2 폐쇄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폐쇄부(202)는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를 포함하고, 제2 폐쇄부(203)는 제5 폐쇄 패널 부재(250) 내지 제8 폐쇄 패널 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폐쇄부(202) 및 제2 폐쇄부(203)가 각각 4 개의 패널 부재로 구성됨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폐쇄부(202) 및 제2 폐쇄부(203)를 구성하는 패널 부재의 개수는 측면부(100)가 구성하는 천장의 너비, 이동식 벽체(1000)의 설치 장소,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폐쇄 레일(201)은 측면부(100)가 형성하는 천장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폐쇄부(202) 및 제2 폐쇄부(203)는 폐쇄 레일(201)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성되고, 폐쇄 레일(201)을 따라 양측으로 이격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접힐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폐쇄부(202)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폐쇄부(202) 및 제2 폐쇄부(203)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제1 폐쇄 패널 부재(210)는 제8 폐쇄 패널 부재(280)와 대응되고, 제2 폐쇄 패널 부재(220)는 제7 폐쇄 패널 부재(270)와 대응되고, 제3 폐쇄 패널 부재(230)는 제6 폐쇄 패널 부재(260)와 대응되며, 제4 폐쇄 패널 부재(240)는 제5 폐쇄 패널 부재(250)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폐쇄부(202)는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방시키고, 제2 폐쇄부(203)는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측면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를 참조하면, 폐쇄 레일(201)은 제7 측면 패널 부재(170)에 형성될 수 있다. 폐쇄 레일(201)은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 부재 중, 측면부(100)가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가장 전방에 배치되는 패널 부재인 제7 측면 패널 부재(170)가 구성하는 천장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폐쇄부(202)는 롤러에 의해 폐쇄 레일(201)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폐쇄 레일(201)은 제1 폐쇄부(202)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롤러를 구속할 수 있는 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폐쇄부(202)는 폐쇄 레일(201)을 따라 도 5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측면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의 길이는 제7 측면 패널 부재(170)가 구성하는 양측벽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의 전체 너비는 제7 측면 패널 부재(170)가 구성하는 천장 길이의 대략 절반일 수 있다. 이때, 제1 폐쇄 패널 부재(210)의 너비는 제2 폐쇄 패널 부재(22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의 너비의 대략 절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는 길이 방향을 따른 변이 적어도 하나의 경첩으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거나 다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 중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폐쇄 패널 부재(210)는 제7 측면 패널 부재(170)와 적어도 하나의 경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폐쇄 패널 부재(210)는 제7 측면 패널 부재(170)가 구성하는 일측벽과 적어도 하나의 경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폐쇄 패널 부재(22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는 상측면에 롤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는 폐쇄 레일(201)에 구속된 상태로 폐쇄 레일(20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제2 폐쇄 패널 부재(22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는 상측면의 전체 너비 길이 중 중간 지점에 롤러가 형성되어,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가 경첩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폐쇄부(200)는 비막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막이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가 외부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비막이 부재는 ㄱ 자 형상의 두 개의 연결 부재와, 두 개의 연결 부재에 두루마리 형식으로 감겨 있는 비막이 용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비막이 부재는 폐쇄부(20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 중 양 끝에 배치되는 폐쇄 패널 부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폐쇄 패널 부재(210)의 상부 및 제4 폐쇄 패널 부재(24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가 절첩되는 경우, 비막이용 막은 두 개의 연결 부재에 두루마리 형식으로 감겨 있으며,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가 펼쳐지는 경우, 제1 폐쇄 패널 부재(210) 내지 제4 폐쇄 패널 부재(240)에 걸쳐 펼쳐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는 비막이 부재를 포함하여 폐쇄부(200)에 의해 공간이 폐쇄된 경우, 비막이용 막에 의한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는 특정 공간에 설치되어, 측면부(100)에 의해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폐쇄부(200)에 의해 분리된 공간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는 특정공간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측면부(100) 및 폐쇄부(200)의 이동 동작이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시스템 자체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설치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바닥에 별도의 레일이 필요하지 않아 기능적인 측면과 실용적인 측면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벽체(10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시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예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1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ㅁ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ㅁ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2]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3]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이동식 벽체는 상기 이동식 벽체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동식 벽체 주변 상황을 IP 카메라로 관측함에 따라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10)은, 촬영부(100), 함체(200) 및 지주부(300)를 포함한다.
촬영부(100)는, 지주부(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하여 방범정보(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적외선 영상정보 등)를 수집하며, 수집한 방범정보를 함체(200)에 설치된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IP 카메라(Internet Protocol camera)라 함은, 유무선 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 디코더, 영상 압축 칩, CPU, 전송 칩 등으로 구성되며, 모듈로부터 받은 신호는 인코더를 통해 디지털로 바뀌고, 압축 칩에서 압축을 거쳐 전송된다.
IP 카메라는, 외부에서도 집 안이나 원거리에서 촬영된 영상 등을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UCC)와 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영부(100)는, 상술한 IP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주부(300)가 설치된 지역의 영상 등을 촬영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방범 서버로 전송된 후, 별도로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거나,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방범지역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총칭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컨트롤러와 방범 서버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함체(200)는, 지주부(300)의 몸통 부분에 설치되며, 촬영부(100)의 촬영 제어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컨트롤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지주부(300)는, "ㄱ"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부에 촬영부(100)가 설치되고, 몸통 부분에 함체(20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10)은, 넓은 범위의 방범지역을 촬영하고 기록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넓은 범위의 범죄 발생 가능 지역의 범죄 발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7는 도 6의 촬영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촬영부(100)는, 카메라(110), 설치 프레임(120) 및 보호커버(13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주변을 촬영하여 방범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방범정보를 함체(200)에 설치된 컨트롤러로 전달한다.
설치 프레임(120)은, 지주부(300)에 설치되며, 하부에 카메라(110)가 설치되고, 보호커버(130)가 카메라(110)를 덮고 설치된다.
보호커버(130)는, 내부가 빈 돔형의 구체로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카메라(110)를 덮고 설치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커버(130)는, PET 수지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시트보다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다음의 플라스틱 시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S110);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S120);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S130);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S140);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S150);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S160);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S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제1단계(S110)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S110)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S120)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S130)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S140)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S150)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S160)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S170)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6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ㅁ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ㅁ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2]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7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3]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8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8108843490-pat00009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108843490-pat00010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질의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된 보호커버(130)는, PET 수지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경우보다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지주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주부(300)는, 상부 프레임(310) 및 하부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310)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 촬영부(100)가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 하부 프레임(320)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320)은, 상부 프레임(310)의 다른 일측에서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면에 직립 설치되며, 함체(200)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주부(300)는, 일반적인 "ㄱ" 형태의 가로등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촬영하고자 하는 방범지역의 너비에 대응하는 높이로 다양한 크기 또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0는 도 6의 지주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지주부(300)는, 상부 프레임(310), 하부 프레임(320) 및 진동 감쇄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310) 및 하부 프레임(320)은, 도 8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진동 감쇄부(330)는,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2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프레임 간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한다.
이때,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2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는 회동을 위한 회동축을 형성하며, 회동축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진동 감쇄부(33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범 카메라가 설치되는 지역은, 차량이 많이 다니는 곳으로서, 잦은 차량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 카메라가 설치되는 지주로 전달됨에 따라 복잡한 회로 등으로 구성된 방범 카메라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서는,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2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진동 감쇄부(330)를 설치함으로써, 촬영부(100) 또는 함체(200)로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을 감쇄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방범 카메라 설치용 지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330)는, 지탱부(331), 진동 흡수부(332), 연결 플레이트(333), 연장 플레이트(334) 및 설치부(335)를 포함한다.
지탱부(33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공간에 진동 흡수부(332)가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 흡수부(332)는, 지탱부(331)의 각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33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 사이, 제2플레이트(331-2)의 전단과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 사이, 제3플레이트(331-3)의 하부와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 사이, 및 제4플레이트(331-4)의 전단과와 제1플레이트(331-1)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형태로 연결 설치한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는, 각 플레이트의 상부, 하부 또는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연결 부위가 회동함으로써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가 상호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는 버틸 수 있을 것이나, 임계 진동 또는 임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버티지 못하고 각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된 연결 플레이트(333)라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경우보다 진동 또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즉, 상부 날개)와 전단(즉, 전단 날개),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와 전단,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과 하부, 및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설치부(335)로 두 개씩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설치부(335)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다.
설치부(335)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334)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상부 프레임(310)의 하부 또는 하부 프레임(320)의 상부에 설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된다.
도 12은 도 11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331-1)는, 플레이트 본체(331-11),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제2 상부 체결홈(331-13),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331-1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며, 상부 날개에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및 제2 상부 체결홈(331-13)을 형성하고, 전단 날개에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체결홈(331-12)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상부 체결홈(331-13)은, 제1 상부 체결홈(33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1 전단 체결홈(331-14)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한다.
제2 전단 체결홈(331-15)은, 제1 전단 체결홈(331-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3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333) 역시, 상술한 연장 플레이트(334)의 슬라이딩 홈(341)과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331-1)는,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하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이동식 벽체
100: 측면부
110: 제1 측면 패널 부재
120: 제2 측면 패널 부재
130: 제3 측면 패널 부재
140: 제4 측면 패널 부재
150: 제5 측면 패널 부재
160: 제6 측면 패널 부재
170: 제7 측면 패널 부재
200: 폐쇄부

Claims (2)

  1. 특정 공간에 설치되어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이동식 벽체에 있어서,
    천장 및 양측벽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성되고, 경첩에 의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면서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는, 천장 및 천장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는 양측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가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겹겹이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펼쳐지는 경우, 일직선상의 계단 형태로 배치되며, 내측에 겹쳐지는 다른 측면 패널 부재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원하는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와 맞물려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 부재 중 상기 측면부가 완전히 펼쳐지는 경우 가장 전방에 배치되는 폐쇄 패널 부재가 구성하는 천장 부분에는 상기 폐쇄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폐쇄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 상측면의 전체 너비 길이 중 중간 지점에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폐쇄 레일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폐쇄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폐쇄 패널 부재가 지그재그 형태로 접히거나 펼쳐지고,
    상기 이동식 벽체는 상기 이동식 벽체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장치는 촬영부, 함체 및 지주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지주부가 설치된 지역을 촬영하여 상기 함체에 설치된 컨트롤러로 전송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지주부의 몸통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부의 촬영 제어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상기 컨트롤러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진동감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 상기 촬영부가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 상기 하부 프레임이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다른 일측에서 하측 직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지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함체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 감쇄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프레임 간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지탱부, 진동 흡수부, 연결 플레이트, 연장 플레이트 및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탱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공간에 상기 진동 흡수부가 설치되어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진동 흡수부는, 상기 지탱부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형태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설치부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되어 회동되며,
    상기 설치부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이동식 벽체.
  2. 삭제
KR1020180133501A 2018-11-02 2018-11-02 이동식 벽체 KR10203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501A KR102037312B1 (ko) 2018-11-02 2018-11-02 이동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501A KR102037312B1 (ko) 2018-11-02 2018-11-02 이동식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312B1 true KR102037312B1 (ko) 2019-10-28

Family

ID=6842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501A KR102037312B1 (ko) 2018-11-02 2018-11-02 이동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3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3603A1 (en) * 2020-10-29 2022-05-05 Impact Urban, LLC Adjustable living space
KR20220085957A (ko) * 2020-12-16 2022-06-23 (주)세림하이텍 슬라이드형 갱폼 커버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71Y1 (ko) * 1992-02-18 1995-08-21 이세웅 절첩식 칸막이 도어의 캡체결장치
KR20120055294A (ko) * 2010-11-23 2012-05-31 박정원 가변형 컨테이너 조립체
KR20130120944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771Y1 (ko) * 1992-02-18 1995-08-21 이세웅 절첩식 칸막이 도어의 캡체결장치
KR20120055294A (ko) * 2010-11-23 2012-05-31 박정원 가변형 컨테이너 조립체
KR20130120944A (ko) * 2012-04-26 2013-11-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제품 보관용 이동형 창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3603A1 (en) * 2020-10-29 2022-05-05 Impact Urban, LLC Adjustable living space
US11377842B2 (en) 2020-10-29 2022-07-05 Impact Urban, LLC Adjustable living space
US11808027B2 (en) 2020-10-29 2023-11-07 Impact Urban, LLC Adjustable living space
KR20220085957A (ko) * 2020-12-16 2022-06-23 (주)세림하이텍 슬라이드형 갱폼 커버링 시스템
KR102486541B1 (ko) * 2020-12-16 2023-01-09 (주) 세림하이텍 슬라이드형 갱폼 커버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312B1 (ko) 이동식 벽체
DE60318422T2 (de) Verkaufsanlage mit antibeschlagbesch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KR10197811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971035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DE102009019493B4 (de) Polar lösliche UV-Absorber
US20070049683A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for plastic automotive interiors
CN208365094U (zh) 一种可调节的安全监控设备
KR101271289B1 (ko) 출입문용 접이식 방충망
KR102051962B1 (ko) 클린룸
US3427768A (en) Booth with a rotatable door and seat
KR101957806B1 (ko) 탭핑장치
KR101953525B1 (ko) 자재 이송 장치
KR101953526B1 (ko) 요철형 소음 완충재 제조 장치
KR102171359B1 (ko) IoT 기반의 개폐 장치
CN207968705U (zh) 一种能自动调节摄像角度的楼宇对讲系统
KR102040110B1 (ko) 건축 내장 공사용 가변형 칸막이
KR101153687B1 (ko) 폴딩도어의 폴딩장치
US1905514A (en) Adjustable combination awning and shutter
KR101921326B1 (ko)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953527B1 (ko) 습동제거 장치
KR102002757B1 (ko)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KR101953524B1 (ko)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
KR102115030B1 (ko) 내진 보강 장치
CN205477291U (zh) 窗户防护网
CN206712229U (zh) 一种多腔室一体式电气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