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117B1 -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117B1
KR101978117B1 KR1020180142174A KR20180142174A KR101978117B1 KR 101978117 B1 KR101978117 B1 KR 101978117B1 KR 1020180142174 A KR1020180142174 A KR 1020180142174A KR 20180142174 A KR20180142174 A KR 20180142174A KR 101978117 B1 KR101978117 B1 KR 10197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mera module
weight
parts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Original Assignee
권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범 filed Critical 권기범
Priority to KR102018014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대상인 차트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수직 아래에 위치하도록 좌우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향해 백색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보여지는 영상을 출력 및 분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APPARATUS OF CAMERA MODULE INSPE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련의 카메라 모듈 검사 공정을 처리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센서가 장착된 하우징과, 이미지센서의 전방에 장착된 렌즈로 구성되어,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 및 이미지를 이미지센서로 디지털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카메라모듈은 초점검사장치, 이물검사장치들로 카메라모듈의 초점 이상유무 및 렌즈 또는 센서에 이물질이 끼었는가를 검사하여 카메라모듈의 초점을 보정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출하하고, 초점의 오차범위를 초과하거나 이물질이 많을 경우 폐기처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고정 초점 조정, 이미지 검사, 자동 초점 구동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각기 서로 다른 기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고정 초점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고정 초점 검사를 위한 포커싱 차트부(이미지를 가지는 포커싱 차트와 가상 거리를 형성하기 위한 축소 광학계를 포함)의 콜렛부를 검사하고자 하는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에 가까이 하강시켜 고정 초점 검사하여야 하는데,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고 부피가 큰 포커싱 차트부를 승하강 이동시켜야 하였으므로 이 구동 메카니즘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상하 이동을 지원하는 제1 구동부 및 차트의 좌우 이동을 지원하여 차트가 카메라 모듈과 대향되게 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에 광 조사부를 구비하여, 자동 초점조정 검사 또는 이미지 검사 환경의 구현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카메라 모듈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대상인 차트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수직 아래에 위치하도록 좌우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향해 백색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보여지는 영상을 출력 및 분석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구동부는, 작업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에 내장되는 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상하 구동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차트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좌우 이동하여 상기 차트를 상기 카메라 모듈과 동축 수직선상에 배치시키는 좌우 구동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는,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백색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백색광의 방향을 지면으로부터 수직 상승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백색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는 거울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로 조사되는 백색광의 양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에 대한 초점 검사, 이미지 검사 등을 각기 별도의 장치에서 실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승하강 시키는 간단한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검사가 진행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구동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하중 분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광 조사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컴퓨터(100), 제1 구동부(200), 제2 구동부(400) 및 광 조사부(600)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200), 제2 구동부(400) 및 광 조사부(600)는 작업대(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일련의 카메라 모듈 검사 공정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자동 초점조정(Automatic Focus) 검사 및 이미지 검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자동 초점조정 검사는 카메라 모듈 자체가 가진 자동초점 기능의 동작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미지 검사는 카메라 모듈의 출력이미지를 정밀 분석하여 센서 내 단위픽셀의 결함 내지는 스크래치나 파티클 등의 결함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자동 초점조정 검사는 카메라 모듈 자체가 가진 자동초점 기능의 동작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것이다.
컴퓨터(100)는 일련의 카메라 모듈 검사 공정을 제어하며, 카메라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에 보여지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00)는 카메라 모듈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400)는 카메라 모듈의 촬영 대상인 차트가 카메라 모듈의 수직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광 조사부(600)는 카메라 모듈을 향해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제2 구동부(400)를 통해 차트를 카메라 모듈의 수직 아래에 위치시키고, 제1 구동부(200)를 통해 카메라 모듈을 상하 이동시키면서 카메라 모듈에 보여지는 차트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차트의 영상을 컴퓨터(100)에 출력 및 분석하여 카메라 모듈의 자동초점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광 조사부(600)를 통해 카메라 모듈을 향해 백색광을 조사하고, 카메라 모듈에 보여지는 영상, 즉, 전체가 하얗게 채워진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을 컴퓨터(100)에 출력 및 분석하여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제1 구동부(200) 및 제2 구동부(400)의 제어를 통해 자동초점 검사 및 이미지 검사를 순차적으로 자동 진행하거나, 그 반대의 순서로 검사를 진행하거나,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검사만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부(200) 및 제2 구동부(400)는 모터 구동에 의해 카메라 모듈 또는 차트를 이동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바닥면에서 다른 객체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카메라 모듈로 전달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 검사에 방해가 되거나 카메라 모듈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동부(200) 및 제2 구동부(400)가 구비되는 작업대(10)는 고무부재(11)를 포함하여, 진동을 최소화 시켜 진공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진공상태 하에서 카메라 모듈의 각종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카메라 모듈의 검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카메라 모듈의 상하 이동을 지원하는 제1 구동부(200) 및 차트의 좌우 이동을 지원하여 차트가 카메라 모듈과 대향되게 하는 제2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카메라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에 광 조사부(600)를 구비하여, 자동 초점조정 검사 또는 이미지 검사 환경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초점 검사, 이미지 검사 등을 각기 별도의 장치에서 실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승하강 시키는 간단한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검사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하,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구동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구동부(200)는 수직 프레임(210), 지지 플레이트(230), 리드 스크류(250) 및 상하 구동 링크(270)를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20)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0)은 작업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30)는 수직 프레임(21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후술하는 리드 스크류(250) 및 상하 구동 링크(27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0)은 내부 공간을 가져 리드 스크류(250)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가 내장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250)는 지지 플레이트(230)의 전체 길이에 형성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250)는 리드 스크류(250) 및 구동 모터에 각각 장착되는 폴리를 묶는 타이밍 벨트에 의해 구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상하 구동 링크(270)는 리드 스크류(2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하 구동 링크(270)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각종 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상자형 프레임의 기어박스(gear box)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드 스크류(250)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리드 스크류(250)와 치합되는 회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구동 링크(270)는 리드 스크류(250)의 회전에 따라 리드 스크류(250)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하 구동 링크(270)는 카메라 모듈(2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하 구동 링크(270)는 카메라 모듈(20)의 수동 또는 자동 장착을 위한 장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구동부(200)는 상하 구동 링크(270)에 카메라 모듈(20)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장착되는 경우, 리드 스크류(250)가 구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고, 리드 스크류(250)의 회전에 따라 상하 구동 링크(27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상하 구동 링크(270)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2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2 구동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구동부(400)는 레일(410), 좌우 구동 링크(430), 구동 모터(440) 및 체인(450)을 포함하여, 차트(40)가 제1 구동부(200)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20)과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좌우 이동시킬 수 있다.
레일(410)은 작업대의 상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구동 링크(430)의 이동 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좌우 구동 링크(430)는 레일(4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레일(410)에 결합 설치될 수 있으며, 차트(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차트(40)는 좌우 구동 링크(430) 상에 고정 설치되어 레일(410)을 따라 좌우 이동하면서 카메라 모듈(20)과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440)는 좌우 구동 링크(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좌우 구동 링크(430)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좌우 구동 링크(430)는 구동 모터(44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레일(410)을 따라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체인(450)은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는 겹쳐진 상태에서 고정핀에 의해 서로 굴절될 수 있도록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체인(450)의 일측은 구동 모터(440)에 설치되고, 체인(450)의 타측은 작업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440)의 회전 동력에 의해 좌우 구동 링크(430)가 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체인(450)은 구부러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구동부(400)는 좌우 구동 링크(430)에 차트(40)가 장착되고, 좌우 구동 링크(430)가 구동 모터(440)의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차트(40)를 카메라 모듈(20)과 동축 수직선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2 구동부(400)에 의해 차트(40)가 카메라 모듈(20)과 동축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20)은 차트(40)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20)에서 촬영하는 차트(40)의 이미지가 선명한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선명하지 않으면 제1 구동부(200)에 의해 카메라 모듈(20)을 상하 이동시키면서 카메라 모듈(20)에서 촬영하는 차트(40)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90의 고정초점조정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진동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는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와 작업대(10)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 구동부(200) 및 작업대(10) 또는 제2 구동부(400) 및 작업대(10) 간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제1 구동부(200) 및 제2 구동부(400)는 왕복 이동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작업대(10) 상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들이 손상되거나, 작업대(10)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서는,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와 작업대(10)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진동 감쇄부를 설치함으로써 진동을 감쇄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330)는, 지탱부(331), 진동 흡수부(332), 연결 플레이트(333), 연장 플레이트(334) 및 설치부(335)를 포함한다.
지탱부(33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공간에 진동 흡수부(332)가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 흡수부(332)는, 지탱부(331)의 각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33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 사이, 제2플레이트(331-2)의 전단과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 사이, 제3플레이트(331-3)의 하부와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 사이, 및 제4플레이트(331-4)의 전단과와 제1플레이트(331-1)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형태로 연결 설치한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는, 각 플레이트의 상부, 하부 또는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연결 부위가 회동함으로써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가 상호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는 버틸 수 있을 것이나, 임계 진동 또는 임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버티지 못하고 각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된 연결 플레이트(333)라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경우보다 진동 또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즉, 상부 날개)와 전단(즉, 전단 날개),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와 전단,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과 하부, 및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설치부(335)로 두 개씩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설치부(335)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다.
설치부(335)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334)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상부 프레임(310)의 하부 또는 하부 프레임(320)의 상부에 설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된다.
도 5는 도 4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331-1)는, 플레이트 본체(331-11),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제2 상부 체결홈(331-13),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331-1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며, 상부 날개에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및 제2 상부 체결홈(331-13)을 형성하고, 전단 날개에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체결홈(331-12)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상부 체결홈(331-13)은, 제1 상부 체결홈(33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1 전단 체결홈(331-14)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한다.
제2 전단 체결홈(331-15)은, 제1 전단 체결홈(331-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3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333) 역시, 상술한 연장 플레이트(334)의 슬라이딩 홈(341)과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331-1)는,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하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는 하중 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 분산부는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와 작업대(10)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 구동부(200) 및 작업대(10) 또는 제2 구동부(400) 및 작업대(10)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할 수 있다.
도 6은 하중 분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중 분산부(700)는 내부에 중공부(715)가 마련되는 볼 하우징(710), 중공부(715)에 안치된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상부에 접지평면(745)을 갖는 접지볼(740)을 포함한다.
하중 분산부(700)는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와 작업대(10)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로부터 작업대(10)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할 수 있다.
하중 분산부(7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 보다 작은 하중(q)을 전달할 수 있다.
하중 분산부(700)는 볼 하우징(7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볼 하우징(710)의 내부에서 분산시키고, 최종적으로 볼 하우징(710)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하도록 한다. 볼 하우징(7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중공부(715)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에 의해 분산되는데, 하중의 일부는 볼 하우징(7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분산되고, 나머지 하중이 볼 하우징(71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은 작업대(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이 수용되는 중공부(715)가 구비될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은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이 일정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의 형태는 다면체, 구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중공부(715)는 접지볼(74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중공부(715)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구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은 중공부(715)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접지볼(7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올려진 상태로 중공부(715) 내에 수용되어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접촉점에 의해 외부의 하중이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중공부(715) 즉, 볼 하우징(7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외부 하중의 분산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접지볼(740)을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올려진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접촉점 개수를 높이고 하중 전달을 규칙화 하여 서로 간의 하중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접지볼(7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의해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서로 간의 접촉점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지볼(740)은 상부에 접지평면(74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지평면(745)은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와 면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중 분산부(700)는 중공부(715)에 수용된 접지볼(740)을 고정하는 고정덮개를 더 포함하고, 고정덮개에 의해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하중 분산부(700)는 제1 구동부(200) 또는 제2 구동부(40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작업대(1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분산부(700)는 작업대(10)의 지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고하중에 의한 변형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광 조사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 조사부(600)는 광 브라켓(610), 제1 조리개(650) 및 제2 조리개(660)를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20)을 향해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 브라켓(610)은 광원(611) 및 거울(615)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광 브라켓(610)은 작업대(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광 브라켓(610)은 작업대(10) 상에서 제1 구동부(200)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20)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611)은 광 브라켓(61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611)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광 브라켓(610)에 설치될 수 있다.
거울(615)은 광 브라켓(61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광원(6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되,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광원(611)으로부터 조사되는 백색광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즉, 거울(615)은 광원(611)으로부터 조사되는 백색광의 방향을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지면으로부터 수직 상승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카메라 모듈(20)에 백색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조리개(650) 및 제2 조리개(660)는 광 브라켓(610)으로부터 카메라 모듈(20)로 조사되는 백색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조리개(650) 및 제2 조리개(660)는 제1 구동부(200), 구체적으로는, 수직 프레임(210)에 360'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조사부(600)는 카메라 모듈(20) 측으로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20)은 이를 촬영하여 전체가 하얗게 채워진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영상은 컴퓨터(100)로 전달되며, 컴퓨터(100)는 전달된 영상을 스캔하여 영상에 보여지는 화면 중 검은점 등이 표시되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모니터상에 출력하는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20)의 이미지 검사가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시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예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14547678-pat00001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2]
Figure 112018114547678-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3]
Figure 112018114547678-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8114547678-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114547678-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100: 컴퓨터
200: 제1 구동부
400: 제2 구동부
600: 광 조사부
10: 작업대

Claims (2)

  1. 카메라 모듈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대상인 차트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수직 아래에 위치하도록 좌우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향해 백색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보여지는 영상을 출력 및 분석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작업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체 길이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에 내장되는 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가 삽입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 스크류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상하 구동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차트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좌우 이동하여 상기 차트를 상기 카메라 모듈과 동축 수직선상에 배치시키는 좌우 구동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는,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백색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백색광의 방향을 지면으로부터 수직 상승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상기 카메라 모듈에 백색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원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는 거울;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로 조사되는 백색광의 양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구동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보론계 바인더, 5~10 중량부로 마늘 추출액, 20~30 중량부로 아파타이트 분말, 15~25 중량부로 코르크 분말, 3~8 중량부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260~270℃로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을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1차 연신 및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인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2차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시트로 구현되며,
    상기 아파타이트 분말은, 과립의 크기가 200~400㎛이고,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며,
    상기 제7단계에서,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시트에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플라스틱 시트를 건조하며,
    실리콘을 포함하는 상기 도포액에는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방담제 성분인 이소프로필 알콜을 혼합하며,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와 상기 작업대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작업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 및 상기 작업대 간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감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쇄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고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지탱부의 각 플레이트와의 연결 부위가 회동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와 상기 작업대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작업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 및 상기 작업대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는 하중 분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 분산부는, 볼 하우징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볼 하우징의 내부에서 분산시키고, 최종적으로 상기 볼 하우징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볼 하우징은,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구체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 및 접지볼이 수용되는 구 형상의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용 소형볼은,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수용되며,
    상기 접지볼은, 상기 지지용 소형볼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용 소형볼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고, 상부에 접지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접지평면은,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와 면접하여 부착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2. 삭제
KR1020180142174A 2018-11-17 2018-11-17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97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174A KR101978117B1 (ko) 2018-11-17 2018-11-17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174A KR101978117B1 (ko) 2018-11-17 2018-11-17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117B1 true KR101978117B1 (ko) 2019-05-14

Family

ID=6658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174A KR101978117B1 (ko) 2018-11-17 2018-11-17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1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131B1 (ko) * 2019-08-13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장치
KR102093490B1 (ko) * 2019-11-06 2020-03-26 송정곤 카메라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폴 시스템
WO2022177159A1 (ko)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주) 중량물에 대한 회전제어장치
KR102464353B1 (ko) * 2021-05-13 2022-11-04 임경철 카메라 성능 평가를 위한 카메라 촬영 조건 오토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816A (ko) * 2007-07-10 2009-01-14 주식회사 해성이엠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090014913A (ko) * 2007-08-07 2009-02-11 (주)하이비젼시스템 카메라모듈의 멀티테스트 장치
KR20100012241A (ko) * 2008-07-28 2010-02-08 세광테크 주식회사 자동 압흔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60044212A (ko) * 2014-10-15 2016-04-25 조성진 진동 완충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1859343B1 (ko) * 2017-12-30 2018-05-18 김중태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816A (ko) * 2007-07-10 2009-01-14 주식회사 해성이엠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090014913A (ko) * 2007-08-07 2009-02-11 (주)하이비젼시스템 카메라모듈의 멀티테스트 장치
KR20100012241A (ko) * 2008-07-28 2010-02-08 세광테크 주식회사 자동 압흔 검사장치 및 방법
KR20160044212A (ko) * 2014-10-15 2016-04-25 조성진 진동 완충 및 회전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로등주
KR101859343B1 (ko) * 2017-12-30 2018-05-18 김중태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131B1 (ko) * 2019-08-13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장치
KR102093490B1 (ko) * 2019-11-06 2020-03-26 송정곤 카메라의 승하강을 구현하는 폴 시스템
WO2022177159A1 (ko) * 2021-02-17 2022-08-25 삼성전자(주) 중량물에 대한 회전제어장치
KR102464353B1 (ko) * 2021-05-13 2022-11-04 임경철 카메라 성능 평가를 위한 카메라 촬영 조건 오토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11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952578B1 (ko) 강관 회전 장치
KR102016162B1 (ko) 절곡장치
Matuana et al. Photoaging and stabilization of rigid PVC/wood‐fiber composites
Berthet et al. Torrefaction treatment of lignocellulosic fibres for improving fibre/matrix adhesion in a biocomposite
EP2162489B1 (d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enthaltend organische schwarzpigmente
OA10552A (fr) Plaque amorphe transparente stabilisée contre les uv en un thermoplastique cristallisable
DE102012205908A1 (de) Polymerpulver mit angepasstem Schmelzverhalten
OA10542A (fr) Plaque amorphe transparente en matières thermoplastiques cristallisables
EP2406794B1 (en) Optical power limiting polymeric matrix
WO2021080010A1 (ja) ポリアミド-セルロース樹脂組成物
US11807727B2 (en) Transparent and homogenous cellulose nanocrystal-lignin UV protection films
US6555648B1 (en) Tetrafluoroethylene products with enhanced crystallinity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same
Pashaei et al. Studies on coconut shell powder and crysnanoclay incorporated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styrene butadiene rubber (NBR/SBR) green nanocomposites
KR102015989B1 (ko) 절곡장치
Protzek et al. The influence of fiber size on the behavior of the araucaria pine nut shell/PU composite
KR102051962B1 (ko) 클린룸
KR101971035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Higaki et al. Strain-induced molecular aggregation states around a crack tip in a segmented polyurethane film under uniaxial stretching
KR101982527B1 (ko) 권취 필름 절단 장치
KR102037312B1 (ko) 이동식 벽체
DE112012002814T5 (de) Optische Lin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KR101980610B1 (ko) 커넥터 핀 가공장치
KR101985165B1 (ko) 유리섬유 권취장치
Zhou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aterborne polyurethane/antimony doped tin oxide nanocomposite coatings via sol–gel re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