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962B1 - 클린룸 - Google Patents

클린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962B1
KR102051962B1 KR1020180153194A KR20180153194A KR102051962B1 KR 102051962 B1 KR102051962 B1 KR 102051962B1 KR 1020180153194 A KR1020180153194 A KR 1020180153194A KR 20180153194 A KR20180153194 A KR 20180153194A KR 102051962 B1 KR102051962 B1 KR 102051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space
wall
sh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Original Assignee
권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범 filed Critical 권기범
Priority to KR102018015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F24F3/16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 패널에 의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를 제공하는 클린룸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클린룸{CLEAN ROOM}
본 발명은 클린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공간과 격리되는 공간인 클린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린룸(clean room)은 어떠한 구획의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전혀 없는 방을 의미하기 때문에 청정실(淸淨室)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클린룸은 초고정밀 직접회로나 유전자 조작 및 청정한 상태에서 약품이나 화학약품을 취급하는 곳에서와 같이 오염에 의하여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클린룸은 깨끗한 상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피복이나 신체 또는 외부에서 함께 유입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많은 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클린룸의 내부에도 지속적으로 쾌적하면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급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집진 시스템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작은 물건의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소형 구조의 클린룸의 경우, 클린룸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의 분진발생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나, 사람 또는 대형화물 등의 이동용으로 사용되는 대형 구조의 클린룸의 경우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이물질의 내부 침투가 빈번히 일어나 클린룸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벽면 패널에 의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벽면 패널에 미닫이 형식으로 설치되는 도어 패널에 의해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클린룸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클린룸은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 패널에 의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벽면 패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면 프레임, 상기 도어 패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벽면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벽면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의 개폐를 위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 상기 벽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의 천장을 구성하며,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과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에 의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되, 집진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습기 및 염분을 제거하여 공급하는 집진 유닛 및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을 조명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클린룸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므로 클린룸에 설치되는 장치가 보호될 수 있다. 특히, 클린룸의 전체 설계에 설계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클린룸 내부 공간을 청정 공간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린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린룸 내부 공간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하중 분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린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린룸(1000)은 벽면 패널(12), 도어 패널(22) 및 상부 패널(52)을 포함하여 격리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클린룸(1000)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전기 장치, 화학 약품 또는 식품을 다루는 장치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미세 먼지, 습도, 온도, 염도 등에 민감하여 클린룸(1000)의 내부 공간은 청정상태로 유지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클린룸(1000)은 상부 패널(52)이 형성하는 공간에 집진 모듈을 포함하여 내부 공간을 청정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린룸(1000)은 벽면 패널(12)로 에워싸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클린룸(1000)은 다양한 형상 및 면적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벽면 패널(12)은 벽면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벽면 프레임(11)은 작업자가 클린룸(1000)을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린룸(1000)은 출입구를 제외하고 벽면 패널(12)로 에워싸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벽면 프레임(11)의 하부에는 바퀴 부재(31) 및 하부 설치 부재(33)가 구비될 수 있다. 벽면 프레임(11)은 바퀴 부재(31) 및 하부 설치 부재(33)에 의해 기초 구조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벽면 프레임(11)과 바닥면 사이에는 순환 공간(5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퀴 부재(31) 및 하부 설치 부재(33)에 의해 들어 올려진 위치에 액세스 플로어가 설치되고 그 위에 벽면 프레임(11)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패널(22)은 도어 프레임(21)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어 패널(22)은 도어 프레임(21)에 의해 벽면 프레임(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 패널(22)은 벽면 프레임(11)이 제공하는 출입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벽면 프레임(11)의 적어도 일부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21)에는 레일과 대응되는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21)은 벽면 프레임(11)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 패널(22)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도어 패널(22)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벽면 프레임(11)에 마련된 조작부(17)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자동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17)는 작업자의 터치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도어 패널(22)의 자동 개폐 동작을 위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패널(22)은 작업자의 접근 여부에 따라 자동 개폐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어 프레임(21) 또는 벽면 프레임(11)에는 작업자의 클린룸(1000)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에서 획득하는 센서 데이터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작업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도어 패널(22)이 자동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초음파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클린룸(1000) 접근을 감지하고,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초음파 센서 데이터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클린룸(1000)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폐쇄 상태의 도어 패널(22)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센서 데이터 각각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개방된 클린룸(1000) 출입구의 통행량, 즉, 작업자의 수를 예측하고 도어 패널(22)의 폐쇄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작업자가 모두 클린룸(1000)으로 입장한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신속하게 도어 패널(22)을 구동시켜 클린룸(1000)의 출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에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작업자가 직접 도어 패널(22)을 조작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며, 잦은 출입구 개폐로 인한 클린룸(1000) 내부의 공기 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는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클린룸(1000) 접근을 감지하는데, 온도 및 습도 만을 이용하여 작업자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계절별, 온도차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산화탄소만을 이용하여 작업자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통행량 측정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센서 데이터를 모두 비교하여 작업자의 클린룸(1000)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상부 패널(52)은 상부 프레임(51)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부 패널(52)은 상부 프레임(51)에 의해 벽면 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부 패널(52)은 벽면 패널(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천장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부 패널(52)은 벽면 패널(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과는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패널(5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집진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집진 유닛은 클린룸(100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집진 유닛은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습기, 염분 등을 제거하여 클린 공기를 생성하고, 클린 공기를 클린룸(1000)의 내부로 송풍할 수 있다. 클린룸(1000) 내의 기류 흐름을 살펴보면 집진 유닛으로부터 클린룸(1000) 내부로 공기가 송풍된 후 순환 공간(55)으로 배출되며, 이 공기는 다시 집진 유닛으로 보내지는 순환 흐름을 이룬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린룸 내부 공간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린룸(1000)의 내부 천장 부분에는 조명 모듈(40) 및 집진 필터(54)가 구비될 수 있다.
조명 모듈(40)은 클린룸(1000)의 내부 천장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51)에 설치되어 클린룸(1000)의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기구로, 클린룸(1000)의 내부 공기 청정을 위해 조립된 상태에서는 기밀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모듈(40)은 도어 패널(22)과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점등될 수 있다. 조명 모듈(40)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점등되거나, 벽면 프레임(11)에 마련된 조작부(17)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17)는 작업자의 터치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조명 모듈(40)은 도어 패널(22)과 같이 제어부에 의해 작업자의 접근 여부에 따라 자동 점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집진 필터(54)는 상부 프레임(51)에 설치될 수 있다. 집진 필터(54)는 상술한 집진 유닛에 포함되는 일 구성으로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습기, 염분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진 필터(54)는 한국 등록특허 10-0924722에 개시된 필터 유닛의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클린룸(1000)은 진동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51), 벽면 프레임(11) 및 도어 프레임(21)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51), 벽면 프레임(11) 및 도어 프레임(21) 간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이러한 진동 감쇄부를 포함하여 각 구성들이 진동에 의해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330)는, 지탱부(331), 진동 흡수부(332), 연결 플레이트(333), 연장 플레이트(334) 및 설치부(335)를 포함한다.
지탱부(33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공간에 진동 흡수부(332)가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 흡수부(332)는, 지탱부(331)의 각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33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 사이, 제2플레이트(331-2)의 전단과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 사이, 제3플레이트(331-3)의 하부와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 사이, 및 제4플레이트(331-4)의 전단과와 제1플레이트(331-1)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형태로 연결 설치한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는, 각 플레이트의 상부, 하부 또는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연결 부위가 회동함으로써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가 상호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는 버틸 수 있을 것이나, 임계 진동 또는 임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버티지 못하고 각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된 연결 플레이트(333)라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경우보다 진동 또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즉, 상부 날개)와 전단(즉, 전단 날개),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와 전단,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과 하부, 및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설치부(335)로 두 개씩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설치부(335)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다.
설치부(335)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334)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상부 프레임(51), 벽면 프레임(11) 또는 도어 프레임(21)에 설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된다.
도 4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331-1)는, 플레이트 본체(331-11),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제2 상부 체결홈(331-13),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331-1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며, 상부 날개에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및 제2 상부 체결홈(331-13)을 형성하고, 전단 날개에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체결홈(331-12)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상부 체결홈(331-13)은, 제1 상부 체결홈(33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1 전단 체결홈(331-14)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한다.
제2 전단 체결홈(331-15)은, 제1 전단 체결홈(331-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3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333) 역시, 상술한 연장 플레이트(334)의 슬라이딩 홈(341)과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331-1)는,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하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클린룸(1000)은 하중 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 분산부는 상부 프레임(51), 벽면 프레임(11) 및 도어 프레임(21)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51)으로부터 벽면 프레임(11) 또는 도어 프레임(21)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할 수 있다.
도 5는 하중 분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중 분산부(700)는 내부에 중공부(715)가 마련되는 볼 하우징(710), 중공부(715)에 안치된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상부에 접지평면(745)을 갖는 접지볼(740)을 포함한다.
하중 분산부(700)는 리벳 정렬부(100) 및 리벳 공급부(200)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 또는 리벳 정렬부(100), 리벳 공급부(200) 및 하부 헤드 공급부(500)와 작업대가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하중 분산부(7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 보다 작은 하중(q)을 전달할 수 있다.
하중 분산부(700)는 볼 하우징(7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볼 하우징(710)의 내부에서 분산시키고, 최종적으로 볼 하우징(710)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하도록 한다. 볼 하우징(7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중공부(715)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에 의해 분산되는데, 하중의 일부는 볼 하우징(7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분산되고, 나머지 하중이 볼 하우징(71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은 작업대(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이 수용되는 중공부(715)가 구비될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은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이 일정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의 형태는 다면체, 구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중공부(715)는 접지볼(74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중공부(715)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구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은 중공부(715)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접지볼(7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올려진 상태로 중공부(715) 내에 수용되어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접촉점에 의해 외부의 하중이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중공부(715) 즉, 볼 하우징(7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외부 하중의 분산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접지볼(740)을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올려진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접촉점 개수를 높이고 하중 전달을 규칙화 하여 서로 간의 하중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접지볼(7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의해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서로 간의 접촉점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지볼(740)은 상부에 접지평면(74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지평면(745)은 상부 프레임(51) 및 벽면 프레임(11)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과 면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중 분산부(700)는 중공부(715)에 수용된 접지볼(740)을 고정하는 고정덮개를 더 포함하고, 고정덮개에 의해 상부 프레임(51) 및 벽면 프레임(11)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하중 분산부(700)는 상부 프레임(51)으로부터 벽면 프레임(11) 또는 도어 프레임(21)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작업대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분산부(700)는 작업대의 지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고하중에 의한 각종 구성의 변형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10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시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예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20452872-pat00001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2]
Figure 112018120452872-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3]
Figure 112018120452872-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8120452872-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120452872-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클린룸
11: 벽면 프레임
12: 벽면 패널
17: 조작부
21: 도어 프레임
22: 도어 패널
31: 바퀴 부재
33: 하부 설치 부재
51: 상부 프레임
52: 상부 패널
55: 순환 공간

Claims (2)

  1.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도어 패널에 의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를 제공하되,
    상기 벽면 패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면 프레임;
    상기 도어 패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벽면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벽면 프레임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터치에 따라 상기 도어 패널의 개폐를 위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
    상기 벽면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의 천장을 구성하며,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과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에 의해 형성하는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되, 집진 필터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습기 및 염분을 제거하여 공급하는 집진 유닛; 및
    상기 벽면 패널로 에워싸여 구성되는 공간을 조명하는 조명 모듈을 포함하고,
    벽면 프레임(11) 및 도어 프레임(21)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51), 벽면 프레임(11) 및 도어프레임(21) 간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감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벽면 프레임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 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감쇄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탱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는 각각의 후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각각의 공간에 상기 진동 흡수부가 설치되어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상부 체결홈은,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은,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중 분산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는 볼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안치된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 및 상부에 접지평면을 갖는 접지볼을 포함하며, 상기 볼 하우징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중공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지지용 소형볼 및 상기 접지볼을 통해 분산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은 상기 중공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접하도록 배열되어 수용되고, 상기 접지볼은 복수의 상기 지지용 소형볼에 올려진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어 복수의 상기 지지용 소형볼 및 상기 접지볼 간의 접촉점에 의해 외부의 하중이 전달되면 볼 하우징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외부 하중을 분산시키는 클린룸.
  2. 삭제
KR1020180153194A 2018-12-01 2018-12-01 클린룸 KR102051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94A KR102051962B1 (ko) 2018-12-01 2018-12-01 클린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194A KR102051962B1 (ko) 2018-12-01 2018-12-01 클린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962B1 true KR102051962B1 (ko) 2019-12-04

Family

ID=6900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194A KR102051962B1 (ko) 2018-12-01 2018-12-01 클린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9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739A (zh) * 2020-04-15 2020-08-04 江苏超净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模块化安装的跨洁净级别保护装置
KR102607638B1 (ko) 2023-03-28 2023-11-29 (주)유나 공기정화용 조립식 실험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333A (ja) * 1996-09-24 199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リーンルーム
JP2004068536A (ja) * 2002-08-09 2004-03-04 Yamaha Corp 防振支持具及び二重床支持構造
KR101505534B1 (ko) * 2014-07-25 2015-03-25 김갑부 하중 분산 지지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333A (ja) * 1996-09-24 1998-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クリーンルーム
JP2004068536A (ja) * 2002-08-09 2004-03-04 Yamaha Corp 防振支持具及び二重床支持構造
KR101505534B1 (ko) * 2014-07-25 2015-03-25 김갑부 하중 분산 지지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85739A (zh) * 2020-04-15 2020-08-04 江苏超净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模块化安装的跨洁净级别保护装置
KR102607638B1 (ko) 2023-03-28 2023-11-29 (주)유나 공기정화용 조립식 실험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962B1 (ko) 클린룸
EP1897921B1 (en) Coating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resin molding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moldings
KR10197811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EP2307289B1 (en) A hopper structure and a synthetic granular material heat-treatment unit therewith
CN104619762B (zh) 重质碳酸钙、其制备方法及含有该碳酸钙的树脂组合物
KR101953525B1 (ko) 자재 이송 장치
JP2012148905A (ja) 表面処理重質炭酸カルシウム、その製造方法、及び該炭酸カルシウムを配合した樹脂組成物
CN110379538B (zh) 导电喷涂粉末、制备方法、制备系统及使用方法
KR101957734B1 (ko)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KR102036373B1 (ko) 혼합폐기물 분리 배출시스템
KR101971035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101953526B1 (ko) 요철형 소음 완충재 제조 장치
KR101997689B1 (ko) 레미콘 믹싱 장치
KR102203027B1 (ko) 항균 필름용 마스터 배치, 이를 이용한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9641B1 (ko) 비철분별기
KR101957806B1 (ko) 탭핑장치
KR102002757B1 (ko)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KR101959282B1 (ko) 볼트 및 너트의 결합장치
KR102040110B1 (ko) 건축 내장 공사용 가변형 칸막이
KR102057816B1 (ko) 원단 부착 장치
KR102073008B1 (ko) 리벳 체결 장치
Youssef et al. Investigations on the 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resins based on Cu (II) phthalocyanines
JP2020055258A (ja) 微粒子群含有体
KR101985523B1 (ko) 광학용 로라 도금 시스템
Ramesan et al. Development of biopolymer composite films based on chicory extract reinforced polyvinyl alcohol/chitosan blend via green approach for flexible optoelectric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