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534B1 - 하중 분산 지지체 - Google Patents

하중 분산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534B1
KR101505534B1 KR1020140095057A KR20140095057A KR101505534B1 KR 101505534 B1 KR101505534 B1 KR 101505534B1 KR 1020140095057 A KR1020140095057 A KR 1020140095057A KR 20140095057 A KR20140095057 A KR 20140095057A KR 101505534 B1 KR101505534 B1 KR 101505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ad
balls
ball
suppor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부
Original Assignee
김갑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부 filed Critical 김갑부
Priority to KR102014009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하중 분산 지지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며,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볼을 구비하는 하중 분산체를 포함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중 분산 지지체{Support body for dispersing load}
본 발명은 하중 분산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가해지는 하중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하중 분산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교좌 등의 지지점, 기초 상에 시공되는 교량, 빌딩 등의 건축물의 지지점, 크레인을 지면 상에 고정하는 고정장치 등은 상부의 하중을 하부구조물이나 지면 상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하중의 전달 과정에서 상부의 하중은 지지점, 고정장치 등에 의해 그대로 하부 구조물이나 지면에 전달되고, 따라서, 하부 구조물이나 지면은 이와 같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전달되는 하중보다 작은 하중으로 하부 구조물이나 지면에 전달할 수 있다면, 분산된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구조물이나 지면의 기초 등의 설계와 시공에 있어 큰 잇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하중 분산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며,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볼을 구비하는 하중 분산체를 포함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볼은, 복수의 제1 지지볼 및 복수의 제2 지지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중 분산체는, 가상의 다면체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지지볼과, 상기 제1 지지볼 사이에 상기 제1 지지볼과 외주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볼을 구비하는 단위 지지볼 세트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지지볼 세트는 상기 제1 지지볼을 공유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중 분산체는, 인접한 상기 단위 지지볼 세트가 형성하는 공간 상에 상기 제1 지지볼과 외주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3 지지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지지볼 세트의 상기 제1 지지볼은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는 격벽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볼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에 노출되는 상기 지지볼에 의해 지지되며 외부 하중이 작용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의 내벽에는 최외측 지지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볼에는, 상기 지지볼의 외주가 면접되도록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접촉되는 상기 지지볼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지지볼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면체는, 정다면체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중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지지볼의 적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우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우징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의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지지볼의 적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중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의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지지볼의 적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우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우징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하우징(12), 중공부(13), 개구부(14), 하중 분산체(15), 지지판(16), 제1 지지볼(18), 접촉점(19), 제2 지지볼(20), 단위 지지볼 세트(22), 육면체(24), 접촉면(25), 위치결정홈(27), 격벽(30)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는, 내부에 중공부(13)가 마련되는 하우징(12)과; 상기 중공부(13) 내에 수용되며,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볼(18, 20)을 구비하는 하중 분산체(15)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보다 작은 하중(q)을 전달할 수 있다.
하우징(12)은, 그 내부에 지지볼이 수용되는 중공부(13)가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12)은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볼(18, 20) 간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이 일정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2)으로 형태는 다면체, 구(求) 형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중 분산체(15)는, 하우징(12)의 중공부(13) 내에 수용되며, 다수의 지지볼(18, 20)이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하중 분산체(15)는, 하우징(12)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하우징(12)의 내부에서 분산시키고, 최종적으로 하우징(12)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하도록 한다.
하우징(12)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하우징(12)의 중공부(13)에 위치하는 하중 분산체(15)에 의해 분산되면서 하중의 일부가 하우징(12)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하중이 분산되고 나머지 하중이 하우징(12)의 외부로 전달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체(15)는, 복수의 지지볼(18, 20)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구성된다.
구슬과 같은 입자들을 무작위로 모아 놓으면 모여 있는 입자끼리의 접촉점(19)의 개수가 적어 하중을 가하였을 때 일부 접촉점(19)에서 하중이 집중되어 입자 간의 접촉점(19)에 의한 하중 전달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입자들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서로 간의 접촉점(19)을 개수를 높이고 하중 전달을 규칙화 하면 서로 간의 하중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입자들의 접촉점(19)의 개수를 높이고 하중 전달을 규칙화함으로써 하우징(12)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들이 하중을 분산시켜 외부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지볼(18, 20)은, 하우징(12)의 중공부(13) 내에 수용되며, 중공부(13)에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하우징(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볼(18, 20)은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지지볼(18, 20) 간의 접촉점(19)에 의해 외부의 하중이 지지볼(18, 20) 간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지지볼 들이 하우징(12)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외부 하중의 분산이 일어난다.
지지볼(18, 20)은 인접한 지지볼(18, 20) 간의 접촉점(19)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한다. 예를 들면, 지지볼은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볼(18, 20)은, 구체(求體), 타원체, 다면체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볼(18, 20)을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하우징(12)은 내부에 중공부(13)가 구비되며, 직육면체(24)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12)의 일측에는 지지볼이 노출되도록 개구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14)에 위치하여 개구부(14)에 노출되는 지지볼에 의해 지지되며, 외부 하중이 작용하는 지지판(16)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6)에 외부 하중(P)이 가해지면 지지판(16)이 개구부(14)에 노출되는 지지볼에 하중을 전달하고, 지지판(16)에 접하는 각 지지볼에 하중이 전달되면서 인접한 지지볼과의 접촉점(19)을 통해 외부 하중을 인접한 지지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판(16)이 하우징(12)의 상부에 위치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외부 하중의 작용 방향에 따라 개구부(14)의 형성위치와 지지판(16)의 설치 위치가 달라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체(15)는, 복수의 제1 지지볼(18) 및 복수의 제2 지지볼(18)을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구성된다. 보다 자세히, 하중 분산체(15)는, 가상의 다면체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지지볼(18)과, 제1 지지볼(18) 사이에 제1 지지볼(18)과 외주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볼(20)을 구비하는 단위 지지볼 세트(22)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되, 단위 지지볼 세트(22)는 제1 지지볼(18)을 공유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면체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제1 지지볼(18) 간은 서로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나, 제2 지지볼(20)은 그 외주에 배치되는 제1 지지볼(18)들의 전부 또는 일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24)의 꼭지점에 배치되는 제1 지지볼(18)들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그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지지볼(20)은 외주에 배치되는 제1 지지볼(18)들 모두와 접촉되도록 배치하여 단위 지지볼 세트(22)를 구성하였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체(15)의 단위 지지볼 세트(22)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상의 육면체(24)의 꼭지점과 제1 지지볼(18)의 중심을 일치시켜 육면체(24)의 각 꼭지점에 8개의 제1 지지볼(18)을 배치시키고, 8개 제1 지지볼(18) 사이에 외주가 접하도록 제2 지지볼(20)을 배치한 형태이다.
단위 지지볼 세트(22)는 하중 분산체(15)의 최소 단위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지지볼 세트(22)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는 제1 지지볼(18)을 공유하면서 단위 지지볼 세트(22)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하중 분산체(15)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단위 지지볼 세트(22) 간에는 제1 지지볼(18)을 중심으로 중첩이 이루어진다.
도 2는 지지볼 간의 하중 전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지지볼(18)에 작용하중(Q)이 작용하면 작용하중 방향에 대해 제1 지지볼(18)과 일정 각도(θ)로 접하는 제2 지지볼(20)로 힘의 분력(Q')이 일어나면서 전달된다. 도 2에서, 작용하중과 힘이 전달되는 방향사이의 각도(θ)가 클수록 하중 분산 효과가 높다. 즉, 작용하중 방향에 직각 방향 쪽으로 많이 전달시키는 접촉이 많을수록 하중 분산 효과가 높고, 힘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우징(12)에 작용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해서는 지지볼 간의 접촉점(19)의 개수를 늘리거나 접촉점(19)의 방향을 작용하중의 직각방향 쪽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지지볼의 규칙적인 배열을 통하여 접촉점(19)의 개수를 늘리거나, 접촉점(19)의 방향을 작용하중의 직각방향 쪽으로 유도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면도을 도시한 것이데, 지지판(16)에 외부에서 하중이 작용하면 지지판(16)이 그 하단에 위치하는 제1 지지볼(18)에 하중을 전달한다. 지지판(16)에 의해 제1 지지볼(18)에 전달된 하중은 인접한 지지볼을 통해 하중이 분산되면서 최외측의 제1 지지볼(18)로 전달되고, 최외측의 제1 지지볼(18)은 하우징(12)의 내벽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최외측의 제1 지지볼(18)로 하중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지지볼의 변형 등으로 인해 하중이 감소될 수 있고, 힘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최외측의 제1 지지볼(18)이 하우징(12)의 내벽에 가하는 하중 중 외부 하중(P)과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하우징(12) 내벽이 흡수하게 되고, 최외측의 제1 지지볼(18)이 하우징(12)의 내벽에 가하는 하중 중 외부 하중(P)과 동일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하우징(12)으로 통해 외부로 전달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보다 작은 하중(q)을 전달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지지볼의 적층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12)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지지볼의 적층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중공부(13)의 바닥에 제1 지지볼(18)을 일정 간격 이격되게 격자 상으로 배치한다. 이때,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볼(18)은 중공부(13)의 내벽에 외주가 접하도록 배치한다. 단위 지지볼 세트(22)의 제1 지지볼(18)을 서로 접하도록 배열하는 경우에는 중공부(13)의 바닥에 제1 지지볼(18)이 서로 접하도록 격자 상으로 배치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제1 지지볼(18)의 중앙에 제2 지지볼(20)을 각각 배치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볼(20)의 외주와 접하도록 바닥에 놓여진 각 제1 지지볼(18)의 상부에 다시 제1 지지볼(18)을 배치한다. 이로써 규칙적으로 배열된 최하단의 단위 지지볼 세트(22)가 구성된다.
단위 지지볼 세트(22)의 상부에 제1 지지볼(18)을 공유하면서 다음 층의 단위 지지볼 세트(22)의 구성을 반복하여 하우징(12)의 중공부(13)에 하중 분산체(15)를 형성하게 된다.
도 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22)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는 가상의 정육면체(24)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는 제1 지지볼(18)들을 외주가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각 제1 지지볼(18)의 외주와 접촉하도록 제2 지지볼(20)을 배치하여 단위 지지볼 세트(22)를 구성한 형태이다. 이러한 단위 지지볼 세트(22)를 각 꼭지점에 위치하는 제1 지지볼(18)을 공유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하중 분산체(15)를 구성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형성 방법은, 하우징(12)의 중공부(13)의 바닥에 제1 지지볼(18)을 서로 접하도록 격자 상으로 배치하고 서로 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제1 지지볼(18)의 중앙에 제2 지지볼(20)을 각각 배치한 상태에서, 제2 지지볼(20)의 외주와 접하도록 바닥에 놓여진 각 제1 지지볼(18)의 상부에 다시 제1 지지볼(18)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22)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변형예는 서로 접하는 지지볼(18, 20) 간의 접촉점(19)의 면적을 크게 하여 지지볼(18, 20) 간의 외주가 면접되도록 지지볼(18, 20)에 접촉면(25)을 형성한 형태이다. 즉, 지지볼(18, 20)의 외주에 미리 면 형태의 접촉면(25)을 형성하여 두고 하중 분산체(15)를 형성할 때 인접한 지지볼의 접촉면(25)이 면접되도록 지지볼(18, 20)을 배열한다.
한편, 지지볼(18, 20)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서로 접촉되는 지지볼(18, 20)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하중 전달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우징(12)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는 하우징(12)의 중공부(13)의 내벽에 최외측 지지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27)을 형성한 것으로서, 지지볼의 일부가 위치결정홈(27)에 삽입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지지볼의 적층과정에서 중공부(13)의 내벽에 접하는 지지볼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하우징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는 하우징(12)의 중공부(13)를 격벽(30)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중공부(13)에 하중 분산체(15)를 배열한다. 하우징(12)의 중공부(13)에 격벽(30)을 둠으로써 하우징(1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22)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지지볼의 적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제1 지지볼(18), 제2 지지볼(20), 사면체(26), 단위 지지볼 세트(28), 제3 지지볼(32)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가상의 사면체(26)의 각 꼭지점에 제1 지지볼(18)을 배치하고, 그 내부에 제2 지지볼(20)을 제1 지지볼(18)의 외주와 접하도록 배치하여 단위 지지볼 세트(28)를 구성한 형태이다.
도 11에서는, 제1 지지볼(18) 들을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제2 지지볼(20)을 배치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지지볼(18)들이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단위 지지볼 세트(28)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는 제1 지지볼(18)을 공유하면서 사면체(26) 형태의 단위 지지볼 세트(28)를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하우징의 중공부 내부에 하중 분산체를 구성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 지지체의 지지볼의 적층과정을 살펴 보면,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3개의 제1 지지볼(18)들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하우징의 중공부의 바닥에 제1 지지볼(18)을 배치한다. 이때,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볼(18)은 중공부의 내벽에 외주가 접하도록 배치한다. 제1 지지볼(18) 들은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2에는 제1 지지볼(18)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한 형태이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제1 지지볼(18)의 중앙에 제2 지지볼(20)을 각각 배치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3 지지볼(32)은 인접한 단위 지지볼 세트(28)가 형성하는 공간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13에 보면 단위 지지볼 세트(28)가 형성하는 공간 상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을 이루는 3개의 제1 지지볼(18)의 중앙의 제2 지지볼(20)의 상부에 제1 지지볼(18)을 각각 배치하여 사면체를 구성한다. 이로써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최하단의 단위 지지볼 세트(28) 들이 구성된다. 사면체 형태의 단위 지지볼 세트(28)의 상부에 제1 지지볼(18)을 공유하면서 다음 층의 단위 지지볼 세트(28)의 구성을 반복하여 하우징의 중공부에 하중 분산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육면체(도 3의 24) 형태의 단위 지지볼 세트(도 3의 22) 및 사면체(26) 형태의 단위 지지볼 세트(28)로 하중 분산체를 구성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팔면체 형태의 단위 지지볼 세트를 규칙적으로 형성하여 하중 분산체를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다면체의 단위 지지볼 세트(28)를 혼합하여 규칙적 배열하여 하중 분산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2: 하우징 13: 중공부
14:개구부 15: 하중 분산체
16: 지지판 18, 20, 32: 지지볼
19: 접촉점 22, 28: 단위 지지볼 세트
24: 육면체 25: 접촉면
26: 사면체 27: 위치결정홈
30: 격벽

Claims (18)

  1.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며,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지지볼을 구비하는 하중 분산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지지볼은,
    복수의 제1 지지볼 및 복수의 제2 지지볼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 분산체는,
    가상의 정다면체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제1 지지볼과, 상기 제1 지지볼 사이에 상기 제1 지지볼과 외주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상기의 제2 지지볼을 구비하는 단위 지지볼 세트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되,
    상기 단위 지지볼 세트는 상기 제1 지지볼을 공유하면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분산체는,
    인접한 상기 단위 지지볼 세트가 형성하는 공간 상에 상기 제1 지지볼과 외주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3 지지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지볼 세트의 상기 제1 지지볼은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는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볼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에 노출되는 상기 지지볼에 의해 지지되며, 외부 하중이 작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내벽에는 최외측 지지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볼 및 상기 제2 지지볼에는,
    상기 제1 지지볼 또는 상기 제2 지지볼의 외주가 면접되도록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9.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는 상기 지지볼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지지볼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 지지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095057A 2014-07-25 2014-07-25 하중 분산 지지체 KR101505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57A KR101505534B1 (ko) 2014-07-25 2014-07-25 하중 분산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57A KR101505534B1 (ko) 2014-07-25 2014-07-25 하중 분산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534B1 true KR101505534B1 (ko) 2015-03-25

Family

ID=5302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057A KR101505534B1 (ko) 2014-07-25 2014-07-25 하중 분산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62B1 (ko) * 2018-12-01 2019-12-04 권기범 클린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33A (ja) * 1992-12-17 1994-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商品の包装方法
JP2000192409A (ja) * 1998-12-28 2000-07-11 Maruki:Kk 荷重支持型ジョイント
JP2011080233A (ja) 2009-10-06 2011-04-21 Yokohama Rubber Co Ltd:The 弾性舗装材
WO2011059796A2 (en) * 2009-10-29 2011-05-19 Oria Collapsibles, Llc Structural supporting substrate incorporated into a composite and load support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33A (ja) * 1992-12-17 1994-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商品の包装方法
JP2000192409A (ja) * 1998-12-28 2000-07-11 Maruki:Kk 荷重支持型ジョイント
JP2011080233A (ja) 2009-10-06 2011-04-21 Yokohama Rubber Co Ltd:The 弾性舗装材
WO2011059796A2 (en) * 2009-10-29 2011-05-19 Oria Collapsibles, Llc Structural supporting substrate incorporated into a composite and load supporting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62B1 (ko) * 2018-12-01 2019-12-04 권기범 클린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919B1 (en) Assembled building block for forming various geometrical shapes with corners having angles 60 degrees, 90 degrees and 120 degrees
KR101505534B1 (ko) 하중 분산 지지체
CN103541460A (zh) 新型调谐颗粒质量阻尼器
KR100670842B1 (ko) 건축용 조립식 바닥패널
US20120026687A1 (e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81637B1 (ko) 조립식 철탑 기초체
JPH1061250A (ja) 耐震装置及びその集合体
KR102200125B1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JP3185708U (ja) ブロック玩具
RU2606895C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повышен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KR102118342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내진장치
US20170166353A1 (en) Organizer case
CN103033330B (zh) 用于高加速寿命试验和应力筛选设备的工作台面
KR20200134506A (ko) 조립형 가구 구조체
JP6651149B2 (ja) 制震装置
KR102263376B1 (ko) 볼캐스터를 구비한 최소높이 구조의 면진장치
KR101285236B1 (ko) 장치 구조물의 면진 장치
JP3884852B2 (ja) 滑り免震装置
CN220433922U (zh) 基于高阻尼橡胶和金属碟簧的变刚度竖向振震双控支座
JP2016009621A5 (ko)
JP2015135012A (ja) 受圧板
CN216921580U (zh) 一种新型减震缓冲结构和避震房屋
KR20210094703A (ko) 충격 하중 분산 지지 장치
KR20110004680U (ko) 다단의 내면을 지니는 볼 베어링 면진 장치
JP3931745B2 (ja) 免震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