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125B1 -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 Google Patents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125B1
KR102200125B1 KR1020140065895A KR20140065895A KR102200125B1 KR 102200125 B1 KR102200125 B1 KR 102200125B1 KR 1020140065895 A KR1020140065895 A KR 1020140065895A KR 20140065895 A KR20140065895 A KR 20140065895A KR 102200125 B1 KR102200125 B1 KR 102200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support member
space frame
upp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657A (ko
Inventor
박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6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12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18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onnecting nodes having flat radial connecting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24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33Stru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polygonal, e.g. square, cross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3Screw connections with axis at an angle, e.g. perpendicular,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은 복수의 지지부재 및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를 볼트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게 상부연통홀이 형성되어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상부판부, 상기 상부판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상부연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하부판부 및 상기 상부판부와 하부판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와 수직하게 제공되는 내부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는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복수 개가 연계되어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Space frame connection unit and structure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부재와의 결합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스 프레임이란 입체 트러스 공법의 일종으로서, 건축물의 지붕, 체육시설이나 수영장, 철탑 등과 같은 다양한 입체구조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페이스 프레임은 구조물의 고층화와 대형화에 따라 경량강재 또는 프레임과 같은 가벼운 부재 간의 구조적 지지로 인해 대공간에서의 구조 지지체로써 활용되고 있다.
즉, 상부의 유리 또는 슬레이트와 같은 가벼운 부재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로써 현재 많은 건축물의 상부구조 지지물로 스페이스 프레임이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스페이스 프레임은 시공시에 지지부재와 지지부재 간의 연결시간 및 연결부의 조립의 어려움으로 인해 간편한 연결 및 성능의 요구가 필수적이다.
즉, 종래에는 프레임단부에 나사선을 만들어 프레임 연결부에 내부볼트를 회전시켜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운 공법의 단점(트러스 공법구조물)과, 연결부에 프레임 각각의 다량의 볼트를 이용해 연결하는 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트러스 공법구조물은 그 제조 및 조립 설치과정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돔과 같은 다면체 구조물의 경우는 그 구조 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가 이외에는 조립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조가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한 경우에도, 지지부재(100')와 연결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의 조립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별도의 결합 판을 제공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9-0069399(2009.07.0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재와의 결합을 단순히 하면서도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구조체의 시공 시간을 단축하여 전체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은 복수의 지지부재 및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를 볼트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게 상부연통홀이 형성되어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상부판부, 상기 상부판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상부연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하부판부 및 상기 상부판부와 하부판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와 수직하게 제공되는 내부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내부판부는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날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일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날개판 사이의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에지 단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상부판부 및 하부판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개수에 대응되는 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판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삽입공간이 형성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상부판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 일면이 각각 접하는 복수의 상부분할면을 제공하고, 상기 하부판부은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 타면이 각각 접하는 복수의 하부분할면을 제공하며, 복수의 상기 상부분할면 및 하부분할면은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의 중심점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와 수평한 방향의 폭두께보다 수직한 방향의 높이두께가 더 두껍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는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복수 개가 연계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는 연결볼트가 상부판부, 하부판부 및 상기 상부판부와 하부판부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어,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를 단순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구조체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부재의 결합을 작업자가 쉽게 할 수 있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시공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구조체 형성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으로 일측의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다른 부분의 연결부재에 결합된 지지부재들이 분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에서 지지부재의 결합 개수에 따른 다른 모양 실시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에서 지지부재의 결합 방향에 따른 다른 모양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포함한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는 지지부재(100)와의 결합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연결부재(200)를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는 연결볼트(212)가 상부판부(210), 하부판부(220) 및 상기 상부판부(210)와 하부판부(220)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부재(100)를 관통하여 연결할 수 있어,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100)를 단순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00)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구조체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100)와 연결부재(200)의 결합을 작업자가 쉽게 할 수 있어, 구조체 형성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으로 일측의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다른 부분의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지지부재(100)들이 분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에서 지지부재(100)의 결합 개수에 따른 다른 모양 실시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은 복수의 지지부재(100) 및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100)를 볼트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10)과 연통되게 상부연통홀(211)이 형성되어 연결볼트(212)가 삽입되는 상부판부(210), 상기 상부판부(210)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상부연통홀(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연통홀(22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볼트(212)가 관통되는 하부판부(220) 및 상기 상부판부(210)와 하부판부(220)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1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31)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판부(210) 또는 하부판부(220)와 수직하게 제공되는 내부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상부판부(210) 및 하부판부(22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판부(23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삽입공간(231)이 형성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입체 트러스 공법에 사용되어 입체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체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100)가 연결되게 결합되어야 하며, 후술할 연결부재(200)에 의해 연결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0)의 형상은 단면이 각이진 바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곡면 형상의 원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경량화를 위해서, 속이 빈 관 형상 또는 덕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관 형상 또는 덕트 형상의 벽면 두께를 두껍게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복수 개가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되는 일단부가 에지(edge) 형상으로 제공되는 에지 단부(120)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더하여, 상기 지지부재(100)는 하나의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다른 지지부재(100)에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00)와 수평한 폭 방향의 폭두께(130)보다 수직한 높이 방향의 높이두께(140)를 더 두껍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지지부재(100)를 복수 개 결합시켜 상기 지지부재(100)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부판부(210), 하부판부(220), 내부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00)는 기존의 스페이스 프레임에 포함되는 연결부재(200')가 다수의 볼트결합으로 구성되어 결합이 어려우며, 일측 지지부재(100')의 하중이 연결부재(200')에 대부분 작용하고 다른 지지부재(100')로 분산되지 못하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로 제시된 것이다.
상기 상부판부(210)는 후술할 하부판부(220) 및 내부판부(230)와 협력하여 상기 지지부재(1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부재(100)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볼트(212)가 관통하는 상부연통홀(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연통홀(211)은 상기 지지부재(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110)과 연통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연결볼트(212)가 상기 상부연통홀(211)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볼트(212)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관통홀(110)에도 관통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부(21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면에 접하게 제공되면, 상기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상하 하중을 다른 지지부재(100)에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중을 연결부재(200)가 받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지지부재(100)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상하 하중이 일부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면, 이러한 하중은 상기 상부판부(210)에 적용하고, 상기 상부판부(210)는 이러한 하중을 다시 다른 지지부재(100)로 전달하기 때문에, 상하 하중은 상기 상부판부(210)를 통하여 다른 지지부재(100)로 분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부(21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써, 육각형, 오각형, 사각형 등이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개수가 6개인 경우에, 상기 상부판부(210)는 육각형의 면을 가지는 판재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상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상부판부(210)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내부판부(230)와 접하는 상기 상부판부(210)의 일면에는 상기 내부판부(230)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부판부(210)는 상기 지지부재(1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분할면(213)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하부판부(220)는 상기 상부판부(210) 및 후술할 내부판부(230)와 협력하여 상기 지지부재(1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후술할 내부판부(230)가 제공되기 위해서, 상기 상부판부(21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상부판부(210)의 상기 상부연통홀(211) 및 상기 지지부재(100)의 상기 관통홀(110)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상기 연결볼트(212)가 관통되는 하부연통홀(221)을 제공하여 상기 지지부재(100)와 결합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연통홀(221)은 상기 상부연통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볼트(212)가 상기 상부연통홀(211)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볼트(212)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관통홀(110)에 관통된 후에 상기 하부연통홀(221)에 관통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부(220)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면에 접하게 제공되면, 상기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상하 하중을 다른 지지부재(100)에 전달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재(100)의 하중을 연결부재(200)가 받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지지부재(100)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부(220)도 상기 상부판부(210)와 동일하게,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례로써 육각형, 오각형, 사각형 등이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재(100)의 개수가 6개인 경우에, 상기 하부판부(220)는 육각형의 면을 가지는 판재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상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하부판부(220)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내부판부(230)와 접하는 상기 하부판부(220)의 일면에도 상기 내부판부(230)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판부(220)는 상기 지지부재(1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하부분할면(222)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내부판부(230)는 상기 상부판부(210)와 하부판부(220)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1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231)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내부판부(230)는 상기 상부판부(210) 및 하부판부(220)와 수직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구성을 수직 방향으로 보완할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좌우 하중을 상기 연결부재(200)가 받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지지부재(100)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판부(23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00)의 개수에 따라 삽입공간(2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판부(210) 또는 상기 하부판부(220)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날개판(2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내부판부(230)는 상기 상부판부(210) 또는 하부판부(220)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날개판(2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판부(23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00)의 개수에 따라 삽입공간(231)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상기 날개판(232)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일례로써, 상기 지지부재(100)가 6개가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날개판(232)에 의해서 형성될 삽입공간(231)이 6개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판부(210) 또는 상기 하부판부(220)의 중심에 대하여 결합된 날개판(232)이 6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날개판(232)이 상기 상부판부(210) 또는 하부판부(220)의 중심에서 분사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100)의 일단부는 에지 단부(120)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되는 일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날개판(232) 사이의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에지 단부(1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상부판부(210) 또는 하부판부(220)와 수평한 방향의 폭두께(130)보다 수직한 방향의 높이두께(140)가 더 두껍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00)는 상기 연결부재(200)에 복수 개가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되는 일단부가 에지 단부(120)로 제공되는 것이며, 더하여 상기 지지부재(100)는 하나의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다른 지지부재(100)에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00)와 수평한 폭 방향의 폭두께(130)보다 수직한 높이 방향의 높이두께(140)를 더 두껍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상기 삽입공간(231)에 삽입되는 지지부재(100)의 일단부가 에지 형상으로 제공되는 에지 단부(120)로 제공됨으로써,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100)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상기 연결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0)의 단면에 대한 폭두께(130)보다 높이두께(140)를 더 두껍게 설정하면, 상기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산을 더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00)가 지지하는 하중은 상기 지지부재(100)에 결합되는 유리부재, 벽체부재 등의 무게에 의한 하중으로 상하 하중이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00)가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판부(210) 또는 하부판부(220)와 수평한 방향의 폭두께(130)보다 수직한 방향의 높이두께(140)를 더 두껍게 제공함으로써, 상하 하중에 대항하는 지지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은 하중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제공되는 지지부재(100)의 두께에 비례하는데, 상기 지지부재(100)에 작용하는 하중은 상하 하중이 대부분이므로, 상하 방향의 두께인 높이두께(140)를 더 두껍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에서 지지부재(100)의 결합 방향에 따른 다른 모양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6a는 지지부재(100)가 모두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연결부재(200)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하나의 지지부재(100)가 분리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의 상기 상부판부(210)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100) 일면이 각각 접하는 복수의 상부분할면(213)을 제공하고, 상기 하부판부(220)은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100) 타면이 각각 접하는 복수의 하부분할면(222)을 제공하며, 복수의 상기 상부분할면(213) 및 하부분할면(222)은 상기 상부판부(210) 또는 하부판부(220)의 중심점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1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판부(210) 및 하부판부(220)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10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부재(1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상부분할면(213) 또는 하부분할면(222)을 제공함으로써,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00)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체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지지부재(100)와 결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200)가 상기 지지부재(100)의 결합 방향에 대응되게 형상을 변형할 필요가 있어, 상기 상부분할면(213), 하부분할면(222)을 복수로 제공하는 것이다.
일례로, 6개의 지지부재(100)가 결합되며, 이러한 6개의 지지부재(100)가 하나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꼬깔 모양으로 경사지게 제공된 경우를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부판부(210)는 6개의 상부분할면(213)을 제공하고, 하부판부(220)는 6개의 하부분할면(222)을 제공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을 포함한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는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복수 개가 연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이 복수 개가 다양한 형상으로 결합된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각각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은 연결부재(200)를 중심으로 지지부재(100)를 통하여 연계될 수 있다.
100: 지지부재 110: 관통홀
120: 에지 단부 130: 폭두께
140: 높이두께 200: 연결부재
210: 상부판부 211: 상부연통홀
212: 연결볼트 213: 상부분할면
220: 하부판부 221: 하부연통홀
222: 하부분할면 230: 내부판부
231: 삽입공간 232: 날개판

Claims (7)

  1. 복수의 지지부재; 및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를 볼트결합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게 상부연통홀이 형성되어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상부판부;
    상기 상부판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상부연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볼트가 관통되는 하부판부; 및
    상기 상부판부와 하부판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와 수직하게 제공되는 내부판부;
    를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부는,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날개판;
    을 포함하는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일단부가, 이웃하는 상기 날개판 사이의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에지 단부로 제공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부 및 하부판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개수에 대응되는 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판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삽입공간이 형성되게 제공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부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 일면이 각각 접하는 복수의 상부분할면을 제공하고, 상기 하부판부은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 타면이 각각 접하는 복수의 하부분할면을 제공하며,
    복수의 상기 상부분할면 및 하부분할면은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의 중심점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부판부 또는 하부판부와 수평한 방향의 폭두께보다 수직한 방향의 높이두께가 더 두껍게 제공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복수 개가 연계되어 결합된 구조체.
KR1020140065895A 2014-05-30 2014-05-30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KR10220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895A KR102200125B1 (ko) 2014-05-30 2014-05-30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895A KR102200125B1 (ko) 2014-05-30 2014-05-30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657A KR20150137657A (ko) 2015-12-09
KR102200125B1 true KR102200125B1 (ko) 2021-01-07

Family

ID=5487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895A KR102200125B1 (ko) 2014-05-30 2014-05-30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843B1 (ko) * 2019-08-21 2021-12-02 주식회사 블렛라이너 돔 부재를 이용한 확장형 조립식 하우스의 기초 및 그 시공방법
CN116480007B (zh) * 2023-05-08 2023-10-27 华星钢构股份有限公司 用于钢结构建筑的复杂空间结构节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882A (ja) * 1995-10-20 1997-04-28 Nippon Light Metal Co Ltd トラス弦材のジョイント部材体
KR20090069399A (ko) 2007-12-26 2009-07-01 배순직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657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2404B2 (en) Connector for geodesic dome structures
US9366020B2 (en) Modular building unit connection system
CN101603352A (zh) 一种空腹钢梁和钢框架系统
KR102200125B1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유닛 및 이를 포함한 구조체
US9127450B2 (en) Space truss system
KR101308066B1 (ko) 조립식 천막 구조물의 지지력 보강을 위한 빔 설치구조
KR101049004B1 (ko) 돔 구조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돔 구조물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JP621389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JP6614739B1 (ja) トンネル状の建築物の製造方法
KR100426117B1 (ko) 다용도 전시용 트러스
JP2020145943A (ja) キャットタワー
US11781314B2 (en) System, method, kit and modular element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KR200493083Y1 (ko) 프레임 커넥터
CN108868002B (zh) 多边形钢柱结构及网架
CN217538194U (zh) 围栏立柱
KR200367283Y1 (ko) 시설물의 골조 조립구조
US10774524B2 (en) Assemblable panel structure
JP2693826B2 (ja) ユニット建物
RU2341628C1 (ru) Пластинчатая структурная панель фальшпола
KR200375400Y1 (ko) 다기능 네트워크 가설용 이동식 바닥판
KR102068116B1 (ko) 콘크리트 사용량 절감을 위한 큐브형태의 중공 경량재
KR20170121887A (ko) Src와 pc를 이용한 기둥과 보의 설치 구조
KR101381416B1 (ko) 멀티트러스 프레임
JP5530379B2 (ja) 組立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