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506A - 조립형 가구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형 가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506A
KR20200134506A KR1020190060033A KR20190060033A KR20200134506A KR 20200134506 A KR20200134506 A KR 20200134506A KR 1020190060033 A KR1020190060033 A KR 1020190060033A KR 20190060033 A KR20190060033 A KR 20190060033A KR 20200134506 A KR20200134506 A KR 2020013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haped structure
groove
furni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윤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진 filed Critical 윤상진
Priority to KR102019006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506A/ko
Publication of KR2020013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77Interlocking assemblies with dovetail mortise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85Mutually slotted furniture join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조립형 가구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1 박스형 구조체, 제1 박스형 구조체에 인접 설치되는 제2 박스형 구조체, 및 제1 박스형 구조체와 제2 박스형 구조체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박스형 구조체의 모서리 부위에는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제2 박스형 구조체의 모서리 부위에는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2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가구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받게 된다.

Description

조립형 가구 구조체{Assembled Furniture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형 가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가구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가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구들은 사용 목적에 따른 형상과 크기로 제작되어 판매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형 가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구조를 변경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 목적 변경, 거주 공간의 변경 등의 이유로 인해 고정형 가구는 사용성을 쉽게 상실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성을 상실한 고정형 가구는 폐기 비용 등의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폐기에 따른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의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가구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립형 가구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는, 제1 박스형 구조체;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에 인접 설치되는 제2 박스형 구조체; 및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와 상기 제2 박스형 구조체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박스형 구조체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홈과 상기 제2 홈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면은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의 외부면 및 상기 제2 박스형 구조체의 외부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의 모서리 부위에서 수직면과 수평면에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제2 박스형 구조체의 모서리 부위에서 수직면과 수평면에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는 정다면체로서, 정다면체의 각 모서리 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박스형 구조체는 정다면체로서, 정다면체의 각 모서리 부위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2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가구를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받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의 결합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연결 부재를 도 1에서의 조립형 가구 구조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도 3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는 제1 박스형 구조체(100) 및 제2 박스형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정육면체 등의 정다면체 형상의 통형 구조체로서, 정다면체를 형성하는 각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가구로서의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홀(17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서 상호 결합 가능하며,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상호 결합 구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박스형 구조체(100)는 정다면체의 각 모서리 부위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제2 박스형 구조체(200)와의 결합을 위한 홈인 제1 홈(150)이 모서리 부위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박스형 구조체(200) 또한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정다면체 형상의 구조체로서 정다면체의 각 모서리 부위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의 결합을 위한 홈인 제2 홈(250)이 모서리 부위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제2 박스형 구조체(200)는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일면을 맞댄 상태에서 인접하여 연결 설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결합면에서의 제1 박스형 구조체(1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홈(150)의 바닥면과,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홈(250)의 바닥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제1 홈(150)의 모서리 부위에서의 개방 단부와 제2 홈(250)의 모서리 부위에서의 개방 단부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제1 홈(150)과 제2 홈(250)은 하나의 결합홈(40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홈(40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결합홈(400)과 동일한 크기, 형상 및 두께를 갖는 판형 부재인 연결 부재(300)가 삽입 설치됨으로써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는 도 3에서와 같은 상호 결합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 홈(150)과 제2 홈(250)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형성되는 결합홈(400)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결합면에서의 복수의 모서리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됨으로써,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결합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연결 부재(300)는 제1 홈(150) 및 제2 홈(250)의 깊이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제1 홈(150)과 제2 홈(250)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400)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판형 부재로 제작함으로써,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연결 부재(300)가 결합홈(4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300)의 상면이 제1 박스형 구조체(100)의 외부면 및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외부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결합 상태에서의 사용성과 미관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홈(150)은 제1 박스형 구조체(100)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두개의 면인 수직면과 수평면에 각각 동일한 형상, 크기, 깊이로 형성되되, 모서리 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직면에 형성된 제1 홈(150)과 수평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홈(150) 중 어느 하나를 제2 박스형 구조체(200)와의 결합에 있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홈(150)과 제2 홈(250)의 단부가 정다면체의 모서리에서 개방되도록 형성하되, 제1 홈(150)과 제2 홈(250)의 개방 단부의 폭을 수직면 또는 수평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홈(150)과 제2 홈(25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제1 홈(150)과 제2 홈(250)이 함께 형성하는 결합홈(400)이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결합선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홈의 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리본형 구조를 갖게 되도록 하고, 연결 부재(300) 또한 리본형 구조의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연결 부재(300)의 결합홈(400)에의 결합 상태에서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상호 이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를 동물용 가구의 한 종류인 캣타워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캣타워의 구조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며, 캣타워를 이용하는 고양이는 박스 구조체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홀(170)을 통해 자유롭게 캣타워의 내외부를 드나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 부재(300)를 각각 동일한 크기의 자기장 세기를 갖는 자성체로 제작하고, 제1 박스형 구조체(100)의 내부 중앙에는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자기장 측정 센서 모듈(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제1 박스형 구조체(10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자기장 측정 센서 모듈은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결합에 사용된 복수의 연결 부재(300)의 개별 설치 위치에 따른 각 자기장의 세기 및 자기장의 방향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각 연결 부재(300)에 대한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 정보 및 자기장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박스형 구조체(10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된 자기장 측정 센서 모듈의 설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공간 좌표 상에서 각 연결 부재(200)가 설치된 위치의 3차원 공간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결합 구조를 연산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가구 구조체를 가구 설계를 위한 교육용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제1 박스형 구조체, 150: 제1 홈,
170: 홀, 200: 제2 박스형 구조체,
250: 제2 홈, 300: 연결 부재,
400: 결합홈.

Claims (3)

  1. 제1 박스형 구조체(100);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100)에 인접 설치되는 제2 박스형 구조체(200); 및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100)와 상기 제2 박스형 구조체(200)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부재(300)
    를 포함하는 조립형 가구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스형 구조체(100)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 부재(300)가 삽입되는 제1 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박스형 구조체(200)의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연결 부재(300)가 삽입되는 제2 홈(250)이 형성되는 것인 조립형 가구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150)과 상기 제2 홈(250)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300)가 삽입되는 결합홈(400)을 형성하는 것인 조립형 가구 구조체.
KR1020190060033A 2019-05-22 2019-05-22 조립형 가구 구조체 KR20200134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033A KR20200134506A (ko) 2019-05-22 2019-05-22 조립형 가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033A KR20200134506A (ko) 2019-05-22 2019-05-22 조립형 가구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506A true KR20200134506A (ko) 2020-12-02

Family

ID=7379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033A KR20200134506A (ko) 2019-05-22 2019-05-22 조립형 가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5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908B1 (ko) * 2022-10-07 2023-08-22 곽동엽 반려동물용 하우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908B1 (ko) * 2022-10-07 2023-08-22 곽동엽 반려동물용 하우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9397C (en) A building plate for a toy building set and a toy building set including such building plate.
KR100559439B1 (ko) 조립식 입체모형
CN103891624B (zh) 一种积木宠物组装箱
US9340967B2 (en) Kit including self-supporting panels for assembling a modular structure
KR20200134506A (ko) 조립형 가구 구조체
EP3779214B1 (en) Paper tube connection device
US7290377B2 (en) Block connector
JP4755237B2 (ja) 組立て式収納ボックス
KR101583552B1 (ko) 목재로 만들어진 벽체 모듈
KR101781804B1 (ko) 조립식 하우징 모듈
CN107154527A (zh) 用于天线的模块化的壳体布置结构
CN203707421U (zh) 模块式连接器
JP3177322U (ja) 強化段ボール製の簡易パーテーション
KR101112165B1 (ko) 정다면체 학습 교구
JP2005248515A (ja) カプセルベッド
KR100970507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커넥터 구조체
JP2017006605A (ja) 組立ブロックおもちゃ用ジョイント
JP2004275681A (ja) 立方体のユニット式組立構造
KR200387291Y1 (ko) 벌집 액자
CN2893039Y (zh) 一种具有端面联接结构的轻体组合墙板
JP3243020U (ja) モジュール化ペット寝具
JP5362318B2 (ja) ユニット式建物
CN203604366U (zh) 板材连结卡座结构
AU2011236072A1 (en) A Three Dimensional Structure
KR101112164B1 (ko) 정다면체 학습 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