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804B1 - 조립식 하우징 모듈 - Google Patents

조립식 하우징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804B1
KR101781804B1 KR1020140115134A KR20140115134A KR101781804B1 KR 101781804 B1 KR101781804 B1 KR 101781804B1 KR 1020140115134 A KR1020140115134 A KR 1020140115134A KR 20140115134 A KR20140115134 A KR 20140115134A KR 101781804 B1 KR101781804 B1 KR 10178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dule
connector
connection plate
b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378A (ko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14011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8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하우징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캠핑용 하우스, 흡연부스, 파고라(pergola) 등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하우징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최소한의 모듈 요소를 통해 조립 및 시공과 해체가 간편하고 연결 부분이 유연성과 내구적 견고성을 동시에 가지면서도 하우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꼭지부(110)로부터 3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3개의 연장부(120)를 갖추되 3개의 연장부(120)는 상호 90°각도를 이루고 각 연장부(120)의 자유 단부에 접속부(130)가 형성된 베이스 모듈(100); 상기 베이스 모듈(100)을 연설하기 위한 요소로서 각 베이스 모듈(100)의 상기 접속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접속부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커넥터(140);를 포함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하우징 모듈{Prefabricated housing modules}
본 발명은 조립식 하우징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캠핑용 하우스, 흡연부스, 파고라(pergola) 등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하우징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캠핑용 하우스, 흡연부스, 파고라 등 야외에 소정의 가건물을 설치할 때에는 주로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컨테이너는 조립식이 완제품 상태로 이동하여 설치하므로 차량이 운행할 수 없는 산지 등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중량이 무거워서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으로 하역해야 하므로 취급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들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규격화된 모듈을 볼팅(bolting)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여 가설하는 형태의 조립식 하우징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대부분 많은 요소들이 필요하므로 제작비용이 높고 시공 및 해체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많은 요소들을 관리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는 등,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획일화 된 연결 방식으로 인해 건물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없고, 건물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에 따른 다른 형태의 요소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형태의 다변화를 꾀하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50281호(2004.5.13 공고)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9644(2011.6.8 공고) 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47676호(2010.2.11 공고) 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112300호(2012.10.11 공개)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모듈 요소를 통해 조립 및 시공과 해체가 간편하고 연결 부분이 유연성과 내구적 견고성을 동시에 가지면서도 하우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꼭지부로부터 3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3개의 연장부를 갖추되 3개의 연장부는 상호 90°각도를 이루고 각 연장부의 자유단부에 접속부가 형성된 베이스 모듈; 상기 베이스 모듈을 연설하기 위한 요소로서 각 베이스 모듈의 상기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접속부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모듈을 2개 또는 그 이상 연설할 때 각 베이스 모듈에서 맞대어진 각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고 일정 길이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모듈의 양쪽 단부에 각각 상기 커넥터와 체결 가능한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커넥터는 일정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의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양쪽 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양쪽 돌출부 및 연결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볼트가 통과되도록 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접속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는 접속 플레이트와, 상기 접속 플레이트에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가 내입되도록 한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에서 관통되어 상기 볼트가 통과하도록 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는 유연성을 가진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모듈과 상기 베이스 모듈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만으로 하우징의 기본 뼈대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에 연결 모듈을 더하는 경우 하우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등 적은 구성요소로 하우징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와 해체 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유연성을 가진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하는 동시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두어 상호 연결하므로 유연성과 접합성이 우수하고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그의 연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접속부(130)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접속부(130)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베이스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베이스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일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연결 모듈의 접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베이스 모듈 및 도 7의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활용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도면에서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그의 연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접속부(130)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접속부(130)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베이스 모듈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베이스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징 모듈은 베이스 모듈(100)과 커넥터(1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꼭지부(110)로부터 3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3개의 연장부(120)를 갖추고 있으며, 이때 3개의 각 연장부(120)는 상호 90°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장부(120)는 예컨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연장부(120)에서 꼭지부(110)의 반대편 끝단, 즉 자유단부에는 각각 접속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부(130)는, 접속 플레이트(131), 함몰부(132) 및 홀(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 플레이트(131)는 각 연장부(120)의 자유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함몰부(132)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131)의 가운데에서 꼭지부(110) 방향으로 함몰되어 후술하는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142)가 내입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홀(133)은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멍이다.
상기 커넥터(140)는, 상기 베이스 모듈(100) 2개를 상호 연설하기 위한 매개 요소이며, 2개의 베이스 모듈(100) 중 서로 맞대어진 접속부(130)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접속부(130)를 각각 볼팅(bolting) 방식으로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40)는, 연결 플레이트(141), 돌출부(142) 및 홀(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41)는 일정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이고, 상기 돌출부(142)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141)의 양쪽 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상기 접속부(130)의 함몰부(132)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며, 상기 홀(143)은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멍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2개의 베이스 모듈(100)을 상호 고정할 때에는, 각각의 베이스 모듈(100)의 접속부(130), 즉 각각의 접속 플레이트(131)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각 접속부(130) 사이에 커넥터(140)를 끼워 넣은 후, 양쪽 돌출부(142)를 각 함몰부(132)에 삽입한다. 그리고 볼트(B)를 함몰부(132)의 홀(133)과 커넥터(140)의 홀(143)을 각각 관통시킨 후 너트(N)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14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이 연질의 신축성을 가진 재료로 성형하되 도 4와 같이 접속 플레이트(131)와 홀(133)이 형성된 각 돌출부(142)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커넥터(140)가 연질의 신축성을 가지면 2개의 베이스 모듈(100)을 볼팅 체결할 때 각 베이스 모듈(100)의 접속부(1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압착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고정력을 공고히 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이 증대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연장부(120)의 횡단면(도 1의 A-A 단면) 상 형태는, 'ㄷ'자 형태에서 양쪽 모서리부를 각이 지게 깎은 챔퍼(champer)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120)의 횡단면 형태가 예시된 챔퍼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도 11 및 도 13에서와 같이 라운드 형태나 직각 형태 또는 기타 다른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경량화를 위해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장부(120)가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부(120) 내측 부분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지지리브(1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모듈(100)에는 X, Y, Z 축의 3방향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커넥터(140) 및 각 연장부(130)의 연결 구조를 통해 복수 개의 베이스 모듈(10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정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모듈 및 연결 모듈의 접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베이스 모듈 및 도 7의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활용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하우징 모듈은, 연장 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모듈(200)은, 상기 베이스 모듈(100)의 연설할 때, 상호 연결되는 베이스 모듈(100)의 각 접속부(13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2개의 베이스 모듈(100)의 거리를 더 멀리 이격시키기 위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연장 모듈(200)은 일정 길이의 프레임(2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21)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접속부(220)가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부(220)는, 접속 플레이트(221), 함몰부(222) 및 홀(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 플레이트(221)는 프레임(210)의 양쪽 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함몰부(222)는 상기 접속 플레이트(221)의 가운데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142)가 내입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홀(223)은 볼트(B)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멍이다.
상기 프레임(210)의 횡단면 형태는 전술한 연장부(120)의 횡단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연장부(120)의 단면이 챔퍼 형태인 경우, 그것과 동일하게 상기 프레임(210)의 단면도 챔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모듈(200)의 접속부(220)가 상기 베이스 모듈(100)의 접속부(130)와 커넥터(140)를 매개로 상호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모듈(100)과 연결 모듈(200)을 상호 적절하게 조합하여 연결하면, 도 9의 (a)와 같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도 9의 (b)와 같이 연결 모듈(200)이 지지 포스트 기능을 가짐으로써 하부가 개방된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예컨대 파고라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개방면을 목재 또는 실내 채광을 위한 유리 등으로 마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 기후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므로 보온이나 냉방 시설을 갖출 수 있고, 따라서 캠핑용 하우스나 별장과 같이 임시 주거 공간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한 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연결 방향을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베이스 모듈(100')의 연장부(120')와 제2실시예의 연결 모듈(200')의 횡단면은 원호 상의 라운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연결 구조를 통해 도 12의 (a)와 같이 폐쇄된 정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이나 (b)와 같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 또는 (c)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 등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베이스 모듈(100")의 연장부(120")와 제3실시예의 연결 모듈(200")의 횡단면은 각이 진 직각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앞서 설명한 연결 구조를 통해 도 14의 (a)와 같이 폐쇄된 정육면체 형태의 하우징이나 (b)와 같이 폐쇄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 또는 (c)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하우징 등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단면 형태를 가진 베이스 모듈(100)(100')(100") 및/또는 연결 모듈(200)(200')(200")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하우징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모듈(100)은,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모듈(100) 및/또는 연결 모듈(200)이 도 10과 같이 임시 주거 공간으로 활용되는 경우 실내의 벽이 형성되는 부분, 즉 베이스 모듈(100) 및/또는 연결모듈(200)의 내면에 히노끼 목재나 무늬목과 같은 각종 목재로 제조된 판재 또는 기타 재질의 인테리어용 판재(300) 등을 부착하여 실내 벽면을 미려하게 마감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베이스 모듈 110... 꼭지부
120... 연장부 121... 지지리브
130... 접속부 131... 접속 플레이트
132... 함몰부 133... 홀
140... 커넥터 141... 연결 플레이트
142... 돌출부 143... 홀
200... 연결 모듈 210... 프레임
220... 접속부 221... 접속 플레이트
222... 함몰부 223... 홀

Claims (6)

  1. 꼭지부(110)로부터 3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3개의 연장부(120)를 갖추되 3개의 연장부는 상호 90°각도를 이루고 각 연장부의 자유 단부에 접속부(130)가 형성된 베이스 모듈(100); 상기 베이스 모듈(100)을 연설하기 위한 요소로서 각 베이스 모듈의 상기 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쪽 접속부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시키는 커넥터(140);로 이루어진 조립식 하우징 모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100)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고, 상기 연장부(120)의 횡단면 형태는 모서리를 각이 지게 깎은 챔퍼(champer) 형태, 직각 형태,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며, 상기 연장부 내측 부분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지지리브(121)가 구비된 것과,
    상기 커넥터(140)는, 일정 두께를 가진 평판 형태의 연결 플레이트(141)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양쪽 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142)와, 상기 양쪽 돌출부에 형성되어 볼트(B)가 통과되도록 한 홀(143)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플레이트(141) 및 돌출부(142)가 고무, 실리콘, 우레탄에서 선택된 연질의 신축성을 가진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것과,
    상기 접속부(130)는, 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는 접속 플레이트(131)와, 상기 접속 플레이트(131)에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가 내입되도록 한 함몰부(132)와, 상기 함몰부(132)에 형성되어 볼트가 통과하도록 한 홀(133)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100)의 연설시 각 베이스 모듈의 접속부(130) 사이에 개재되고 일정 길이의 프레임(210)으로 이루어진 연결 모듈(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양쪽 단부에 각각 상기 커넥터(140)와 체결 가능한 접속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횡단면 형태는 상기 연장부의 횡단면 형태와 대응하여 모서리를 각이 지게 깎은 챔퍼(champer) 형태, 직각 형태, 라운드 형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프레임의 접속부(220)는, 단부에 폐쇄면을 형성하는 접속 플레이트(221)와, 상기 접속 플레이트(221)에서 함몰되어 상기 커넥터(140)의 돌출부가 내입되도록 한 함몰부(222)와, 상기 함몰부(222)에 형성되어 볼트가 통과하도록 한 홀(2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하우징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15134A 2014-09-01 2014-09-01 조립식 하우징 모듈 KR10178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134A KR101781804B1 (ko) 2014-09-01 2014-09-01 조립식 하우징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134A KR101781804B1 (ko) 2014-09-01 2014-09-01 조립식 하우징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78A KR20160026378A (ko) 2016-03-09
KR101781804B1 true KR101781804B1 (ko) 2017-09-27

Family

ID=5553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134A KR101781804B1 (ko) 2014-09-01 2014-09-01 조립식 하우징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8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31A (ko)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20210041720A (ko) 2019-10-08 2021-04-16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058B1 (ko) 2018-05-17 2019-04-16 곽희광 임시구조물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281Y1 (ko) 2004-02-05 2004-05-13 우영배 간이용 조립식 하우스구조
KR101039644B1 (ko) 2008-09-24 2011-06-08 서자경 조립식 돔 하우스
KR200447676Y1 (ko) 2009-02-06 2010-02-11 박호종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KR101509862B1 (ko) 2012-08-25 2015-04-07 김창래 조립식 인스턴트하우스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31A (ko) 2018-04-10 2019-10-18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KR20210041720A (ko) 2019-10-08 2021-04-16 정두진 건물 벽체용 창호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78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954B2 (en) Packing mechanism
KR101781804B1 (ko) 조립식 하우징 모듈
CN101605945A (zh) 穹顶式结构
KR101409772B1 (ko) 조립식 수납함
US8434798B2 (en) Attach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550015B2 (en) Modular table system
KR101970404B1 (ko)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JP3214429U (ja) 収容体用ユニット及び収容体用ユニットを使用した収容体
KR101232026B1 (ko) 로드 프레임 조인트 유닛
KR101158363B1 (ko) 조립상자 키트
KR101242833B1 (ko) 대리석 판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74049B1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JP2009231534A (ja) 電波吸収体固定用ユニット
CN110965779A (zh) 一种建筑施工用预留洞模具
KR101455321B1 (ko)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하우징 및 이의 제작방법
EP2486823A1 (en) Shelf system based on flat shelf elements that interconnect with each other - without the use of any tool - to form a modular system of L-shaped shelves that can be added to each other to form a larger shelf
JP2004345737A (ja) 樹脂パレット
KR20110099208A (ko) 조립상자 키트
KR102654021B1 (ko)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 방법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KR101613694B1 (ko) 지지기둥이 내설된 조립식 벽체패널
KR102227757B1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US20230337815A1 (en) Modular furnishing block
CN201910205U (zh) 框架组件结构及具有框架组件结构的显示装置
CN102808454B (zh) 一种用于箱式建筑的角件装置,箱式建筑物以及建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4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27

Effective date: 201708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