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049B1 -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049B1
KR102174049B1 KR1020190172256A KR20190172256A KR102174049B1 KR 102174049 B1 KR102174049 B1 KR 102174049B1 KR 1020190172256 A KR1020190172256 A KR 1020190172256A KR 20190172256 A KR20190172256 A KR 20190172256A KR 102174049 B1 KR102174049 B1 KR 102174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tting groove
leg
fitting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복이
Original Assignee
임복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복이 filed Critical 임복이
Priority to KR102019017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의 실외기와 같은 중량물을 받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한쌍의 가로바와 한쌍의 세로바로 구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로 구성되는 실외기 받침대를 조립 설치할 때 사용되되, 상기 가로바, 세로바 및 다리가 직각으로 연결되는 꼭지점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직각을 이루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 및 제2블럭에 동시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3블럭으로 구성되는 주몸체; 상기 주몸체의 직각을 이루는 3개의 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로바를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과, 상기 세로바를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과, 상기 다리를 끼우기 위한 제3끼움홈을 포함하는 부재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Joint Device For Supporter Of Outdoor Fan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에어컨의 실외기와 같은 중량물을 받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의 실외기는 보통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다. 실외기를 지면에 설치하는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약간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이 실외기의 손상이나 오염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래서 중량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조립식 앵글을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오랜 사용시 부식이 진행되고 이음부위의 강도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기의 진동에 의해 이완되는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12580호와 같이 받침대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요망하는 강도를 얻기 위하여 부피를 키워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고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1258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4879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실외기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한 실외기용 받침대의 연결부품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성이 단순하고 받침대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받침대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조인트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한쌍의 가로바와 한쌍의 세로바로 구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로 구성되는 실외기 받침대를 조립 설치할 때 사용되되, 상기 가로바, 세로바 및 다리가 직각으로 연결되는 꼭지점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직각을 이루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 및 제2블럭에 동시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3블럭으로 구성되는 주몸체;
상기 주몸체의 직각을 이루는 3개의 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로바를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과, 상기 세로바를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과, 상기 다리를 끼우기 위한 제3끼움홈을 포함하는 부재끼움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를 끼우기 위한 제4끼움홈이 마련되는 보조블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리는 간접적으로 상기 제3끼움홈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보조블럭은 제3끼움홈의 깊이보다 길이가 길게 되어 있어서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끼움홈은 "L"형태로서 제2블럭과 제3블럭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며;
상기 제2끼움홈은 "L"형태로서 제1블럭과 제3블럭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며;
상기 제3끼움홈은 "L"형태로서 제1블럭과 제2블럭의 단면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의 경계부에는 상기 다리의 횡단면 형태에 따라서 다리설치대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3끼움홈은 상기 제1,2블럭 및 달리설치대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체형으로 된 간단한 구성의 주몸체를 이용하여 3개의 선형부재를 간결하고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받침대의 설치가 신속 용이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설치한 상태에서도 미관이 양호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의 분해 저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것으로서 분해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의 분해 저부 사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이하, '실외기 받침대'라 한다)는 에어컨 실외기의 크기에 맞춰 제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구체적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외기 받침대는 한쌍의 가로바(10)와 한쌍의 세로바(11)로 구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12)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외기 받침대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위에 평평한 판재 내지 그레이팅이 더 얹어질 수도 있다. 물론 실외기와 상판 사이에는 방진수단이 개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기구는 실외기 받침대를 조립 설치할 때 사용되되, 특히 가로바(10), 세로바(11) 및 다리(12)가 직각으로 연결되는 꼭지점 부위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실외기 받침대에 4세트의 조인트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인트 기구는 주몸체(20)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며, 여기에 보조블럭(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몸체(20)는 제1블럭(21), 제2블럭(22) 및 제3블럭(23)을 포함한다. 제1블럭(21), 제2블럭(22) 및 제3블럭(23)은 납작한 육면체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다. 즉 제1블럭(21)과 제2블럭(22)이 직각을 이루고, 제2블럭(22)과 제3블럭(23)이 직각을 이루고, 제1블럭(21)과 제3블럭(23)이 직각을 이룬다. 결국 제1,2,3블럭(21,22,23)은 육면체와 같은 입체적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서로 직각을 이루는 3개의 면을 제공한다. 이 면에는 부재를 면밀하게 끼우기 위한 부재끼움홈(41,42,43)이 마련된다.
부재끼움홈(41,42,43)은 가로바(10)를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41)과, 세로바(11)를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42)과, 다리(12)를 끼우기 위한 제3끼움홈(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끼움홈(43)에는 다리(12)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끼워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간접적으로 끼워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3끼움홈(43)에 보조블럭(30)이 먼저 끼워진다. 보조블럭(30)에는 다리(12)를 끼우기 위한 제4끼움홈(31)이 마련되어 있다.
보조블럭(30)은 다리(12)의 횡단면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마련된다. 다리(12)는 이 보조블럭(30)에 끼워짐으로써 그를 매개로 하여 제3끼움홈(43)에 끼워지게 된다(도 3 내지 도 4 참조).
보조블럭(30)의 길이(L)는 제3끼움홈(43)의 깊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이것은 다리(12)의 강성을 크게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되는 길이는 삽입되는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보조블럭(30)과 주몸체(20)는 소재를 달리 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쐐기 방식으로 인서트부재가 더 개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로바(10), 세로바(11) 및 다리(12)의 횡단면은 기본적으로 "L"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는 강성을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보강을 위한 리브가 더 설치될 수도 있고 좀 더 입체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끼움홈(41)은 "L"형태로서 제2블럭(22)과 제3블럭(23)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제2끼움홈(42)은 "L"형태로서 제1블럭(21)과 제3블럭(23)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3끼움홈(43)은 "L"형태로서 제1블럭(21)과 제2블럭(22)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결국 제1,2,3끼움홈(41,42,43)은 가로바(10), 세로바(11) 및 다리(12)의 횡단면 형태에 각각 대응된다. 그러나 압입해서 끼워지며 나아가 끼워진 상태에서 좀처럼 빠지지 않도록 요철돌기(32,45)들이 제1,2,3끼움홈(41,42,43)의 전부 또는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2,3끼움홈(41,42,43)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깊이를 깊게 하여 서로 상하로 오버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깊이를 짧게 하여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1,2,3,4끼움홈(41,42,43,31)에 가로바(10), 세로바(11), 보조블럭(30) 및 다리(12)를 끼워 결합시 고정을 위하여 나사못 이외에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2,3블럭(21,22,23) 사이에 직각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그들 경계부위에 강도보강을 위한 삼각 형태의 리브(51)가 일체형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직결)나사못을 체결하여 부재, 즉 가로바(10), 세로바(11) 및 다리(1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못체결공(52)이 제1,2,3블럭(21,22,23) 전체 또는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블럭(21)과 제2블럭(22)의 경계부에는 상기 다리(12)의 횡단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다리설치대(44)가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리가 "L"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다리설치대(44)가 직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다. 다리설치대(44)의 끝은 제3블럭(23)에 닿아 있음으로써 결국 다리설치대(44)는 제1,2,3블럭(21,22,23) 모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다리(12)의 설치구조가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다리설치대(44)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 표면에 강성보강을 위한 살을 더 붙일 수도 있고 두께를 더 두껍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3끼움홈(43)은 상기 제1,2블럭(21,22) 및 달리설치대(44)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다리설치대(44)는 다리(12)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리(12')가 원형 파이프로 되어 있고, 따라서 보조블럭(30') 및 다리설치대(44')는 각각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물론 제4끼움홈(43') 역시 원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보조블럭(30')의 길이(L)는 제4끼움홈(43')의 깊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그 외에도 다리는 단면이 사각(□), 삼각(△), 일(一)자 형태 등 다양할 수 있으며 그 다리의 형태에 맞게끔 제3,4끼움홈(43,31)과 다리설치대(44)가 설계된다. 한편 다리(12)의 단부에는 패킹이 끼워질 수 있고, 다리(12) 사이에는 흔들림이나 뒤틀림 방지를 위한 보강바(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가로바 11 : 세로바
12 : 다리 20 : 주몸체
21,22,23 : 제1,2,3블럭 30 : 보조블럭
31 : 제4끼움홈 32,45 : 요철돌기
41,42,43 : 제1,2,3,끼움홈 44 : 다리설치대

Claims (5)

  1. 한쌍의 가로바와 한쌍의 세로바로 구성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4개의 다리로 구성되는 실외기 받침대를 조립 설치할 때 사용되되, 상기 가로바, 세로바 및 다리가 직각으로 연결되는 꼭지점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블럭; 상기 제1블럭과 직각을 이루는 제2블럭; 상기 제1블럭 및 제2블럭에 동시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3블럭으로 구성되는 주몸체;
    상기 주몸체의 직각을 이루는 3개의 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로바를 끼우기 위한 제1끼움홈과, 상기 세로바를 끼우기 위한 제2끼움홈과, 상기 다리를 끼우기 위한 제3끼움홈을 포함하는 부재끼움홈;
    상기 제3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다리를 끼우기 위한 제4끼움홈이 마련되는 보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제3끼움홈에 상기 보조블럭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끼워지게 되며;
    상기 보조블럭은 제3끼움홈의 깊이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제3끼움홈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2,3,4끼움홈에는 상기 가로바, 세로바, 다리가 압입 결합되도록 요철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2,3블럭들의 경계부위에 삼각 형태의 리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2,3블럭의 전체 또는 일부에는 나사못을 체결하여 상기 가로바, 세로바 및 다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못체결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럭의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보조블럭이 제3끼움홈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홈은 "L"형태로서 상기 제2블럭과 제3블럭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며;
    상기 제2끼움홈은 "L"형태로서 상기 제1블럭과 제3블럭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며;
    상기 제3끼움홈은 "L"형태로서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의 단면에 걸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럭과 제2블럭의 경계부에는 상기 다리의 횡단면 형태에 따라서 다리설치대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3끼움홈은 상기 제1,2블럭 및 다리설치대에 걸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5. 삭제
KR1020190172256A 2019-12-20 2019-12-20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KR102174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56A KR102174049B1 (ko) 2019-12-20 2019-12-20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56A KR102174049B1 (ko) 2019-12-20 2019-12-20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049B1 true KR102174049B1 (ko) 2020-11-04

Family

ID=7357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256A KR102174049B1 (ko) 2019-12-20 2019-12-20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5049A (zh) * 2021-06-24 2021-10-01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暖通空调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0827Y1 (en) * 1977-01-31 1979-06-16 Yuong Dek She Corner connecting implement for simple clothes cabinet
KR940003948Y1 (ko) * 1992-01-28 1994-06-15 김성호 조립식 탁자
KR20050048799A (ko)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삼화양행 주전원-보조 전원 일체형 압전 변압기의 전극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0827Y1 (en) * 1977-01-31 1979-06-16 Yuong Dek She Corner connecting implement for simple clothes cabinet
KR940003948Y1 (ko) * 1992-01-28 1994-06-15 김성호 조립식 탁자
KR20050048799A (ko) 2003-11-20 2005-05-25 주식회사 삼화양행 주전원-보조 전원 일체형 압전 변압기의 전극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5049A (zh) * 2021-06-24 2021-10-01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暖通空调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049B1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조인트 기구
JP5827437B1 (ja) 天板構造及びテーブル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JP2007032876A (ja) 枠状据付台
KR20130086879A (ko) 조립식 욕실용 저소음형 벽판넬 설치 구조
CN109139634B (zh) 一种屏风转接的连接结构
JP2022028326A (ja) 梁底型枠
KR200432715Y1 (ko) 조립식 패널
KR200438108Y1 (ko) 거푸집 연결용 앵커 받침대
JP6789152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JP3512011B2 (ja) 持出しを備えたユニットルーム
KR102022397B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및 그 제조방법
JPH0111884Y2 (ko)
KR20090004113U (ko) 코너 벽면용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102150222B1 (ko) 트러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JPS6310587Y2 (ko)
KR101251556B1 (ko) 원터치조립이 가능한 방음용 하우징
JP6496811B2 (ja) 天井副構造のための縁部型材要素
JP6858512B2 (ja) デッキ構造
KR930008554Y1 (ko) 조립식 천정반자
JP2008002126A (ja) パネル支持構造
JP2572891B2 (ja) 二重床
JPH0713370Y2 (ja) モザイクパネル用化粧枠
KR101760112B1 (ko)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