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34B1 -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34B1
KR101957734B1 KR1020180154833A KR20180154833A KR101957734B1 KR 101957734 B1 KR101957734 B1 KR 101957734B1 KR 1020180154833 A KR1020180154833 A KR 1020180154833A KR 20180154833 A KR20180154833 A KR 20180154833A KR 101957734 B1 KR101957734 B1 KR 10195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weight
parts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영
Original Assignee
전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영 filed Critical 전재영
Priority to KR102018015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56Reverse coat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08Details thereof, e.g. surfa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 B05C1/08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being passed between the coating roller and one or more back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권취 상태의 필름을 권출하는 필름 공급부 및 권출된 상기 필름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도포부를 포함하는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APPARATUS OF PRODUCING FILM WITH ADEHESIVE}
본 발명은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등의 코팅 작업을 수행하는 제조 장치는 피코팅물이 결속되는 공급 롤러와 다수의 이송 롤러가 구비되고, 이송 롤러에 의해 이송된 피코팅물을 코팅시키도록 코팅수단이 구비되고, 코팅 후 균일한 온도로 가열 건조하는 건조부 및 건조된 피코팅물을 회수하여 권취시키는 권취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장치는 통상적으로 스프레이 방식으로 피코팅물을 코팅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프레이 방식의 경우, 피코팅물에 대한 코팅작업 후에 코팅면을 얻을 수는 있으나, 단순히 일정속도로 피코팅물을 이송시키면서 피코팅물에 대한 코팅두께를 조절하여 코팅함으로써 불량한 코팅면을 얻게 되어 불량률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팅면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고자 피코팅물의 이송과 함께 스프레이노즐을 이동시키면서 코팅하고 있으나, 넓은 면적의 코팅시에는 피코팅물을 보다 천천히 이송시킴과 아울러 스프레이노즐을 복수 개 사용하여 코팅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며, 스프레이노즐의 이동 시 서로 겹치는 부분 또는 서로 이격된 부분에 불균일하고 불안정된 코팅면이 발생하게 되어 불량률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권취 상태의 필름의 권출 및 이송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한 쌍의 가압 롤러를 사용하여 필름에 접착액이 도포되도록 하는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는 권취 상태의 필름을 권출하는 필름 공급부 및 권출된 상기 필름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도포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필름 공급부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권취 상태의 필름에 삽입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권취 상태의 필름을 권출하는 공급 롤러 및 상기 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급 롤러의 중심축보다 상측 및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 롤러에 의해 권출되는 필름을 후면으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송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접착액을 저장하는 접착액 저장 공간이 구비된 후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축이 상기 접착액 저장 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액에 함침되며,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포 롤러, 상기 도포 롤러의 중심축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포 롤러를 가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포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포 롤러를 흘러가는 필름을 가압하는 서브 롤러, 상기 도포 롤러 및 상기 서브 롤러의 중심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액이 도포되는 필름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포 롤러 및 상기 서브 롤러로부터 인출되는 필름을 지지하는 지지봉 및 상기 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전면 이송 롤러를 흘러 공급되는 필름을 상기 서브 롤러 및 상기 도포 롤러 사이로 인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는, 상기 도포부로부터 흘러오는 필름을 가열 및 권취하기 위한 가열 공정 모듈 및 권취 롤러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포부로부터 흘러오는 필름을 상기 가열 공정 모듈 및 상기 권취 롤러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권취 상태의 필름의 권출, 접착액 도포 및 권취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착력을 갖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의 생산성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필름의 일면에 접착액 도포 시, 한 쌍의 가압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공급부로부터 도포부로 흘러가는 필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가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하중 분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1000, 이하 제조 장치)는 권취 상태의 필름(10)을 권출하는 필름 공급부(100) 및 권출된 필름(10)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도포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 장치(1000)는 필름(10)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력을 갖는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필름(10)은 PE(Polyethylene) 필름일 수 있으며, 필름(10)의 일면에 PE용 접착액(일예로, PE에 대해서 접착력이 우수한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등과 같은 수용성 접착제와 기타 혼합제를 혼합한 접착액)를 도포하여 접착력을 갖는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
필름 공급부(100)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100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권취 상태의 필름(10)을 권출하여 제조 장치(1000)의 후면을 구성하는 도포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필름 공급부(100)는 전면 프레임(110), 공급 롤러(115) 및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를 포함하여, 공급 롤러(115)에 의해 권출되는 필름(10)을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에 의해 도포부(2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0)은 공급 롤러(115) 및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 롤러(115)는 전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 롤러(115)는 필름(10)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급 롤러(115)는 권취 상태의 필름(10)에 삽입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권취 상태의 필름(10)을 권출할 수 있다.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는 전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는 필름(10)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는 공급 롤러(115)에 의해 권출되는 필름(10)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는 공급 롤러(115)의 중심축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공급 롤러(115)의 중심축보다 후면에 배치되어, 공급 롤러(115)에 의해 권출되는 필름(10)을 제조 장치(1000)의 후면에 위치하는 도포부(2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공급 롤러(115) 및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의 회전 동작을 위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권취 상태의 필름(10)은 공급 롤러(115)에 의해 권출되고,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를 통해 제조 장치(1000)의 후면으로 흘러갈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복수의 전면 이송 롤러(117)는 접착액이 도포되는 필름(10)의 일면과 접하면서 필름(10)을 지지 및 이송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공급부로부터 도포부로 흘러가는 필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포부(200)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1000)의 후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후면 프레임(210), 도포 롤러(220), 서브 롤러(215) 및 지지봉(218)을 포함하여, 필름(10)의 일면에 접착액(20)을 도포할 수 있다.
후면 프레임(210)은 도포 롤러(220), 서브 롤러(215) 및 지지봉(218)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후면 프레임(210)은 접착액(20)을 저장하는 접착액 저장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도포 롤러(220)는 후면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포 롤러(220)는 필름(10)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포 롤러(220)에 의해 접착액(20)이 도포되는 필름(10)이 필름(10)을 가열하여 건조하는 가열부로 흘러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포 롤러(220)는 중심축이 접착액 저장 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접착액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접착액(20)에 함침될 수 있다. 즉, 도포 롤러(220)는 회전 동작에 따라 전체적으로 접착액(20)에 묻혀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포 롤러(220)는 필름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필름(10)의 일면과 접하게 되어 필름(10)의 일면에 접착액(20)을 도포할 수 있다.
서브 롤러(215)는 후면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롤러(215)는 도포 롤러(220)의 중심축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도포 롤러(220)를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롤러(215)는 접착액(20)이 도포되는 필름(10)의 일면과 다른면에 접하게 되며, 도포 롤러(2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포 롤러(220)를 흘러가는 필름(10)을 가압하여 접착액(20)의 도포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포 롤러(220) 및 서브 롤러(215)의 회전 동작을 위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지지봉(218)은 후면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봉(218)은 도포 롤러(220) 및 서브 롤러(215)의 중심축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도포 롤러(220) 및 서브 롤러(215)로부터 인출되어 후술하는 가압부로 흘러가는 필름(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봉(218)은 접착액(20)이 도포되는 필름(10)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접착액(20)의 도포 균일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접착액(20)에 의해 필름(10)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필름 공급부(100)로부터 흘러오는 필름(10)은 도포 롤러(220) 및 서브 롤러(215)에 의해 접착액(20)이 도포되며, 지지봉(218)을 거쳐 도포부(2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압부로 흘러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도포부(200)는 복수의 안내 롤러(217a, 217b)를 포함하여 필름 공급부(100)로부터 필름(10)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복수의 후면 이송 롤러(217a, 217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름 공급부(100)에 포함되는 전면 이송 롤러(117)와 동일한 구성으로, 후면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후면 이송 롤러(217a, 217b)는 필름(10)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후면 이송 롤러(217a, 217b)는 필름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필름(10)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후면 이송 롤러(217a)는 중심축이 전면 프레임(110)과 가장 가깝게 배치되며, 접착액(20)이 도포되는 필름(10)의 일면과 다른면에 접하게 되어, 필름(10)의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름(10)을 전면 프레임(110)으로부터 후면 프레임(21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후면 이송 롤러(217b)는 중심축이 제1 후면 이송 롤러(217a) 및 서브 롤러(215) 사이에 배치되며, 접착액(20)이 도포되는 필름(10)의 일면과 접하게 되어, 필름(10)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후면 이송 롤러(217a)를 흘러 이송되는 필름(10)을 서브 롤러(215) 및 도포 롤러(220) 사이로 인입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에 포함되는 가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조 장치(1000)는 가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500)는 도포부(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도포부(200)로부터 흘러오는 접착액(20)이 도포된 필름(10)을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다시 권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열부(500)는 상부 프레임(510) 및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를 포함하여, 도포부(200)로부터 흘러오는 필름(10)을 가열 및 권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510)은 후술하는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510)은 전면 프레임(110) 및 후면 프레임(210)의 적어도 일부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51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 도포부(200)로부터 흘러오는 필름(10)을 가열 및 권취하기 위한 가열 공정 모듈 및 권취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름 공급부(100)에 포함되는 전면 이송 롤러(117)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부 프레임(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는 필름(10)의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는 도포부(200)로부터 흘러오는 접착액(20)이 도포된 필름(10)을 가열 공정 모듈 및 권취 롤러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는 도포부(200)로부터 흘러오는 필름(10)을 지지 및 이송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은 도포부(200)로부터 흘러오는 필름(10)을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하여 가열 공정 모듈 및 권취 롤러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상부 이송 롤러(515, 517)는 접착액(20)이 도포되는 필름(10)의 일면과 다른면에 접하게 되어, 필름(10)의 최초 권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름(10)을 가열 공정 모듈 및 권취 롤러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가열 공정에 의해 필름(10)에 도포된 접착액(20)을 충분히 가열 시켜 건조하고, 권취 롤러는 접착액(20)이 도포된 일면을 외측으로 하여 필름(10)을 권취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가열부(500)는 접착액(20)이 도포된 필름(10)을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가열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착액(20)이 하측방향으로 처지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된 가열 공정을 가능하게 하며, 제조 장치(1000)의 상부에 배치되어 가열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장치(1000)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권취 상태의 필름(10)의 권출, 접착액(20) 도포 및 권취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착력을 갖는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의 생산성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필름(10)의 일면에 접착액(20) 도포 시, 한 쌍의 가압 롤러를 사용하여 도포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조 장치(1000)는 진동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는 전면 프레임(110), 후면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510)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전면 프레임(110), 후면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510) 간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이러한 진동 감쇄부를 포함하여 각 구성들이 진동에 의해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330)는, 지탱부(331), 진동 흡수부(332), 연결 플레이트(333), 연장 플레이트(334) 및 설치부(335)를 포함한다.
지탱부(33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공간에 진동 흡수부(332)가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 흡수부(332)는, 지탱부(331)의 각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33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 사이, 제2플레이트(331-2)의 전단과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 사이, 제3플레이트(331-3)의 하부와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 사이, 및 제4플레이트(331-4)의 전단과와 제1플레이트(331-1)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및 제4플레이트(331-4)를 “+”형태로 연결 설치한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는, 각 플레이트의 상부, 하부 또는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연결 부위가 회동함으로써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333)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가 상호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는 버틸 수 있을 것이나, 임계 진동 또는 임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버티지 못하고 각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된 연결 플레이트(333)라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1),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와 제4플레이트(331-4)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경우보다 진동 또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1플레이트(331-1)의 상부(즉, 상부 날개)와 전단(즉, 전단 날개), 제2플레이트(331-2)의 상부와 전단, 제3플레이트(331-3)의 전단과 하부, 및 제4플레이트(331-4)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설치부(335)로 두 개씩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설치부(335)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다.
설치부(335)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334)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전면 프레임(110), 후면 프레임(210) 및 상부 프레임(510)에 설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된다.
도 6은 도 5의 제1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331-1)는, 플레이트 본체(331-11),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제2 상부 체결홈(331-13),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331-1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며, 상부 날개에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331-12) 및 제2 상부 체결홈(331-13)을 형성하고, 전단 날개에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331-14) 및 제2 전단 체결홈(331-15)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체결홈(331-12)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상부 체결홈(331-13)은, 제1 상부 체결홈(33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1 전단 체결홈(331-14)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331-11)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33)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한다.
제2 전단 체결홈(331-15)은, 제1 전단 체결홈(331-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33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334)는,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33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33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3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333) 역시, 상술한 연장 플레이트(334)의 슬라이딩 홈(341)과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331-1)는,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하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제2플레이트(331-2), 제3플레이트(331-3) 또는 제4플레이트(331-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조 장치(1000)는 하중 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 분산부는 상부 프레임(510)과 전면 프레임(110) 또는 후면 프레임(21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부 프레임(510)으로부터 전면 프레임(110) 또는 후면 프레임(210)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할 수 있다.
도 7은 하중 분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중 분산부(700)는 내부에 중공부(715)가 마련되는 볼 하우징(710), 중공부(715)에 안치된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상부에 접지평면(745)을 갖는 접지볼(740)을 포함한다.
하중 분산부(700)는 상부 프레임(510) 및 전면 프레임(11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 또는 상부 프레임(510) 및 후면 프레임(21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하중 분산부(7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P) 보다 작은 하중(q)을 전달할 수 있다.
하중 분산부(700)는 볼 하우징(7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볼 하우징(710)의 내부에서 분산시키고, 최종적으로 볼 하우징(710)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보다 작은 하중을 전달하도록 한다. 볼 하우징(7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은 중공부(715)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에 의해 분산되는데, 하중의 일부는 볼 하우징(7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분산되고, 나머지 하중이 볼 하우징(71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은 전면 프레임(110) 또는 후면 프레임(2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이 수용되는 중공부(715)가 구비될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은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작용에 의해 분산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이 일정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 하우징(710)의 형태는 다면체, 구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중공부(715)는 접지볼(740)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중공부(715)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구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은 중공부(715)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접지볼(7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올려진 상태로 중공부(715) 내에 수용되어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는데,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접촉점에 의해 외부의 하중이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최외측에 위치하는 중공부(715) 즉, 볼 하우징(710)의 내벽을 가압하면서 외부 하중의 분산이 일어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을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접지볼(740)을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올려진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 간의 접촉점 개수를 높이고 하중 전달을 규칙화 하여 서로 간의 하중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접지볼(740)은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에 의해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용 소형볼(720) 및 접지볼(740)은 서로 간의 접촉점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철, 콘크리트,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지볼(740)은 상부에 접지평면(745)을 구비할 수 있다. 접지평면(745)은 상부 프레임(510)과 전면 프레임(110) 또는 후면 프레임(21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과 면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중 분산부(700)는 중공부(715)에 수용된 접지볼(740)을 고정하는 고정덮개를 더 포함하고, 고정덮개에 의해 상부 프레임(510)과 전면 프레임(110) 또는 후면 프레임(210)이 연결 설치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하중 분산부(700)는 상부 프레임(510)으로부터 전면 프레임(110) 또는 후면 프레임(210)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일부 흡수하여 작업대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분산부(700)는 작업대의 지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고하중에 의한 각종 구성의 변형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시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예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21579648-pat00001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2]
Figure 112018121579648-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3]
Figure 112018121579648-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8121579648-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121579648-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100: 필름 공급부
110: 전면 프레임
115: 공급 롤러
117: 전면 이송 롤러
200: 도포부
10: 필름

Claims (2)

  1. 권취 상태의 필름을 권출하는 필름 공급부; 및
    권출된 상기 필름의 일면에 접착액을 도포하는 도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름 공급부는,
    전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권취 상태의 필름에 삽입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권취 상태의 필름을 권출하는 공급 롤러; 및
    상기 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공급 롤러의 중심축보다 상측 및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 롤러에 의해 권출되는 필름을 후면으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송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접착액을 저장하는 접착액 저장 공간이 구비된 후면 프레임;
    상기 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축이 상기 접착액 저장 공간 상측에 배치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착액에 함침되며,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포 롤러;
    상기 도포 롤러의 중심축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도포 롤러를 가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포 롤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포 롤러를 흘러가는 필름을 가압하는 서브 롤러;
    상기 도포 롤러 및 상기 서브 롤러의 중심축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착액이 도포되는 필름의 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포 롤러 및 상기 서브 롤러로부터 인출되는 필름을 지지하는 지지봉; 및
    상기 후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의 권취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전면 이송 롤러를 흘러 공급되는 필름을 상기 서브 롤러 및 상기 도포 롤러 사이로 인입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송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로부터 흘러오는 필름을 가열 및 권취하기 위한 가열 공정 모듈 및 권취 롤러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포부로부터 흘러오는 필름을 상기 가열 공정 모듈 및 상기 권취 롤러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이송 롤러를 포함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급 롤러, 전면 이송 롤러, 도포 롤러, 서브 롤러 및 후면 이송 롤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보론계 바인더, 5~10 중량부로 마늘 추출액, 20~30 중량부로 아파타이트 분말, 15~25 중량부로 코르크 분말, 3~8 중량부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260~270℃로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을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1차 연신 및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인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2차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2. 삭제
KR1020180154833A 2018-12-05 2018-12-05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KR10195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33A KR101957734B1 (ko) 2018-12-05 2018-12-05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833A KR101957734B1 (ko) 2018-12-05 2018-12-05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734B1 true KR101957734B1 (ko) 2019-03-13

Family

ID=6576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833A KR101957734B1 (ko) 2018-12-05 2018-12-05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7254A (zh) * 2020-12-14 2021-03-02 雷小波 一种防水型帆布加工用包覆设备
CN114160359A (zh) * 2021-12-07 2022-03-11 安徽艾雅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pvc石塑地板生产的涂胶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579Y1 (ko) 2001-08-23 2002-03-16 진종근 튜브라 포대 코팅장치
KR101689469B1 (ko) * 2015-06-01 2016-12-23 조호원 접합력이 향상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KR101848288B1 (ko) 2017-01-18 2018-04-12 최철환 원단 코팅 및 건조장치
KR101863260B1 (ko) * 2018-01-17 2018-06-04 차천용 친환경 점착제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579Y1 (ko) 2001-08-23 2002-03-16 진종근 튜브라 포대 코팅장치
KR101689469B1 (ko) * 2015-06-01 2016-12-23 조호원 접합력이 향상된 포장용 은박지 제조장치
KR101848288B1 (ko) 2017-01-18 2018-04-12 최철환 원단 코팅 및 건조장치
KR101863260B1 (ko) * 2018-01-17 2018-06-04 차천용 친환경 점착제 도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7254A (zh) * 2020-12-14 2021-03-02 雷小波 一种防水型帆布加工用包覆设备
CN114160359A (zh) * 2021-12-07 2022-03-11 安徽艾雅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pvc石塑地板生产的涂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734B1 (ko)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KR101952578B1 (ko) 강관 회전 장치
KR20130008651A (ko) 프리프레그 및 섬유 강화 복합 재료, 및 섬유 강화 성형 기재의 제조 방법
DE202012012798U1 (de) Walzenbeschichtung, walze und verfahren seiner herstellung
CN102698923A (zh) 一种拉丝膜涂布机
CN107206778B (zh) 叠层聚酯膜
CN109554935B (zh) 一种抗菌防霉合成革生产工艺
EP0919665B1 (de) Vorrichtung zum indirekten Auftragen eines flüssigen oder pastösen Mediums auf eine Materialbahn, insbesondere aus Papier oder Karton
KR10197811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N102336881A (zh) 聚氨酯离子聚合物及其分散体胶黏剂的制备方法
US20160229156A1 (en) Matte thermal laminating fil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268217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단층 필름
DE2530904A1 (de) Verfahren zum erzeugen von pulverfoermigen auftragsstoffen auf der grundlage von duroplatischen harzen
KR101953157B1 (ko) 항균성 시트지 제조 장치
KR101953525B1 (ko) 자재 이송 장치
KR101982527B1 (ko) 권취 필름 절단 장치
KR101985165B1 (ko) 유리섬유 권취장치
KR102051962B1 (ko) 클린룸
KR101965903B1 (ko) 형강 제조 장치
CN112094595B (zh) 家具用成型材料的制备方法及由此制备的家具用成型材料
KR101959282B1 (ko) 볼트 및 너트의 결합장치
KR101972826B1 (ko) 회전 지그
CN112321876A (zh) 一种保护印刷面的pvoh涂布膜及其制备方法
KR101957806B1 (ko) 탭핑장치
KR101982519B1 (ko) 자동차 선루프 레일용 구리스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