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57B1 -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57B1
KR102002757B1 KR1020180138870A KR20180138870A KR102002757B1 KR 102002757 B1 KR102002757 B1 KR 102002757B1 KR 1020180138870 A KR1020180138870 A KR 1020180138870A KR 20180138870 A KR20180138870 A KR 20180138870A KR 102002757 B1 KR102002757 B1 KR 10200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llet
loading box
rear end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김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도 filed Critical 김영도
Priority to KR102018013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를 올려놓은 후 승강시킴에 따라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도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자재가 적재된 파렛트를 올려놓도록 하며, 하측이 전단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어 올려짐에 따라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를 상부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자재 이송부; 및 상기 자재 이송부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재 이송부의 후단 하측을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주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LIFTING DEVICE}
본 발명은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렛트를 올려놓은 후 승강시킴에 따라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도 함께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산 현장에서 적재함(파렛트)에 적재된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지게차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러한 지게차는 고가의 장비로 중소 기업에서 이를 구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지게차의 조작은 전문 사용자만이 가능하므로 일반 작업자가 운전하기는 힘들고, 협소한 공간에서 물품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지게차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지게차를 대체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 요구가 산업 현장에서 대두되고 있으며, 기존에는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지게발을 가지는 리프트 장치에 대하여 고안된 바 있다. 또한, 생산 현장에서는 무거운 소재 등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유압을 이용한 크레인 장치가 공장 또는 소재 적재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함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 장치가 필요하고,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함이 크레인 장치를 통해 올려지는 경우 무게 중심을 잡기 힘들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659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251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파렛트를 올려놓은 후 승강시킴에 따라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도 함께 승강시킨 후 적재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반대 편으로 자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는,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자재가 적재된 파렛트를 올려놓도록 하며, 하측이 전단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어 올려짐에 따라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를 상부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자재 이송부; 및 상기 자재 이송부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재 이송부의 후단 하측을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주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재 이송부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파렛트를 올려놓도록 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이 들어올려질 경우 파렛트를 막아 파렛트가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와 함께 파렛트를 막아 파렛트가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와 대향하고 있는 상기 적재함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 상기 적재함이 들어올려질 경우 자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상부 후단에 형성되는 배출구; 양측에 상기 승강부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적재함이 직립한 경우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전단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전단 상측에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승강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진동 감쇄부; 및 상기 진동 감쇄부의 후단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함은, 들어올려진 경우 자재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갈 수록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은, 파렛트의 크기 또는 파렛트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바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상기 고정바의 양측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진동 감쇄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또는 상기 덮개의 전면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승강 본체; 상기 적재함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연결 프레임; 상기 승강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후단 하측을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주는 승강 실린더; 상기 승강 실린더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리모컨; 들어 올려진 상기 적재함의 상부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적재함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본체의 후단에 형성되는 버팀 프레임; 및 햇볕으로부터 상기 자재 이송부의 상측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지붕을 포함하며, 상기 버팀 프레임은, 상기 적재함의 회전된 각도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를 파렛트와 함께 승강시킨 후 적재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반대 편으로 자재를 이송시킴으로써, 다량 또는 무거운 자재를 효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자재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구동 리모컨 케이스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10)는, 자재 이송부(100) 및 승강부(200)를 포함한다.
자재 이송부(100)는,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자재가 적재된 파렛트(300)를 올려놓도록 하며, 승강부(200)의 구동에 대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전단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어 올려짐에 따라 파렛트(300)에 적재된 자재를 상부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140)(도 4 참조)를 통해 배출시킨다.
여기서, 자재라 함은, 핀, 부싱 등과 같이 자동차에 들어가는 부속품이 그 예가 될 수 있으나, 파렛트(300)의 상부에 적재될 수 있는 종류의 자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승강부(200)는, 자재 이송부(100)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 이송부(100)의 후단 하측을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10)는, 자재 이송부(100)에 놓인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를 승강부(200)를 이용하여 파렛트와 함께 승강시킨 후 적재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반대 편으로 자재를 이송시킴으로써, 다량 또는 무거운 자재를 효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자재 이송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재 이송부(100)는, 적재함(110), 고정바(120),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130), 배출구(140), 회전축(150) 및 지지 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적재함(110)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파렛트(300)를 올려놓도록 하고, 양측이 연결 프레임(220)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후단 하측에 승강 실린더(230)의 상측이 연결 설치되어 승강 실린더(230)의 승강에 대응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 하측이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진다.
고정바(120)는, 적재함(110)이 들어올려질 경우 고정돌기(130)와 함께 파렛트(300)를 막아 파렛트(300)가 적재함(110)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재함(11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재함(110)은, 파렛트(300)의 크기 또는 파렛트(300)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바(12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고정바(120)의 양측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돌기(130)는, 고정바(120)와 함께 파렛트(300)를 막아 파렛트(300)가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바(120)와 대향하고 있는 적재함(11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된다.
배출구(140)는, 적재함(110)이 들어올려질 경우 자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적재함(110)의 상부 후단(즉, 기울어지는 방향에 있는 적재함(110)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재함(110)은, 들어올려진 경우 자재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배출구(140) 방향으로 갈 수록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50)은, 양측에 승강부(20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적재함(110)의 후단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160)은, 적재함(110)이 직립한 경우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적재함(110)의 전단 하측에 형성되어 승강부(200)의 전단 상측(즉, 도 7의 버팀 프레임(250))에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재 이송부(100)는, 다수 개의 진동 감쇄부(170) 및 덮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쇄부(170)는, 승강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60)의 후면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 프레임(160)은, "ㄷ"형태로 형성되며, 상하측 날개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다수 개의 진동 감쇄부(17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덮개(180)는, 진동 감쇄부(170)의 후단을 덮는다.
이에 따라, 버팀 프레임(250)은 덮개(180)와 대향하며 위치하게 되고, 버팀 프레임(250)을 통해 덮개(18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덮개(180)에 연결 설치된 진동 감쇄부(170)가 감쇄시킴으로써, 자재 이송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진동 감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진동 감쇄부(170)는, 지탱부(171), 진동 흡수부(172), 연결 플레이트(173), 연장 플레이트(174) 및 설치부(175)를 포함한다.
지탱부(17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171-1), 제2플레이트(171-2), 제3플레이트(171-3) 및 제4플레이트(171-4)를 포함한다.
이때, 제1플레이트(171-1), 제2플레이트(171-2), 제3플레이트(171-3) 및 제4플레이트(171-4)는, 각각의 후단을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되어 전체로서 “+” 형태의 외형을 형성하며, 이격된 공간에 진동 흡수부(172)가 설치됨으로써 각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진동 흡수부(172)는, 지탱부(171)의 각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172)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연결 플레이트(173)는, 제1플레이트(171-1)의 상부와 제2플레이트(171-2)의 상부 사이, 제2플레이트(171-2)의 전단과 제3플레이트(171-3)의 전단 사이, 제3플레이트(171-3)의 하부와 제4플레이트(171-4)의 하부 사이, 및 제4플레이트(171-4)의 전단과와 제1플레이트(171-1)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플레이트(171-1), 제2플레이트(171-2), 제3플레이트(171-3) 및 제4플레이트(171-4)를 “+”형태로 연결 설치한다.
즉, 연결 플레이트(173)는, 각 플레이트의 상부, 하부 또는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연결 부위가 회동함으로써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 대응하여 각 플레이트들의 연결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결 플레이트(173)에 의하여 제1플레이트(171-1), 제2플레이트(171-2), 제3플레이트(171-3)와 제4플레이트(171-4)가 상호 고정 설치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부의 진동 또는 충격에는 버틸 수 있을 것이나, 임계 진동 또는 임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버티지 못하고 각 플레이트에 연결 설치된 연결 플레이트(173)가 파손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173)는, 제1플레이트(171-1), 제2플레이트(171-2), 제3플레이트(171-3)와 제4플레이트(171-4)를 어느 정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상술한 경우보다 진동 또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174)는, 제1플레이트(171-1)의 상부(즉, 상부 날개)와 전단(즉, 전단 날개), 제2플레이트(171-2)의 상부와 전단, 제3플레이트(171-3)의 전단과 하부, 및 제4플레이트(171-4)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설치부(175)로 두 개씩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174)는, 설치부(175)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축에 상부 또는 하부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회동할 수 있다.
설치부(175)는,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174)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지지 프레임(160)의 후면 또는 덮개(180)의 전면에 설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용접 또는 리벳 등과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된다.
즉, 설치부(175)는, 진동 감쇄부(170)의 각 모서리에 총 4 개가 형성되는 바, 지지 프레임(160)과 대향하고 있는 곳에 위치하는 두 개의 설치부(175)는 지지 프레임(160)에 설치되고, 덮개(180)와 대향하고 있는 곳에 위치하는 두 개의 설치부(175)는 덮개(180)에 설치된다.
도 6은 도 5의 제1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플레이트(171-1)는, 플레이트 본체(171-11),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171-12), 제2 상부 체결홈(171-13),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171-14) 및 제2 전단 체결홈(171-15)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본체(171-11)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며, 상부 날개에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171-12) 및 제2 상부 체결홈(171-13)을 형성하고, 전단 날개에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171-14) 및 제2 전단 체결홈(171-15)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체결홈(171-12)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171-11)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173)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2 상부 체결홈(171-13)은, 제1 상부 체결홈(171-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17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제1 전단 체결홈(171-14)은,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171-11)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173)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한다.
제2 전단 체결홈(171-15)은, 제1 전단 체결홈(171-14)의 사이에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174)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장 플레이트(174)는, 제2 상부 체결홈(17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171-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 상부 체결홈(171-13) 또는 제2 전단 체결홈(171-15)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174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173) 역시, 상술한 연장 플레이트(174)의 슬라이딩 홈(1741)과 동일한 구조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플레이트(171-1)는, 그 설치 위치만을 달리하는 제2플레이트(171-2), 제3플레이트(171-3) 또는 제4플레이트(17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제2플레이트(171-2), 제3플레이트(171-3) 또는 제4플레이트(171-4)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부(200)는, 승강 본체(210), 두 개의 연결 프레임(220), 승강 실린더(230), 구동 리모컨(240), 버팀 프레임(250) 및 지붕(260)을 포함한다.
승강 본체(210)는, 다수 개의 프레임들의 결합에 의하여 승강부(2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연결 프레임(220)은, 적재함(11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승강 본체(210)의 양측에 형성된다.
승강 실린더(230)는, 승강 본체(210)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 리모컨(240)의 구동 제어에 대응하여 적재함(110)의 후단 하측을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실린더(230)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 또는 플런저(plunger)를 왕복 직선 운동시켜 기계적인 일을 행하게 하는 장치인 유압 실린더(oil hydraulic cylinder)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동 리모컨(240)은, 승강 실린더(2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승강 실린더(2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버팀 프레임(250)은, 들어 올려진 적재함(110)의 상부 후단을 지지하여 적재함(110)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 본체(210)의 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 프레임(250)은, 적재함(110)의 회전된 각도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붕(260)은, 햇볕으로부터 자재 이송부(100)의 상측을 가릴 수 있도록 승강 본체(210)의 상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리모컨(240)의 외형이 되는 케이스는, 일반적인 리모컨 케이스 제작에 사용되는 플라스틱보다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리모컨(240)의 케이스 제작을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다음의 플라스틱 시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S110);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S120);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S130);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S140);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S150);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S160);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S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제1단계(S110)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S110)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S120)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S130)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S140)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S150)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S160)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S170)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12527539-pat00001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2]
Figure 112018112527539-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3]
Figure 112018112527539-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8112527539-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112527539-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질의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된 케이스는, PET 수지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경우보다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100: 자재 이송부
110: 적재함 120: 고정바
130: 고정돌기 140: 배출구
150: 회전축 160: 지지 프레임
170: 진동 감쇄부 171: 지탱부
172: 진동 흡수부 173: 연결 플레이트
174: 연장 플레이트 175: 덮개
180: 덮개 200: 승강부
210: 승강 본체 220: 연결 프레임
230: 승강 실린더 240: 구동 리모컨
250: 버팀 프레임 260: 지붕

Claims (2)

  1.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자재가 적재된 파렛트를 올려놓도록 하며, 하측이 전단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어 올려짐에 따라 파렛트에 적재된 자재를 상부 후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자재 이송부; 및
    상기 자재 이송부의 양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재 이송부의 후단 하측을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재 이송부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파렛트를 올려놓도록 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이 들어올려질 경우 파렛트를 막아 파렛트가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와 함께 파렛트를 막아 파렛트가 하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와 대향하고 있는 상기 적재함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 상기 적재함이 들어올려질 경우 자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상부 후단에 형성되는 배출구; 양측에 상기 승강부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후단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적재함이 직립한 경우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전단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전단 상측에 지지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승강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진동 감쇄부; 및 상기 진동 감쇄부의 후단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함은, 들어올려진 경우 자재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갈 수록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은, 파렛트의 크기 또는 파렛트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바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상기 고정바의 양측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진동 감쇄부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3플레이트 및 제4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지탱부; 상기 지탱부의 플레이트와 다른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 사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 사이,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와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전단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전단 사이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제4플레이트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와 전단,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전단과 하부, 및 상기 제4플레이트의 하부와 전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 마다 두 개씩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각 플레이트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연장 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하부가 서로 대향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또는 상기 덮개의 전면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플레이트는, "ㄴ"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본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부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상부 체결홈; 상기 제1 상부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상부 체결홈; 전단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전단 날개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하는 두 개의 제1 전단 체결홈; 및 상기 제1 전단 체결홈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제2 전단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상부 체결홈 또는 상기 제2 전단 체결홈과 연결 설치되는 하부에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부는, 외형을 형성하는 승강 본체; 상기 적재함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두 개의 연결 프레임; 상기 승강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후단 하측을 전단 방향으로 밀어서 들어 올려주는 승강 실린더; 상기 승강 실린더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리모컨; 들어 올려진 상기 적재함의 상부 후단을 지지하여 상기 적재함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본체의 후단에 형성되는 버팀 프레임; 및 햇볕으로부터 상기 자재 이송부의 상측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지붕을 포함하며,
    상기 버팀 프레임은, 상기 적재함의 회전된 각도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2. 삭제
KR1020180138870A 2018-11-13 2018-11-13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KR10200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70A KR102002757B1 (ko) 2018-11-13 2018-11-13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70A KR102002757B1 (ko) 2018-11-13 2018-11-13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757B1 true KR102002757B1 (ko) 2019-07-23

Family

ID=6743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70A KR102002757B1 (ko) 2018-11-13 2018-11-13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7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596A (ko) 2007-03-23 2008-09-26 최호근 리프트 장치
KR20130032516A (ko) 2011-09-23 2013-04-02 윤석조 건축 자재파렛트 운반용 궤도리프트
KR101657452B1 (ko) * 2015-07-23 2016-09-19 주보원 장입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6596A (ko) 2007-03-23 2008-09-26 최호근 리프트 장치
KR20130032516A (ko) 2011-09-23 2013-04-02 윤석조 건축 자재파렛트 운반용 궤도리프트
KR101657452B1 (ko) * 2015-07-23 2016-09-19 주보원 장입 리프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97558B (zh) 托盘及其制造方法
US10526795B2 (en) Outdoor bamboo floor
KR102002757B1 (ko)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KR102010289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제조 장치
KR10197811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101953525B1 (ko) 자재 이송 장치
KR101982527B1 (ko) 권취 필름 절단 장치
KR101957734B1 (ko) 접착력을 갖는 필름의 제조 장치
BR112013000597B1 (pt) Artigo de vidro revestido com uma camada baseada em esmalte
EP2794814B1 (de) Leuchtelemente mit einer elektrolumineszenz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euchtelements
KR101953526B1 (ko) 요철형 소음 완충재 제조 장치
KR101992359B1 (ko) 자동 절단 장치
KR101963832B1 (ko) 자동 절단 장치
EP2490960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autoklavierter nahrungsmittel in einem aus einem flächenförmigen verbund gebildeten behälter mit einer farbigen vernetzten äusseren polymerschicht erhältlich durch hochdruck
KR101981603B1 (ko) 리프팅 장치
KR101979641B1 (ko) 비철분별기
KR102020885B1 (ko) 자동 볼트 체결 장치
KR102020776B1 (ko) 암롤박스 및 상기 암롤박스가 탑재된 차량
KR102020880B1 (ko) 이송장치
KR101959282B1 (ko) 볼트 및 너트의 결합장치
KR10202398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KR102020915B1 (ko) 볼팅장치
KR101964447B1 (ko) 물건 운반용 대차
KR102077340B1 (ko) 자동 계량 장치
KR101982519B1 (ko) 자동차 선루프 레일용 구리스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