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527B1 - 습동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습동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527B1
KR101953527B1 KR1020180149068A KR20180149068A KR101953527B1 KR 101953527 B1 KR101953527 B1 KR 101953527B1 KR 1020180149068 A KR1020180149068 A KR 1020180149068A KR 20180149068 A KR20180149068 A KR 20180149068A KR 101953527 B1 KR101953527 B1 KR 101953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veying member
conveying
gear groove
sun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승
Original Assignee
이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승 filed Critical 이태승
Priority to KR102018014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동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루프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홈과 결합되어 상기 선루프를 개폐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선루프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기어홈과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무빙유닛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루프를 개폐하는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재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기어홈으로 상기 제 1 회전부재를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재; 및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습동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LIDING TORQUE}
본 발명은 자동차 선루프의 습동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루프를 차량에 장착 하기 전 미리 선루프의 레일에 존재하는 습동을 제거하는 습동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선샤인 루프(Sunshine Roof)의 줄임말인 선루프는 개폐식 채광창으로 첨단 스타일과 다양한 기능을 갖추어 여름철 실내 온도가 상승할 때 내부 공기를 빠르게 순환시켜 온도를 낮추거나, 자동차 내부 공기를 환기시켜 쾌적한 자동차 실내 공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선루프는 루프패널의 개구부를 덮는 패널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형(Sliding type)과 틸트업형(Tilt-uptype)으로 분류되는데, 슬라이드형은 선루프를 구성하는 글라스가 루프패널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루프패널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형에는 글라스가 루프패널의 상면을 따라 외부에서 슬라이딩 되는 아웃슬라이딩 방식과, 글라스가 루프패널의 안쪽으로 슬라이딩 되는 인슬라딩 방식으로 분류된다. 틸드업형은 글라스의 앞 부분은 루프패널에 힌지 결합한 상태에서 글라스의 뒷부분만 들려서 루프패널의 개구부가 개구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차량 실내의 채광성 극대화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루프패널 대부분을 유리로 제작하고, 그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식의 파노라마 선루프(Panorama Sunroof)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패널 전방부에는 모터 및 기어 등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프런트글라스를 설치하고, 루프패널 후방부에는 리어글라스를 고정 설치하며, 루프패널의 양측에는 파노라마 선루프를 차량 루프패널에 고정 설치하는 사이드프레임을 설치한 후, 상기 프런트글라스와 리어글라스 사이에 상기 양측 사이드프레임을 연결하여 프런트글라스와 리어글라스를 지지함과 동시에 루프 강성을 보강하는 크로스멤버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파노라마 선루프의 프런트글라스는 슬라이드형 개폐와 틸트업 개폐를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런트글라스를 지지한 상태에서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안내홈 내표면과 가이드레일 외표면 간에 일정한 습동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습동제거장치가 존재하지 않아, 작업자가 파노라마 선루프의 조립 생산 전에 습동력이 적당한지를 작업자의 경험에 의하여 판단함으로써 검사 작업의 능률과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고, 검사의 균일성과 정밀성도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불필요한 습동력을 제거하지 못한 불량 파노라마 선루프를 조립 및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파노라마 선루프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선루프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에 피로가 누적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그에 따른 수리비가 상당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파노라마 선루프에 대한 제품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선루프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불필요한 습동력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습동력을 검사하는 장치는 기존에도 개발된 바 있는데, 일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245750호에는 자동차의 슬라이드 루프의 전 슬라이딩 구간의 습동저항력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루프의 습동저항력 자동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슬라이드 루프의 전 슬라이딩 구간에 대한 습동저항력을 측정하는 것에 그쳐, 습동을 제거하지 못해 제품의 생산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024575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선루프를 차량에 장착 하기 전 미리 선루프의 레일에 존재하는 습동을 제거하여 선루프가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작동하게 할 수 있는 습동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동제거 장치는, 선루프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홈과 결합되어 상기 선루프를 개폐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선루프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기어홈과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무빙유닛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루프를 개폐하는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재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기어홈으로 상기 제 1 회전부재를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재; 및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기어홈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어홈의 상부를 가압 밀폐하여 상기 프레스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2 고정부;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의 위치를 규제하는 2개 이상의 제 3 고정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회전으로 펼쳐진 상기 무빙유닛을 상기 기어홈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무빙유닛을 권취시키는 푸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이송부재; 일 단부가 상기 제 2 이송부재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2 이송부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2 이송부재와 수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2 이송부재와 예각을 이루는 제 2 전달부재; 상기 제 2 전달부재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달부재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하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달부재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되는 제 2 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 2 브라켓부재의 일 단부에 수직 형성되며, 상기 제 2 브라켓부재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상기 기어홈의 상부를 가압 밀폐하여 상기 프레스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2 밀폐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이송부재; 일 단부가 상기 제 3 이송부재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3 이송부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상기 제 3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3 이송부재와 수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3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3 이송부재와 예각을 이루는 제 3 전달부재; 상기 제 3 전달부재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3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3 전달부재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하며, 상기 제 3 왕복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3 전달부재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3 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 3 브라켓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브라켓부재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프레스의 좌우 양측 위치를 규제하는 제 3 규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촉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배열 위치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부재; 및 상기 압력센서를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푸쉬부는 상기 무빙유닛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4 이송부재; 및 상기 제 4 이송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홈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를 밀어주는 구동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습동제거 장치는 선루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불필요한 습동력을 제거하고, 습동제거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개선하여 선루프의 안정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동제거 시 정밀성과 정확성을 개선함으로써 검사작업의 공정성 및 표준화가 가능하여 수작업에 의한 불량요인을 제거하여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선루프의 레일 내부에 구리스가 도포되는데, 무빙부를 사전에 구동시켜 구리스가 레일 내부에 골고루 도포된게 하여 향후 선루프가 자동차에 장착되었을때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동제거 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감지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동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동제거 장치(10)는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 제어부(600) 및 베이스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및 푸쉬부(500)는 하기 도면에서 설명하는 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부(7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의 프레임(A) 및 무빙유닝(B)을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A) 및 무빙유닛(B)과 결합된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 제어부(600)가 상부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700)는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 제어부(600) 중 적어도 하나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700) 상부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레일이 형성되거나 베이스부(700) 내부에 슬라이드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 제어부(60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선루프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동제거 장치(10)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습동제거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하여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선루프의 프레임(A) 또는 무빙유닛(B)이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 중 적어도 하나와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경우,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고정부(100), 제 2 고정부(200), 제 3 고정부(300), 위치감지부(400), 푸쉬부(500)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거나 선루프 프레임(A) 등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7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700) 상부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레일이 형성되거나 베이스부(700) 내부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동제거 장치(10)를 이용하여 미리 무빙유닛(B)이 레일 내부의 그리스를 밀고 지나가며 길을 내주게 하여 실제 선루프가 자동차에 장착되기 전 작동상의 원활함을 확보하고 고장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제 1 고정부(100) 및 제 2 고정부(200)는 선루프의 무빙유닛(도 1의 B)의 펼침을 제어함과 동시에 및 선루프를 지지하는 프레임(A)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00)는 제 1 회전부재(110), 제 1 이송부재(120), 제 1 지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루프를 지지하는 프레임(A)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홈(C)과 결합되어 선루프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 회전부재(110)는 선루프의 기어홈(C)과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무빙유닛(도 1의 B)을 이동시킴으로써 선루프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 이송부재(120)는 제 1 회전부재(110)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제 1 회전부재(110)를 상하 이동시켜 기어홈(C)으로 제 1 회전부재(1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30)는 제 1 이송부재(1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 1 이송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200)는 제 1 회전부재(110)와 기어홈(C)이 결합되는 경우, 기어홈(C)의 상부를 가압 밀폐하여 프레스(A)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200)는 제 2 이송부재(210), 제 2 전달부재(220), 제 2 브라켓부재(230) 및 제 2 밀폐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이송부재(2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2 전달부재(220)를 연동시킬 수 있다. 제 2 전달부재(220)는 일 단부가 제 2 이송부재(210)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제 2 이송부재(210)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제 2 이송부재(210)가 하강하는 경우 제 2 이송부재(210)와 수직각을 이루며, 제 2 이송부재(210)가 상승하는 경우 제 2 이송부재(210)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 2 브라켓부재(230)는 제 2 전달부재(220)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제 2 이송부재(210)가 하강하는 경우 제 2 전달부재(220)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어홈(C)을 밀폐할 수 있으며, 프레임(A)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이송부재(210)가 상승하는 경우 제 2 전달부재(220)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고정부(200)는 밀폐된 기어홈(C)을 개방하고 프레임(A)의 위치 규제를 풀게 된다.
제 2 밀폐부재(240)는 제 2 브라켓부재(230)의 일 단부에 수직 형성되며, 제 2 브라켓부재(230)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기어홈(C)의 상부를 가압 밀폐하여 프레스(A)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밀폐부재(240)의 적어도 일영역은 탄성재질을 가진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고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3을 참조하면, 제 3 고정부(300)는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의 좌우 양측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고정부(300)는 제 3 이송부재(310), 제 3 전달부재(320), 제 3 브라켓부재(330) 및 제 3 규제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이송부재(3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3 전달부재(320)는 일 단부가 제 3 이송부재(310)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제 3 이송부재(310)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제 3 이송부재(310)가 하강하는 경우 제 3 이송부재(310)와 수직각을 이룰 수 있다. 반대로 제 3 이송부재(310)가 상승하는 경우 제 3 이송부재(310)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제 3 브라켓부재(330)는 제 3 전달부재(320)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3 이송부재(310)가 하강하는 경우 제 3 전달부재(320)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제 3 이송부재(310)가 상승하는 경우 제 3 전달부재(320)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될 수 있다.
또한, 제 3 브라켓부재(33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A) 크기 및 형태에 유동적으로 대응하여 프레임(A)의 측면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제 3 규제부재(340)는 제 3 브라켓부재(33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제 3 브라켓부재(330)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프레스(A)의 측면을 가압하여 프레스(A)의 좌우 양측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규제부재(340)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시트로 형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예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예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감지부(400)는 프레임(A)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프레임(A)의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프레임(A)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400)는 프레임(A)과 접촉을 통해 프레임(A)의 배열 위치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부재(410) 및 압력센서(410)를 프레임(A)의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위치감지부(400)가 프레임(A) 방향으로 이동을 하다가, 압력센서부재(410)가 프레임의 일측과 접촉하게 되면, 그 압력을 감지하여 프레임(A)의 위치가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치감지부(400)의 감지결과 데이터는 제어부(도 1의 600)으로 보내질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부(도 1의 600)는 프레임(A) 위치의 정부 또는 프레임(A)의 수정을 자동으로 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쉬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푸쉬부(500)는 무빙유닛(B)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결합부재(510), 결합부재(51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4 이송부재(520) 및 상기 제 4 이송부재(520)의 하부에 형성되며, 기어홈(도 1의 C)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510)를 밀어주는 구동부재(5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쉬부(500)는 제 1 회전부재(도 2의 210)의 회전으로 펼쳐진 무빙유닛(B)을 기어홈(C) 방향으로 밀어주어 무빙유닛(B)을 권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습동제거 장치
100: 제 1 고정부
200: 제 2 고정부
300: 제 3 고정부
400: 위치감지부
500: 푸쉬부
600: 제어부
700: 베이스부

Claims (2)

  1. 선루프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홈과 결합되어 상기 선루프를 개폐하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선루프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기어홈과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무빙유닛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루프를 개폐하는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재를 상하 이동시켜 상기 기어홈으로 상기 제 1 회전부재를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재; 및 상기 제 1 이송부재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재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습동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부재와 상기 기어홈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어홈의 상부를 가압 밀폐하여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2 고정부;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좌우 양측의 위치를 규제하는 2개 이상의 제 3 고정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회전으로 펼쳐진 상기 무빙유닛을 상기 기어홈 방향으로 밀어주어 상기 무빙유닛을 권취시키는 푸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이송부재; 일 단부가 상기 제 2 이송부재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2 이송부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2 이송부재와 수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2 이송부재와 예각을 이루는 제 2 전달부재; 상기 제 2 전달부재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달부재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하며, 상기 제 2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달부재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되는 제 2 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 2 브라켓부재의 일 단부에 수직 형성되며, 상기 제 2 브라켓부재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상기 기어홈의 상부를 가압 밀폐하여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 2 밀폐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3 이송부재; 일 단부가 상기 제 3 이송부재의 일 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3 이송부재의 상하 이동시 연동하며, 상기 제 3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3 이송부재와 수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 3 이송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3 이송부재와 예각을 이루는 제 3 전달부재; 상기 제 3 전달부재의 다른 단부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3 이송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제 3 전달부재가 밀어줌으로써 수평 하강하며, 상기 제 3 왕복부재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3 전달부재가 잡아당김으로써 수직 젖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 3 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 3 브라켓부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브라켓부재가 수평 하강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프레스의 좌우 양측 위치를 규제하는 제 3 규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프레임과 접촉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배열 위치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부재; 및 상기 압력센서를 상기 프레임의 측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푸쉬부는 상기 무빙유닛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4 이송부재; 및 상기 제 4 이송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홈 방향으로 이동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를 밀어주는 구동부재로 구성되는, 습동제거 장치.
KR1020180149068A 2018-11-27 2018-11-27 습동제거 장치 KR101953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68A KR101953527B1 (ko) 2018-11-27 2018-11-27 습동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068A KR101953527B1 (ko) 2018-11-27 2018-11-27 습동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527B1 true KR101953527B1 (ko) 2019-05-22

Family

ID=6667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068A KR101953527B1 (ko) 2018-11-27 2018-11-27 습동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5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993A (ja) * 1994-04-15 1995-10-24 Daikyo Webasto Co Ltd 自動開閉サンシェードを具備したサンルーフ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US5633571A (en) * 1994-07-08 1997-05-27 Vermeulen-Hollandia Octrooien Ii B.V. Device for operating a movable part of a motor vehicle
KR100245750B1 (ko) 1996-12-17 2000-04-01 정몽규 슬라이드 루프의 습동저항력 자동측정장치
KR100341766B1 (ko) * 2000-05-09 2002-06-24 이계안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습동력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993A (ja) * 1994-04-15 1995-10-24 Daikyo Webasto Co Ltd 自動開閉サンシェードを具備したサンルーフ装置及びこの制御方法
US5633571A (en) * 1994-07-08 1997-05-27 Vermeulen-Hollandia Octrooien Ii B.V. Device for operating a movable part of a motor vehicle
KR100245750B1 (ko) 1996-12-17 2000-04-01 정몽규 슬라이드 루프의 습동저항력 자동측정장치
KR100341766B1 (ko) * 2000-05-09 2002-06-24 이계안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습동력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11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N106014127B (zh) 一种关平窗的自动化生产线
KR101953527B1 (ko) 습동제거 장치
EP3224264B1 (de) Silangruppen-haltiges polymer
CN105238014B (zh) 单组分高固含聚氨酯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10301585A1 (en) Profile for a window and/or door part with metal layer with fiber layer
CN117432251B (zh) 一种建筑工地中的建筑材料防护棚
CN106948739A (zh) 一种支撑式可伸缩折叠外遮阳百叶系统的制作方法
CN104553171A (zh) 一种沼气池用pvc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82527B1 (ko) 권취 필름 절단 장치
CN108188295A (zh) 一种中空玻璃铝隔条自动折弯装置
KR102051962B1 (ko) 클린룸
DE2929070A1 (de) Verfahren zur waermerueckgewinnung bei einem gebaeude zum betrieb eines niedertemperaturheiz- und/oder kuehlsystems und anordn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KR101981603B1 (ko) 리프팅 장치
CN216156807U (zh) 一种焊接用防风保温棚
DE3026635A1 (de) Luftfuehrende fassade
CN105840078A (zh) 一种太阳能电动不锈钢卷帘窗
CN209700824U (zh) 一种汽车天窗玻璃安装位工装装置
KR101965903B1 (ko) 형강 제조 장치
CN219508219U (zh) 一种内衣加工用面料整平设备
CN214885931U (zh) 可调节的茶叶晒青萎凋棚
CN203285298U (zh) 复合连杆式玻璃百叶
KR101982517B1 (ko) 자동차 선루프 레일용 구리스 도포 장치
CN109209134A (zh) 一种智能化电动窗
CN213391918U (zh) 折叠式遮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