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326B1 - 천장 조하식 농구대 - Google Patents

천장 조하식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326B1
KR101921326B1 KR1020180126173A KR20180126173A KR101921326B1 KR 101921326 B1 KR101921326 B1 KR 101921326B1 KR 1020180126173 A KR1020180126173 A KR 1020180126173A KR 20180126173 A KR20180126173 A KR 20180126173A KR 101921326 B1 KR101921326 B1 KR 10192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ear
box
ba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숙향
Original Assignee
박숙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숙향 filed Critical 박숙향
Priority to KR102018012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어 미사용시 부피를 천장에 근접 되게 이동시켜 하측 공간에서 다른 종목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11개의 바(bar)로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박스형 프레임들이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한 단계 더 큰 프레임의 내측 공감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승강함에 따라 나머지 프레임들도 함께 승강되는 다단 프레임; 상기 다단 프레임의 각 박스형 프레임들을 승강시켜주는 승강부; 및 상기 다단 프레임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백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 조하식 농구대{CEILING-MOUNTED HOOP HOIST}
본 발명은 천장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어 미사용시 부피를 천장에 근접 되게 이동시켜 하측 공간에서 다른 종목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구대는 네트가 구비된 링을 백보드에 장착하고, 링이 지면에서 규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백보드를 "ㄱ"자형의 지지프레임 선단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농구대는 지지프레임에 바퀴가 달린 이동식과 지지프레임 기단을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식이 있다.
한편, 실내 체육관의 경우 농구장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배구와 같은 다른 구기종목을 위한 장소로 겸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바퀴가 달린 이동식 농구대가 사용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체육관에는 사이즈가 큰 농구대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구기종목의 경기가 진행될 때에도 체육관의 일측에 방치되어 선수들의 경기 및 관람객의 관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고, 농구대가 불필요하게 실내공간을 점유하여 체육관의 실내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기존의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링이 바닥으로부터 규정된 위치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체육관의 천장 높이를 고려할 때 파이프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파이프가 절첩될 때 천장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이나 빔프로젝트 등의 설치물과 간섭되므로 설치물의 설치위치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해지며, 특히 조명등의 위치변경에 따라 조도가 낮은 지점이 발생되어 선수들의 경기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첩바가 링의 직상방에 위치되므로 링을 향하는 농구공이 절첩바에 부딪치게 되어 농구경기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302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3244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천장의 점유면적을 줄여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이나 빔프로젝트 등의 설치물과 간섭되지 않으며, 링의 직상방에 어떠한 구조물도 설치되지 않아 서 경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천장 조하식 농구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백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11개의 바(bar)로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박스형 프레임들이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한 단계 더 큰 프레임의 내측 공감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승강함에 따라 나머지 프레임들도 함께 승강되는 다단 프레임; 및 상기 다단 프레임의 각 박스형 프레임들을 승강시켜주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백보드는 상기 다단 프레임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 프레임은, 4 개의 상부 수평 바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사각형의 상부 사각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4 개의 측면 수직 바가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3 개의 하부 수평 바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ㄷ"형태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개방된 입구 부분이 전면에 위치한 상기 측면 수직 바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고 두 모서리 부분이 후단에 위치한 상기 측면 수직 바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어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 개의 박스형 프레임; 및 상부 사각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승강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사각 프레임의 각 모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부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하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부; 탄성력으로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와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하측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 완충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전단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충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와 다른 제2 버팀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변속 기어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축기어; 두 개가 하나의 쌍으로 하여 각 변속 기어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축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다수 개의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 바를 관통하고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 바를 승강시켜주는 승강 바; 및 상기 축기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기어 상기 축기어을 회전시켜 주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승강 바가 다른 구동기어로부터 설치되는 승강 바와 겹치지 않고 교차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의 중심축이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상기 변속 기어에서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들의 직경이 모두 같은 경우, 가장 작은 박스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직경이 가장 큰 변속 기어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되고, 가장 큰 박스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직경이 가장 작은 변속 기어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11개의 바(bar)로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박스형 프레임들이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한 단계 더 큰 프레임의 내측 공감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승강함에 따라 나머지 프레임들도 함께 승강되는 다단 프레임; 상기 다단 프레임의 각 박스형 프레임들을 승강시켜주는 승강부; 및 상기 다단 프레임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백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 프레임은, 4 개의 상부 수평 바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사각형의 상부 사각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4 개의 측면 수직 바가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3 개의 하부 수평 바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ㄷ"형태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개방된 입구 부분이 전면에 위치한 상기 측면 수직 바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고 두 모서리 부분이 후단에 위치한 상기 측면 수직 바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어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 개의 박스형 프레임; 및 상부 사각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승강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사각 프레임의 각 모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부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하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부; 탄성력으로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와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하측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 완충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전단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충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와 다른 제2 버팀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변속 기어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축기어; 두 개가 하나의 쌍으로 하여 각 변속 기어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축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다수 개의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 바를 관통하고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 바를 승강시켜주는 승강 바; 및 상기 축기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기어 상기 축기어을 회전시켜 주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승강 바가 다른 구동기어로부터 설치되는 승강 바와 겹치지 않고 교차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의 중심축이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상기 변속 기어에서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들의 직경이 모두 같은 경우, 가장 작은 박스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직경이 가장 큰 변속 기어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되고, 가장 큰 박스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직경이 가장 작은 변속 기어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농구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백보드를 상승시켜 전체적인 볼륨을 콤팩트하도록 하여 체육관의 하측 공간을 좀 더 넓게 활용할 수 있어 배구 등 다른 구기종목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힌지 회동방식에 비해 천장의 점유면적이 축소되어 조명등과 같은 천장 설치물과 간섭되지 않아서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조명등의 설치간격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경기장의 조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선수들의 경기력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백보드의 지지 구조가 박스형 골조로 이루어져서, 무게를 줄이면서도 선수가 슛을 하거나 덩크슛을 할 경우와 같이 백보드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백보드가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형태의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단 프레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충격흡수부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는 도 1의 승강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의 승강 바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플라스틱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10)는, 다단 프레임(100), 승강부(200) 및 백보드(300)를 포함한다.
다단 프레임(100)은, 11개의 바(bar)로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박스형 프레임(110)들이 작은 크기의 프레임(예를 들어, 도 1의 100-2)이 한 단계 더 큰 프레임(예를 들어, 도 1의 100-1)의 내측 공감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예를 들어, 도 1의 100-N)이 승강함에 따라 나머지 프레임들도 함께 승강된다.
승강부(200)는, 다단 프레임(100)의 최상측에 설치되며, 다단 프레임(100)의 각 박스형 프레임(110)들을 승강시켜준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부(200)는,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예를 들어, 도 1의 100-N)의 상단 바에 묶인 로프(230)가 연결된 권취롤러(220)를 구동모터(210)을 통해 구동시킴으로써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예를 들어, 도 1의 100-N)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예를 들어, 도 1의 100-N)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측에 위치한 프레임들(예를 들어, 도 1의 100-1 내지 100-3)을 차례로 들어 올려 모든 프레임들이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어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백보드(300)는, 다단 프레임(100)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예를 들어, 도 1의 100-N)의 전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백보드(300) 또는 보드(310)의 라인(320)은 PET 수지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플라스틱 시트보다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이 강한 플라스틱 시트로 외형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다음의 플라스틱 시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S110);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제2단계(S120); 예열된 혼합 조성물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3단계(S130);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제4단계(S140);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5단계(S150);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제6단계(S160); 및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제7단계(S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T 수지에 여러가지 첨가물을 혼합하고, 예열, 제습, 가열 및 냉각을 통해 성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제1단계(S110)는, 원료의 혼합단계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를 기초 수지로 하고,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PET 수지는 기초 수지로서, 우수한 열안정성과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고 있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분산제는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및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은 대전방지제로서 기능한다. 플라스틱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 시트는 일반적으로 전기 절연체이기 때문에 마찰대전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방전 혹은 전기전도 등에 의해 심할 경우 폭발, 화재 등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대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은 방담제로 기능한다. 방담제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용기 제조시, 과일 등을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에 의한 물방울 맺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원료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lephthalate,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분산제 2~4 중량부, 폴리에틸렌 다이옥시싸이오펜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ethylene 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0.1~0.2 중량부, 폴리스티롤 설폰산(polystyrolsulfonic acid) 0.4~0.6 중량부,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3~5 중량부,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 0.1~0.3 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42~45 중량부 및 물 50~5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서 첨가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대전방지제의 경우, 각 범위를 넘어서서 혼합되는 경우, 제조되는 플라스틱 표면이 끈적일 수 있고, 실링성 및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백색 플라스틱의 경우,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S110)는, 플라스틱 시트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에 여러가지 추가적인 성분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론계 바인더를 더 혼합할 수 있다. 보론(B)계 바인더는 각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보론계 바인더는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고, 보론계 바인더의 함량이 7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마늘 추출액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보론계 바인더와 함께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원료 성분들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플라스틱 시트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파타이트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충진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시트의 형상을 유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강도 유지 및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뼈 안에 존재하는 무기물질로서, 충진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가 작고 탄산기의 잔존량이 높으며 결정도를 낮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아파타이트 과립의 크기는 200~400㎛이다. 이를 위해 500~700℃에서 소결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500℃ 미만에서 소결할 경우, 원하는 과립의 크기와 결정도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고, 700℃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에는 탄산기의 잔존량이 낮고, 결정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아파타이트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파타이트 분말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30 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르크 분말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아파타이트 분말과 함께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2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구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제조시 내부에 공극이 형성될 수 있어 내구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라쟁이 추출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항균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백색 플라스틱 시트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황변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라쟁이(Rumex crispus)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소라쟁이로부터 추출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하고,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은 PE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력이 황변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제2단계(S120)는, 혼합 조성물을 예열하는 단계로, 혼합된 원료에 열을 가하여 1차적으로 원료들을 안정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제3단계(S130)는 예열된 혼합 조성물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단계로, 제습은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 또는 초과하는 경우, 제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플라스틱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4단계(S140)는, 습기가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혼합 조성물을 용융시킨 후, 유지하기 위하여 가열 온도는 260~270℃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S150)는, 가열된 혼합 조성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메쉬(mesh) 형태의 스크린(screen)을 통과시킴으로써 혼합 조성물의 내부에 문제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6단계(S160)는,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 조성물을 냉각하면서 연신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냉각롤을 이용하여 2단 연신한다. 1차 연신은 16~17℃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2차 연신은 20~23℃로 유지되는 냉각롤을 통해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차 연신의 온도를 1차 연신 온도보다 높이는 이유는 고체화되는 플라스틱 시트가 말려서 성형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교대로 연신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의 내구성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단계(S170)는, 플라스틱 시트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실리콘을 도포하여 마감처리함과 동시에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리콘은 5~25%의 농도 범위로 희석된 도포액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160~215℃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도포액에는 제조된 플라스틱 용기 내부에 맺히는 수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술한 방담제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예열, 제습, 가열, 이물질 제거, 냉각 및 연신, 건조단계를 거쳐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준비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고, 마늘 추출액 및 소라쟁이 추출물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8104162388-pat00001
[실험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1차 연신은 16℃, 2차 연신은 21℃로 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ㅁ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ㅁ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2]
Figure 112018104162388-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균일도가 모두 우수하였다.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
실시예 1~3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3은 길이 방향 연신 후, 폭 방향 연신하였고, 비교예는 길이 방향으로만 연신하였다.
[표 3]
Figure 112018104162388-pat000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나, 비교예는 상대적으로 불량율이 높았다.
[실험예 3 : 황변 테스트]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10개월 후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황색으로 일부 변한 것을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표 4]
Figure 112018104162388-pat0000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모든 제품이 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나, 실시예 3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색율이 높았다.
[실험예 4 : 방담성 테스트]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조성물을 2차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백색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내부에 시금치를 보관한 후, 1일 후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104162388-pat00005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거의 물방울이 맺히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의 물방울들이 맺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질의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된 구성은, PET 수지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경우보다 성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10)는, 농구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백보드를 상승시켜 전체적인 볼륨을 콤팩트하도록 하여 체육관의 하측 공간을 좀 더 넓게 활용할 수 있어 배구 등 다른 구기종목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힌지 회동방식에 비해 천장의 점유면적이 축소되어 조명등과 같은 천장 설치물과 간섭되지 않아서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조명등의 설치간격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경기장의 조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선수들의 경기력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백보드의 지지 구조가 박스형 골조로 이루어져서, 무게를 줄이면서도 선수가 슛을 하거나 덩크슛을 할 경우와 같이 백보드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백보드가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형태의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단 프레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단 프레임(100)은, 다수 개의 박스형 프레임(110) 및 충격흡수부(120)를 포함한다.
박스형 프레임(110)은, 4 개의 상부 수평 바(111)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사각형의 상부 사각 프레임(112)을 형성하고,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각 모서리로부터 4 개의 측면 수직 바(113)가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3 개의 하부 수평 바(114)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ㄷ"형태의 하부 프레임(115)을 형성하고, 하부 프레임(115)의 개방된 입구 부분이 전면에 위치한 측면 수직 바(113)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고 두 모서리 부분이 후단에 위치한 측면 수직 바(113)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어 형성된다.
충격흡수부(120)는, 상부 사각 프레임(112)이 상측 방향으로 승강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전단에 위치하는 프레임(111-1)의 하부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각 모서리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2의 충격흡수부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충격흡수부(120)는, 지지부(121), 케이스부(122), 연장부(123), 충격 완충부(124) 및 체결부(125)를 포함한다.
지지부(121)는, 직사각형의 철판 등의 철재로 형성되며,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하부를 지지한다.
케이스부(122)는, 하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부(121)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연장부(123) 및 충격 완충부(124)가 삽입되며, 하단으로 뚫린 관통홀로 연장부(123)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해당 관통홀은 연장부(12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보다 좁게 형성되어 연장부(12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부(123)는, 케이스부(122)에 삽입되며, 상부가 지지부(121)의 하단에 고정 설치(용접에 의해 강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함)되며, 하부에 케이스부(122)의 관통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며, 하단(즉, 걸림턱의 밑 부분)에 충격 완충부(124)가 형성된다.
충격 완충부(124)는, 탄성력으로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하부와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122)에 삽입된 연장부(123)의 하측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 완충부(124)는, 버팀부(1241) 및 탄성부(124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팀부(1241)는, 연장부(123)와 체결부(12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며, 연장부(123)가 체결부(125)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123)와 체결부(125)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1241)는, 제1 버팀부(12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241-2) 및 다수 개의 제3버팀부(1241-3)를 포함한다.
제1 버팀부(1241-1)는, 탄성부(124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부가 연장부(12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연장부(123)와 체결부(12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2cm 내지 7cm 등)로 형성되어, 연장부(123)가 체결부(125)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2cm 내지 7cm 등)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버팀부(1241-2)는, 제1 버팀부(1241-1)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1.5cm 내지 5cm 등)로 형성되며, 탄성부(1242)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연장부(12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제3버팀부(1241-3)는, 제2 버팀부(1241-2) 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며, 제2 버팀부(1241-2)와 다른 제2 버팀부(1241-2)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연장부(12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버팀부(12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2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1241-3)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되 제1 버팀부(1241-1)의 직경이 제2 버팀부(124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버팀부(1241-2)의 직경이 제3 버팀부(124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버팀부(1241)는, 다수 개의 변형을 위한 수단(즉, 제1 버팀부(12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2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1241-3))에 의해 충격을 다수의 단계로 흡수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충격흡수능력을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1241)는,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제1 버팀부(1241-1) 및 제2 버팀부(1241-2)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버팀부(1241-1)가 파쇄된 후 제2 버팀부(1241-2)가 파쇄 될 수 있다.
탄성부(124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강정 스프링 등)로 형성되며,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하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장부(123) 및 체결부(125)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체결부(125)는, 케이스부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전단에 위치하는 프레임(111-1)의 상부 양측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120)는, 상부 사각 프레임(112)이 상승하여 상측에 위치하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전단에 위치하는 프레임(111-1)의 하부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프레임 등이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부 사각 프레임(112) 간의 충격이 누적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부 사각 프레임(112) 간의 충격이 지나쳐 버팀부(1241)의 각각의 파쇄 임계치를 넘어서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112)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높이가 가장 높은 제1 버팀부(1241-1)가 파쇄 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제1 버팀부(1241-1)의 파쇄만으로도 충격이 모두 흡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241-2)가 차례로 파쇄 되면서 여분의 충격을 모두 흡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120)는, 상부 사각 프레임(112) 간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함으로써, 각 구성들에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승강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승강부(200)는, 축기어(210), 다수 개의 구동기어(220), 승강 바(230) 및 구동모터(240)를 포함한다.
축기어(210)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변속 기어(211)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구동기어(220)는, 두 개가 하나의 쌍으로 하여 각 변속 기어(211)의 양측에 설치되며, 축기어(2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며, 각각의 기어에 승강 바(230)가 하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기어(220)는,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승강 바(230)가 다른 구동기어(220)로부터 설치되는 승강 바(230)와 겹치지 않고 교차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의 중심축이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30도 내지 45도 등)로 이격되어 변속 기어(211)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기어(220)들의 직경이 모두 같은 경우, 가장 작은 박스형 프레임(도 1의 110-N)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기어(220)가 직경이 가장 큰 변속 기어(211-1)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되고, 가장 큰 박스형 프레임(110-1)에 연결 설치되는 구동기어(220)가 직경이 가장 작은 변속 기어(211-2)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최하층에 위치된 가장 작은 박스형 프레임(도 1의 110-N)의 승강 속도가 가장 빠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승강 바(230)는, 구동기어(220)의 중심으로부터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 바(116)의 체결너트(117)(도 2를 참조)를 관통하고 연장 형성되며, 구동기어(220)의 회전에 대응하여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가로 바(116)를 승강시켜준다.
즉, 체결너트(117)에 연결 설치된 승강 바(230)의 나사산이 회전함에 따라 체결너트(117)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주거나,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켜줄 수 있다.
구동모터(240)는, 축기어(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기어(210)를 회전시켜 준다.
각각의 박스형 프레임(100-1 내지 100-N)들에 연결 설치된 승강 바(230-1 내지 230-3)들이 회전하기 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나, 각각의 승강 바(230-1 내지 230-3)들이 회전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박스형 프레임(100-1 내지 100-N)들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포개질 것이다.
도 8은 도 4의 승강 바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승강 바(230)는, 상측 바(231) 및 하측 바(232)를 포함한다.
상측 바(231)는, 외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부가 구동기어(220)의 중심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통해 하측 바(232)가 상승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측 바(231)는, 하측 말단으로 갈수록 하측 입구가 넓어지도록 형성(즉, 개방되는 지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하측 입구의 경사진 내측 부분에 서로 동일한 간격(즉, 120ㅀ)으로 이격된 세개의 슬라이딩 유도홈(2311, 2312, 23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슬라이딩 유도홈(2311, 2312, 2313)은, 상측 바(231)의 하부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형성되며, 각각의 홈에 슬라이딩 돌기(2321, 2322, 2323)가 각각 삽입되며, 각 슬라이딩 돌기(2321, 2322, 2323)가 유도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한다.
즉, 상측 바(231)는, 외경은 하측 바(23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나, 내경이 하측 바(23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측 바(232)가 슬라이딩 유도홈(2311, 2312, 2313)을 이용하여 자신의 내부 공간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함에 따라 세 개의 파이프 조각(232-1, 232-2, 232-3)이 분리되면서 외경이 좁아지도록 한다.
하측 바(232)는, 외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측 바(231)의 하부로부터 상부 사각 프레임(112)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 바(116)의 체결너트(117)(도 2를 참조)를 관통하고 연장 형성되며, 상측 바(231)의 회전에 대응하여 나사산을 이용하여 가로 바(116)를 승강시켜주며, 부피가 줄어든 후 상측 바(231)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승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측 바(232)는, 세 개의 파이프 조각(232-1, 232-2, 232-3)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둥근 파이프를 형성하도록 형성되고, 상측 바(231)의 하부에 삽입되는 상측 입구 부분이 상측 바(231)의 하부 입구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상측 말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유도홈(2311, 2312, 2313)과 대향하는 각 파이프 조각(232-1, 232-2, 232-3)의 상부에 슬라이딩 유도홈(2311, 2312, 2313)을 따라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유도홈(2311, 2312, 2313)에 대응하는 형태의 슬라이딩 돌기(2321, 2322, 232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측 바(232)는, 내부 공간의 중심 부분에 중심축(233)을 형성하고, 중심축(233)과 세 개의 파이프 조각(232-1, 232-2, 232-3) 각각의 사이에 지탱부(23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중심축(233)은, 상측 바(231)의 내부 공간을 통과해 상측 외부로 노출되며, 상부에 상승 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연결 설치되어, 상승 수단에 의해 상승되면서 지탱부(2331)를 통해 자신에 연결 설치된 하측 바(232)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탱부(2331)는, 용수철 등과 같은 탄성력으로 각각의 파이프 조각(232-1, 232-2, 232-3)을 외측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하측 바(232)를 파이프 형태의 외관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탱부(2331)는, 하측 바(232)가 상측 바(23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승하는 경우에도 하측 바(232)가 상측 바(231)의 내부 공간에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바(230)는, 다단 프레임(100)를 상승시켜준 경우, 하부가 외부로 노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강 바(2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바(232)를 상측 바(231)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줌으로써 바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천장 조하식 농구대 100: 다단 프레임
110: 박스형 프레임 111: 수평 바
112: 상부 사각 프레임 113: 측면 수직 바
114: 하부 수평 바 115: 하부 프레임
116: 가로 바 120: 충격흡수부
121: 지지부 122: 케이스부
123: 연장부 124: 충격 완충부
1241: 버팀부 1242: 탄성부
125: 체결부 200: 승강부
210: 축기어 211: 변속 기어
220: 구동기어 230: 승강 바
231: 상측 바 232: 하측 바
240: 구동모터 300: 백보드
310: 보드 320: 라인

Claims (2)

  1. 백보드;
    11개의 바(bar)로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박스형 프레임들이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한 단계 더 큰 프레임의 내측 공감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최하측에 배치되는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이 승강함에 따라 나머지 프레임들도 함께 승강되는 다단 프레임; 및
    상기 다단 프레임의 각 박스형 프레임들을 승강시켜주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백보드는 상기 다단 프레임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 프레임은, 4 개의 상부 수평 바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사각형의 상부 사각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각 모서리로부터 4 개의 측면 수직 바가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3 개의 하부 수평 바가 서로 직각 되게 설치되어 "ㄷ"형태의 하부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개방된 입구 부분이 전면에 위치한 상기 측면 수직 바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고 두 모서리 부분이 후단에 위치한 상기 측면 수직 바들의 하단에 각각 체결되어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 개의 박스형 프레임; 및 상부 사각 프레임이 상측 방향으로 승강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사각 프레임의 각 모서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부는,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하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부; 탄성력으로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와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하측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 완충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전단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충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른 상부 사각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와 다른 제2 버팀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변속 기어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축기어; 두 개가 하나의 쌍으로 하여 각 변속 기어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축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회전하는 다수 개의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부 사각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 바를 관통하고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에 대응하여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상기 가로 바를 승강시켜주는 승강 바; 및 상기 축기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축기어 상기 축기어을 회전시켜 주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중심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승강 바가 다른 구동기어로부터 설치되는 승강 바와 겹치지 않고 교차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의 중심축이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상기 변속 기어에서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들의 직경이 모두 같은 경우, 가장 작은 박스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직경이 가장 큰 변속 기어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되고, 가장 큰 박스형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구동기어가 직경이 가장 작은 변속 기어에 연결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
  2. 삭제
KR1020180126173A 2018-10-22 2018-10-22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92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73A KR101921326B1 (ko) 2018-10-22 2018-10-22 천장 조하식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173A KR101921326B1 (ko) 2018-10-22 2018-10-22 천장 조하식 농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326B1 true KR101921326B1 (ko) 2018-11-22

Family

ID=6455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173A KR101921326B1 (ko) 2018-10-22 2018-10-22 천장 조하식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3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020B1 (ko) 2009-12-29 2012-03-29 김종열 천장 출몰형 농구대
KR101545464B1 (ko) * 2015-02-27 2015-08-19 한재수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829014B1 (ko)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020B1 (ko) 2009-12-29 2012-03-29 김종열 천장 출몰형 농구대
KR101545464B1 (ko) * 2015-02-27 2015-08-19 한재수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829014B1 (ko)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326B1 (ko) 천장 조하식 농구대
CN104356534A (zh) 一种防霉抗菌性合成革浆料及其制备方法
CN208988002U (zh) 一种智能衣柜
KR102035969B1 (ko) 커피박이 포함된 친환경 합성 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811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N107197942A (zh) 一种谷物晾晒机
CN107692560A (zh) 一种多功能收纳柜
KR102037312B1 (ko) 이동식 벽체
KR101971035B1 (ko) Ip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CN209189385U (zh) 一种塑料颗粒高效清洗装置
KR101985165B1 (ko) 유리섬유 권취장치
CN106901582A (zh) 一种可调角度的塑料晒鞋架
KR102040110B1 (ko) 건축 내장 공사용 가변형 칸막이
CN108017850A (zh) 一种耐磨充气游泳池
CN216109438U (zh) 阳台安全护栏
KR101953526B1 (ko) 요철형 소음 완충재 제조 장치
KR102002757B1 (ko) 자재 이송 리프트 장치
KR101972826B1 (ko) 회전 지그
KR101965903B1 (ko) 형강 제조 장치
CN107279335A (zh) 一种用于黑茶泡煮后的新型晾晒装置
CN211290759U (zh) 节能型立式茶叶加工烘箱
KR102020876B1 (ko) 파지 장치
CN207721117U (zh) 一种白茶自动萎凋装置
CN209474245U (zh) 一种多功能综合型板材货架
CN113633001A (zh) 一种高效节能蔬菜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