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464B1 - 천장 조하식 농구대 - Google Patents

천장 조하식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464B1
KR101545464B1 KR1020150027910A KR20150027910A KR101545464B1 KR 101545464 B1 KR101545464 B1 KR 101545464B1 KR 1020150027910 A KR1020150027910 A KR 1020150027910A KR 20150027910 A KR20150027910 A KR 20150027910A KR 101545464 B1 KR101545464 B1 KR 10154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x frames
frames
ba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수
Original Assignee
한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수 filed Critical 한재수
Priority to KR102015002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1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ketball
    • A63B2063/08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와, 이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c,d)와, 이 각 상측종바(c,d)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e)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e)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f,g)와, 이 한 쌍의 하측종바(f,g)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단횡바(h)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40)의 전단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e)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측브래킷(62) 및 하측브래킷(63)에 설치된 백보드(60); 및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이다.

Description

천장 조하식 농구대{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본 발명은 천장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되어 미사용시 부피를 천장에 근접되게 이동시켜 하측 공간에서 다른 종목의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구대는 네트가 구비된 링을 백보드에 장착하고, 링이 지면에서 규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백보드를 "ㄱ"자형의 지지프레임 선단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농구대는 지지프레임에 바퀴가 달린 이동식과 지지프레임 기단을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식이 있다. 한편, 실내 체육관의 경우 농구장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배구와 같은 다른 구기종목을 위한 장소로 겸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바퀴가 달린 이동식 농구대가 사용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체육관에는 사이즈가 큰 농구대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구기종목의 경기가 진행될 때에도 체육관의 일측에 방치되어 선수들의 경기 및 관람객의 관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구대가 불필요하게 실내공간을 점유하여 체육관의 실내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10-0912392호에서 농구대를 천장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즉, 천장에 길이가 긴 파이프의 일단을 힌지결합하고, 이 파이프의 타단에 백보드와 링을 장착하며, 파이프가 수직하게 펼쳐질 때 일단이 백보드에 근접된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이 천장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절첩바가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링이 바닥으로부터 규정된 위치에 배치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체육관의 천장 높이를 고려할 때 파이프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파이프가 절첩될 때 천장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이나 빔프로젝트 등의 설치물과 간섭되므로 설치물의 설치위치를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복잡해지며, 특히 조명등의 위치변경에 따라 조도가 낮은 지점이 발생되어 선수들의 경기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첩바가 링의 직상방에 위치되므로 링을 향하는 농구공이 절첩바에 부딪치게 되어 농구경기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23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의 점유면적을 줄여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이나 빔프로젝트 등의 설치물과 간섭되지 않으며, 링의 직상방에 어떠한 구조물도 설치되지 않아서 경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 천장 조하식 농구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와, 이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c,d)와, 이 각 상측종바(c,d)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e)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e)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f,g)와, 이 한 쌍의 하측종바(f,g)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단횡바(h)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40)의 전단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e)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측브래킷(62) 및 하측브래킷(63)에 설치된 백보드(60); 및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는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의 직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박스프레임(20,30,40)들은 구동수단(50)에 의해 상승하여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 내부로 모두 수납될 때 상기 백보드(60)가 최상단 박스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박스프레임(10,20,30,40)의 수직바(e)의 측면에는 각각 수직가이드봉(70)이 설치되고, 서로 인접된 박스프레임(10,20,30,40) 중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수직바(e)에는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각 수직가이드봉(70)이 끼워지는 수직관통홀(72)이 형성된 가이드편(71)이 측방으로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전단횡바(a), 상측후단횡바(b), 한 쌍의 상측종바(c,d), 수직바(e), 한 쌍의 하측종바(f,g), 하측후단횡바(h)에 의해 박스형 골조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이 각각 상측전단횡바(a), 상측후단횡바(b) 및 한 쌍의 상측종바(c,d)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테두리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며 상하로 배치되어, 구동수단(50)에 의해 박스프레임(10,20,30,40)들이 순차적으로 승강된다. 이때, 백보드(60)는 최하단 박스프레임(40)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 박스프레임(40)의 수직바(e)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측브래킷(62) 및 하측브래킷(63)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박스프레임(20,30,40)들이 구동수단(50)에 의해 최상단 박스프레임(10)에 모두 수납되도록 승강될 때, 박스프레임(10,20,30,40)들에 하측전단횡바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최하단 박스프레임(40)에 구비된 백보드(60)가 최상단 박스프레임(10) 전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농구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백보드(60)가 박스프레임(10,20,30,40)들과 충돌되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상승되므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이 천장(1)에 근접되어 좀 더 콤팩트해지므로 체육관의 하측공간을 좀 더 넓게 활용할 수 있어 배구 등 다른 구기종목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외관이 깔끔하다. 그리고 종래 힌지회동방식에 비해 천장(1)의 점유면적이 축소되어 조명등과 같은 천장 설치물과 간섭되지 않아서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조명등의 설치간격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경기장의 조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선수들의 경기력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백보드(60)를 지지하는 박스프레임(10,20,30,40)이 파이프형이 아니라 박스형 골조로 이루어져서, 무게를 줄이면서도 선수가 슛을 하거나 덩크슛을 할 경우와 같이 백보드(60)에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백보드(60)가 박스프레임(10,20.30.40)에 의해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형태변형이나 파손 등이 방지된다. 그리고 각각의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가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의 직하방에 위치되므로, 백보드(60)에 설치된 링(61)의 직상방에는 아무런 구조물이 위치되지 않아서 종래와 같이 링(61) 직상방으로 날아간 농구공이 상측 구조물에 간섭되어 경기가 방해받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박스프레임(10,20,30,40)에 복수개의 수직가이드봉(70)을 설치하고, 박스프레임(10,20,30,40)에 상기 수직가이드봉(70)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가이드편(71)을 구비하여, 박스프레임(10,20,30,40)의 승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을 승강시켜 모든 박스프레임(20,30,40)을 승강시키는 구동수단(50)을 이루는 와이어(53)가 끊어질 경우, 상기 각 박스프레임(20,30,40)의 복수개의 가이드편(71)이 각각 수직가이드봉(70)을 따라 동시에 하강하게 되므로 마찰력이 증가되어 박스프레임(10,20,30,40)들이 급강하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박스프레임을 보인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상승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및 정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과, 최하단 박스프레임(40)에 설치된 백보드(60)와,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20,30,40)들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은 도 2와 같이 상측전단횡바(a)와, 상측후단횡바(b)와, 이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상측종바(c,d)와, 이 상측종바(c,d)의 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e),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수직바(e)의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f,g)와, 이 한 쌍의 하측종바(f,g)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단횡바(h)로 이루어지며, 좀 더 구체적으로 박스형 골조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박스프레임(10,20,30,40)의 한 쌍의 하측종바(f,g)의 전단을 연결하는 하측전단횡바는 구비되지 않는다. 한편, 상측후단횡바(b)보다 전방에는 한 쌍의 상측종바(c,d)를 연결하는 보조횡바(i)가 구비되고, 상측종바(c,d)와 하측종바(f,g)를 연결하는 보조수직바(j)가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은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사이즈가 큰 것에서 작은 것 순서로 상하로 배치된다. 이때, 도 2는 상측에서 두 번째 위치한 박스프레임(20)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박스프레임(10,30,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의 수직바(e)의 형상은 다르게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도 1 및 도 4와 같이 서로 인접된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는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측면에서 볼 때 펼쳐진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의 전면이 수직면을 형성한다. 한편, 최상단 박스프레임(10)은 실내 체육관 등의 천장(1)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최상단 박스프레임(10)의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를 천장(1)을 지지하는 골조(2)를 연결하는 한 쌍의 구조물(3)에 각각 클램핑(4)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최상단 박스프레임(10,20,30,40)에는 양측면과 후면을 가리는 판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백보드(60)는 최하단 박스프레임(10,20,30,4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에는 링(61)이 구비된다. 이때, 백보드(60)는 덩크슛과 같이 큰 외력에도 박스프레임(10,20,30,4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의 전단에 위치한 좌우 수직바(e)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측브래킷(62) 및 하측브래킷(63)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50)은 박스프레임(10,20,30,40) 내부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모터(51)와, 와이어(53)가 권취된 권취드럼(52)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도 1과 같이 모터(51)와 권취드럼(52)은 상기 최상단 박스프레임(10)이 설치되는 한 쌍의 구조물(3)을 연결하는 설치대(5)에 설치되되 박스프레임(10,20,30,40)의 측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권취드럼(52)에 권취된 와이어(53)는 수직 하향 연장되어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의 중간부에 설치된 롤러(41)에 걸려져서 와이어(53)가 권취드럼(52)에 걸려지거나 풀려짐에 따라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이 승강된다. 이때, 모터(51)는 도시안된 제어부가 구비되어 리모콘 등으로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된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한 쌍의 상측종바(c,d)간의 간격(L1)은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좌우 수직바(e)간의 간격(L2)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이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된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간의 간격(L3)은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 및 보조횡바(e)간의 간격(L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측 박스프레임(20,30,40)이 상승할 때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가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 및 보조횡바(e)를 각각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 및 도 7과 같이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이 승강수단(50)에 의해 상승될 때, 각 박스프레임(10,20,30,40)은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므로, 다른 박스프레임(20,30,40)들이 상승되어 최상단 박스프레임(10)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이 승강수단(50)에 의해 하강될 때, 다른 박스프레임(20,30)은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이와 같이, 박스프레임(20,30,40)들이 상하로 신축되며, 도 4 및 도 5와 같이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는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박스프레임(10,20,30,40)들이 하강된 상태에서 백보드(60) 전면에 설치된 링(61)의 직상방에는 종래 절첩바와 같은 구조물이 위치되지 않으므로 경기중 링(61)을 향해 던진 농구공이 농구코트 내측에서 상기 구조물에 방해받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박스프레임(10,20,30,40)들에는 하측전단횡바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이 상승될 때 백보드(60)를 최하단 박스프레임(40)에 설치하는 상측브래킷(62) 및 하측브래킷(63)이 박스프레임(10,20,30,40)에 충돌되는 등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농구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백보드(60)가 최상단 박스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농구대가 천장(1)에 보다 근접되어 콤팩트해진다.
한편, 도 1 및 도 4와 같이 최하단 박스프레임(40)을 제외한 모든 박스프레임(20,30)의 수직바(e) 및 보조수직바(j)에는 각각 수직가이드봉(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최상단 박스프레임(10)을 제외한 모든 박스프레임(20,30,40)의 수직바(e)에는 상측 박스프레임(20,30,40)의 각 수직가이드봉(70)이 끼워지는 수직관통홀(72)이 형성된 가이드편(71)이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박스프레임(20,30,40)이 승강될 때 상측 박스프레임(20,30,40)의 수직가이드봉(70)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승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가이드봉(70)의 하단에는 박스프레임(20,30,40)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73)가 구비되어, 가이드편(71)이 스토퍼(73)에 걸려지며 스토퍼(73) 자체 또는 상단에 탄성재가 구비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종래 힌지회동되는 절첩식 농구대와 달리 천장(1)의 점유면적이 작기 때문에 천장(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도시안된 조명등이나 빔프로젝트 등의 천장 설치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조명등 미설치 영역이 증대되는 것이 방지되어 농구코트의 조도가 보다 균일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백보드(60)를 지지하는 박스프레임(20,30,40)이 복수개의 봉부재를 박스형 골조 형태로 연결되므로, 무게를 줄이면서도 힌지절첩되는 종래 농구대에 비해 덩크슛 등에 의해 백보드(60)에 수평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백보드(60)가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와, 이 상측전단횡바(a) 및 상측후단횡바(b)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c,d)와, 이 각 상측종바(c,d)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e)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e)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f,g)와, 이 한 쌍의 하측종바(f,g)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단횡바(h)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40)의 전단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e)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측브래킷(62) 및 하측브래킷(63)에 설치된 백보드(60); 및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20,30,4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는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상측전단횡바(a)의 직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박스프레임(20,30,40)들은 구동수단(50)에 의해 상승하여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 내부로 모두 수납될 때 상기 백보드(60)가 최상단 박스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10,20,30,40)의 수직바(e)의 측면에는 각각 수직가이드봉(70)이 설치되고, 서로 인접된 박스프레임(10,20,30,40) 중 하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수직바(e)에는 상측 박스프레임(10,20,30,40)의 각 수직가이드봉(70)이 끼워지는 수직관통홀(72)이 형성된 가이드편(71)이 측방으로 돌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20150027910A 2015-02-27 2015-02-27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54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10A KR101545464B1 (ko) 2015-02-27 2015-02-27 천장 조하식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10A KR101545464B1 (ko) 2015-02-27 2015-02-27 천장 조하식 농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464B1 true KR101545464B1 (ko) 2015-08-19

Family

ID=5406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910A KR101545464B1 (ko) 2015-02-27 2015-02-27 천장 조하식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4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014B1 (ko) *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1921326B1 (ko) * 2018-10-22 2018-11-22 박숙향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2014029B1 (ko) * 2018-08-24 2019-08-23 노정훈 조하식 농구대
KR102161855B1 (ko) * 2020-03-27 2020-10-05 동화체육 주식회사 천장부착식농구대
KR102214261B1 (ko) 2020-07-29 2021-02-10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접철식 농구대
KR102464767B1 (ko) 2022-05-17 2022-11-09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KR102476551B1 (ko) * 2022-06-10 2022-12-13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수납식 농구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92B1 (ko) 2009-03-18 2009-08-19 노정훈 천정 고정용 농구대의 절첩 전원 제어장치
WO2010123466A1 (en) 2009-04-21 2010-10-28 Elan Inventa, Druzba Za Proizvodnjo In Storitve, D.O.O. Height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assembly with a bas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92B1 (ko) 2009-03-18 2009-08-19 노정훈 천정 고정용 농구대의 절첩 전원 제어장치
WO2010123466A1 (en) 2009-04-21 2010-10-28 Elan Inventa, Druzba Za Proizvodnjo In Storitve, D.O.O. Height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assembly with a baske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014B1 (ko) *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2014029B1 (ko) * 2018-08-24 2019-08-23 노정훈 조하식 농구대
KR101921326B1 (ko) * 2018-10-22 2018-11-22 박숙향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2161855B1 (ko) * 2020-03-27 2020-10-05 동화체육 주식회사 천장부착식농구대
KR102214261B1 (ko) 2020-07-29 2021-02-10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접철식 농구대
KR102464767B1 (ko) 2022-05-17 2022-11-09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KR102476551B1 (ko) * 2022-06-10 2022-12-13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수납식 농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64B1 (ko) 천장 조하식 농구대
US3000473A (en) Telescoping tower
KR100930600B1 (ko) 멀티비전 스탠드 설치장치
KR101829014B1 (ko)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2014029B1 (ko) 조하식 농구대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KR102303087B1 (ko) 외부 풍경 확인이 가능한 이동식 스크린골프 연습장
JP4032315B1 (ja) 屋内施設におけるネット等の吊張体の吊り張り方法
KR102161855B1 (ko) 천장부착식농구대
EP2421616B1 (en) Height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assembly with a basket
JP2006187580A (ja) ネット等の吊張体の吊張方法及びその吊張装置
KR102476551B1 (ko) 천장 수납식 농구대
JP6988942B2 (ja) エレベータ用安全柵ユニ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用安全柵
TWM494544U (zh) 可升降的活動式櫃組
JP3754047B2 (ja) 空間可変装置
JP3591905B2 (ja) 空間可変装置
KR102464767B1 (ko)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JP6842026B2 (ja) 屋内空間部の吊り張り体、及び屋内空間部の吊り張り体の吊り張り方法
JP4293855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CN216497360U (zh) 一种可调式篮球训练用稳定型篮球架
CN211705865U (zh) 一种系绳式置瓶机
JP4697863B2 (ja) 音響反射板装置
JP4644525B2 (ja) 音響反射板装置
CN216917264U (zh) 一种提升机输送线阻挡结构
KR101634302B1 (ko) 방화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