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767B1 -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 Google Patents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767B1
KR102464767B1 KR1020220060140A KR20220060140A KR102464767B1 KR 102464767 B1 KR102464767 B1 KR 102464767B1 KR 1020220060140 A KR1020220060140 A KR 1020220060140A KR 20220060140 A KR20220060140 A KR 20220060140A KR 102464767 B1 KR102464767 B1 KR 10246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frame
frame
ceiling
basketball hoop
struc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체육산업(주) filed Critical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to KR102022006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6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electrically folded and erec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농구대를 설치하거나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된 농구대를 유지보수 함에 있어서, 농구 골대의 높이(림 높이)를 국제규격에 맞추어 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 농구골대를 지지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승하여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승하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상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에 수직한 자세로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봉; 위쪽 세그먼트 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봉에 결합되도록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된 이동블록; 각각의 이동블록을 수직한 자세로 관통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동블록에 설치된 다수의 높이조절볼트; 아래쪽 세그먼트 프레임의 이동블록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지지하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분산되게 설치된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소켓;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Ceiling Mounted Basketball Hoop}
본 발명은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필요시에만 농구골대를 사용위치로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삼각기둥의 골조 형태로 이루어진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포개지거나 전개되면서 신축동작을 하여 농구골대를 사용위치로 하강시키거나 보관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사용위치의 농구골대가 경기장의 바닥으로부터 규정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현장 여건에 대응하여 농구골대의 사용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구 경기에 사용되는 농구대는 림과 그물로 이루어진 바스켓과, 바스켓을 지지하는 백보드와, 바스켓이 규정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백보드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농구대는 지지구조물에 바퀴가 달려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식과, 지지구조물의 하단부가 바닥에 고정되게 이루어진 고정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경기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2개가 1조로 구성된다.
한편 실내 체육관은 농구, 배구, 핸드볼 등의 운동 경기뿐만 아니라 여러 문화행사의 진행을 위해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실내 체육관에는 이동식 농구대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동식 농구대는 부피가 크고, 대부분의 실내 체육관에는 부피가 큰 농구대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구기종목이나 문화행사의 진행 시 이동식 농구대를 체육관의 일측에 방치할 수밖에 없으며, 이처럼 방치된 이동식 농구대는 선수들의 경기 및 관람객의 관전을 방해하고, 불필요하게 실내공간을 점유하여 체육관의 실내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어 농구 경기의 진행시에만 펼쳐지면서 경기장의 바닥으로부터 규정된 높이로 이격된 농구골대를 제공하는 천장 조하식 농구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례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천장 조하식 농구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나열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박스프레임을 포함하며, 다수의 박스프레임은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한 하측 박스프레임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상측 박스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게 형성되며, 서로 결합된 다수의 박스프레임은 구동수단에 의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바스켓 및 백보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다수의 박스프레임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박스프레임은 승강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는 드럼에 권취되어 드럼의 회전 시 와이어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최하단 박스프레임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천장 조하식 농구대를 실내 체육관에 설치함에 있어서, 바스켓을 구성을 하는 림이 경기장의 바닥으로부터 규정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해야만 하므로 천장 조하식 농구대가 설치될 체육관의 계측을 통해 체육관 내부의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천장 조하식 농구대를 맞춤 설계하여 설치하고 있으나, 여러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박스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 그리고 준비된 여러 박스프레임을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로 인해 농구대의 림이 규정된 높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추가적인 교정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하로 이웃한 두 박스프레임은 가이드봉과 가이드편의 결합에 의해서만 서로 결속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박스프레임이 포개져 천장에 보관된 상태에서 와이어가 끊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최상단 박스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박스프레임이 빠른 속도로 하강하면서 전개되므로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45464호(2015.08.1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농구대를 설치하거나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된 농구대를 유지보수 함에 있어서, 농구 골대의 높이(림 높이)를 국제규격에 맞추어 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구 경기 중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의한 변형이나 흔들림을 감소시킨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세그먼트 프레임이 포개져 천장의 하부에 수납 보관된 상태에서 다수의 세그먼트 프레임이 서로 결속되게 이루어진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 림과 백보드로 이루어진 농구골대를 지지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을 연결하되, 상승하여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승하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상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에 수직한 자세로 분산되게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봉; 위쪽 세그먼트 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봉에 결합되도록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상단부에 분산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봉에 결합된 채로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이동블록; 각각의 이동블록을 수직한 자세로 관통하되, 이동블록에 나사결합되거나 이동블록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너트와 체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동블록에 설치된 다수의 높이조절볼트; 아래쪽 세그먼트 프레임의 이동블록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지지하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분산되게 설치되어 높이조절볼트와 함께 아래쪽 세그먼트 프레임이 위쪽 세그먼트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가 상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벽을 제공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가이드봉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에 설치되며,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체인을 올리거나 내리면서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블록으로 이루어진 구동기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천장에 근접한 채로 완전히 포개진 경우,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이웃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구조용 각형 강관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구조용 각형 강관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구조용 각형 강관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구조용 각형 강관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록킹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록킹기구는, 이웃하는 두 구조용 각형 강관 중 어느 한 구조용 각형 강관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해당 구조용 각형 강관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나머지 한 구조용 각형 강관의 측면으로 삽입되면서 이웃한 두 구조용 각형 강관을 결속하도록 이루어진 결속블록; 상기 결속블록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영구자석; 및 이웃하는 두 구조용 각형 강관 중 나머지 한 구조용 각형 강관에 설치되며, 전기의 공급 시 영구자석과 함께 척력을 형성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구조용 각형 강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메인 전원공급장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구조용 각형 강관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구조용 각형 강관에 각각 설치되며, 전자석으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자석과 연결된 보조 전원공급장치;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포개진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면서 통전을 위한 전기접점을 형성하여 전기가 메인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보조 전원공급장치로 공급되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전기접촉단자;로 이루어진 전원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농구대를 시공함에 있어서, 높이조절볼트를 이용하여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돌출거리 및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농구 골대의 림 높이를 국제규격에 맞추어 용이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에 안착된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가 스토퍼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소켓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볼트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세그먼트 프레임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농구 경기 중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한 안정된 구조의 천장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와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은 체인으로 연결되며, 체인은 와이어 보다 잘 끊어지지 않으므로 보다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포개져 천장의 하부에 수납된 경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록킹기구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고정됨에 따라 구동기구나 관련 구조의 손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이 예기치 않게 하강하여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천장 수납식 농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가 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의 상세 구조를 보인 내부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에 의해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내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볼트의 하단부가 소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평면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의 상세 구조를 보인 내부 구성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기구에 의해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내부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 가이드봉(140), 이동블록(150), 높이조절볼트(160), 스토퍼(170), 구동기구(180), 록킹기구(190)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은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최상단부를 구성하는 구조물로써,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를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하기 위하여 해당 체육관의 천장에는 미리 제작된 보조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구조물은 체육관의 구조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높이로 제작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상단부가 보조 구조물에 고정되어 보조 구조물을 매개로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삼각기둥의 골조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은 다수의 구조용 각형 강관이 삼각형의 평면구조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제1프레임(110a)과 제2프레임(110b)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수직한 다수의 기둥(110c)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은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을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동일하게 삼각기둥의 골조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승하여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에는 2개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2개로 구성될 경우, 2개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아래쪽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아래쪽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위쪽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함께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은 림(11)과 백보드(12)로 이루어진 농구골대(10)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동일하게 삼가기둥의 골조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승하여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에 의하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이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하부로 2개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나의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면서 4단 구조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은 천장에 근접한 채로 완전히 포개진 경우,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이웃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131)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봉(140)은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아래쪽 세그먼트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수직한 자세의 봉으로 구성되며, 다수개가 수평방향으로 분산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에는 각각 4개의 가이드봉(140)이 설치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두 측면에 각각 2개의 가이드봉(140)이 설치되어 아래쪽 세그먼트 프레임의 두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봉(1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고정브라켓(141,142)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41,142)이 세그먼트 프레임을 구성하는 구조용 각형 강관에 고정되어 가이드봉(14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세그먼트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봉(14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브라켓(141,142)에 직접 충돌하거나, 농구 경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고정브라켓(141,142)으로 전달되어 소음이나 충격의 발생을 방지하는 댐퍼(143)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143)는 원형의 링구조로써 가이드봉(140)의 상단부와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동블록(150)은 가이드봉(140)에 결합된 채로 가이드봉(14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봉(140)과 함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다수의 이동블록(150)이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분산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블록(150)은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구조용 각형 강관의 하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봉(140)과 일대일의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두 측면에 각각 2개의 이동블록(150)이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블록(150)은 무급유 부싱을 포함하는 무급유 선형 미끄럼 유니트로 구성하여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보다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볼트(160)는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하부로 돌출된 거리 그리고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하부로 돌출된 거리를 작업자가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하여 농구대(10)의 림(11) 높이를 국제규격에 보다 쉽게 맞출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에 설치된 각각의 이동블록(150)을 수직한 자세로 관통하되, 이동블록(150)에 나사결합되거나 이동블록(150)의 상하부에 배치된 너트와 체결되어 자체 회전이나 너트의 조작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동블록(150)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160)는 이동블록(150)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이 스토퍼(170)에 안착되어 스토퍼(170)와 함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와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170)는 높이조절볼트(160)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지지하여 높이조절볼트(160)의 위치에 대응하여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와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돌출 거리가 조절되게 하는 것으로, 각각의 이동블록(150)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160)에 대응하여 다수의 스토퍼(170)가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하단부 및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분산되게 설치된다.
결국,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볼트(160)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170)와 짝을 이루면서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돌출거리를 조절하고,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볼트(160)는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170)와 짝을 이루면서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돌출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70)는 수평한 자세의 판재로 이루어지되, 가이드봉(14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브라켓(142)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고정브라켓(142)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스토퍼(170)는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스토퍼(170)의 고정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볼트(160)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지지하는 스토퍼(170)의 상단부에는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소켓(17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171)은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켓(171)은 높이조절볼트(160)와의 결합 시 내주면이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 외주면에 밀착된 채로 감싸는 지지벽을 형성하게 되므로, 높이조절볼트(160)를 보다 견고한 구조로 고정하고, 가이드봉(140)과 이동블록(150)의 결합부 주변에 추가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2중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전개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결합을 더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볼트(160)의 수평방향에 대한 움직임도 소켓(171)을 통해 스토퍼(170)에 전달되게 하여 높이조절볼트(16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 및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으로 분산시켜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180)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체인(181)과 구동블록(1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인(181)은 다수의 링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상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블록(182)은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미도시된 스프라켓을 모터로 회전시키면서 체인(181)을 당겨 올리거나 내리도록 구성된다.
한편 구동기구(180)에 의해 당겨 올리지는 체인(181)이 보관되는 용기(183)가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기구(180)는 체인(181)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무게중심에 위치토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작동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록킹기구(190)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포개진 상태로 서로 결속되어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 결속블록(191)과 영구자석(192) 및 전자석(193)으로 구성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천장에 근접한 채로 완전히 포개졌을 때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이웃한 채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131)에 설치되어 이웃한 두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131)을 서로 결속하여 고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블록(191)은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구조용 각형 강관(111)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구조용 각형 강관(121)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부가 스프링(194)의 탄성에 의해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결속블록(191)의 선단이 삽입되는 구멍(195)이 돌출된 결속블록(191)과 마주하는 다른 구조용 각형 강관(121,131)의 측면에 형성된다. 위에서 언급된 "다른 구조용 각형 강관"은 결속블록(191)이 설치된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과 이웃한 곳에 위치한 구조용 각형 강관(121,131)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두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131)은 결속블록(191)과 구멍(195)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결속블록(191)의 선단 하부 모서리는 둥글거나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승하는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구조용 각형 강관 또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구조용 각형 강관과 접촉하면서 스프링(194)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192)은 결속블록(191)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결속블록(191)의 안쪽이나 바깥쪽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전자석(193)과 함께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자석(193)은 결속블록(191)이 설치된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과 이웃한 곳에 위치한 다른 구조용 각형 강관(121,131)에 설치되되, 결속블록(191)과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전기의 공급 시 영구자석(192)과 함께 척력을 발생시켜 결속블록(191)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석(193)은 공지의 단극전자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하로 이동하는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에 복잡한 전선의 배선 없이도 전자석(193)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장치(2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장치(200)는 메인 전원공급장치(201)와 보조 전원공급장치(202) 및 전기접촉단자(2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전원공급장치(201)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도록 연결된다.
상기 보조 전원공급장치(202)는 메인 전원공급장치(201)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전자석(193)에 공급하는 것으로,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에 설치된다.
상기 전기접촉단자(203)는 결속블록(191)에 의해 결속되도록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131)에 설치되어 두 구조용 각형 강관이 동일 높이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경우에만 서로 밀착되면서 통전을 위한 전기접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접촉단자(203)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구조용 각형 강관(111),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구조용 각형 강관(121), 그리고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구조용 각형 강관(131)에 각각 설치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천장에 근접한 채로 완전히 포개진 경우에만 서로 밀착되면서 메인 전원공급장치(201)의 전기가 보조 전원공급장치(202)로 공급되게 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을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하고, 고정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을 설치하며,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하부에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을 설치하되,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되는 체인(181)을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에 설치된 구동기구(18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시공된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는 구동기구(180)의 작동에 의해 체인(181)이 오르거나 내려지며, 이러한 체인(181)의 움직임으로 인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포개져 보관상태로 수납되거나 사용상태로 전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는 구동기구(180)를 구성하는 체인(181)과 연결된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구동기구(180)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과 연동하여 움직이면서 포개지거나 전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는 전개 시,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하부로 먼저 돌출되고,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하강이 완료되면,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과 함께 하강하여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하부로 돌출된다.
한편 반대로 전개된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는 수납 시,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가장 먼저 상승하면서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으로 완전히 삽입된 후,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함께 상승하면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는 시공과정 또는 보수과정에서 높이조절볼트(160)의 조작을 통해 농구대의 림 높이를 국제규격에 맞추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전개 시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은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가 스토퍼(170) 상에 안착될 때까지 하강하게 되므로, 높이조절볼트(160)의 높이 조절을 통해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하부로 돌출되는 거리 그리고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하부로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하여 농구대의 림 높이를 국제규격에 맞추어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는 스토퍼(170)에 형성된 소켓(171)으로 삽입되어 소켓(171)과 결합되면서 가이드봉(140)의 이웃한 곳에서 추가적인 결속구조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그리고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가 소켓(171)에 삽입되어 결합된 경우, 높이조절볼트(160)의 수평방향 움직임도 소켓(171)을 통해 스토퍼(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이조절볼트(160)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방향을 충격이나 진동을 스토퍼(170)를 통해 세그먼트 프레임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전개 상태를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을 마친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상승하여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된 경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구조용 각형 강관(111)에 설치된 결속블록(191) 그리고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구조용 각형 강관(121)에 설치된 결속블록(191)은 스프링(194)의 탄력에 의해 인접 구조용 각형 강관(121,131)에 형성된 구멍(195)으로 삽입됨에 따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하강동작은 물리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체인(181) 및 구동기구(180)에 손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예기치 않게 하강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접 구조용 각형 강관(121,131)에 삽입된 결속블록(191)은 전자석(193)으로 전기가 공급되기 전까지는 구멍(195)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전개를 위해 전자석(193)으로 전기가 공급되면 전자석(193)과 영구자석(192)의 사이에 발생되는 척력에 의해 결속블록(191)이 구멍(195)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결속블록(191)에 의한 구속은 해제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의 전개를 위해 미도시된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구동기구(180)의 작동에 앞서 전자석(193)으로 먼저 전기가 공급되게 하여 결속블록(191)에 의한 구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구동기구(180)가 작동하도록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공이나 유지보수 과정에서 농구대의 림 높이를 국제규격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농구 경기를 위해 전개된 상태에서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서로 견고히 결합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원활한 경기의 진행이 가능하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 111,121,131: 구조용 각형 강관
130: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 120: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
140: 가이드봉 141,142: 고정브라켓
150: 이동블록 160: 높이조절볼트
170: 스토퍼 171: 소켓
180: 구동기구 181: 체인
182: 구동블록 190: 록킹기구
191: 결속블록 192: 영구자석
193: 전자석 200: 전원장치
201: 메인 전원공급장치 202: 보조 전원공급장치
203: 전기접촉단자

Claims (6)

  1. 실내 체육관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
    림과 백보드로 이루어진 농구골대를 지지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과 결합되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을 연결하되, 상승하여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승하는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상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에 수직한 자세로 분산되게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봉(140);
    위쪽 세그먼트 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가이드봉(140)에 결합되도록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분산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봉(140)에 결합된 채로 가이드봉(14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이동블록(150);
    각각의 이동블록(150)을 수직한 자세로 관통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동블록(150)에 설치된 다수의 높이조절볼트(160);
    아래쪽 세그먼트 프레임의 이동블록(150)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를 하부에서 받쳐주는 형태로 지지하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분산되게 설치되어 높이조절볼트(160)와 함께 아래쪽 세그먼트 프레임이 위쪽 세그먼트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170); 및
    상기 스토퍼(17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가 상부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되,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높이조절볼트(160)의 하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벽을 제공하는 소켓(1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70)는 가이드봉(14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42)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되는 체인(181)을 올리거나 내리면서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블록(182)으로 이루어진 구동기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천장에 근접한 채로 완전히 포개진 경우,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이웃한 채로 평행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구조용 각형 강관(111,121,131)이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에 각각 구비되며,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구조용 각형 강관(111)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구조용 각형 강관(121)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구조용 각형 강관(131)을 결속하여 고정하는 록킹기구(1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록킹기구(190)는,
    이웃하는 두 구조용 각형 강관 중 어느 한 구조용 각형 강관에 설치되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해당 구조용 각형 강관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나머지 한 구조용 각형 강관의 측면으로 삽입되면서 이웃한 두 구조용 각형 강관을 결속하도록 이루어진 결속블록(191);
    상기 결속블록(191)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영구자석(192); 및
    이웃하는 두 구조용 각형 강관 중 나머지 한 구조용 각형 강관에 설치되며, 전기의 공급 시 영구자석(192)과 함께 척력을 형성하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19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의 구조용 각형 강관(111)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는 메인 전원공급장치(201);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의 구조용 각형 강관(121)과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의 구조용 각형 강관(131)에 각각 설치되며, 전자석(193)으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자석(193)과 연결된 보조 전원공급장치(202);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이 포개진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면서 통전을 위한 전기접점을 형성하여 전기가 메인 전원공급장치(201)로부터 보조 전원공급장치(202)로 공급되도록 상단 세그먼트 프레임(110)과 중단 세그먼트 프레임(120) 및 하단 세그먼트 프레임(130)에 각각 설치된 전기접촉단자(203);로 이루어진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KR1020220060140A 2022-05-17 2022-05-17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KR10246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140A KR102464767B1 (ko) 2022-05-17 2022-05-17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140A KR102464767B1 (ko) 2022-05-17 2022-05-17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767B1 true KR102464767B1 (ko) 2022-11-09

Family

ID=8404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140A KR102464767B1 (ko) 2022-05-17 2022-05-17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7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64B1 (ko) 2015-02-27 2015-08-19 한재수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829014B1 (ko) *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2148322B1 (ko) * 2019-02-18 2020-08-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사고 방지 구조를 가지는 낙하충격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하충격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64B1 (ko) 2015-02-27 2015-08-19 한재수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829014B1 (ko) *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2148322B1 (ko) * 2019-02-18 2020-08-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사고 방지 구조를 가지는 낙하충격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하충격시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64B1 (ko)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2214261B1 (ko) 천장 접철식 농구대
KR101829014B1 (ko)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2464767B1 (ko) 천장 부착 수납식 농구대
KR102014029B1 (ko) 조하식 농구대
US20210236896A1 (en) Polygonal basketball hoop arrangement
KR101783904B1 (ko) 무대설비용 구동부 안전장치
KR200469149Y1 (ko) 3자유도 모션의자
EP2421616B1 (en) Height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assembly with a basket
KR102476551B1 (ko) 천장 수납식 농구대
KR101427159B1 (ko) 야외용 스피커 리프트
AU2022408198A1 (en) Rebound assembly and corresponding portable basketball goal system
KR101635539B1 (ko) Cctv용 조립식 폴
JP2018195669A (ja) 電力機器用減震装置
US20030096684A1 (en) Structure for practicing the acrobatic and ludic form of sport
JP2018091098A (ja) 仮設支柱および屋根架構の構築方法
CN115030341B (zh) 一种多地震地区抗震建筑用减震隔震安装结构以及安装方法
JP6696744B2 (ja) 吊り天井補強構造
CN214512633U (zh) 一种便携式激光投影装置
JP7201421B2 (ja) 防球ネットシステム及び照明付き防球ネットポール
CN117937282B (zh) 一种防震配电柜
JP4106690B2 (ja) 投光機の転倒防止機構
KR100502635B1 (ko) 승하강식 골프공 공급기를 갖는 골프 연습장치
JP3191428U (ja) 免震装置
KR20210151563A (ko) 조립식 호이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