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029B1 - 조하식 농구대 - Google Patents

조하식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029B1
KR102014029B1 KR1020180099074A KR20180099074A KR102014029B1 KR 102014029 B1 KR102014029 B1 KR 102014029B1 KR 1020180099074 A KR1020180099074 A KR 1020180099074A KR 20180099074 A KR20180099074 A KR 20180099074A KR 102014029 B1 KR102014029 B1 KR 10201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ller
hoop
vertical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훈
Original Assignee
노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훈 filed Critical 노정훈
Priority to KR102018009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63B2063/083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하식 농구대는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방횡바 및 상측후방횡바와, 이 상측전방횡바 및 상측후방횡바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와, 상기 각 상측종바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와, 상기 하측종바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방횡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된 백보드와,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조하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하부와 하측종바가 접하는 모서리에는 제1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의 상부에는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롤러가 안착되는 스토퍼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측종바 및 하측종바는 이웃하는 상부의 상측종바 및 하측종바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수직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는 각각 원판형의 제1밀착부와 상기 제1밀착부와 단차지게 돌출되는 제2밀착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의 제1밀착부 일면은 수직바와 하부종바가 접하는 모서리의 내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상부의 박스프레임의 수직바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1롤러의 제2밀착부는 농구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상부 박스프레임의 수직바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롤러의 제1밀착부 일면은 수직바와 제2브라켓의 외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하부의 박스프레임의 수직바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2롤러의 제2밀착부는 농구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하부 박스프레임의 수직바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최하단의 박스프레임에 고정되는 회전롤러와 최상단의 박스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권취드럼과 축결합되는 리미트스위치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농구대의 무게게 중심이 일측으로 쏠린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박스프레임의 이동시 흔들림이나 마찰을 줄여 소음과 농구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보드를 수동으로 상,하방향 이동하여 규정된 높이에 따라 농구대를 교체하지 않고도 하나의 농구대로 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하식 농구대 {A basketball post mounted ceiling}
본 발명은 체육관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이 천장에 근접되게 포개져 체육관 등의 공간을 좀 더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상,하 이동될 시 일측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박스프레임의 이동되고 마찰에 의한 박스프레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하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구대는 네트가 구비된 링을 백보드에 장착하고, 링이 지면에서 규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백보드를 'ㄱ'자형의 지지프레임 선단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농구대는 지지프레임에 바퀴가 달린 이동식과 지지프레임 기단을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식이 있다. 한편, 실내 체육관의 경우 농구장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배구와 같은 다른 구기종목을 위한 장소로 겸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바퀴가 달린 이동식 농구대가 사용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체육관에는 사이즈가 큰 농구대를 보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소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구기종목의 경기가 진행될 때에도 체육관의 일측에 방치되어 선수들의 경기 및 관람객의 관전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농구대가 불필요하게 실내공간을 점유하여 체육관의 실내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등록특허 제10-1545464호 '천장 조하식 농구대'를 살펴보면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단횡바 및 상측후단횡바와, 이 상측전단횡바 및 상측후단횡바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와, 이 각 상측종바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와, 이 한 쌍의 하측종바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단횡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의 전단에 위치한 한 쌍의 수직바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측브래킷 및 하측브래킷에 설치된 백보드; 및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박스프레임의 상측전단횡바는 상측 박스프레임의 상측전단횡바의 직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박스프레임들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승하여 최상단의 박스프레임 내부로 모두 수납될 때 상기 백보드가 최상단 박스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농구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천장에 고정된 최상단의 박스프레임 내부로 하부의 박스프레임들이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체육관의 하측공간을 좀 더 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농구대를 옮기는 수고를 덜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천장 조하식 농구대'의 경우 박스프레임의 수직바의 측면에는 각각 수직가이드바이 설치되고, 서로 인접된 박스프레임 중 하측 박스프레임의 수직바에는 상측 박스프레임의 각 수직가이드바이 끼워지는 수직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편이 측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농구대의 전방측에 구비된 백보드와 농구대의 무게에 의해 박스프레임의 이동시 수직가이드바과 수직관통홀의 내부면의 일측이 마찰되어 박스프레임의 이동이 원활하기 못하며 소음이 발생하거나 수직가이드바 및 가이드편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이 천장에 고정된 최상단의 박스프레임 내부로 이동되어 체육관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박스프레임의 상,하 이동시 바퀴 형태의 롤러에 의해 각 박스프레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박스프레임의 이동시 흔들림이나 마찰을 줄여 소음과 농구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백보드를 수동으로 상,하방향 이동하여 규정된 높이에 따라 농구대를 교체하지 않고도 하나의 농구대로 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하식 농구대는,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방횡바 및 상측후방횡바와, 이 상측전방횡바 및 상측후방횡바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와, 상기 각 상측종바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와, 상기 하측종바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방횡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된 백보드와,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조하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하부와 하측종바가 접하는 모서리에는 제1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의 상부에는 제2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롤러가 안착되는 스토퍼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측종바 및 하측종바는 이웃하는 상부의 상측종바 및 하측종바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수직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는 각각 원판형의 제1밀착부와 상기 제1밀착부와 단차지게 돌출되는 제2밀착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의 제1밀착부 일면은 수직바와 하부종바가 접하는 모서리의 내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상부의 박스프레임의 수직바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1롤러의 제2밀착부는 농구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상부 박스프레임의 수직바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롤러의 제1밀착부 일면은 수직바와 제2브라켓의 외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하부의 박스프레임의 수직바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2롤러의 제2밀착부는 농구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하부 박스프레임의 수직바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최하단의 박스프레임에 고정되는 회전롤러와 최상단의 박스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권취드럼과 축결합되는 리미트스위치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농구대의 무게게 중심이 일측으로 쏠린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박스프레임의 이동시 흔들림이나 마찰을 줄여 소음과 농구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보드를 수동으로 상,하방향 이동하여 규정된 높이에 따라 농구대를 교체하지 않고도 하나의 농구대로 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권취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백보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백보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백보드(200)가 설치된 부분을 전방 그 반대를 후방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는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방횡바(101) 및 상측후방횡바(102)와, 이 상측전방횡바(101) 및 상측후방횡바(102)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103)와, 상기 각 상측종바(103)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104)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104)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105)와, 상기 하측종바(105)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방횡바(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과,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의 전단에 설치된 백보드(200)와,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300)을 포함하는 조하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04)의 하부와 하측종바(105)가 접하는 모서리에는 제1브라켓(110)에 고정되는 제1롤러(120)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104)의 상부에는 제2브라켓(130)에 고정되는 제2롤러(140)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104)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롤러(140)가 안착되는 스토퍼브라켓(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측전방횡바(101), 상측후방횡바(102), 상측종바(103), 수직바(104) 및 하측종바(105), 하측후방횡바(106)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상호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일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하식 농구대(1)는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0)이 체육관 등의 천장에 고정되고 구동수단(300)에 의해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부터 순차적으로 상부로 이동되어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고, 반대로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부터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되어 사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조하식 농구대(1)가 하부로 완전히 이동되었을 때 높이는 바닥면에서 백보드(200)의 링(210)까지 높이는 규정의 높이가 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작동과정은 종래 조하식 농구대와 같은 작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각 박스프레임(100)의 크기는 이웃하는 상측의 박스프레임(100)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측의 박스프레임(100)의 내측으로 하측의 박스프레임(100)이 이동되게 되며 특히 각 박스프레임(100)의 상측전방횡바(101)는 수직으로 배열되어 박스프레임(100)의 상측후방횡바(102) 및 하측후방횡바(106)가 이웃하는 상부의 박스프레임(100)보다 짧게 형성되어 도 2와 같이 조하식 농구대(1)의 전방측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후방측은 계단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웃하는 하부 박스프레임(100)의 상측전방횡바(101)가 상부 박스프레임(100)의 상측전방횡바(101)와 맞닿아 각 박스프레임(100)이 순차적으로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의 후방측 수직바(104)는 일부가 전방측으로 절곡되어 전방측 수직바(104)와 접하게 되며 한 쌍의 전방측 수직바(104)와 후방측 수직바(104)의 각 중간부를 연결하는 보강바(104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종바(103) 및 하측종바(105)는 이웃하는 상부의 상측종바(103) 및 하측종바(105)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130)은 수직바(10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110)은 수직바(104)의 하부와 하측종바(105)가 접하는 모서리에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1롤러(120)는 상기 제1브라켓(110)에 볼트 및 너트로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내측에 베어링(210)이 구비되어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브라켓(130)은 전방측 수직바(104)의 상부와 상측종바(103)가 접하는 모서리에 상기 제1브라켓(110)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측 수직바(104)의 상단 후면에서 판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1롤러(120)는 같은 높이에 두 쌍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롤러(140)는 같은 높이에 두 쌍이 형성된다.
물론 그 형태상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0)에는 제2롤러(140)가 형성되지 않고,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에는 제1롤러(120)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롤러(120)와 제2롤러(140)의 구조와 결합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롤러(120) 및 제2롤러(140)는 각각 원판형의 제1밀착부(121,141)와 상기 제1밀착부(121,141)와 단차지게 돌출되는 제2밀착부(122,142)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롤러(120)의 제1밀착부(121)의 일면은 이웃하는 수직바(104)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제1롤러(120)의 제2밀착부(121)는 농구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전방측 수직바(104)의 전면 및 후방측 수직바(104)의 후면에 밀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롤러(140)의 제1밀착부(141)의 일면은 이웃하는 수직바(104)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제2롤러(140)의 제2밀착부(412)는 농구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수직바(104)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1롤러(120)의 제1밀착부(121) 일면은 수직바(104)와 하측종바(105)가 접하는 모서리의 내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상부의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104)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1롤러(120)의 제2밀착부(122)는 농구대(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상부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104)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롤러(140)의 제1밀착부(141) 일면은 수직바(104)와 제2브라켓(130)의 외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하부의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2롤러(140)의 제2밀착부(142)는 농구대(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하부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104)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4개의 제1롤러(120)와 제2롤러(140)의 각 제1밀착부(141)에 의해 농구대(1)의 양측이 지지되고, 제1롤러(120)와 제2롤러(140)의 각 제2밀착부(142)에 의해 농구대(1)의 전,후측이 흔들림없이 지지된 상태로 제1롤러(120)와 제2롤러(140)가 회전되면서 각 박스프레임(100)이 이동되게 된다.
즉, 이동시는 물론 각 박스프레임(100)은 무게 중심의 이동되지 않고 정위치에서 그대로 상부 및 하부로 이동되며 이웃하는 박스프레임(100)의 프레임들이 상호 마찰이 없어 고장과 소음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롤러(120)의 제1밀착부(121)는 상부의 박스프레임(100)이 하강할 시 이웃하는 하부의 박스프레임(100) 중 수직바(104)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토퍼브라켓(150)에 안착되어 하강을 멈추게 순차적으로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브라켓(150)은 상기 제2롤러(140)의 제2밀착부(142)가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사선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수직바(104)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권취장치의 요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00)은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에 고정되는 회전롤러(310)와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롤러(310)와 와이어(320)로 연결되는 권취드럼(330)과, 상기 권취드럼(330)을 회전시키는 모터(340)와, 상기 권취드럼(330)과 축결합되는 리미트스위치부(3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의 상측전방횡바(101)와 상측후방횡바(102)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중간종바(108)에 상기 회전롤러(310)가 고정되어 권취드럼(330)과 연결되는 와이어(320)를 도르레 방식으로 이동시켜 박스프레임(10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0)의 상측종바(103)를 연결하는 중간횡바(107)가 구비되고 상기 중간횡바(107) 상에 권취드럼(330) 및 권취드럼(330)과 축연결된 모터(340)가 구비된다. 일예로 두개의 중간횡바(107)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이 중간횡바(107)의 상부에 권취드럼(330) 및 모터(340)가 구비되어 와이어(320)가 권취드럼(330)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340)에 의해 와이어(320)가 권취드럼(330)에 감겨지고 각 박스프레임(100)이 상부로 완전히 이동될 시 모터(340)가 멈추게 되도록 리미트스위치부(3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부(350)는 권취드럼(330)과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토퍼축(351)과 상기 스토퍼축(35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352)와 상기 스토퍼(35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리미트스위치(35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리미트스위치(353)가 고장 등으로 와이어(320)가 권취드럼(330)에 과도하게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리미트스위치(353)를 2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나의 리미트스위치(353)가 고장 등으로 작동되지 않게 되면 모터(340)가 1~2회전 더 회전할 때 다른 하나의 리미트스위치(353)가 작동되도록 하여 와이어(32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부(350)는 상기 중간횡바(107)의 상부를 덮는 덮개가 구비되어 권취드럼(330) 및 모터(34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백보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하식 농구대의 백보드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최하단 박스프레임(100)의 전방측 수직바(104)를 연결하며 상,하로 소정 간격이격된 연결횡바(109)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 수직바(104)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104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횡바(109)의 중앙에는 연결횡바(109)와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아이너트(202)가 결합되는 회전봉(201)이 형성되며, 상기 백보드(200)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바(104a)과 대응되도록 베어링(221)이 구비된 이동레일(22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봉(201)과 나사결합되는 결합구(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봉(201)의 하부에는 아이너트(202)가 나사 결합 등으로 고정되어 상기 아이너트(202)와 결합되는 회전수단을 통해 아이너트(202)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수단은 상부가 아이너트(202)의 고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아이너트(20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은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봉(201)의 상,하단은 연결횡바(109)에 고정된 베어링유닛(203)에 고정되어 회전되고 상기 결합구(230)와 나사결합되어 백보드(20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230)는 상기 회전봉(201)이 삽입되어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백보드(200)의 뒷면에 일체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220)이 베어링(221)과 결합된 가이드바(104a)에 의해 회전봉(201)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면서 안정적으로 백보드(200)가 승강 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또한, 백보드를 수동으로 상,하방향 이동하여 규정된 높이에 따라 농구대를 교체하지 않고도 하나의 농구대로 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농구대 100: 박스프레임
101: 상측전방횡바 102: 상측후방횡바
103: 상측종바 104: 수직바
105: 하측종바 106: 하측후방횡바
107: 중간횡바 108: 중간종바
109: 연결횡바 110: 제1브라켓
120: 제1롤러 130: 제2브라켓
140: 제2롤러 200: 백보드
210: 베어링 220: 이동레일
230: 결합구

Claims (7)

  1. 전후로 이격된 상측전방횡바(101) 및 상측후방횡바(102)와, 이 상측전방횡바(101) 및 상측후방횡바(102)의 각 단부를 연결하여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측종바(103)와, 상기 각 상측종바(103)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된 복수개의 수직바(104)와, 전후로 배치된 상기 수직바(104)들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하측종바(105)와, 상기 하측종바(105)의 후단을 연결하는 하측후방횡바(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사각 테두리 형상의 사이즈가 다르게 형성되어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과,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 중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의 전단에 설치된 백보드(200)와, 상기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박스프레임(100)을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구동수단(300)을 포함하는 조하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04)의 하부와 하측종바(105)가 접하는 모서리에는 제1브라켓(110)에 고정되는 제1롤러(120)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104)의 상부에는 제2브라켓(130)에 고정되는 제2롤러(140)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바(104)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롤러(140)가 안착되는 스토퍼브라켓(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하식 농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종바(103) 및 하측종바(105)는 이웃하는 상부의 상측종바(103) 및 하측종바(105)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130)은 수직바(10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하식 농구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120) 및 제2롤러(140)는 각각 원판형의 제1밀착부(121,141)와 상기 제1밀착부(121,141)와 단차지게 돌출되는 제2밀착부(122,14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하식 농구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120)의 제1밀착부(121) 일면은 수직바(104)와 하측종바(105)가 접하는 모서리의 내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상부의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104)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1롤러(120)의 제2밀착부(122)는 농구대(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상부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104)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롤러(140)의 제1밀착부(141) 일면은 수직바(104)와 제2브라켓(130)의 외측면에 일부가 밀착되고, 타면은 이웃하는 하부의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며, 제2롤러(140)의 제2밀착부(142)는 농구대(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이 이웃하는 하부 박스프레임(100)의 수직바(104)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하식 농구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0)은 최하단의 박스프레임(100)에 고정되는 회전롤러(310)와 최상단의 박스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롤러(310)와 와이어(320)로 연결되는 권취드럼(330)과, 상기 권취드럼(330)을 회전시키는 모터(340)와, 상기 권취드럼(330)과 축결합되는 리미트스위치부(3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하식 농구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부(350)는 권취드럼(330)과 축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토퍼축(351)과 상기 스토퍼축(35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352)와 상기 스토퍼(352)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리미트스위치(35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하식 농구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 박스프레임(100)의 전방측 수직바(104)를 연결하며 상,하로 소정 간격이격된 연결횡바(109)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측 수직바(104)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104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횡바(109)의 중앙에는 연결횡바(109)와 수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아이너트(202)가 결합되는 회전봉(201)이 형성되며, 상기 백보드(200)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바(104a)와 대응되도록 베어링(221)이 구비된 이동레일(220)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봉(201)과 나사결합되는 결합구(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하식 농구대.
KR1020180099074A 2018-08-24 2018-08-24 조하식 농구대 KR10201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74A KR102014029B1 (ko) 2018-08-24 2018-08-24 조하식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074A KR102014029B1 (ko) 2018-08-24 2018-08-24 조하식 농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029B1 true KR102014029B1 (ko) 2019-08-23

Family

ID=6776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074A KR102014029B1 (ko) 2018-08-24 2018-08-24 조하식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0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360B1 (ko) 2019-12-11 2020-05-18 동화체육주식회사 천장부착식농구대
KR102161855B1 (ko) 2020-03-27 2020-10-05 동화체육 주식회사 천장부착식농구대
KR102476551B1 (ko) * 2022-06-10 2022-12-13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수납식 농구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013A (en) * 1982-05-28 1983-07-19 Randall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basketball
KR101131020B1 (ko) * 2009-12-29 2012-03-29 김종열 천장 출몰형 농구대
KR101545464B1 (ko) * 2015-02-27 2015-08-19 한재수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829014B1 (ko) *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013A (en) * 1982-05-28 1983-07-19 Randall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basketball
KR101131020B1 (ko) * 2009-12-29 2012-03-29 김종열 천장 출몰형 농구대
KR101545464B1 (ko) * 2015-02-27 2015-08-19 한재수 천장 조하식 농구대
KR101829014B1 (ko) * 2016-10-12 2018-02-13 오성체육산업(주)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360B1 (ko) 2019-12-11 2020-05-18 동화체육주식회사 천장부착식농구대
KR102161855B1 (ko) 2020-03-27 2020-10-05 동화체육 주식회사 천장부착식농구대
KR102476551B1 (ko) * 2022-06-10 2022-12-13 현대체육산업(주) 천장 수납식 농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029B1 (ko) 조하식 농구대
KR101545464B1 (ko) 천장 조하식 농구대
CN104888440B (zh) 高尔夫自动练球系统
KR102050280B1 (ko) 자동화 배팅 연습장치
KR101829014B1 (ko)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1405496B1 (ko) 무대용 리프트
KR20160132178A (ko) 하부 구동 타워형 주차장치
CN206013731U (zh) 上料装置及采用该种上料装置的振动上料盘
US3050304A (en) Basketball practice device
JP3114187U (ja) バッティングマシーン
KR102303087B1 (ko) 외부 풍경 확인이 가능한 이동식 스크린골프 연습장
KR102082432B1 (ko) 골프공 티업장치
EP2421616B1 (en) Height adjustable basketball backboard assembly with a basket
KR102161855B1 (ko) 천장부착식농구대
CN109331457B (zh) 一种可快速摆放台球的球桌
CN214609794U (zh) 自动化物流分拣用输送装置
KR100912455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KR102361745B1 (ko) 트램펄린
KR101288702B1 (ko) 다단 주차 시스템
CN205865844U (zh) 一种茶叶摊青架
KR102299929B1 (ko)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KR20210145352A (ko) 자동클린형 당구대
CN207425024U (zh) 一种游戏币升降传输系统
KR102476551B1 (ko) 천장 수납식 농구대
CN217949725U (zh) 一种建筑施工安全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