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432B1 - 골프공 티업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티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432B1
KR102082432B1 KR1020180122214A KR20180122214A KR102082432B1 KR 102082432 B1 KR102082432 B1 KR 102082432B1 KR 1020180122214 A KR1020180122214 A KR 1020180122214A KR 20180122214 A KR20180122214 A KR 20180122214A KR 102082432 B1 KR102082432 B1 KR 10208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tee
base
golf ba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981A (ko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이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filed Critical 이재완
Publication of KR2020000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티업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개선하여 승강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부피를 줄여 설치 환경의 제약을 줄였으며, 나아가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골프공 티업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양방향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용 걸림부재(48)를 회동시키는 회전체(45)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서 승강판(8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티업대 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4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안내판(6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승 중인 골프공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70)과,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안치홈(81)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8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봉(70)이 삽입되는 방지봉삽입홀(82)과, 상기 안내판(60)이 삽입되는 안내홀(83)을 포함한 승강판(80)과, 상기 승강판(80)의 안치홈(81)에 결합하는 티업대(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골프공 티업장치이다.

Description

골프공 티업장치{Golf ball tie-up device}
본 발명은 골프공 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티업대의 승강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티업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혀 부피를 줄이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골프공을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골프공 티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공 티업장치란, 실외 골프연습장 또는 실내 스크린 골프 연습장 등에서 골프티(Golf Tee)위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드라이브 샷을 연습할 때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띄운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골프공 티업장치는 골프공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된 골프공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띠운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80032호(2016.03.30., 등록)를 통해 제안된 종래기술은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티업대를 승강시켜주기 위한 복수의 승강부재가 구비되고, 이러한 승강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티업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을 굴착하는 공간도 이에 상응하여 커져야 하는데 정해진 면적에서 다수의 티업장치를 설치하여 경제성을 높여야 하는 골프연습장에서는 이러한 부피가 큰 티업장치는 정해진 면적에서 설치개수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 및 교체를 위한 수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티부재가 승강시 티부재가 흔들리는데 이때 티부재의 상승이 멈춘 순간 즉, 티부재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순간의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해 티부재에 올려진 골프공이 추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모터 및 기어 또는 실린더 등을 이용한 승강장치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수 밖에 없는 문제점으로써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흔들림이 없을 수도 있으나, 정지하는 순간에는 각 구성이 정지하고자하는 힘과 이동하고자 하는 힘이 상호 작용하여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80032호(2016.03.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티업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개선하여 승강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부피를 줄여 설치 환경의 제약을 줄였으며, 나아가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골프공 티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판 및 복수의 이탈방지봉을 따라 승강판이 승강하도록 하여 승강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골프공의 이탈을 방지하는 골프공 티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공간 활용도를 높혀 승강판이 승강하도록 하여 승강시 동작을 단순화 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골프공을 안전하게 승강시키는 골프공 티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양방향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용 걸림부재를 회동시키는 회전체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승강판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티업대 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안내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승 중인 골프공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과,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봉이 삽입되는 방지봉삽입홀과, 상기 안내판이 삽입되는 안내홀을 포함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안치홈에 결합하는 티업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체는 기어박스의 축과 결합되고,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회전체의 일측에 '―'형으로 기다랗게 형성되며 내부의 장공에 승강판의 일측면에 형성된 힌지가 삽입·결합되어 회동시 승강판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용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판은 승강판의 승강을 감지하는 센서로 높이를 제어하거나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높이를 제어하되, 승강판의 일측면에 나사로 형성된 힌지가 승강용 걸림부재의 장공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양방향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용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롤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상기 지지대에 각각 결합하는 지지봉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안내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승 중인 골프공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과,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봉이 삽입되는 방지봉삽입홀과, 상기 안내판이 삽입되는 안내홀과,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용 와이어의 단부가 결합하는 와이어 고정구를 포함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안치홈에 결합하는 티업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봉에 상기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내롤러는, 중앙이 양단에 비해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이동하는 승강용 와이어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롤러는, 승강용 와이어의 단부를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가 구비되고, 중앙이 양단에 비해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감기거나 풀리는 승강용 와이어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고정구(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권취롤러(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나사로 이루어져 승강용 와이어(W)의 교체시 와이어 고정구(31)를 권취롤러(30)에서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승강용 걸림부재를 통해 승강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데, 특히 골프공이 티업대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승강판을 상승시킬 때 승강용 걸림부재를 회전체가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골프공이 티업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내판 및 복수의 이탈방지봉을 따라 승강판이 흔들림 없이 승강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골프공을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티업대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개선하여 승강시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부피를 줄여 설치 환경의 제약을 줄였으며, 나아가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체 및 승강용 걸림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동일한 면적에서 기존의 티업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를 설치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높은 효율을 갖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골프공이 티업대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에서 승강판을 상승시킬 때 승강용 와이어를 권취롤러에 감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정지할 때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한 진동을 최소화하여 정지시 골프공이 티업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내판 및 복수의 이탈방지봉을 따라 승강판이 승강하도록 하여 승강시 발생하는 흔들림을 최소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고정구(31)를 통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권취롤러(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나사로 이루어져 승강용 와이어(W)의 교체시 와이어 고정구(31)를 권취롤러(30)에서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게 하여 간단한 구조로 인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업대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를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티업대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1)는, 베이스(10)와, 구동모터(20)와, 지지대(40)와, 회전체(45)과, 안내판(60)과, 이탈방지봉(70)과, 승강판(80) 및 티업대(9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상기의 구성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필요한 중량을 줄이기 위한 살빼기공(미도시 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0)는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가된 전원 및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티업대(90)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정회전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역회전하는 양방향모터로 구성되며 그 외부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20)의 모터축은 구동력을 필요한 회전속도 및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기어박스(21)와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21)는 내부에 상호 치(齒)결합된 복수의 기어가 배치되며 외측으로 노출된 동력전달축(22)이 구비된다.
상기 위치조절부(4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골프공(B)의 위치를 확인하고 센서와 연동되어 골프대(90)의 높이를 조절하게 하는 확인창(42)이 형성된다.
상기 확인창(42)은 한 쌍의 위치조절부(4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U'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승강판(80) 사이에 배치되어 티업대(90)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고 센서와 연동되어 골프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관통된 구멍만을 도시하였으나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를 일측에 덧대어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체(45)는 기어박스(21)의 축과 결합되고,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고, 회전체(45)의 일측에 기다랗게 형성되며 내부의 장공(47)에 나사형의 힌지(49)가 삽입·결합되어 회동시 승강판(8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용 걸림부재(48)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용 걸림부재(48)는 회전체(45)의 일측에서 '―"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47)을 형성하여 승강판(80)의 일측면에 나사로 형성된 힌지(49)에 삽입되어 연결되어 결합된다.
즉, 구동모터(20)가 동작되면 이와 연동되어 회전체가 회전하게 되면서 승강용 걸림부재(48)도 회동하게 되는데, 이 때 승강판(8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승강용 걸림부재(48)의 길이가 가변되지만 장공(47)을 통해 원호의 길이에 대응하여 적절히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안내판(60)은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것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안내기둥(61)과 상기 안내기둥(61)을 연결하는 수직판(6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기둥(61)은 도면 중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면 중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안내판(60)의 상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승강판(80)이 안내판(60)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안내기둥(61) 또는 수직판(62)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봉(70)은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티업대(90)에 올려진 골프공(B)이 티업대(90)의 상승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되 다수개가 티업대(90)의 수직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승강판(80)은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상면에 티업대(90)가 안치되는 안치홈(81)과, 상기 안치홈(8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상기 이탈방지봉(70)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방지봉삽입홀(82)과,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안내판(60)이 삽입되는 안내홀(83)과, 상기 승강판(80)의 일측에 2개의 돌출부(85)가 형성되며, 2개의 돌출부 사이에는 승강용 걸림부재(48)를 수용하는 수용홀(미도시)과 승강용 걸림부재(48)의 장공과 연결되는 힌지(49)를 포함한다.
상기 안치홈(81)에는 티업대(90)에 골프공(B)이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됨)가 배치되는 센서수용홈(811)과 상기 센서수용홈(811)과 연통된 케이블 삽입홈(81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센서는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중량감지센서 또는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골프공이 티업대(90)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상기 구동모터(20)가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방지봉삽입홀(82)과 안내홀(83)은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이탈방지봉(70)과 안내판(60)이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승강판(80)이 상승 및 하강시 흔들림 없이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티업대(90)는 승강판(80)의 상면에 형성된 안치홈(81)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골프공(B)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티업대(90)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져 골프채에 의해 타격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고, 바람직하게는 하단에는 안치홈(81)에 결합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결합판(9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판(91)의 상면에 우레탄,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 합성수지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가진 소재의 거치봉(9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티업대(90)의 상단부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골프공이 상면에 자연스럽게 올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1)의 동작 상태를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는 티업대(90)가 하강한 상태에서 골프공(B)이 티업대(90)의 상단부에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c는 승강판(80)을 상승시켜 티업대(90)에 올려진 골프공(B)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이 티업대(90)에 올려진 상태에서 구동모터(20)를 구동하여 회전체(45)를 회전과 동시에 승강용 걸림부재(48)를 회동시킴으로써 승강판(80)을 상승시킨다. 이때 승강판(8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승강용 걸림부재(48)의 길이가 상승 원호에 따라 가변되지만 장공(47)을 통해 회동시 적절히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안내판(60)과 이탈방지봉(70)을 통해 흔들림 없이 일정한 속도로 승강판(8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판(80)의 이동속도는 구동모터(20)의 회전속도를 직접 조절하거나 상술한 기어박스(21)에 배치된 기어를 통해 감속 또는 가속하여 조절하되, 이동 후 정지될 때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승하는 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이동이 멈출 때 즉, 정지하는 순간에도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골프공이 티업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골프공이 티업대에 올려진 상태에서 승강판의 상승할 때도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1)는, 베이스(10)와, 구동모터(20)와, 권취롤러(30)와, 지지대(40)와, 지지봉(50)과, 안내판(60)과, 이탈방지봉(70)과, 승강판(80) 및 티업대(9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중복되는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권취롤러(30)는 기어박스(21)의 외측에 노출된 동력전달축(22)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승강용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는 것으로, 중양이 양측에 비해 중심축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어 승강용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중앙으로 모이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권취롤러(30)의 외주면에는 승강용 와이어(W)의 단부가 결속되는 와이어고정구(31)가 구비되는데, 상기 와이어고정구(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권취롤러(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나사로 이루어져 승강용 와이어(W)의 교체시 와이어 고정구(31)를 권취롤러(30)에서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지지대(4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외부에서 한 쌍의 지지대(40) 사이에 배치된 구성 및 골프공(B)의 위치를 확인하고 센서와 연동되어 골프대(90)의 높이를 조절하게 하는 확인창(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41)에는 후술하는 지지봉(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미도시됨)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50)은 양단이 지지대(40)의 결합공(41)에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승강용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5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50)의 단부는 볼(ball) 형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공(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공(41)에 베어링이 배치되어 지지봉(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내롤러(51)는 지지봉(50)의 중앙에 구비되어 승강용 와이어(W)를 안내하며 동시에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이 양단에 비해 중심축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되어 승강용 와이어(W)가 동작시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50)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안내롤러(51)의 양단이 각각의 지지봉(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중 마모된 안내롤러(51)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안내롤러(51)는 승강용 와이어(W)가 맞닿아 이동하는 부위로서 승강용 와이어(W)와의 마찰에 의하여 외면이 마모 또는 파손될 수 있고 마모되거나 파손된 부위에 승강용 와이어(W)가 맞닿아 이동함으로써 승강용 와이어(W)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동시에 소음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정 사용 기간이 경과하면 안내롤러(51)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판(80)은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상면에 티업대(90)가 안치되는 안치홈(81)과, 상기 안치홈(8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상기 이탈방지봉(70)이 삽입되도록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방지봉삽입홀(82)과,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안내판(60)이 삽입되는 안내홀(83)과,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용 와이어(W)의 단부가 결합하는 와이어 고정구(84를 포함한다.
상기 안치홈(81)에는 티업대(90)에 골프공(B)이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됨)가 배치되는 센서수용홈(811)과 상기 센서수용홈(811)과 연통된 케이블 삽입홈(81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센서는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중량감지센서 또는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골프공이 티업대(90)에 배치된 상태에서만 상기 구동모터(20)가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방지봉삽입홀(82)과 안내홀(83)은 각각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이탈방지봉(70)과 안내판(60)이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승강판(80)이 상승 및 하강시 흔들림 없이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구(84)는 상술한 권취롤러(30)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구(31)와 동일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고정구(31)(84)에 승강용 와이어(W)의 양단이 각각 결속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1)의 동작 상태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티업대(90)가 하강한 상태에서 골프공(B)이 티업대(90)의 상단부에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승강판(80)을 상승시켜 티업대(90)에 올려진 골프공(B)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B)이 티업대(90)에 올려진 상태에서 구동모터(20)를 구동하여 승강용 와이어(W)를 권취롤러(30)에 권취함으로써 승강판(80)을 상승시킨다. 이때 승강용 와이어(W)는 권취롤러(30) 및 다수의 안내롤러(51)에 의해 장력이 유지됨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승강판(8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승강판(80)의 이동속도는 구동모터(20)의 회전속도를 직접 조절하거나 상술한 기어박스(21)에 배치된 기어를 통해 감속 또는 가속하여 조절하되, 이동 후 정지될 때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승하는 속도를 조절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티업장치
10 : 베이스
20 : 구동모터 21 : 기어박스
30 : 권취롤러 31 : 와이어 고정구
40 : 지지대 40' : 위치조절부
41 : 결합공 42 : 확인창
45 : 회전체 47 : 장공
48 : 승강용 걸림부재 49 : 힌지
50 : 지지봉 51 : 안내롤러
60 : 안내판 61 : 안내기둥
62 : 수직판
70 : 이탈방지봉 75 : 볼 수용판
77 : 볼 회동판
80 : 승강판 81 : 안치홈
82 : 방지봉삽입홀 83 : 안내홀
84 : 와이어 고정구 85 : 돌출부
90 : 티업대
W : 승강용 와이어 B : 골프공

Claims (6)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양방향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용 걸림부재(48)를 회동시키는 회전체(45)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서 승강판(8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티업대 높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4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안내기둥(61)과 상기 안내기둥(61)을 연결하는 수직판(62)을 갖는 안내판(6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승 중인 골프공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70)과,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안치홈(81)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8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봉(70)이 삽입되는 방지봉삽입홀(82)과, 상기 안내판(60)이 삽입되는 안내홀(83)을 갖는 승강판(80)과,
    상기 승강판(80)의 안치홈(81)에 결합하는 티업대(9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45)는 기어박스(21)의 축과 결합되고, 원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회전체(45)의 일측에 '―'형으로 기다랗게 형성되며 내부의 장공(47)에 승강판(80)의 일측면에 형성된 힌지(49)가 삽입·결합되어 회동시 승강판(80)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용 걸림부재(48)를 가지며,
    상기 이탈방지봉(70)은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되 다수개가 티업대(90)의 수직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골프공(B)이 티업대(90)의 상승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80)은 승강판의 승강을 감지하는 센서로 높이를 제어하거나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높이를 제어하고, 승강판(80)의 일정 부분에 양측면으로 'U'형의 방지봉삽입홀(82)과 안내판(60)이 삽입되는 안내홀(83)이 형성되며, 승강판(80)의 일측면에 나사로 형성된 힌지(49)가 승강용 걸림부재(48)의 장공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4.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가된 전원 및 동작신호에 따라 구동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한 양방향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0)와,
    상기 구동모터(2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승강용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롤러(3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4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상기 지지대(40)에 각각 결합하는 지지봉(5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안내기둥(61)과 상기 안내기둥(61)을 연결하는 수직판(62)을 갖는 안내판(60)과,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다수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승 중인 골프공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70)과,
    상면에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안치홈(81)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홈(8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봉(70)이 삽입되는 방지봉삽입홀(82)과, 상기 안내판(60)이 삽입되는 안내홀(83)과, 상면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용 와이어(W)의 단부가 결합하는 와이어 고정구(84)를 포함한 승강판(80)과,
    상기 승강판(80)의 안치홈(81)에 결합하는 티업대(9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봉(50)에는 상기 승강용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롤러(51)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롤러(51)는 중앙이 양단에 비해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이동하는 승강용 와이어(W)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이탈방지봉(70)은 베이스(10)의 상면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되 다수개가 티업대(90)의 수직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골프공(B)이 티업대(90)의 상승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30)는 승강용 와이어(W)의 단부를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31)가 구비되고,
    중앙이 양단에 비해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감기거나 풀리는 승강용 와이어(W)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와이어고정구(3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권취롤러(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나사로 이루어져 승강용 와이어(W)의 교체시 와이어 고정구(31)를 권취롤러(30)에서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티업장치.
KR1020180122214A 2018-07-20 2018-10-13 골프공 티업장치 KR102082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5073 2018-07-20
KR1020180085073 2018-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81A KR20200009981A (ko) 2020-01-30
KR102082432B1 true KR102082432B1 (ko) 2020-02-27

Family

ID=6932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214A KR102082432B1 (ko) 2018-07-20 2018-10-13 골프공 티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6485A1 (ja) 2021-08-27 2023-03-02 ミライアル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蓋体側基板支持部
CN115767269A (zh) * 2021-09-03 2023-03-07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光学防抖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257A (ja) * 1999-03-19 2000-10-03 Kondo Hatsudoki Kk ゴルフボールのティーアップ装置
KR100353165B1 (ko) * 1999-11-29 2002-09-18 김영철 골프공 티업장치
KR100835347B1 (ko) 2007-12-06 2008-06-11 (주)훼밀리골프 상향식 골프공 이송장치
KR100835344B1 (ko) 2007-12-13 2008-06-11 (주)훼밀리골프 홀 이송벨트 타입 골프공 이송장치
KR200442369Y1 (ko) 2008-08-06 2008-11-05 강인성 골프공 공급장치
KR200452395Y1 (ko) 2008-07-15 2011-02-22 조길연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101192933B1 (ko) 2010-07-06 2012-10-18 조길연 직투입 골프연습기
KR101751239B1 (ko) * 2016-11-04 2017-06-27 김남중 고속형 골프공 오토 티업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336A (ko) * 1997-07-23 1999-02-18 이종수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200452459Y1 (ko) * 2008-12-26 2011-03-02 조완제 다단 유도형 골프공 자동 티업기
KR200480032Y1 (ko) 2015-11-23 2016-04-05 이미용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257A (ja) * 1999-03-19 2000-10-03 Kondo Hatsudoki Kk ゴルフボールのティーアップ装置
KR100353165B1 (ko) * 1999-11-29 2002-09-18 김영철 골프공 티업장치
KR100835347B1 (ko) 2007-12-06 2008-06-11 (주)훼밀리골프 상향식 골프공 이송장치
KR100835344B1 (ko) 2007-12-13 2008-06-11 (주)훼밀리골프 홀 이송벨트 타입 골프공 이송장치
KR200452395Y1 (ko) 2008-07-15 2011-02-22 조길연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200442369Y1 (ko) 2008-08-06 2008-11-05 강인성 골프공 공급장치
KR101192933B1 (ko) 2010-07-06 2012-10-18 조길연 직투입 골프연습기
KR101751239B1 (ko) * 2016-11-04 2017-06-27 김남중 고속형 골프공 오토 티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81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432B1 (ko) 골프공 티업장치
US81514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nformational carrier
KR101328400B1 (ko) 무대설비 승하강용 이동성 구동장치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KR20160071917A (ko) 경사조절 기능이 구비된 골프 연습장치
KR101871245B1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CN108435940A (zh) 一种高铁钢轨矫平传送装置
CN108404373A (zh) 一种便于更换排球网的排球架
CN1166331C (zh) 悬吊式升降床
CN201269035Y (zh) 电动自平衡门窗帘
KR19990011336A (ko)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KR101788174B1 (ko) 다단 리프터
KR20070071819A (ko) 무전원시 승강되어지는 셔터의 수동조작장치
KR100912456B1 (ko)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JP2008267115A (ja) ブラインド
CN2527166Y (zh) 悬吊式升降床
CN220906812U (zh) 一种自重式放线架缓存张紧机构
CN218820143U (zh) 一种高强耐腐蚀铝合金灯杆
KR101317488B1 (ko) 고무티 높이조절장치 및 고무티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한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CN220102305U (zh) 一种土建施工用支护架
CN116239059B (zh) 一种天车提升装置
CN216335883U (zh) 一种可移动式柔性化视觉检测平台
CN220468256U (zh) 一种单晶炉底盘组件
CN220337927U (zh) 一种矿山环境治理监控设备
KR200398537Y1 (ko) 무대장치설비 승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