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204B1 -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204B1
KR101367204B1 KR1020110015351A KR20110015351A KR101367204B1 KR 101367204 B1 KR101367204 B1 KR 101367204B1 KR 1020110015351 A KR1020110015351 A KR 1020110015351A KR 20110015351 A KR20110015351 A KR 20110015351A KR 101367204 B1 KR101367204 B1 KR 101367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bracket
headrest
support structure
headres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522A (ko
Inventor
야마다 노부오
Original Assignee
니혼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7Head-rests with sleeves located in the back-rest for guiding the rods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종래의 어퍼 프레임에 설치한 브래킷의 지지 구조에서는 머리를 헤드레스트로 보호할 수 없다. 상반신을 사이드 프레임으로 보호할 수 없다. 따라서, 경추 손상, 기타 질병 등의 상해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여러 가지 대책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 긴급시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강도 부족과 사이드 프레임의 강도 부족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의 세로 방향의 양단에 부착벽편을 형성하고, 부착부에 브래킷의 클린치 측면을 접속하여, 부착벽편의 자유단측과 브래킷의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를 용접하며 또한 부착부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와 상하 단부에 설치한 브래킷의 측면의 용접 개소를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용접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SUPPORTING STRUCTURE OF HEADREST BRACKE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브래킷(간단히 브래킷이라고 한다)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어퍼 프레임에 설치한 브래킷과 이 브래킷을 개재하여 이 어퍼 프레임에 설치한 헤드레스트의 소정 위치를, 차량의 후방 추돌시 또는 전방 추돌시 혹은 측방 추돌시의 긴급시에 있어서, 확보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긴급시에 있어서 머리 및/또는 목 부분을 헤드레스트로 보호할 수 없을 때, 또한, 상반신을 시트백(어퍼 프레임, 시트백 프레임)으로 보호할 수 없을 때에는 경추 손상, 기타 질병 등의 상해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여러 가지 대책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 긴급시에 있어서 헤드레스트의 강도 부족(브래킷 또는 어퍼 프레임의 강도 부족과 같은 뜻)과 사이드 프레임의 강도 부족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일례를 도 27에 나타내는데, 어퍼 프레임이 충격으로 휘어 있어(휜 상태 X), 그 강도가 부족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강도 부족을 해소하는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구조 또는 어퍼 프레임·사이드 프레임의 각각·일련의 구조가 요구된다. 그 해소책을 종래 기술에서 검토한다. 또한, 이 해결책은 단순히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구조 또는 어퍼 프레임·사이드 프레임의 각각·일련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뜻에 의한 것으로서 종합적으로 해결할 필요성이 있다.
먼저, 제 1 테마로 하는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구조에 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 2005-138754의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지지 구조」와 일본 공개특허 평8-182569호의 「시트백 프레임 구조」를 들 수 있다. 모두 어퍼 프레임에 압궤 가공으로 형성한 평탄 부착부에 브래킷을 용접한 구조이고, 이 용접은 세로 방향으로서, 그 표면측(차량의 진행측)이다. 따라서, 충격시에 도 27과 마찬가지로 어퍼 프레임이 휘는 상태로서, 그 강도 부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2 테마로 하는 이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구조로서, 보조 수단으로 강도 향상을 도모한 문헌에 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 2008-207807의 「헤드레스트 지지 구조」와 일본 공개특허 2002-315649의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을 들 수 있다. 이 첫 번째 문헌은 어퍼 프레임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어퍼 프레임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두 번째 문헌은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와 브래킷 사이에 대치하는 돌출조를 형성하여 이 돌출조끼리를 용접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제 3 테마로 하는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전방 및 후방 패널)에 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 2004-322881의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과 일본 공개특허 2002-283893의 「차량용 시트에서의 시트백 프레임」과 일본 공개특허 평7-31526호의 「시트백 프레임」을 들 수 있다. 이 사이드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는 전방 및 후방 패널을 특수한 구조로 하는 발명 또는 인서트 브레이스, 보강 비드 등의 다른 구조를 부가하는 발명이다.
일본 공개특허 2005-138754 일본 공개특허 평8-182569호 일본 공개특허 2008-207807 일본 공개특허 2002-315649 일본 공개특허 2004-322881 일본 공개특허 2002-283893 일본 공개특허 평7-31526호
이상에서 열거한 선행 문헌에서는 제 1 테마의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구조」에 관해서는 강도가 부족한 감이 있어 긴급시의 대응에 문제를 남기는 일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2 테마의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구조」에 관해서는 부대 구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개량점이 있다. 또한, 제 3 테마의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에 관해서는 본질적인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라고는 할 수 없고, 강도가 부족한 감이 있어 긴급시의 대응에 문제를 남기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하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가」 제 1 테마를 해결하기 위해서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용접 개소의 확충과,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의 편평 정도와, 압궤와 절결(커팅)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나」 제 2 테마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퍼 프레임에 삽입한 핀으로 브래킷을 보강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브래킷의 관계 강화를 도모하고, 이와 함께 이 어퍼 프레임과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다」 제 3 테마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방 및 후방 패널을 코킹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 패널을 보강하고,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헤드레스트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용접 개소의 확충 또는 부착부의 편평 면적 및/또는 용접 개소의 연직 방향에서의 항력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1은 차량의 어퍼 프레임에 형성한 부착부(편평하게 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평탄면이다)와 이 부착부의 세로 방향의 양단에 부착벽편(片)을 형성하여 이 부착부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을 붙여설치하는 동시에, 그 부착벽편의 자유단측과 이 자유단측에 설치한 이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동시에, 이 부착부의 상단부, 하단부 또는 상단부 및 하단부와 이 상하 단부에 설치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의 용접 개소를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용접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헤드레스트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용접 개소의 확충과,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의 편평 정도와, 압궤와 절결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2는 차량의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이 절결 사이를 압궤하여 형성한 부착부와 이 부착부의 세로 방향의 양단에 절결 반절 파이프편(片)을 형성하고, 이 부착부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을 붙여설치하는 동시에, 그 절결 반절 파이프편의 자유단측과 이 자유단측에 설치한 이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구성과, 이 구성에 더불어 부착부의 상단부, 하단부 또는 상단부 및 하단부와 이 상하 단부에 설치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의 용접 개소를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용접할 것인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에 삽입한 핀으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을 보호(지지)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3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부착부에 구멍을 개설하고, 이 구멍에 삽입한 핀을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측면에 덧대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을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전방 및/또는 후방 패널)로 포지(抱持)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4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어퍼 프레임의 자유단은 그 축방향에 편평 형상으로 한 각통체로 하고, 이 각통체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로 협지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고, 외경 치수와 두께의 변화를 매우 적게 하여 그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5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부착부를 압궤 가공할 때, 특수한 공구를 이용하여 이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여 살두께의 확보와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6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부착부의 압궤 정도를 강하게 하고, 이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며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여 살두께의 확보와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7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브래킷과 헤드레스트 서포트 그리고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직사각 형상을 확보함과 더불어, 부착부의 편평 면적 및/또는 연직 위치가 초래하는 응력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 및/또는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8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브래킷에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을 갖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서포트를 삽입하고, 또한, 이 헤드레스트 서포트에 형성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관통공에 횡단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연결 및/또는 용접 강화, 이와 더불어 부착부의 편평 면적 및/또는 연직 위치가 초래하는 응력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 및/또는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9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절결 반절 파이프편은 상하 단부가 만곡 형상이고, 중간부가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4의 구성에 있어서, 2장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를 2장의 패널의 이음부와, 구멍과 리브편(片)의 걸어맞춤 및 코킹으로 고정함으로써, 이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10은 청구항 4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2장의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이 2장의 패널의 이음부를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관계로 형성하여, 이 구멍과 리브편을 코킹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4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패널로 이루어지는 어퍼 프레임 유니트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연계 강화와 시트백 프레임 및/또는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11은 청구항 4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전방 및 후방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고, 이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각주형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에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고, 이 관통공의 벽면과 이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어느 한 측면의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7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패널로 이루어지는 어퍼 프레임 유니트를 2장의 패널의 이음부와,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및 코킹으로 고정함으로써, 이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12는 청구항 7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전방 및 후방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이 2장의 패널의 이음부를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관계로 형성하여, 이 안의 수 개소의 구멍과 리브편을 위치 결정 구조로 하는 동시에, 다른 리브편과 다른 구멍을 코킹에 의해 고정 구조로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7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여 살두께의 확보와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13은 청구항 7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차량의 어퍼 프레임에 형성한 부착부와, 부착부의 세로 방향의 양단에 부착벽편을 형성하고, 부착부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을 붙여설치하는 동시에, 부착벽편의 자유단측과 자유단측에 설치한 이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동시에, 부착부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와 상하 단부에 설치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의 용접 개소를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용접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1은 헤드레스트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용접 개소의 확충 또는 부착부의 편평 면적 및/또는 용접 개소의 연직 방향에서의 항력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차량의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절결 사이를 압궤하여 형성한 부착부와, 부착부의 세로 방향의 양단에 절결 반절 파이프편을 형성하고, 부착부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을 붙여설치하는 동시에, 절결 반절 파이프편의 자유단측과 자유단측에 설치한 이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구성과, 이 구성에 더불어 부착부의 상단부 및/또는 하단부와 상하 단부에 설치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의 용접 개소를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용접할 것인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2는 헤드레스트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의 용접 개소의 확충과,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의 편평 정도와, 압궤와 절결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부착부에 구멍을 개설하고, 구멍에 삽입한 핀을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측면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3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에 삽입한 핀으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을 보호(지지)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어퍼 프레임의 자유단은 축방향에 편평 형상으로 한 각통체로 하고, 각통체를 사이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전방 및 후방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로 포지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4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을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로 포지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5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고, 외경 치수와 두께의 변화를 매우 적게 하여 그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부착부의 압궤 정도를 강하게 하고,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며 또한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6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부착부를 압궤 가공할 때, 특수한 공구를 이용하여 이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여 살두께의 확보와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7은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여 두께의 확보와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브래킷에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을 갖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서포트를 삽입하고, 또한, 헤드레스트 서포트에 형성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관통공에 횡단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8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헤드레스트 브래킷과 헤드레스트 서포트 그리고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직사각 형상을 확보함과 더불어, 부착부의 편평 면적 및/또는 연직 위치가 초래하는 응력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 및/또는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절결 반절 파이프편은 상하 단부가 만곡 형상이고, 중간부가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9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연결 및/또는 용접 강화, 이와 더불어 부착부의 편평 면적 및/또는 연직 위치가 초래하는 응력을 이용하여 이 어퍼 프레임 및/또는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2장의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2장의 패널의 이음부를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관계로 형성하여, 구멍과 리브편을 코킹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10은 청구항 4의 구성에 있어서, 2장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를 2장의 패널의 이음부와,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및 코킹으로 고정함으로써, 이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어퍼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전방 및 후방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고,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각주형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관통공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고, 관통공의 벽면과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어느 한 측면의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11은 청구항 4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패널로 이루어지는 어퍼 프레임 유니트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 어퍼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연계 강화와 시트백 프레임 및/또는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어퍼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전방 및 후방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2장의 패널의 이음부를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관계로 형성하여, 안의 수 개소의 구멍과 리브편을 위치 결정 구조로 하는 동시에, 다른 리브편과 다른 구멍을 코킹에 의해 고정 구조로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12는 청구항 7의 구성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패널로 이루어지는 어퍼 프레임 유니트를 2장의 패널의 이음부와,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및 코킹으로 고정함으로써, 이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로서,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관통공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청구항 13은 청구항 7의 구성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여 살두께의 확보와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도 1은 시트의 전체 구조를 투시하여 나타낸 축척 사시도.
도 2는 시트백과 헤드레스트 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a은 통상시의 시트와 더미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
도 3b는 전방 추돌시의 시트와 더미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헤드레스트는 통상의 위치에 있지만, 시트백이 휘어 더미의 목이 주행측(전방측)으로 경추 손상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c는 후방 추돌시의 시트와 더미의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로서, 헤드레스트로 더미의 목을 보호하여 경추 손상을 해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헤드레스트 브래킷)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로서, 압궤 가공으로 압궤한 부착부와 강도 중시의 표준 형태의 부착벽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헤드레스트 브래킷)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로서, 압궤 가공으로 압궤한 부착부와 생산성과 용접 용이화 중시의 이형 형태의 부착벽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도 4a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4b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도 4a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배면도로서, 어퍼 프레임의 구부림 부위의 파이프 직경 (D1) 과 그 수하 직선부의 파이프 직경 (D0) 이 거의 같고, 또한, 구부림 부위의 파이프 살두께 (t1) 와 그 수하 직선부의 파이프 살두께 (t0) 가 거의 같아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부림 (R) 이 커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a는 도 4a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의 일부 절개 배면도로서, 어퍼 프레임의 구부림 부위의 파이프 직경 (D1) 과 그 수하 직선부의 파이프 직경 (D0) 이 매우 같고(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구부림 부위의 파이프 살두께 (t1) 와 그 수하 직선부의 파이프 살두께 (t0) 가 매우 같아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구부림 (R) 이 더욱 커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b는 도 4b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배면도(도 6a에 준한다).
도 6ba는 도 4b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의 일부 절개 배면도(도 6aa에 준한다).
도 7a는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와 브래킷의 용접 각도 (90°)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부분 1)로서, 가장 각도가 작아 경제적인 것과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이 정도가 필요하다.
도 7b는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와 브래킷의 용접 각도 (135°)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부분 2)로서, 각도가 중(中)으로 실용적이다.
도 7c는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와 브래킷의 용접 각도 (180°)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전체)로서, 가장 각도가 커서 어퍼 프레임의 파이프 직경의 대략 1/2의 용접이 가능해지고, 부착부의 나머지 파이프 직경의 대략 1/2로 대략 파이프 직경의 용접이 가능해져 이 어퍼 프레임의 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효율화와 경제성에서 고려할 여지가 있다.
도 7d는 도 7a부터 도 7c에 있어서, 용접 코스트와 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인데, 도 6a∼도 6ba의 어퍼 프레임의 파이프 직경과 파이프 살두께가 확보되면, 이 도 7a부터 도 7c의 차는 근소하다. 결국, 어퍼 프레임과 브래킷의 용접 개소(비트의 길이)가 둥근 파이프의 원주 궤적(둘레면)에 가까울수록 강도가 있다.
도 8은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 정도의 일례로서, (가)는 센터에서 압궤한 상태(오프셋 (L))를 나타낸 단면도, (나)는 센터의 앞, 대략 3㎜ 정도(일례이다)에서 압궤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다)는 센터의 뒤, 대략 3㎜ 정도(일례이다)에서 압궤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인데, 임의이다.
도 9a는 어퍼 프레임에 2줄 절결 구조를 통해서 부착부를 형성한 일례로서, 이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
도 9c는 도 9a의 정면도.
도 9ca는 도 9a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의 정면도로서, 도 9c에 대해서 구부림 (R) 이 더욱 커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d는 어퍼 프레임에 플랫을 구비한 2줄 절결 구조를 통해서 부착부를 형성한 다른 일례로서, 이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e는 도 9d의 평면도.
도 9f는 도 9d의 정면도.
도 9fa는 도 9d의 어퍼 프레임의 부착부에 브래킷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의 정면도로서, 도 9f에 대해서 구부림 (R) 이 더욱 커진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는 어퍼 프레임에 1개의 핀을 삽입하고, 이 핀을 브래킷의 측면에 덧대어 용접 개소와의 상승 효과로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의도한 배면도.
도 10b는 도 10a의 핀을 삽입하는 공구의 일례와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a는 어퍼 프레임에 2개의 핀을 삽입하고, 이 핀을 브래킷의 측면에 덧대어 용접 개소와의 상승 효과로 브래킷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의도한 배면도.
도 11b는 도 11a의 핀을 삽입하는 공구의 일례와 사용 상태를 측면에서 보는 시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1c는 도 11a의 핀을 삽입하는 공구의 일례와 사용 상태를 평면에서 보는 시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a는 어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소재)의 양 자유단을 축방향에 있어서 편평 형상의 각통체로 하고, 각통체에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를 설치한 일례의 주요부(일부만 나타냄)의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정면도로서, 용접 개소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용접함으로써, 이 어퍼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를 고정한다).
도 12ba는 구부림 (R) 을 최대치로 채용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어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직경과 살두께 변화를 개시하는 모식도.
도 12bb는 도 12b에서의 어퍼 프레임의 구부림 (R) 이 계측 개소에서 상이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2c는 도 12b의 좌측면도.
도 12d는 도 12b의 우측면도.
도 12e는 도 12b의 평면도.
도 12f는 도 12c의 단면 4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g는 도 12c의 단면 5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h는 (가)는 도 12c의 단면 1을 나타낸 단면도, (나)는 도 12c의 단면 2를 나타낸 단면도, (다)는 도 12c의 단면 3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a는 브래킷과 헤드레스트 서포트 그리고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직사각 형상(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으로 한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
도 13b는 도 13a의 측면도.
도 13c는 도 13a의 정면도.
도 14는 브래킷을 설치한 패널 구조의 어퍼 프레임 유니트(또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주요부로서, 그 위치 결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일부 절개 축척 개념도.
도 15는 브래킷과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주요부의 전방 패널(내측 패널)과 후방 패널(외측 패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관통공에 브래킷을 삽입한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7a는 도 16의 정면도.
도 17b는 도 16의 배면도.
도 18은 도 16의 관통공과 브래킷을 표현한 단면도.
도 19a는 관통공과 브래킷을 주체로서 표현한 일례의 단면도.
도 19b는 관통공과 브래킷을 주체로서 표현한 다른 일례의 단면도.
도 19c는 관통공과 브래킷을 용접하는 일례로서, 그 용접 개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ca는 도 19c의 용접 개소의 일례에 있어서, 그 용접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19cb는 도 19c의 용접 개소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 그 용접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19d는 관통공과 브래킷을 용접하는 다른 일례로서, 그 용접 개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a는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주요부의 전방 패널 또는 후방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b는 도 20a에 나타낸 코킹의 일례를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
도 21a는 패널의 이음부를 복수 개소의 걸어맞춤 관계(구멍과 리브편)의 위치 결정을 통해서 끼워맞추는, 위치 결정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로서, 이 구멍 (A1) 과 리브편 단부 (B1) 의 클리어런스 (C1) 는 근소하다.
도 21aa는 위치 결정의 다른 일례로서, 도 21a의 클리어런스 (C1) 를 유지하면서 코킹을 이용한 위치 결정 구조이다.
도 21b는 패널의 이음부를 복수 개소의 걸어맞춤 관계(구멍과 리브편)의 코킹을 통해서 고정하는, 이 코킹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 구멍 (A2) 과 리브편 단부 (B2) 의 클리어런스 (C2) 는 목적을 고려하여 비교적 넓게 한다.
도 21c는 도 20a의 코킹 금형의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21d는 도 20a의 다른 코킹 금형의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22는 전후방 패널(전방측(시트의 전방측) 패널과 후방측(시트의 후방측) 패널) 사이에 브래킷을 코킹으로 부착하는 상태를 평면에서 본 일부 생략된 확대 단면도로서, 코킹의 리브편의 절곡 부위와 브래킷의 클린치 측면(후방측)과 전방측 사이에 클리어런스를 형성하여 가요성을 확보했다.
도 23은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전방 패널에 후방 패널을 코킹으로 고정하는 상태와 금형(다이스와 펀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패널 구조의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도 13에 나타낸 직사각 형상의 브래킷과 헤드레스트 서포트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5a는 (가)와 (나)는 용접 등에 의해 어퍼 프레임과 브래킷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여러 가지 조합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표로서, 그 바람직한 일례로서 A(가)∼F(가)와 A(나)∼F(나)의 타입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5b는 코킹 및/또는 위치 결정과 용접에 의해 어퍼 프레임 유니트 또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표로서, 그 바람직한 일례로서 A(다)∼E(다)의 타입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5c는 코킹과 위치 결정용으로 채용되는 구멍의 형태에 관한 조합으로, 그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표로서, 그 바람직한 일례로서 A(라)∼J(라)의 타입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6a는 종래의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단부의 구부림 각도와 부착부의 관계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 모식도.
도 26b는 본 발명의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단부의 구부림 각도와 부착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 모식도.
도 26c는 본 발명의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단부의 구부림 각도와 부착부의 관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 모식도.
도 26d는 본 발명의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단부의 구부림 각도와 부착부의 관계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의 확대 모식도.
도 27은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추돌로 생긴 어퍼 프레임의 구부러짐(휨)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28은 도 6a에서 설명한 어퍼 프레임의 구부림 부위의 파이프 직경 (D1) 과 그 수하 직선부의 파이프 직경 (D0) 이 거의 같고, 또한, 구부림 부위의 파이프 살두께 (t1) 와 그 수하 직선부의 파이프 두께 (t0) 가 거의 같아진 상태를 파이프의 구부림을 이용하여 그 이론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9는 휨 특성을 나타낸 도표.
도면 중 1은 시트로서, 이 시트 (1) 는 시트 쿠션 (100) 과 이 시트백 (101) 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시트 쿠션 (100) 에는 시트 프레임 (2) 이 내장된다. 또한, 시트백 (101) 에는 시트백 프레임 (3) 이 내장된다.
이 시트백 프레임 (3) 은 상부에 어퍼 프레임 (5) 과 이 어퍼 프레임 (5) 의 자유단 (5a, 5a)(한 쌍인 경우에는 이하, 한쪽 부호를 쓰고 설명한다)에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6, 6) 을 설치한다. 또한, 하부에 로어 프레임 (7) 을, 또한 보강 암 등을 설치한다. 이 어퍼 프레임 (5) 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가로 방향 (5c) (차량의 폭방향)의 양단부 (500d) 의 내측에는 압궤 가공에 의해 평탄면(이 평탄면은 어퍼 프레임 (5) 을 차량에 장치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가 된다)이거나 또는 거의 평탄면이 된 부착부 (500) 를 2개소 형성(압궤 형성)한다. 그리고, 이 부착부 (500) 의 양측의 세로 방향 (5d) (차량의 높이 방향)에는 각각 부착벽편 (501) 을 형성한다. 이 부착벽편 (501) 은 도 4a에 나타낸 강도를 중시한 표준 형태의 부착벽편 (501) 과 도 4b에 나타낸 생산성과 용접 용이성을 중시한 이형(異形) 형태의 부착벽편 (501) 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부착부 (500) 의 압궤 또는 압궤 깊이(오프셋 (L))는 도 8에 나타낸 구조로서, 도 8(가)에 나타낸 공구 (4) 를 사용한다. 이 부착부 (500) 의 구조는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가)로 나타낸 예에서는 부착부 (500) 는 어퍼 프레임 (5) 의 센터 (5b) 에서 오프셋 (L) (압궤 가공)을 정지하는 구조이다. 또한, 도 8의 (나)로 나타낸 예에서는 부착부 (500) 는 센터 (5b) 의 앞쪽, 예를 들면 대략 3㎜ 정도(일례로서, 한정되지 않는다)의 개소에서 오프셋 (L) 을 정지하는 구조로서, 이 구조에서는 어퍼 프레임 (5) 의 탄성을 이용하여 강도의 향상과 내구성을 확보한다. 또한, 도 8의 (다)로 나타낸 예에서는 센터 (5b) 를 넘은 구조로, 센터 (5b) 의 뒤쪽, 예를 들면 대략 3㎜ 정도의 개소에서 오프셋 (L) 을 정지하는 구조로서, 이 예에서는 보다 강도가 향상된다. 단, 이 도 8의 (다)에서는 예를 들면 압궤가 복잡해지고, 숙련성이 요구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압궤 가공에 기초한 평탄면(평탄 형상)의 확보 및/또는 평탄면의 평탄(편평) 면적의 대소는 용접 강도·정밀도의 향상 또는 후술하는 브래킷 (8) 의 접촉(용접) 면적 향상 또는 용접 틈새의 확보 등을 고려한 경우에 유익하다. 또한, 이 오프셋 (L) 의 안길이 정도(안길이 정지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터의 예, 센터 앞쪽의 예 또는 센터 뒤쪽의 예 등(안길이 정도)은 임의이다.
그리고, 이 부착부 (500) 에는 브래킷 (8)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클린치 측면 (8a) (측면의 일례)을 형성한다. 이 클린치 측면 (8a) 은 접촉(붙여설치)하거나 또는 클리어런스가 형성된 상태에서 형성한다(붙여설치한다). 이 부착부 (500) 의 세로 방향 (5d) 의 양측에는 압궤 가공으로 좌우의 부착벽편 (501, 501) (501로 한다)이 형성되므로, 이 부착부 (500) 와 부착벽편 (501) 사이에 브래킷 (8) 의 클린치 측면 (8a) 과 양측면 (8b, 8b) (8b로 한다)이 위치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부착벽편 (501) 의 자유단 (501a) 과 이 브래킷 (8) 의 양측면 (8b) (다른 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 (10) (자유단 (501a) 과 양측면 (8b) 사이의 붙여설치하는 부위 또는 용접용 틈새)를 용접 (11) 하는 동시에, 이 부착부 (500) 의 압궤시에 성형된 상측 절곡 단부 (500a) 및/또는 하측 절곡 단부 (500b) 「상측 절곡 단부 (500a) 또는 하측 절곡 단부 (500b) 이거나 이 상하측 절곡 단부 (500a, 500b) 쌍방이다」(상하 단부로 한다)와 브래킷 (8) 의 클린치 측면 (8a) 의 용접 개소 (12) (상하측 절곡 단부 (500a, 500b) 와 클린치 측면 (8a) 사이의 붙여설치하는 부위 또는 용접용 틈새)를 어퍼 프레임 (5) 의 가로 방향 (5c) 에서 용접 (11) 한다. 이 예와 같이, 상하측 절곡 단부 (500a, 500b) 와 용접 개소 (12) 를 용접함으로써, 어퍼 프레임 (5) 과 브래킷 (8) 의 연계와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도 5a 등에 나타내는 어퍼 프레임 (5) 의 부착부 (500) 의 압궤 위치, 즉, 상하측 절곡 단부 (500a, 500b) 와 용접 (11) 의 위치 관계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도 8과 같이, 어퍼 프레임 (5) 의 센터 (5b) 로부터 일방향 (L1) 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부착벽편 (501) 과 브래킷 (8) 의 양측면 (8b) 의 용접 개소 (10) 와 그 용접 (11) 에서는 센터 (5b) 까지의 치수 (L3) 가 크고, 용접 (11) (용접 개소 (10))의 치수 (L2) 가 작은 쪽이 강도 향상이 도모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500c는 브래킷 부착부의 가로 방향 (8d) 의 길이로서, 이 길이 (500c) 는 브래킷 (8) 의 양측면 (8b) 사이의 폭치수와 대략 동일한 것으로 한다. 이 일례에서는 브래킷 (8) 의 세로 방향(차량의 전방측)에 있어서 2줄 용접 (11) 되고, 또한, 브래킷 (8) 의 가로 방향 (8d) 이며 또 그 후방측(차량의 후방측)에 있어서 2줄 용접 (11) 되는 구조로서,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어 브래킷 (8) 의 전도와 어퍼 프레임 (5) 의 휨(왜곡), 뒤틀림 등의 방지 등에 유효하다. 이 2줄 용접 (11) 의 실시예는 종래의 압궤 가공 및 용접(도시하지 않음)과 비교하여 우수하다. 단,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는 압궤 가공이기 때문에, 각도 (θ)가 발생하여 용접 (11) 의 양이 증가하는 것과 압궤 가공으로 형성되는 오목부의 홈 개구 직경 (A) 이 커져 구부림 (R) 의 크기를 확보할 수 없는 것(종래의 압궤 가공과 대략 동일) 등의 개량점이 있다. 이 개량점이 하기의 절결 (502) 로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이 부착부 (500) 를 형성할 때, 도 9a∼도 9ca에 나타낸 일례가 있다. 이 구조는 어퍼 프레임 (5) 의 수직 방향 (5d) 에 2줄의 절결 (502) (절개)을 형성하여 부착부 (500) 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예를 들면 2줄이고 V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날(도시하지 않음)로 가공하여, 어퍼 프레임 (5) 에 대략 V자형의 절결면을 갖는 2줄의 절결 (502) 을 형성한 후, 이 2줄의 절결 (502) 사이를 예를 들면 공구 (4) 로 압궤 가공한다. 이로써, 부착부 (500) 와 그 양측에 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 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 과 절결 (502) 로 어퍼 프레임 (5) 에 공동 (504) 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성형한 부착부 (500) 에 브래킷 (8) 의 클린치 측면 (8a) 을 접촉하면, 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 에는 브래킷 (8) 의 양측면 (8b) 이 접촉되어 그 용접 (11) 의 세로 방향의 면적이 확대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브래킷 (8) 및/또는 어퍼 프레임 (5) 의 강도 향상에 유효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브래킷 (8) 의 가로 방향 (8d) (어퍼 프레임 (5) 의 가로 방향 (5c))에 있어서 2줄 용접 (11) 되는 구조를 동시에 채용함으로써, 상기 브래킷 (8) 및/또는 어퍼 프레임 (5) 의 휨, 뒤틀림 등의 한층 강한 방지와 강도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공동 (504) 을 형성하는 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 이 탄성을 가짐으로써, 브래킷 (8) 의 휨, 뒤틀림 또는 전도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도 9d∼도 9fa에 나타낸 다른 일례가 있다. 이 다른 일례에서는 2줄의 절결 (502) 을 도시하지 않지만, 외측이 스트레이트 날면이고, 내면이 테이퍼 날면이 되는 한 쌍의 날로 가공한다. 이 한 쌍의 날의 가공으로 어퍼 프레임 (5) 에 이형의 V자형 절결면을 갖는 2줄의 절결 (502) 이 형성된다. 이 2줄의 절결 (502) 사이를 만곡 내면과 홈부를 갖는 공구(도시하지 않음)로 압궤 가공한다. 이로써, 부착부 (500) 와 이 부착부 (500) 의 양측에 상하 단부가 만곡 형상이고, 중간부가 플랫 (503a) (세로 방향 (5d) 에서의 평탄 형상)을 갖는 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 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 과 절결 (502) 로 어퍼 프레임 (5) 에 공동 (504) 이 형성된다. 이 플랫 (503a) 을 용접 (11) 함으로써, 이 용접 정밀도의 향상과 용접 개소의 길이 및/또는 면적의 감소화 등이 도모되는 동시에, 또한, 용접 작업의 효율화와 저비용화 등에 유효하다. 그리고, 이 용접 (11) 은 도시하지 않지만, 각각의 양상이 있는데, 요컨대, 그 용접 (11) 의 길이 또는 개소의 감소화를 도모하는 것 또는 용접 (11) 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의도한다. 그 외에는 상술한 도 9a∼도 9ca에 준한다.
또한, 도 10a∼도 11c에 나타낸 어퍼 프레임 (5) 에 구멍 (505) (도 25b에 나타낸 각 예가 있지만,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에 와이어, 판상 등도 있을 수 있다)을 형성하고, 이 구멍 (505) 에 삽입한 핀 (13) (구멍 (505) 의 형상에 준한다)을 브래킷 (8) 의 측면 (8b) 에 덧댐으로써, 브래킷 (8) 의 휨, 뒤틀림 또는 전도 방지(강도 향상)에 유효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이 핀 (13) 과 측면 (8b) 을 용접 (11) 하는 것도 가능하고, 브래킷 (8) 및/또는 어퍼 프레임 (5) 의 휨, 뒤틀림 등의 방지와 강도 향상 등이 도모된다. 또한, 핀 (13) 의 수와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측면 (8b) 의 일방측에서도 가능하다. 또한, 핀 (13) 의 형상과 그 소재의 한정도 없다. 이 도 10a와 도 10b는 한 개의 핀 (13) 의 구조를, 또한 도 11a∼도 11c는 2개의 핀 (13) 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구조와 특징은 거의 동일하다. 또한, 구멍 (505) 은 펀칭, 리브 부착 등의 구조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지만, 각각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이 핀 (13) 의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멍 (505) 을 개설하는 치구는 예를 들면 윗틀에 설치한 상측 펀치 (15) (펀치)와 아랫틀에 설치한 하측 펀치 (16) 의 금형 등의 치구(금형으로 한다)를 이용한다. 그리고, 이 구멍 (505) 은 A타입의 브래킷 (8) 의 양측면 (8b) 에 한 개 형성하는 예와, B타입의 브래킷 (8) 의 양측면 (8b) 에 2개 형성하는 예와, 혹은 병용형(도시하지 않음) 등이 있다. 물론, 이 구멍 (505) 과 핀 (13) 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핀 (13) 은 각주가 이상적이지만, 다각형, 환형 파이프 등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구멍 (505) 의 주변에는 공구 (14) 를 이용하여 버링 (505a) 을 형성함으로써, 구부림, 비틀림 등에 대한 강도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공구 (14) 는 가공 후 제거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도 12a∼도 12h 또는 도 23은 어퍼 프레임 (5) 의 파이프의 양 자유단 (5a) 을 그 축방향 (5e) 에 있어서 편평 형상의 각통체 (510) 로 하고, 이 각통체 (510) 에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 (6-6) 의 전방 패널 (600) 또는 후방 패널 (601) 을 용접 (11) 또는 코킹 (20) 등에 의해 협지하는 구성의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그룹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12ba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구부림 (R) 의 대소로 어퍼 프레임 (5) 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직경 (D0, D1) 과 살두께(판두께) (t0, t1) 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개시하는 모식도로서, 상술한 도 6aa과 도 6ba 등의 설명에 준한다. 그리고, 또한, 도 12ba에 있어서, 어퍼 프레임 (5) 의 구부림 (R) 을 이 실시예에서는 최대치로 채용하여 이 구부림 (R) 을 부착부 (500) 의 내측에서 형성한 구조의 일례에서는 파이프의 직경 (D0, D1) 과 살두께 (t0, t1) 의 변화가 근소하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특징은 하기와 같다. 「A」파이프(어퍼 프레임 (5))의 강도가 증가한다(논리식에서는 R 「구부림」=6D「파이프 직경」이 된다). 「B」구부림 (R) 이 대(大)이고, 어퍼 프레임 (5) 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 또한, 이에 부수하여 예를 들면 재료의 절약과 경량화가 도모된다. 「C」파이프 직경 및/또는 살두께 변화가 근소하여 파이프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D」강도 향상 및/또는 정밀도 향상으로 재료의 선택 범위·여지 등의 확대와, 경우에 따라 저가 또는 품질이 떨어지는 재료의 사용 가능과, 저비용화 그리고 선택·반송 여지의 편리성이 달성될 수 있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E」어퍼 프레임 (5) 전체(시트 (1) 전체)의 경량화 또는 자원 절약화와 소형화 등에 도움이 되는 것, 지구 환경 유지에 공헌할 수 있는 것 등의 우위성이 있다. 또한, 이 도 12ba의 구부림 (R) 이 대(大)인 구조는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각 실시예에 채용할 수 있다. 도면 중 도 12a와 도 12b는 용접 (11) 의 종류와 그 중의 통상 용접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a∼도 13c에 나타낸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사각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사각형상)으로 한 브래킷 (8) 과 헤드레스트 (22) 를 구성하는 헤드레스트 서포트 (23) 그리고 헤드레스트 스테이 (21) 를 채용한 구성예에서는 어퍼 프레임 (5) 의 부착부 (500) 에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이며 또 모서리각 R면을 구비한 브래킷 (8) 을 부착한다. 그리고, 이 직사각 형상의 브래킷 (8) 에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이며 또 모서리각 R면을 구비한 헤드레스트 서포트 (23) 의 다리 부분 (2301) 이 삽입된다. 또한, 헤드레스트 서포트 (23) 의 머리 부분 (2300) 과 다리 부분 (2301) 에 형성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관통공 (2302) 에 횡단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파이프로 형성한 헤드레스트 스테이 (21) 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이다. 이 구조는 종래의 사각형 브래킷 (8) 과 헤드레스트 (22) 를 구성하는 대략 관형(환형)의 머리 부분 (2300) 및 다리 부분 (2301) 을 갖는 헤드레스트 서포트 (23) 그리고 관형(환형 파이프)의 헤드레스트 스테이 (21) 에 대해서 경량화와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의도한다. 또한, 용접 (11) 의 구조와 특징 등은 상술한 각 예에 준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 (5) 과 브래킷 (8) 그리고 헤드레스트 (22) 의 휨, 뒤틀림 등의 방지와 더불어 전도, 변위 등의 방지가 도모되는 것, 또는 헤드레스트 (22) 가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이 어퍼 프레임 (5) 으로의 브래킷 (8) 의 붙여설치와 용접 (11) 으로 어퍼 프레임 (5) 등과 브래킷 (8) 의 일체화 구조의 각 실시예를 도 25a에 나타낸다. 이 도표는 여러 가지 조합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시에, 바람직한 일례로서 A(가)∼F(가)와 A(나)∼F(나)의 타입을 생각할 수 있지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14∼도 22와 같이, 어퍼 프레임 (5) 을 전방 패널 (506) (내측 패널)과 후방 패널 (507) (외측 패널)로 이루어지는 어퍼 프레임 유니트 (5-5) 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전방 패널 (506) 과 후방 패널 (507) 을 복수의 코킹 (20) 으로 일체화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 코킹 (20) 은 윗틀에 설치한 상측 펀치 (15a) (코킹 펀치)와 아랫틀에 설치한 하측 펀치 (16a) (코킹 펀치)의 금형 등의 치구(금형으로 한다)를 이용한다. 또한, 코킹 (20) 은 단순한 금형에 의한 협지 구조 (20a) (도 21c)부터 끼워맞춤 요철 관계의 걸림 구조 (20b) (도 21d)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은 일례이다. 또한, 전방 패널 (506) 및/또는 후방 패널 (507) 에 브래킷 (8) 을 개재하여 삽입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 (21) 용 관통공 (509) 을 개설한다. 또한, 도 19c에서는 후방 패널 (507) 에 안쪽으로 만곡된 붙여설치부 (507a) 와 구멍 (507b) 을 형성하고, 브래킷 (8) 의 클린치 측면 (8a) 을 용접 (11) 하거나 또는 이 후방 패널 (507) 의 상하부에 형성한 암부 (507aa) 의 상부 및/또는 하부를 용접 (11)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전방 패널 (506) 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한 암부 (506aa) 와 브래킷 (8) 의 전측면 (8c) 을 용접 (11) 하는 방법이 있다. 이 용접 (11) 개소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 19d에서는 도 19c와 동일하지만, 또한 전방 패널 (506) 에 안쪽으로 만곡된 붙여설치부 (506a) 와 구멍 (506b) 을 형성하고, 브래킷 (8) 의 전측면 (8c) 을 용접 (11) 하거나 및/또는 이 전방 패널 (506) 의 상하부에 형성한 암부 (506aa) 의 상부 및/또는 하부를 용접 (11) 하는 방법이 있다. 그 외에는 상술한 예에 준한다. 또한, 도 19ca와 도 19cb는 도 19c 또는 도 19d에 나타낸 붙여설치부 (507a) 의 구멍 (507b) 에서의 용접 (11) 의 각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도 20a∼도 21d 그리고 도 22에 나타낸 전후방 패널 (506, 507) 의 이음부를 복수 개소의 걸어맞춤 관계, 즉, 구멍 (20-1) (도 25c에 나타낸 각 예가 있지만,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과 리브편 (20-2) (구멍 (20-1) 의 형상에 준한다)으로 이루어지는 코킹 (20) 을 통해서 고정한다(도 20b와 도 21b 등과 같이, 예를 들면 구멍 (20-1) 과 리브편 (20-2) 의 틈새는 코킹 (20) 에서는 그 목적으로 인해 여유를 두고 형성하지만, 일례이다). 이 코킹 (20) 의 일례를 나타낸 상기 상측 펀치 (15a) 와 아랫틀에 설치한 하측 펀치 (16a) 의 금형을 이용한다. 그리고, 이 코킹 (20) 의 개소와 그 개수는 예를 들면 도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 개소의 복수개로 한다. 또한, 이 구멍 (20-1) 과 리브편 (20-2) 으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 관계는 예를 들면 전후방 패널 (506, 507) 의 이음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도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 개소의 복수개에 위치 결정 (20c) 한다(도 21a, 도 21aa와 같이, 구멍 (20-1) 과 리브편 (20-2) 의 틈새는 위치 결정 (20c) 에서는 그 목적으로 인해 근소하지만, 일례이다). 따라서, 이 위치 결정 (20c) 을 수행할 때에는 코킹 (20) 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도 21a). 이와 같이, 위치 결정 (20c) 과 코킹 (20) 조작을 통해서, 전후방 패널 (506, 507) 의 이음부를 확실하고 간이하게 위치 결정하고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방 패널 (506, 507) 을 원터치로 고정하고 성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코킹 (20) 과 위치 결정 (20c) 의 구조는 도 25a에 나타낸 코킹 (20) 의 구조나 도 23에 나타낸 사이드 프레임 (6) 의 전후방 패널 (600, 601) 에서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코킹 (20) 과 용접 (11) 에 의해 어퍼 프레임 유니트 (5-5) 를 일체화하는 구조는 각 실시예가 있다. 그 일례를 도 25b에 나타낸다. 이 도표는 여러 가지 조합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동시에, 바람직한 일례로서 A(다)∼E(다)의 타입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 (6-6) 의 일체화도 마찬가지다. 또한, 도 25c는 코킹 (20) 과 위치 결정 (20c) 에 채용되는 구멍 (20-1) 의 형태에 관한 조합으로, 그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표이고, 그 바람직한 일례로서 A(라)∼J(라)의 타입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2는 전후측 패널 (506, 507) (전방측(시트 (1) 의 전방측) 패널 (506) 과, 후방측(시트 (1) 의 후방측) 패널 (507))과, 브래킷 (8) 을 코킹 (20) 에 의한 걸어맞춤 관계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관계를 평면에서 볼 때 반절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 확대 단면도는 전방 패널 (506) 과 후방 패널 (507) 에 브래킷 (8) 을 각각 코킹 (20) 으로 고정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3과 같이, 사이드 프레임 (6) 을 전방 패널 (600) 과 후방 패널 (601) 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 (6-6) 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전방 패널 (600) 과 후방 패널 (601) 을 복수의 코킹 (20) 으로 일체화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 코킹 (20) 은 공구 (4) 또는 금형 등을 이용한다. 또한, 코킹 (20) 은 단순한 금형에 의한 협지 구조 (20a) (어퍼 프레임 유니트 (5-5) 의 도 21c를 참조)부터 끼워맞춤 요철 관계의 걸림 구조 (20b) (동 도 21d를 참조) 등을 들 수 있지만, 일례이다.
도 24는 도 13a∼도 13c로 나타낸 직사각 형상으로 한 브래킷 (8) 과 헤드레스트 서포트 (23) 그리고 헤드레스트 스테이 (21) 의 구조를 어퍼 프레임 유니트 (5-5) (어퍼 프레임 (5))를 구성하는 전후방 패널 (506, 507) 에 채용한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어퍼 프레임 유니트 (5-5) 의 전후방 패널 (506, 507) 에 직사각 형상의 관통공 (509) 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전방 패널 (506) 및/또는 후방 패널 (507) 을 팽출하는 구조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어퍼 프레임 유니트 (5-5) 와 브래킷 (8) 그리고 헤드레스트 (22) 의 휨, 뒤틀림 등의 방지, 더불어 전도, 변위 등의 방지에 유효하고, 또는 헤드레스트 (22) 가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 도 27에서, 후방 추돌로 생긴 어퍼 프레임 (5000) 의 휨 상태 (X) 를 나타낸 모식도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어퍼 프레임 (5000) 이 휨으로써, 브래킷 (8000) 및 헤드레스트(도시하지 않음)가 후퇴하여 경추 손상 질병의 발생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 개량을 의도하는 것으로, 이하, 대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 도 26a에 있어서, 브래킷 (8000) 을 부착하는 부착부 (500000) 를 완만한 압궤 구조로 하면, 어퍼 프레임 (5000) 의 단부 (5000d) 까지의 길이(치수)가 적어진다. 그 결과, 어퍼 프레임 (5000) 의 단부 (5000d) 의 구부림(구부림값)이 작아져 굴곡이 급한 각도가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 구부림의 주로 그 외측이 작아지며(대략 60°) 또 두께도 얇아진다. 이 결과, 어퍼 프레임 (5000) 의 강도 부족이 발생하여 그 휨, 뒤틀림 등의 폐해를 생각할 수 있다. 더구나, 브래킷 (8000) 과 헤드레스트 (22) 의 휨, 뒤틀림 등의 발생과 더불어 전도, 변위가 발생하여 헤드레스트 (22) 가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6b∼도 26d에 있어서, 상술한 도 6a, 도 6b 등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 (500) 를 강하게 압궤함으로써, 어퍼 프레임 (5) 의 단부 (500d) 의 구부림을 크게 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길이 (500c) 가 짧아지고, 그 결과, 이 부착부 (500) 에서 단부 (500d) (구부러짐 단부)까지의 치수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부림 (R) 의 외측이 커지며 또 살두께도 얇아지는 일이 없는(살두께 「판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특징이 있다. 그 이론 구성의 일례를 도 6a 등에 나타내고 있는데, 단부 (500d) 의 파이프 외경 (D1) 과 본래의 파이프 외경 (D0) 은 거의 같고, 또한, 단부 (500d) 의 파이프 두께 (t1) 와 본래의 파이프 두께 (t0) 는 거의 같아지는 것을 도모했다(현실화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본 발명과 같이, 구부림 (R) 을 대략 80°로 함으로써, 어퍼 프레임 (5) 의 진원(정원)과 거의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종래의 휨, 뒤틀림 또는 전도 방지(강도 향상)에 유효하며, 경추 손상 해소와 상해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 26c와 도 26d에서는 상기 도 6a 등보다 구부림 (R) 을 대략 100°∼대략 130°로 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효과가 있고, 당연히 상기 도 6a 등보다 유효성이 있다.
또한, 상기 도 9a∼도 9f에 나타낸 어퍼 프레임 (5) 의 절결 (502) 을 형성하고, 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 플랫 (503a) 의 용접 개소 등을 구비한 부착부 (500) 를 형성하는 구조는 상기 도 6a, 도 6b 등의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유효하다고 생각되고,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는 더욱 구부림이 커져 그 강도 향상이 도모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도 10a∼도 11c에서의 핀 (13) 의 실시예 혹은 도 14∼도 22에서의 어퍼 프레임 유니트 (5-5)나 도 12a∼도 12h와 도 23에서의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 (6-6) 의 실시예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8은 파이프(어퍼 프레임 (5))의 구부림의 이론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스트레이트한 상태를 나타낸 R0 개소의 직경이 D0와 D0이고, 또한, 그 살두께가 t0인(도 6a, 도 6aa 등 참조) 것에 대해 구부림 R1 개소의 직경이 D1와 D1이고, 또한, 그 살두께가 t1이다. 따라서, 그 차는 거의 없어 직경과 두께의 차가 없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부림 (R) 이 큰 경우에는 파이프의 강도에 변화가 없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9는 휨 특성을 나타낸 도표로서, 세로축이 휨을, 가로축이 스트레스(하중)를 나타낸다. 그리고, 휨 허용 영역 (D) 은 어퍼 프레임 (5) 과 브래킷 (8) 또는 헤드레스트 (22) 의 기능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즉, 사용 가능 범위이다. 그러나, 이 휨 허용 영역 (D) 을 넘어 탄성 피로 영역 (E) 에 이르면, 복원력(반발력)은 없어 사용 불가 범위이다. 그 후, 전단 (F) 에 이른다. 그리고, 이 사용 불가 범위와 전단 (F) 의 상황에서는 문제가 된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 휨 허용 영역 (D) 을 넓히는 것을 주안으로 한다.
1:시트
100:시트 쿠션
101:시트백
2:시트 프레임
3:시트백 프레임
4:공구
5:어퍼 프레임
5-5:어퍼 프레임 유니트
5a:자유단
5b:센터
5c:가로 방향
5d:세로 방향
5e:축방향
500:부착부
500a:상측 절곡 단부
500b:하측 절곡 단부
500c:길이
500d:단부
501:부착벽편
501a:자유단
502:절결
503:절결 반절 파이프편
503a:플랫
504:공동
505:구멍
505a:버링
506:전방 패널
506a:붙여설치부
506aa:암부
506b:구멍
507:후방 패널
507a:첨설부
507aa:암부
507b:구멍
509:관통공
510:각통체
6:사이드 프레임
6-6:사이드 프레임 유니트
600:전방 패널
601:후방 패널
7:로어 프레임
8:브래킷
8a:클린치 측면
8b:측면
8c:전측면
8d:가로 방향
10:용접 개소
11:용접
12:용접 개소
13:핀
14:공구
15:상측 펀치
15a:상측 펀치(코킹 펀치)
16:하측 펀치
16a:하측 펀치(코킹 펀치)
20:코킹
20-1:구멍
20-2:리브편
20a:협지 구조
20b:걸림 구조
20c:위치 결정
21:헤드레스트 스테이
22:헤드레스트
23:헤드레스트 서포트
2300:머리 부분
2301:다리 부분
2302:관통공
A:홈 개구 직경
D:휨 허용 영역
E:탄성 피로 영역
F:전단
L:오프셋
X:휨 상태

Claims (13)

  1. 차량의 어퍼 프레임에 형성한 부착부와 이 부착부의 세로 방향의 양단에 부착벽편을 형성하여 상기 부착부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을 붙여설치하는 동시에, 그 부착벽편의 자유단측과 이 자유단측에 설치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부의 상단부, 하단부 또는 상단부 및 하단부와 상기 상하 단부에 설치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의 용접 개소를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용접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2. 차량의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이 절결 사이를 압궤하여 형성한 부착부와 이 부착부의 세로 방향의 양단에 절결 반절 파이프편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부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을 붙여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절결 반절 파이프편의 자유단측과 이 자유단측에 설치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구성과, 이 구성에 더불어 부착부의 상단부, 하단부 또는 상단부 및 하단부와 이 상하 단부에 설치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측면의 용접 개소를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에 용접할 것인지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구멍을 개설하고, 이 구멍에 삽입한 핀을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다른 측면에 덧대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의 자유단은 그 축방향에 편평한 형상으로 한 각통체로 하고, 이 각통체를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로 포지(抱持)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압궤 정도를 강하게 하고, 상기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며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에 2줄의 절결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부의 가로 방향의 폭치수를 작게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브래킷에 머리 부분과 다리 부분을 갖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서포트를 삽입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서포트에 형성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관통공에 횡단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 반절 파이프편은 상하 단부가 만곡 형상이고, 중간부가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2장의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이 2장의 패널의 이음부를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관계로 형성하여, 이 구멍과 리브편을 코킹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전방 및 후방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각주형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고, 상기 관통공의 벽면과 상기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어느 한 측면의 용접 개소를 용접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는 적어도 전방 및 후방 패널을 합체하여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 및 후방 패널의 이음부를 구멍과 리브편의 걸어맞춤 관계로 형성하여, 이 안의 수 개소의 구멍과 리브편을 위치 결정 구조로 하는 동시에, 다른 리브편과 다른 구멍을 코킹에 의해 고정 구조로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에 헤드레스트 브래킷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 유니트의 가로 방향 양단부의 구부림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한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KR1020110015351A 2010-07-30 2011-02-22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KR101367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3142 2010-07-30
JP2010173142 2010-07-30
JPJP-P-2010-199535 2010-09-07
JP2010199535A JP5685026B2 (ja) 2010-07-30 2010-09-07 ヘッドレスト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522A KR20120022522A (ko) 2012-03-12
KR101367204B1 true KR101367204B1 (ko) 2014-02-25

Family

ID=4465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351A KR101367204B1 (ko) 2010-07-30 2011-02-22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14653B2 (ko)
EP (1) EP2415631B1 (ko)
JP (1) JP5685026B2 (ko)
KR (1) KR101367204B1 (ko)
CN (1) CN102343849B (ko)
BR (1) BRPI1103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6099B1 (en) * 2011-07-13 2019-04-03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Seat backrest for a motor vehicle
JP2013248944A (ja) * 2012-05-31 2013-12-12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CN104487286A (zh) * 2012-07-23 2015-04-01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座椅安全带引导支撑件、座椅靠背框架和座椅装置
JP5880330B2 (ja) * 2012-07-25 2016-03-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20150231997A1 (en) * 2012-09-03 2015-08-20 Ts Tech Co., Ltd. Vehicle seat, and seat frame for vehicle seat
JP6161150B2 (ja) * 2013-03-26 2017-07-12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のアッパーフレーム
JP6212974B2 (ja) * 2013-06-20 2017-10-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189099B2 (ja) 2013-06-20 2017-08-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5814310B2 (ja) * 2013-07-19 2015-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
EP3162622B1 (en) 2014-06-27 2019-04-24 Clarion Co., Ltd. Acoustic device
WO2016021554A1 (ja) * 2014-08-06 2016-02-1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
DE102015016655A1 (de) 2015-12-19 2017-06-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Vorrichtung zum Lagern einer Kopfstütze in einer Sitzstruktur eines Fahrzeugsitzes
WO2018163539A1 (ja) * 2017-03-08 2018-09-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773978B2 (ja) * 2017-03-08 2020-10-21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819939B2 (ja) * 2017-03-17 2021-01-2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バック構造
KR102003438B1 (ko) * 2017-11-07 2019-07-24 엠하이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폴가이드 홀더
KR20210001507A (ko) * 2019-06-28 2021-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289A (ko) * 1999-11-11 2001-06-15 류정열 승객 보호용 헤드 레스트
JP2002225610A (ja) 2001-02-01 2002-08-14 Shigeru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KR20040041797A (ko) * 2002-11-11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 증대용 리어 시트의 프레임 구조
JP2008207807A (ja) 2008-04-18 2008-09-11 Toyota Motor Corp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67B2 (ja) * 1985-09-18 1994-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乗物用座席
JPH0731526B2 (ja) 1986-04-30 1995-04-10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US5131721A (en) * 1990-12-28 1992-07-21 Tachi-S Co., Ltd. Framework of seat back with armrest
JP3099638B2 (ja) 1993-05-17 2000-10-1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H08182569A (ja) * 1994-12-28 1996-07-16 Ikeda Bussan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JP3594162B2 (ja) * 1997-01-21 2004-11-24 スズキ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FR2765533B1 (fr) * 1997-07-03 1999-09-0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dote d'un dispositif de protection du cou en cas de choc arriere
FR2773752B1 (fr) * 1998-01-19 2000-03-2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ossier de siege a face arriere rentrante
JP4320856B2 (ja) * 1999-08-09 2009-08-26 日本軽金属株式会社 中空形材の曲げ加工方法並びに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製造方法及び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JP2001149176A (ja) * 1999-11-29 2001-06-05 Tachi S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JP4272319B2 (ja) * 1999-11-30 2009-06-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FR2812596B1 (fr) * 2000-08-04 2002-10-3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2283893A (ja) 2001-03-23 2002-10-0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2002315649A (ja) * 2001-04-20 2002-10-29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4023714B2 (ja) * 2001-11-29 2007-12-19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ー
US6832816B2 (en) * 2002-11-08 2004-12-21 Nihon Technica Co., Ltd. Metallic cylindrical member and metallic bracket
JP4236983B2 (ja) 2003-04-25 2009-03-11 しげる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JP2005138754A (ja) 2003-11-07 2005-06-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
JP4144514B2 (ja) * 2003-11-21 2008-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US20050146190A1 (en) * 2004-01-02 2005-07-07 Taatjes Steven W. Adjustable retainer for a headrest
JP4492863B2 (ja) * 2004-10-13 2010-06-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854200B2 (ja) * 2005-01-21 2012-01-18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
US7581792B2 (en) * 2005-06-07 2009-09-01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a portion of a vehicle seat frame
CN2883155Y (zh) * 2005-09-21 2007-03-28 林华正 一体成型的前叉管装置
US7284800B2 (en) * 2005-12-30 2007-10-23 Tachi-S Co., Ltd. Seat back frame for automotive seat
WO2008120427A1 (ja) * 2007-03-28 2008-10-09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ヘッドレストへの配線構造
US20120139321A1 (en) * 2010-12-07 2012-06-07 Yao-Chuan Wu Headrest for A Chair
US8528978B2 (en) * 2011-11-02 2013-09-10 The Boeing Company Transport vehicle seat back with integrated upright sleep suppor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289A (ko) * 1999-11-11 2001-06-15 류정열 승객 보호용 헤드 레스트
JP2002225610A (ja) 2001-02-01 2002-08-14 Shigeru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KR20040041797A (ko) * 2002-11-11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강성 증대용 리어 시트의 프레임 구조
JP2008207807A (ja) 2008-04-18 2008-09-11 Toyota Motor Corp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46158A (ja) 2012-03-08
KR20120022522A (ko) 2012-03-12
EP2415631B1 (en) 2014-03-05
CN102343849A (zh) 2012-02-08
BRPI1103322B1 (pt) 2020-09-15
JP5685026B2 (ja) 2015-03-18
CN102343849B (zh) 2016-08-17
US20120025583A1 (en) 2012-02-02
BRPI1103322A2 (pt) 2013-02-19
EP2415631A1 (en) 2012-02-08
US8714653B2 (en) 201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204B1 (ko) 헤드레스트 브래킷의 지지 구조
US9821741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4029301B2 (ja) 車両の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取付構造
KR101574805B1 (ko) 지지가 개선된 연장부를 구비한 차량
JP4265640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JP2017159896A (ja) 車両用構造部材
JP5140093B2 (ja) バンパー構造
JP2017087766A (ja) 車両前部構造
JP2012121465A (ja) ヘッドレスト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
JP2017159895A (ja) 車両用構造部材
JP2006335241A (ja) バンパステイおよびバンパ装置
JP5671612B2 (ja) バンパー構造
JP2006175987A (ja) 車体前部構造
KR20140101774A (ko) 차량 전부 구조
KR101285510B1 (ko) 일체형 리어 로어암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른 리어 로어암
JP5172502B2 (ja) 車体フレームの接続構造及び成形方法
CN106956657A (zh) 顺序地弯折的车辆粉碎罐
JP6838541B2 (ja) 車両前部構造
JP4932688B2 (ja) 自動車車体用ルーフ補強材
US10336374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JP6024602B2 (ja) リアピラー構造
CN213892253U (zh) 一种座椅横梁安装结构
JP4910731B2 (ja) 車両骨格部材の結合部構造
JP5905057B2 (ja) ヘッドレスト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
JP2008110679A (ja) 自動車のバンパーリィンフォース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