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788B1 -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788B1
KR101363788B1 KR1020120085662A KR20120085662A KR101363788B1 KR 101363788 B1 KR101363788 B1 KR 101363788B1 KR 1020120085662 A KR1020120085662 A KR 1020120085662A KR 20120085662 A KR20120085662 A KR 20120085662A KR 101363788 B1 KR101363788 B1 KR 10136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housing
capacito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기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2008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6Field-effect transistor [FET]
    • H01L2924/13091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승객 보호 장치는, 차량의 시트 백의 상단에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 상기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 상기 충돌감지센서가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면 제어부에 의해 온(on)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 동작하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의 전원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감지센서는, 하우징 내에 일부가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리드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된 탄성부재, 및 상기 차량의 후방 충돌시에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동시에 일 방향으로 흐르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의 일부가 접촉되게 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충돌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있어, 후방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류 동작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헤드 레스트가 오작동되는 피해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PASSENGER PROTECTING APPARATUS OF VEHICLEF}
본 발명은 승객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감지센서가 자력에 의해 차량의 후방 충돌 발생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감지하여 헤드 레스트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하는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승객은 다양한 교통 환경으로부터 후방 충돌의 위험에 노출된다. 따라서 차량 승객의 안전에 대한 요구 증대로 인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안전장치는 차량의 성능을 평가하는 주요 잣대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한 안전 장치의 예로 액티브 헤드 레스트(Acitve head rest)를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주행중에는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머리는 헤드 레스트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승객의 상체는 관성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승객의 목은 뒤로 젖혀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심각한 장애가 유발된다.
액티브 헤드 레스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시트백 상단에서 일반적인 위치에 고정되었다가 차량의 후방 충돌시 전/상방으로 이동되어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충돌 발생시에 승객의 머리가 헤드 레스트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승객의 목이 급격하게 뒤로 젖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현재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들이 다수 출원된 상태이다.
먼저 한국 공개특허 10-2010-0059563호에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연동 시트백벡 에어백'('선행기술 1'이라 함)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의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의 후방 충돌시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돌출과 함께 시트백으로부터 시트백 에어백이 전개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액티브 헤드 레스트와 시트백에 의하여 승객의 어깨와 목 사이 연결부를 지지할 수 있어 승객의 목이 골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10-2007-0040600호에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선행기술 2'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는 헤드 레스트 및 차량의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몸통에 의해 힘을 받는 링크 조립체, 그리고 링크 조립체와 헤드레스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개시하고, 작동부를 이용하여 헤드 레스트의 전후 이동체를 전진시키는 구성이다.
하지만,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후방에서 다른 차량이 추돌하는 후방 충돌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즉, 충돌 발생시 헤드 레스트를 이동시키는 구성도 필요하지만 차량의 후방 충돌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구성 역시 매우 중요하다. 만약 후방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의 오동작이 빈번할 경우 운전자는 헤드 레스트의 갑작스런 이동으로 인하여 운전이 방해되고 차량 주행시 또 다른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는 센서의 감지 동작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액추에이터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하는 일련의 회로구성에 대해서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즉 평상시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로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후방 충돌시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루프가 형성되어야만 액추에이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후방 충돌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를 구비한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돌감지센서를 포함한 전원공급회로를 제공함으로써, 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만 액추에이터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시트 백의 상단에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 상기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 상기 충돌감지센서가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면 제어부에 의해 온(on)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 동작하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의 전원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감지센서는, 하우징 내에 일부가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리드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된 탄성부재, 및 상기 차량의 후방 충돌시에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동시에 일 방향으로 흐르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의 일부가 접촉되게 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승객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가 진공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부가 도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만 도체이고 나머지 부분은 비도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감지센서가 충돌 발생시 자성체의 자력에 의하여 접촉하는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서 후방 충돌을 인지하기 때문에 그 후방 충돌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이에 차량 승객이 입게 되는 목 부상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상적인 운전상황에서 감지센서의 오류로 인하여 헤드 레스트가 오작동하는 일이 방지되기 때문에 구동 오류로 인해 발생 가능한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의 승객 보호 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승객 보호 장치에 구비된 충돌감지센서의 구성도
도 4는 후방 충돌 발생시에 충돌감지센서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차량용 시트는, 차량의 플로워 패널에 장착되어 승객의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의 후측 상단으로 설치되어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 백과, 시트 백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 레스트로 구성된다.
아울러 헤드 레스트는 후방 충돌시 승객의 상체가 시트백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전방 및 상향으로 자동 이동되어 승객의 머리와 목의 상해를 저감하도록 설계된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가 본 실시 예에 적용되고 있음에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 보호 장치(100)에는 헤드 레스트(110)가 구비된다. 헤드 레스트(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 충돌에 따라 전/상방으로 이동 가능한 액티브 헤드 레스트이다. 이하 헤드 레스트는 액티브 헤드 레스트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헤드 레스트(110)의 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구동부)(120)가 구비된다. 액추에이터(120)는 후방 충돌시 시트 백의 상단에 마련된 헤드 레스트(110)를 승객의 머리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120) 및 액추에이터(120)에 의해 전/상방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는 헤드 레스트(110)는, 선행기술들에서 의하여 다양한 구조 및 방안이 이미 적용되고 있고, 이들 중 일부를 참조하여 필요에 따라 용이하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액추에이터(120)가 헤드 레스트(110)를 이동시키는 상세한 구성의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한다.
상기 시트에는 시트 외부에 구비되어야 할 배터리나 충돌감지센서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130)(140)가 장착된다. 즉 배터리나 충돌감지센서가 시트 내에 구비된다면 커넥터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겠지만, 일반적으로 후방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나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시트 외부에 장착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구성이 필요하다. 커넥터는 통상 암/수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실시 예는 헤드 레스트 커넥터(130) 및 시트 커넥터(140)를 제공한다. 헤드 레스트 커넥터(130)는 시트 커넥터(140)와 액추에이터(120)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시트 커넥터(140)는 시트 쿠션 내에 위치하여 시트의 내부와 외부에 마련된 구성들을 서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130)(140)는 일부가 시트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 외부에 있는 구성들은 암/수 커넥터의 조합만으로 쉽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헤드 레스트 커넥터(130)와 시트 커넥터(140)를 각각 구성하지 않고 구성의 간소화를 위하여 하나의 커넥터로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150)가 구성된다. 충돌감지센서(150)는 차량의 후방 범퍼에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나, 그 장착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후방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차량의 어떠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충돌감지센서(150)에 대한 구성은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차량의 후방 충돌시 헤드 레스트(110)를 구동하도록 액추에이터(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0)가 구비된다. 배터리(160)는 차량용 배터리가 주로 이용되나, 이와는 별도로 액추에이터(120)를 구동하기 위한 전용의 배터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배터리(160)는 액추에이터(120)로 전원을 상시 공급하지 않는다. 즉 차량의 후방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거나, 후방 충돌이 발생하였더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 충돌 값 이하인 경우에는 액추에이터(120)는 미구동 상태이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배터리(160)와 액추에이터(120) 사이의 전원공급경로는 후방 충돌 여부에 따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이어야 한다. 여기서 온(on) 상태는 배터리(160)의 전원이 액추에이터(120)로 공급될 수 있는 상태이고 오프(off) 상태는 전원이 차단되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후술하여 설명하겠지만 액추에이터(120)는 배터리(160)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고 충방전 기능이 있는 일정 용량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경로를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하도록 상기 전원공급경로에는 스위칭부(170)가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부(17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한다.
그리고 충돌감지센서(150)가 후방 충돌을 감지하면 충돌감지신호를 전달받고 스위칭부(170)를 온(on) 동작시키는 제어부(180)가 구성된다.
한편, 충돌감지센서(150), 스위칭부(170) 및 제어부(180)는 각각 별도의 소자로 구성됨을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구성들을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모듈화하여 구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승객 보호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체적으로 보면 충돌감지센서(150), 배터리(160), 스위칭부(170), 제어부(180) 및 헤드 레스트(11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120)를 포함하면서, 배터리(160) 전원이 스위칭부(170)를 통해 액추에이터(120)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경로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충돌감지센서(150)가 후방 충돌을 감지하면 닫힘(close) 동작하는 스위칭부(170)가 연결된다. 즉 충돌감지센서(150)가 충돌을 감지하면 그에 따른 충돌감지신호는 제어부(180)로 전달되고, 제어부(180)가 스위칭부(170)을 닫힘 동작시키는 것이다. 스위칭부(170)가 닫힘 동작되는 것은 온(on)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조건을 말한다. 이처럼 스위칭부(170)는 충돌감지센서(150)와 대응되어 액추에이터(120)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스위칭 소자(200)의 예로 실시 예에서는 'MOSFET'가 사용된다.
스위칭부(170)에는 온(on) 동작시 배터리(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고,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 충전 전원을 액추에이터(120)로 공급하는 커패시터(172)가 제공된다. 즉 액추에이터(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패시터(172)의 충전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커패시터(172)는 MOSFET의 드레인과 소스단 사이에 연결된다.
스위칭부(170)와 배터리(160) 사이에는 역 전압 발생시에 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액추에이터(120)가 동작하지 않도록 역전압 다이오드(174)가 구비된다.
도 3은 도 1의 승객 보호 장치에 구비된 충돌감지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감지센서에는 내부가 진공인 조건을 제공하는 진공 하우징(152)이 제공된다. 진공 하우징(152)의 형상은 단면으로 봤을 때, 원형이나 다각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하우징(152)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리드 스위치가 어떠한 장애요인을 받지 않고 후술하는 자성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일부가 접촉 또는 접촉해제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진공 하우징(152)의 내부에는 리드 스위치(154a)(154b)가 설치된다. 리드 스위치(154a)(154b)는 진공 하우징(152)의 양 끝단에서 중앙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면서 끝단 일부('A')는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고,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리드 스위치(154a)(154b)의 재질은 모든 부분이 도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면에서 봤을 때 'A' 부분만 도체이고 나머지 부분은 비도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리드 스위치(154a)(154b)의 'A' 부분이 접촉된 상태를 온(on) 상태, 'A'부분이 서로 떨어진 상태를 오프(off) 상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온(on) 상태일 때 충돌감지신호가 발생한다.
진공 하우징(152)의 외주면에서 후방 충돌시 가속도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성체(156)가 구비된다. 자성체(156)는 진공 하우징(15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링(ring)의 중심을 향하여 자력이 항상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자성체(156)의 이동에 따라 압축 또는 복원되는 탄성체로, 예컨대 스프링(158)이 진공 하우징(152)의 외주면에 구성된다. 스프링(158)은 후방 충돌 발생시 자성체가 이동함에 따라 압축된 상태를 갖는다. 물론 자성체(156)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 스프링(158) 역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된다.
한편, 도 3의 충돌감지센서의 구성도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좌측은 차량의 전방, 우측은 차량의 후방을 가리킨다. 또한 진공 하우징(152) 및 스프링(158)은 별도의 브라켓 등에 고정되어 있고, 자성체(156)는 후방 충돌에 따라 진공 하우징(15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 보호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며, 이때 차량의 후방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와 후방에서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의 충돌시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평상시
이 경우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거나, 차량이 주차 및 정차한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다. 물론 차량 내에는 운전석이나 조수석 등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이다.
이처럼 후방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면, 충돌감지센서(150)의 자성체 (1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자성체(156)의 자력은 리드 스위치(154a)(154b)의 "A"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리드 스위치(154a)(154b)는 서로 이격된 상태이고, 아울러 스위칭부(170)도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액추에이터(120)는 충전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 상황으로써 어떠한 동작도 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후방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 오프 상태인 스위칭부(170)에 의하여 전원 루프는 개방된 상태가 되어 헤드 레스트(110)는 시트 백의 상단에서 고정된 자세로 있게 된다.
충돌시
이 경우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거나, 차량이 일시 주차 및 정차한 상태에서, 후방에서 차량이 추돌하는 경우이다.
차량의 후방에 다른 차량이 추돌하는 후방 충돌이 발생한다.
그러면 충돌감지센서(150)는 후방 충돌상태를 감지한다. 감지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감지센서(150)의 자성체(156)가 가속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58)을 압축하고, 따라서 자성체(156)의 중앙에 리드 스위치(154a)(154b)의 'A'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자성체(156)에는 항상 자력이 흐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 자력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리드 스위치는 휘어지게 되어 리드 스위치(154a)(154b)의 일부가 서로 접촉하는 온(on) 상태가 된다. 도면에서는 154a의 일부가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154b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자력 방향이 반대이면 154b의 일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면서 154a의 하면에 접촉될 것이다.
이와 같이 리드 스위치(154a)(154b)가 온 상태가 되면 충돌감지신호가 제어부(180)로 전달되고, 후속 동작으로 제어부(180)는 충돌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70)를 온(on) 시킨다.
그리고 스위칭부(170)가 온 되면 배터리(160)로부터 전원공급 루프가 형성되어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때 공급되는 전원은 액추에이터(120)로 직접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스위칭부(170)의 드레인과 소스 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172)에 전달되어 충전된다. 즉 액추에이터(12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커패시터(172)로 배터리 전원이 충전되고 그 충전이 완료되면, 그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 커패시터(172)에 충전된 전원은 액추에이터(120)로 공급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20)는 커패시터(172)로부터 방전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헤드 레스트(11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후방 충돌감지가 해제되면 스프링(158)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성체(156)는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즉 도 3과 같은 평상시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리드 스위치(154a)(154b)는 자성체(156)의 자력이 미치지 않게 되어 리드 스위치 154a와 154b는 서로 떨어지고,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액추에이터(120)는 미 구동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후방 충돌시 그 후방 충돌 여부를 자력에 의해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헤드 레스트 120 : 액추에이터
130 : 헤드 레스트 커넥터 140 : 시트 커넥터
150 : 충돌감지센서 152 : 진공 하우징
154a, 154b : 리드 스위치 156 : 자성체
158 : 스프링 160 : 배터리
170 : 스위칭부 172 : 커패시터
174 : 역전압 다이오드 180 : 제어부

Claims (4)

  1. 차량의 시트 백의 상단에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
    상기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
    상기 충돌감지센서가 차량의 후방 충돌을 감지하면 제어부에 의해 온(on)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가 온(on) 동작하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의 전원 충전이 완료된 시점에,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감지센서는, 하우징 내에 일부가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리드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구비된 탄성부재, 및 상기 차량의 후방 충돌시에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고 동시에 일 방향으로 흐르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의 일부가 접촉되게 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드 스위치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부가 도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마주보는 부분만 도체이고 나머지 부분은 비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내부가 진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승객 보호장치.
  4. 삭제
KR1020120085662A 2012-08-06 2012-08-06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KR10136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62A KR101363788B1 (ko) 2012-08-06 2012-08-06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62A KR101363788B1 (ko) 2012-08-06 2012-08-06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788B1 true KR101363788B1 (ko) 2014-02-14

Family

ID=5027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662A KR101363788B1 (ko) 2012-08-06 2012-08-06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7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130A (ja) * 1997-12-19 1999-10-12 Daimler Benz Ag 調節可能な車輛用シ―ト
KR100321419B1 (ko) * 1996-12-30 2002-06-22 이계안 자동차용헤드레스트
JP2007118934A (ja) 2005-10-27 2007-05-17 Keiper Gmbh & Co Kg クラッシュで作動するヘッドレスト
KR20110062356A (ko) * 2009-12-03 2011-06-10 이호일 목상해 방지시스템의 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419B1 (ko) * 1996-12-30 2002-06-22 이계안 자동차용헤드레스트
JPH11278130A (ja) * 1997-12-19 1999-10-12 Daimler Benz Ag 調節可能な車輛用シ―ト
JP2007118934A (ja) 2005-10-27 2007-05-17 Keiper Gmbh & Co Kg クラッシュで作動するヘッドレスト
KR20110062356A (ko) * 2009-12-03 2011-06-10 이호일 목상해 방지시스템의 센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856B2 (en) Head rests
US20090062989A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7350860B2 (en) Headrest apparatus
US20110291448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7902781B2 (en) Adjustment device for a motor vehicle seat
CN107878388B (zh) 车辆的乘员保护装置
KR101845570B1 (ko) 승객의 보호 및 고정을 위한 방법과 장치 및 보호 및 고정 장치용 평가 및 제어 유닛
US7390058B2 (en)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KR101363788B1 (ko) 차량의 승객 보호 장치
CN103171508A (zh) 一种用于车辆翻滚时的乘员保护系统
KR20100059563A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연동 시트백 에어백
JP5799985B2 (ja) 車両挙動制御装置
JPH05238336A (ja) バンパー内衝撃緩和装置
JP2001508169A (ja) 電気機械式加速度計
KR100569413B1 (ko) 차량의 전복 감지센서
JP5416963B2 (ja) 車両用保護機能付シート装置
CN108657107B (zh) 乘员保护装置
KR100410512B1 (ko) 자동차용 에어백시스템의 충돌감지장치
JPH03193536A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JP2018161968A (ja) 乗員保護装置
KR200222316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승객 보호장치
JP2004276677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0025454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전개 단속장치
KR200280029Y1 (ko) 에어백장치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 위치 감지장치
JP2541837Y2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