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674B1 -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 - Google Patents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674B1
KR101363674B1 KR1020117004217A KR20117004217A KR101363674B1 KR 101363674 B1 KR101363674 B1 KR 101363674B1 KR 1020117004217 A KR1020117004217 A KR 1020117004217A KR 20117004217 A KR20117004217 A KR 20117004217A KR 101363674 B1 KR101363674 B1 KR 10136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weight
alloy
steel alloy
imp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6628A (ko
Inventor
폴 엠 노보트니
Original Assignee
씨알에스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알에스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씨알에스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3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21D1/32Soft annealing, e.g. spheroidi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이 개시된다. 상기 강 합금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넓은 중량% 조성을 갖는다. 잔부에는, 유사한 용도 및 특성을 위해 생산된 상업용 등급의 강 합금에서 발견되는 보통의 불순물이 포함된다. 또한 매우 높은 강도 및 파괴 인성을 나타내는 경화 및 템퍼링된 물품이 개시된다. 이 물품은 전술한 넓은 중량% 조성을 갖는 합금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합금 물품은, 화씨 약 500 도 내지 화씨 600 도의 온도에서 템퍼링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HIGH STRENGTH, HIGH TOUGHNESS STEEL ALLOY}
본 발명은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인장 강도의 현저한 저하 없이 현저하게 더 높은 온도에서 템퍼링될 수 있는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고강도 고인성의 템퍼링된 강 물품에 관한 것이다.
매우 높은 강도 및 파괴 인성을 겸비하는 시효 경화성 마르텐사이트 강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강 중 일부는 미국 특허 제4,706,525호 및 미국 특허 제5,087,415호에 설명되어 있다. 전자는 AF1410 합금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후자는 등록 상표명 AERMET로 판매된다. 이들 합금이 나타내는 매우 높은 강도 및 인성의 겸비는, 상당량의 니켈, 코발트 및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이들 합금의 조성에 의한 결과이며, 상기 원소들은 보통 이용 가능한 최고가의 합금용 원소에 속한다. 결과적으로, 이들 강은 전술한 원소를 함유하지 않는 다른 합금에 비해 현저하게 프리미엄을 붙여 판매된다.
보다 최근에는, 코발트 및 몰리브덴과 같은 합금 첨가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고강도 및 고인성을 겸비하는 강 합금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한 가지 합금은 미국 특허 제7,067,019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 설명된 강 합금은, 코발트 및 몰리브덴을 배제한 기경성(air hardening) CuNiCr 강이다. 시험중에, 제7,067,019호 특허에서 설명되는 합금은 약 90 ksi√in의 파괴 인성과 함께 약 280 ksi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합금은 강도 및 인성을 겸비하기 위해 경화되고 템퍼링된다. 템퍼링 온도는, 합금의 연화 및 대응하는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화씨 약 400 도 이하로 제한된다.
제7,067,019호 특허에서 설명되는 합금은 스테인레스 강이 아니며, 이에 따라 부식에 견디기 위해 도금 처리되어야만 한다. 합금의 항공 용례에 있어서의 재료 상세내역에 따르면, 합금은 도금 과정 중에 흡착되는 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도금 이후에 적어도 23 시간 동안 화씨 375 도로 가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수소는, 합금을 무르게 하며 합금이 나타내는 인성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제거되어야만 한다. 이 합금은 화씨 400 도에서 템퍼링되기 때문에, 도금 이후에 23 시간 동안 화씨 375 도에서 행해지는 열처리는 합금으로 제작된 부품의 과도한 템퍼링을 초래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280 ksi의 인장 강도를 달성하지 못한다. 적어도 280 ksi의 인장 강도 및 약 90 ksi√in의 파괴 인성을 나타내도록 경화 및 템퍼링될 수 있으며, 적어도 23 시간 동안 화씨 약 375 도에서 가열될 때 강도 및 인성을 겸비하고 후속하여 경화되고 템퍼링되는 CuNiCr 합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 구체적으로 인장 강도의 현저한 저하 없이 현저하게 더 높은 온도에서 템퍼링될 수 있는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을 제공하고, 또한 고강도 고인성의 템퍼링된 강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지된 합금의 단점은 본 발명에 따른 합금에 의해 상당한 정도로 해소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후속하는 광범위한 중량% 조성 및 바람직한 중량% 조성을 갖는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이 마련된다.
원소 넓은 중량% 바람직한 중량%
C 0.35 내지 0.55 0.37 내지 0.50
Mn 0.6 내지 1.2 0.7 내지 0.9
Si 0.9 내지 2.5 1.3 내지 2.1
P 최대 0.01 최대 0.005
S 최대 0.001 최대 0.0005
Cr 0.75 내지 2.0 1.2 내지 1.5
Ni 3.5 내지 7.0 3.7 내지 4.5
Mo + 1/2 W 0.4 내지 1.3 0.5 내지 1.1
Cu 0.5 내지 0.6 0.5 내지 0.6
Co 최대 0.01 최대 0.01
V+(5/9)×Nb 0.2 내지 1.0 0.2 내지 1.0
철 잔부(balance) 잔부
잔부에는, 유사한 용도 및 특성을 위해 생산된 상업용 등급의 강 합금에서 발견되는 보통의 불순물이 포함된다. 이상의 중량% 범위 내에서, 2 ≤ (%Si + %Cu)/(%V + (5/9) × %Nb) ≤ 14를 만족하도록 실리콘, 구리 및 바나듐이 잔부를 구성한다.
이상의 표는 편의상 요약으로서 제시된 것이며,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개별 원소의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제한하려는 의도 또는 서로의 조합에 있어서 단독으로 사용하기 위한 원소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범위는 나머지 원소에 대한 다른 범위 중 하나 이상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넓은 조성 또는 바람직한 조성의 원소에 대한 최소값 또는 최대값은, 다른 바람직한 조성 또는 중간 조성에서 동일한 원소에 대한 최소값 또는 최대값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전술한 구성 원소를 포함하거나, 이들 원소로 구성되거나, 이들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거나, 또는 이들 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그리고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용어 "퍼센트" 또는 기호 "%"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중량% 또는 질량%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매우 높은 강도 및 파괴 인성을 나타내는 경화 및 템퍼링된 강 합금 물품이 마련된다. 이 물품은 전술한 넓은 중량% 조성 또는 바람직한 중량% 조성을 갖는 합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합금 물품은, 화씨 약 500 도 내지 화씨 600 도의 온도에서 템퍼링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은 적어도 약 0.35%의 탄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37%의 탄소를 함유한다. 탄소는, 합금이 높은 강도 및 경도 성능을 나타내는 데 기여한다. 탄소는 또한 이러한 합금의 템퍼링 저항에 대해 이익이 된다. 과도하게 많은 탄소는 합금이 나타내는 인성에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탄소는 약 0.55 %을 초과하지 않도록, 더욱 양호하게는 약 0.50 %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0.45 %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주로 합금에서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합금에는 적어도 약 0.6 %의 망간, 더욱 양호하게는 적어도 약 0.7 %의 망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8 %의 망간이 존재한다. 망간도 또한 합금이 나타내는 높은 강도에 이익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도하게 많은 망간이 존재한다면, 이 경우 경화 및 담금질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양의 오스테나이트가 남게 될 수 있으므로 합금이 나타내는 높은 강도가 악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합금은 약 1.2 % 이하의 망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0.9 % 이하의 망간을 함유한다.
실리콘은 이러한 합금의 경화능 및 템퍼링 저항에 이익이 된다. 따라서, 합금은 적어도 약 0.9 %의 실리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3 %의 실리콘을 함유한다. 과도하게 많은 실리콘은 합금의 경도, 강도 및 연성에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은 이러한 합금에서 약 2.5 %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2.1 %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크롬은 합금이 나타내는 양호한 경화능, 높은 강도 및 템퍼링 저항에 기여하기 때문에, 합금은 적어도 약 0.75 %의 크롬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합금은 적어도 약 1.0 %의 크롬, 그리고 더욱 양호하게는 적어도 약 1.2 %의 크롬을 함유한다. 합금에 약 2 %를 초과하는 크롬이 존재하면, 합금이 나타내는 충격 인성 및 연성에 악영향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크롬은 이 합금에서 약 1.5 %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리고 더욱 양호하게는 약 1.35 %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니켈은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이 나타내는 양호한 인성에 이익이 된다. 따라서, 합금은 적어도 약 3.5 %의 니켈,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7 %의 니켈을 함유한다. 이보다 많은 양의 니켈에 의한 이익은, 현저한 장점을 나타내지 못하면서 합금의 비용에 악영향을 준다. 합금 비용의 상한을 제한하기 위해, 니켈은 이러한 합금에서 약 7 %를 초과하지 않도록,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4.5 %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몰리브덴은, 이러한 합금이 나타내는 템퍼링 저항에 이익이 되는 탄화물 생성원소(carbide former)이다. 몰리브덴이 존재하면, 화씨 약 500 도에서 부차적인 경화 효과가 달성되도록 합금의 템퍼링 온도를 높여준다. 몰리브덴은 또한 합금이 나타내는 강도 및 파괴 인성에 기여한다. 몰리브덴에 의해 나타나는 이익은, 합금이 적어도 약 0.4 %의 몰리브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5 %의 몰리브덴을 함유할 때 구현된다. 니켈과 마찬가지로, 몰리브덴은 더욱 많은 양의 몰리브덴을 추가함에 따른 현저한 비용 상승에 비해 특성상 장점을 향상시키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합금은 약 1.3 % 이하의 몰리브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1.1 % 이하의 몰리브덴을 함유한다. 텅스텐은 이 합금에서 몰리브덴 중 일부 또는 몰리브덴 전체를 대체할 수 있다. 텅스텐은, 존재하는 경우, 2 : 1을 기준으로 몰리브덴을 대체한다. 합금이 약 0.01 % 미만의 몰리브덴을 함유할 때, 합금이 나타내는 템퍼링 저항, 강도 및 인성에 대해 이익을 얻기 위해, 약 0.8 내지 약 2.6 %,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2 %의 텅스텐이 포함된다.
이러한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5 %의 구리를 함유하며, 이는 합금의 경화능 및 충격 인성에 기여한다. 과도하게 많은 구리는 합금 기재(matrix)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양의 유리된 구리의 침전을 초래할 수 있으며, 합금의 파괴 인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 합금에는 약 0.6 % 이하의 구리가 존재한다.
바나듐은, 이 합금이 나타내는 높은 강도 및 양호한 경화능에 기여한다. 바나듐은 또한 탄화물 생성원소이며, 합금에서 과립 정제(grain refinement)에 도움이 되고 합금의 템퍼링 저항 및 부차적인 경화에 이익이 되는 탄화물의 형성을 촉진한다. 이러한 이유로,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0.25 %의 바나듐을 함유한다. 과도하게 많은 바나듐은 합금의 강도에 악영향을 주는데, 합금에 더 많은 양의 탄화물이 형성되면 합금 기재 재료로부터 탄소를 고갈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합금은 약 0.35 % 이하의 바나듐을 함유한다. 바나듐과 마찬가지로 니오브는 탄소와 결합하여 합금의 템퍼링 저항 및 경화능에 이익이 되는 M4C3 탄화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니오브는 이 합금에서 바나듐 중 일부 또는 바나듐 전체를 대체할 수 있다. 니오브는, 존재하는 경우, 1.8 : 1을 기준으로 바나듐을 대체한다. 바나듐이 약 0.01 %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될 때, 합금은 약 0.2 내지 약 1.0 %의 니오브를 함유한다.
이러한 합금은 또한, 황의 제거를 돕고 이에 따라 합금이 나타내는 파괴 인성에 이익이 되도록, 합금의 용융 중에 첨가물로부터 유지되는 최대 약 0.005 %의 소량의 칼슘을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 구리, 바나듐 및 존재한다면 니오브는, 바람직하게는 이 합금의 특징을 결정하는 강도 및 인성의 새로운 조합에 이익이 되도록 각각의 전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잔부를 구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율 (%Si + %Cu)/(%V + (5/9) × %Nb)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4이고, 더욱 양호하게는 약 6 내지 12이다. 합금에 존재하는 실리콘, 구리 및 바나듐의 양이 이 비율에 따라 잔부를 구성하면, 무른 상(brittle phase) 및 불순 원소(tramp element)가 과립 경계에 형성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합금의 과립 경계가 강화된다고 판단된다.
합금의 잔부는 주로 철 그리고 상업적 등급의 유사한 합금 및 강에서 발견되는 보통의 불순물이다. 이와 관련하여,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 % 이하의 인, 더욱 양호하게는 약 0.005 % 이하의 인을 함유하며, 약 0.001 % 이하의 황, 더욱 양호하게는 약 0.0005 % 이하의 황을 함유한다.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 % 이하의 코발트를 함유한다. 티타늄은 산소 제거용 첨가물로부터 잔류량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0.01 %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상의 중량% 범위 내에서, 전술한 원소는 다양한 레벨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도록 잔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약 0.38%의 C, 0.84%의 Mn, 1.51%의 Si, 1.25%의 Cr, 3.78%의 Ni, 0.50%의 Mo, 0.55%의 Cu, 0.29%의 V, 및 주로 Fe인 잔부를 함유하는 합금 조성은, 화씨 약 500 도에서 3 시간 동안 템퍼링된 이후에 80 ksi√in를 초과하는 파괴 인성 KIc와 함께 290 ksi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 0.40%의 C, 0.84%의 Mn, 1.97%의 Si, 1.26%의 Cr, 3.78%의 Ni, 1.01%의 Mo, 0.56%의 Cu, 0.30%의 V, 및 주로 Fe인 잔부를 함유하는 합금 조성은, 화씨 약 500 도에서 3 시간 동안 템퍼링된 이후에 60 ksi√in를 초과하는 파괴 인성 KIc와 함께 310 ksi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약 0.50%의 C, 0.69%의 Mn, 1.38%의 Si, 1.30%의 Cr, 3.99%의 Ni, 0.50%의 Mo, 0.55%의 Cu, 0.29%의 V, 및 주로 Fe인 잔부를 함유하는 합금 조성은, 화씨 약 300 도에서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1
시간 동안 그리고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2
시간 동안 템퍼링된 이후에 30 ksi√in를 초과하는 파괴 인성 KIc와 함께 340 ksi를 초과하는 인장 강도를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합금을 제작하기 위해 특수한 용융 기법은 필요하지 않다.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진공 유도 용융(VIM; Vacuum Induction Melted)되며, 중요한 용례에 있어서 필요하다면 진공 아크 재용융(VAR; Vacuum Arc Remelting)을 이용하여 정제된다. 합금은 또한 공기 중에서 아크 용융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공기 용융 이후에,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일렉트로슬래그 재용융(ESR; ElectroSlag Remelting) 또는 VAR에 의해 정제된다.
본 발명의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화씨 약 2100 도인 온도로부터 열간 가공되어 빌릿(billet) 및 바아와 같은 다양한 중간 제품 형태를 형성한다.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45 분 동안 화씨 약 1585 도 내지 화씨 약 1635 도에서 오스테나이트화에 의해 열처리된다. 다음으로 합금은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로부터 공냉되거나 기름 담금질(oil quenching)된다.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 시간 동안 화씨 영하 100 도 또는 화씨 영하 320 도까지 강력하게 냉각되고, 이후 공기 중에서 가온된다.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화씨 약 500 도에서 템퍼링되며, 이후 공냉된다. 합금은, 강도 및 인성의 최적의 조합이 요구되지 않을 때에는 최대 화씨 600 도에서 템퍼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금은 광범위한 용례에서 유용하다. 합금의 매우 높은 강도 및 양호한 파괴 인성 때문에, 이러한 합금은 기계가공 툴(tool) 요소 그리고 또한 랜딩 기어를 비롯한 항공기용 구조 요소에서 유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합금은 또한 구조 부재, 구동 샤프트, 스프링 및 크랭크샤프트를 포함하지만 이로써 한정되지는 않는 자동차용 요소를 위해 유용하다. 합금은 또한 장갑 플레이트, 시트 및 바아에서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 구체적으로 인장 강도의 현저한 저하 없이 현저하게 더 높은 온도에서 템퍼링될 수 있는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고강도 고인성의 템퍼링된 강 물품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평가를 위해 7개의 35 lb VIM 히트(heat)가 제작되었다. 이들 히트의 중량% 조성은 이하의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모든 히트는 초청정 원료를 이용하여 용융되었으며 탈황용 첨가물로서 칼슘을 사용하였다. 히트는 4 인치의 정사각 잉곳으로서 캐스팅되었다. 잉곳은 화씨 약 2100 도의 개시 온도로부터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3
인치의 정사각 바아로 단조되었다. 바아는 이보다 짧은 길이로 절단되었으며, 짧은 길이의 바아의 절반은 화씨 2100 도의 개시 온도로부터 다시 1 인치의 정사각 바아로 추가 단조되었다. 1 인치의 정사각 바아는, 훨씬 더 짧은 길이로 절단되었으며, 화씨 2100 도로부터 3/4 인치의 정사각 바아로 단조되었다.
3/4 인치의 정사각 바아 및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4
인치의 정사각 바아의 나머지는 6 시간 동안 화씨 1050 도에서 어닐링되었으며, 다음으로 공기 중에서 실온으로 냉각되었다. 인장 시험을 위한 표준 시편 및 샤르피 V-노치 충격 시험을 위한 표준 시편은 각각의 히트의 3/4 인치 바아로부터 준비되었다. 파괴 인성 시험을 위한 표준 컴팩트 인장 블록은 각각의 히트의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5
인치 정사각 바아로부터 준비되었다. 모든 시편은 30 분 동안 화씨 1585 도에서 열처리되었으며, 다음으로 공냉되었다. 시험 시편은 다음으로 1 시간 동안 화씨 영하 100 도에서 냉각되었고, 공기 중에서 실온으로 가온되었다. 각각의 히트의 한 쌍의 시편은 이때 3 시간 동안 각각의 온도에서 유지함으로써 3가지 상이한 온도, 즉 화씨 400 도, 화씨 500 도 및 화씨 600 도 중 하나에서 템퍼링되었다. 템퍼링된 시편은 다음에 실온으로 공냉되었다.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6
0.2 % 오프셋 항복 강도(Y.S) 및 ksi 단위의 최대 인장 강도(U.T.S.), % 신장율(Elong.), % 단면 감소(R.A.), ft-lbs 단위의 샤르피 V-노치 충격 에너지(CVN I.E) 및 ksi√in 단위의 KIc 파괴 인성을 포함하는, 템퍼링된 시편에 대한 기계적 시험, 샤르피 V-노치 시험 및 파괴 인성 시험의 결과는, 아래의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7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8
Figure 112011013169466-pct00009
표 2에 제시된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합금에 따른 중량% 조성을 갖는 히트 1484가, 화씨 500 도에서 템퍼링한 이후에 280 ksi의 인장 강도 및 적어도 90 ksi√in의 파괴 인성을 나타내는 유일한 합금 조성이라는 것을 보이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채용되는 용어 및 표현은 설명을 위해 사용되며 한정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 및 표현의 사용에 있어서, 제시되고 설명된 특징의 임의의 등가물 또는 그 일부를 배제하려는 의도는 없다. 설명되고 본 명세서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6)

  1. 양호한 템퍼링 저항을 갖는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으로서, 상기 강 합금은 중량%로
    C 0.35 내지 0.55
    Mn 0.6 내지 1.2
    Si 0.9 내지 2.5
    Cr 0.75 내지 2.0
    Ni 3.5 내지 7.0
    Mo + 1/2 W 0.4 내지 1.3
    Cu 0.5 내지 0.6 및
    V+(5/9)×Nb 0.2 내지 1.0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잔부는 철 및 보통의 불순물이며, 상기 불순물은 최대 0.01 중량%의 인, 최대 0.001 중량%의 황, 및 최대 0.01 중량%의 코발트를 포함하고, 2 ≤ (%Si + %Cu)/(%V + (5/9) × %Nb) ≤ 14인 것인 강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0.5 내지 1.1 중량%의 Mo + 1/2 W를 함유하고, 6 ≤ (%Si + %Cu)/(%V + (5/9) × %Nb) ≤ 12인 것인 강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0.4 내지 1.3 중량%의 몰리브덴 및 0.25 내지 0.35 중량%의 바나듐을 함유하는 강 합금.
  4. 제1항에 있어서, 0.8 내지 2.6 중량%의 텅스텐 및 0.2 내지 1.0 중량%의 니오브를 함유하는 강 합금.
  5. 제1항에 있어서, 0.5 내지 1.1 중량%의 몰리브덴 및 0.25 내지 0.35 중량%의 바나듐을 함유하는 강 합금.
  6. 제1항에 있어서, 1.0 내지 2.2 중량%의 텅스텐 및 0.2 내지 1.0 중량%의 니오브를 함유하는 강 합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0.37 중량% 내지 0.55 중량%의 탄소를 함유하는 강 합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0.35 중량% 내지 0.45 중량%의 탄소를 함유하는 강 합금.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3 중량% 내지 2.5 중량%의 실리콘을 함유하는 강 합금.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0.9 중량% 내지 2.1 중량%의 실리콘을 함유하는 강 합금.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3.7 중량% 내지 7.0 중량%의 니켈을 함유하는 강 합금.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3.5 중량% 내지 4.2 중량%의 니켈을 함유하는 강 합금.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1.2 중량% 내지 2.0 중량%의 크롬을 함유하는 강 합금.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0.75 중량% 내지 1.35 중량%의 크롬을 함유하는 강 합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합금은 중량%로
    C 0.37 내지 0.50
    Mn 0.7 내지 0.9
    Si 1.3 내지 2.1
    Cr 1.0 내지 1.5
    Ni 3.7 내지 4.5
    Mo + 1/2 W 0.5 내지 1.1
    Cu 0.5 내지 0.6 및
    V+(5/9)×Nb 0.2 내지 1.0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잔부는 철 및 보통의 불순물이며, 상기 불순물은 최대 0.005 중량%의 인, 최대 0.0005 중량%의 황, 및 최대 0.01 중량%의 코발트를 포함하고, 6 ≤ (%Si + %Cu)/(%V + (5/9) × %Nb) ≤ 12인 것인 강 합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합금은 중량%로
    탄소 0.37 내지 0.45
    망간 0.7 내지 0.9
    실리콘 1.3 내지 2.1
    크롬 1.2 내지 1.35
    니켈 3.7 내지 4.2
    몰리브덴 0.5 내지 1.1
    구리 0.5 내지 0.6 및
    바나듐 0.25 내지 0.35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잔부는 철 및 보통의 불순물이며, 상기 불순물은 최대 0.005 중량%의 인, 최대 0.0005 중량%의 황, 및 최대 0.01 중량%의 코발트를 포함하고, 6 ≤ (%Si + %Cu)/%V ≤ 12인 것인 강 합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합금은 중량%로
    탄소 0.35 내지 0.5
    망간 0.6 내지 1.2
    실리콘 0.9 내지 2.5
    크롬 1.0 내지 1.5
    니켈 3.5 내지 4.5
    몰리브덴 0.4 내지 1.3
    구리 0.5 내지 0.6 및
    바나듐 0.25 내지 0.35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잔부는 철 및 보통의 불순물이며, 상기 불순물은 최대 0.01 중량%의 인, 최대 0.001 중량%의 황, 및 최대 0.01 중량%의 코발트를 포함하고, 2 ≤ (%Si + %Cu)/%V ≤ 14인 것인 강 합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합금은 중량%로
    C 0.35 내지 0.50
    Mn 0.6 내지 1.2
    Si 0.9 내지 2.5
    Cr 0.75 내지 2.0
    W 0.8 내지 2.6
    Cu 0.5 내지 0.6 및
    Nb 0.2 내지 1.0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잔부는 철 및 보통의 불순물이며, 상기 불순물은 최대 0.01 중량%의 인, 최대 0.001 중량%의 황, 최대 0.01 중량%의 코발트 및 최대 0.01 중량%의 바나듐을 포함하고, 2 ≤ (%Si + %Cu)/%Nb ≤ 14인 것인 강 합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 합금은 중량%로
    C 0.37 내지 0.50
    Mn 0.7 내지 0.9
    Si 1.3 내지 2.1
    Cr 1.0 내지 1.5
    Ni 3.7 내지 4.5
    W 1.0 내지 2.2
    Cu 0.5 내지 0.6 및
    Nb 0.2 내지 1.0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잔부는 철 및 보통의 불순물이며, 상기 불순물은 최대 0.005 중량%의 인, 최대 0.0005 중량%의 황, 최대 0.01 중량%의 코발트 및 최대 0.01 중량%의 바나듐을 포함하고, 6 ≤ (%Si + %Cu)/%Nb ≤ 12인 것인 강 합금.
  20. 경화 및 템퍼링된 합금 물품으로서, 상기 합금 물품은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강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금 물품.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KR1020117004217A 2008-07-24 2009-06-17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 KR101363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24908P 2008-07-24 2008-07-24
US61/083,249 2008-07-24
US17209809P 2009-04-23 2009-04-23
US61/172,098 2009-04-23
PCT/US2009/047636 WO2010011447A2 (en) 2008-07-24 2009-06-17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steel all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628A KR20110036628A (ko) 2011-04-07
KR101363674B1 true KR101363674B1 (ko) 2014-02-14

Family

ID=4106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217A KR101363674B1 (ko) 2008-07-24 2009-06-17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20100018613A1 (ko)
EP (1) EP2313535B8 (ko)
JP (1) JP5868704B2 (ko)
KR (1) KR101363674B1 (ko)
CN (1) CN102165086B (ko)
AR (1) AR072388A1 (ko)
BR (1) BRPI0911732B1 (ko)
CA (1) CA2731754C (ko)
IL (1) IL210783A0 (ko)
MX (1) MX2011000918A (ko)
RU (1) RU2482212C2 (ko)
TW (1) TWI440723B (ko)
WO (1) WO20100114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5011A1 (en) * 2008-07-24 2011-07-07 Novotny Paul M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steel alloy
JP6225105B2 (ja) 2011-04-15 2017-11-01 フェデラル−モーグル・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Federal−Mogul Llc ピストンの製造方法
DE102012111679A1 (de) * 2012-01-19 2013-07-25 Gesenkschmiede Schneider Gmbh Niedrig legierter Stahl und damit hergestellte Bauteile
US9499890B1 (en) 2012-04-10 2016-11-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igh-strength, high-toughness steel articles for ballistic and cryogenic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3451568A (zh) * 2013-08-02 2013-12-18 安徽三联泵业股份有限公司 高碳不锈钢叶轮轴不锈钢材料及其制造方法
CN104674121B (zh) * 2015-03-10 2017-03-0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抗弹性装甲用钢板及其制造方法
KR102245002B1 (ko) 2020-02-28 2021-04-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양극활물질 전구체 재료 및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KR102242170B1 (ko) 2020-02-28 2021-04-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양극활물질 전구체 재료 및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WO2021208181A1 (zh) * 2020-04-14 2021-10-21 北京科技大学 一种低温高韧高温高强及高淬透性热模钢及制备技术
CN113249645B (zh) * 2021-04-13 2022-02-25 北京科技大学 一种高延性超高强韧钢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433A (ko) * 2001-12-14 2004-09-21 엠엠에프엑스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3상 나노 복합 강
KR20040092565A (ko) * 2003-04-24 2004-11-04 예병준 주강합금 및 이를 소재로 한 고강도, 고인성의 오스템퍼드고탄소강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3905A (en) * 1970-06-16 1973-01-30 Carpenter Technology Corp Deep air-hardened alloy steel article
SU922173A1 (ru) * 1980-04-22 1982-04-23 Москов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Институт Стали И Сплавов Штампова сталь
JPH0765141B2 (ja) * 1985-09-18 1995-07-12 日立金属株式会社 熱間加工用工具鋼
JPH04143253A (ja) * 1990-10-04 1992-05-18 Kobe Steel Ltd 転動疲労特性に優れた軸受用鋼
US5458703A (en) * 1991-06-22 1995-10-17 Nippon Koshuha Steel Co., Ltd. Tool steel production method
CN1088998A (zh) * 1992-12-31 1994-07-06 北京科技大学 高韧性高强度石油管用钢
AU663023B2 (en) * 1993-02-26 1995-09-21 Nippon Steel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bainitic steel rails with excellent rolling-contact fatigue resistance
JP2912123B2 (ja) * 1993-07-22 1999-06-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表面損傷性に優れた高強度・高靭性ベイナイト系レールの製造法
JPH06248347A (ja) * 1993-02-26 1994-09-06 Nippon Steel Corp ベイナイト組織を呈し耐表面損傷性に優れた高強度レールの製造法
FR2727431B1 (fr) * 1994-11-30 1996-12-27 Creusot Loire Procede d'elaboration d'un acier au titane et acier obtenu
SE507851C2 (sv) * 1996-06-25 1998-07-20 Uddeholm Tooling Ab Användning av ett stål som material för skärverktygshållare
US6187261B1 (en) * 1996-07-09 2001-02-13 Modern Alloy Company L.L.C. Si(Ge)(-) Cu(-)V Universal alloy steel
JP3457498B2 (ja) * 1997-04-17 2003-10-2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pc鋼棒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99803A (ja) * 1997-04-22 1998-11-13 Kobe Steel Ltd 耐環境脆性の良好な高強度ばね
EP0928835A1 (en) * 1998-01-07 1999-07-14 Modern Alloy Company L.L.C Universal alloy steel
CN1086743C (zh) * 1998-01-14 2002-06-26 新日本制铁株式会社 具有高抗表面疲劳损伤性和高耐磨性的贝氏体钢钢轨
FR2780418B1 (fr) * 1998-06-29 2000-09-08 Aubert & Duval Sa Acier de cementation a temperature de revenu eleve, procede pour son obtention et pieces formees avec cet acier
CA2323952A1 (en) * 1999-01-28 2000-08-03 Yasutaka Okada Machine structural steel product
JP2003027181A (ja) * 2001-07-12 2003-01-29 Komatsu Ltd 高靭性耐摩耗用鋼
JP2003105485A (ja) * 2001-09-26 2003-04-09 Nippon Steel Corp 耐水素疲労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ばね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2004028575D1 (de) * 2003-01-24 2010-09-23 Ellwood Nat Forge Co eglin stahl- eine niedriglegierte hochfeste zusammensetzung
US7067019B1 (en) * 2003-11-24 2006-06-27 Malltech, L.L.C. Alloy steel and article made therefrom
JP5344454B2 (ja) * 2005-11-21 2013-11-20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温間加工用鋼、その鋼を用いた温間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鋼材ならびに鋼部品
RU2297460C1 (ru) * 2006-04-05 2007-04-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жевский опытн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тяженного,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изделия из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высокопрочной стали, изделие из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высокопрочной стали
JP2008138241A (ja) * 2006-11-30 2008-06-19 Jfe Steel Kk 耐疲労損傷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パーライト鋼レ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433A (ko) * 2001-12-14 2004-09-21 엠엠에프엑스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3상 나노 복합 강
KR20040092565A (ko) * 2003-04-24 2004-11-04 예병준 주강합금 및 이를 소재로 한 고강도, 고인성의 오스템퍼드고탄소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2706B2 (en) 2019-11-12
CA2731754A1 (en) 2010-01-28
MX2011000918A (es) 2011-04-11
RU2482212C2 (ru) 2013-05-20
US20100018613A1 (en) 2010-01-28
RU2011106360A (ru) 2012-08-27
WO2010011447A3 (en) 2010-03-18
AR072388A1 (es) 2010-08-25
TWI440723B (zh) 2014-06-11
US20190249281A1 (en) 2019-08-15
EP2313535B8 (en) 2021-09-29
BRPI0911732A2 (pt) 2015-10-06
WO2010011447A2 (en) 2010-01-28
BRPI0911732B1 (pt) 2018-07-24
CA2731754C (en) 2015-11-03
EP2313535A2 (en) 2011-04-27
KR20110036628A (ko) 2011-04-07
CN102165086A (zh) 2011-08-24
US20130146182A1 (en) 2013-06-13
EP2313535B1 (en) 2021-07-28
JP5868704B2 (ja) 2016-02-24
IL210783A0 (en) 2011-03-31
CN102165086B (zh) 2017-02-08
US20180030579A1 (en) 2018-02-01
JP2011529137A (ja) 2011-12-01
TW201009095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674B1 (ko) 고강도 고인성 강 합금
EP2841612A2 (en) High strength, high toughness steel alloy
KR20170088439A (ko) 내부식성 조질강 합금
KR101696967B1 (ko) 고강도 고인성 강합금
JP2004503677A (ja) スチール合金、プラスチック成形工具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工具用の強靭焼入れブランク
WO2007058759A1 (en) Ultra-high strength martensitic alloy
KR20100135242A (ko) 고강도, 고인성 및 내피로성의 석출 경화형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US11702714B2 (en) High fracture toughness, high strength, precipitation hardenable stainless steel
CN115667570B (zh) 高断裂韧性、高强度、沉淀硬化型不锈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