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191B1 -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191B1
KR101363191B1 KR1020127005709A KR20127005709A KR101363191B1 KR 101363191 B1 KR101363191 B1 KR 101363191B1 KR 1020127005709 A KR1020127005709 A KR 1020127005709A KR 20127005709 A KR20127005709 A KR 20127005709A KR 101363191 B1 KR101363191 B1 KR 10136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main rope
elastic coating
coating body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244A (ko
Inventor
마사히코 히다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소켓에는,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로프가 접속되어 있다. 소켓의 외주부에는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소켓의 외주부는 탄성피복체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탄성피복체의 내주부에는 탄성피복체가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켓 측 끼워맞춤부에 끼우는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MAIN-ROPE FASTEN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체(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이나 균형추 등)를 매다는 메인로프가 접속되는 소켓을 가지고, 승강체나 승강로 내의 고정부재 등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메인로프 고정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늘어놓아 장착하고, 각 메인로프 고정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접속한 복수의 메인로프로 엘리베이터칸을 매단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각 메인로프 고정플레이트는 메인로프의 단부가 접속되는 소켓을 가지고 있다. 또, 각 메인로프 고정플레이트는 스프링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이 승강될 때에 각 메인로프 고정플레이트가 기울어져 소켓끼리가 접촉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종래, 소켓끼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켓의 폭치수보다도 큰 치수를 가지는 탄성블록을 각 메인로프에 장착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탄성블록은 메인로프 고정플레이트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메인로프 고정플레이트가 기울었을 때에는, 탄성블록끼리가 먼저 접촉함으로써 소켓끼리의 접촉이 방지된다(특허문헌 1 참조).
또, 종래, 소켓끼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소재로 모든 소켓의 외주면을 코팅한 엘리베이터용 로프장치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143435호 공보
그러나, 각 메인로프에 탄성블록을 장착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장치에서는, 탄성블록을 메인로프에 장착하기 위해서 장착도구(예를 들면 볼트 등)가 필요하게 되므로, 탄성블록의 장착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드는 것과 아울러, 비용도 증대해 버린다.
또, 모든 소켓의 외주면을 탄성소재로 코팅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장치에서는, 미끄러지기 어려운 탄성소재끼리의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탄성소재의 위치가 어긋나 탄성소재가 소켓으로부터 탈락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켓끼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소켓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는,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로프가 접속되고,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외주부에 마련된 소켓 및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켓 측 끼워맞춤부에 끼우는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가 내주부에 형성되는 탄성피복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에서는, 소켓 측 끼워맞춤부가 소켓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탄성피복체가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소켓 측 끼워맞춤부에 끼우는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가 탄성피복체의 내주부에 형성되므로, 서로 인접하는 소켓끼리의 접촉을 탄성피복체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소켓끼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소켓에 장착된 탄성피복체끼리가 접촉해도, 소켓에 대한 탄성피복체의 변위를 소켓 측 끼워맞춤부에 의해 저지할 수 있어, 소켓에 대한 탄성피복체의 위치를 벗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켓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피복체를 소켓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도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메인로프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메인로프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켓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의 탄성피복체가 소켓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의 소켓 및 탄성피복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탄성피복체가 소켓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승강체)(2) 및 균형추(승강체)(3)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구동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4)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구동장치 본체)(5)와, 권상기 본체(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쉬브(6)를 가지고 있다. 구동쉬브(6)에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7)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각 메인로프(7)에 의해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칸(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8)가 마련되며, 균형추(3)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배치된 고정빔(10)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빔(10)에는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11), 균형추 측 리턴쉬브(12), 한 쌍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3, 14)가 장착되어 있다.
각 메인로프 고정장치(13, 14)의 각각은 각 메인로프(7)가 개별적으로 접속된 금속제의 복수의 소켓(15)과, 각 소켓(15)이 개별적으로 장착되고, 고정빔(10)에 마련된 관통구멍에 통과된 금속제의 복수의 로드(16)와, 로드(16)의 단부(상단부)에 마련된 스프링 받이부(16a)와 고정빔(10)과의 사이에서 수축되며, 메인로프(7)로부터의 힘을 받는 복수의 스프링(탄성체)(17)을 가지고 있다.
각 메인로프(7)의 일단부는 한쪽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3)의 각 소켓(15)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로프(7)의 타단부는 다른 쪽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4)의 각 소켓(15)에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로프(7)는 한쪽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3)로부터 각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8), 엘리베이터칸 측 리턴쉬브(11), 구동쉬브(6), 균형추 측 리턴쉬브(12)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9)의 순서로 감기며, 다른 쪽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4)에 이르고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의 매닮 방식은 2:1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구동쉬브(6)가 회전됨으로써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도 2는 도 1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3)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메인로프 고정장치(14)의 구성도, 메인로프 고정장치(13)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면에서, 각 로드(16)는 서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다. 따라서, 각 소켓(15)도 각 로드(16) 사이의 간격에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다. 각 로드(16)는 스프링(17)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가 승강되면, 각 소켓(15)끼리의 거리가 변화하는 방향으로 기우는 경우가 있다.
소켓(15)의 지름방향 단면적(로드(16)의 중심축선 A(도 3)에 수직인 단면에서의 면적)은 소켓(15)의 중간부에서 가장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소켓(15)의 외주부 가운데, 로드(16)의 중심축선 A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분인 지름방향 꼭대기부(15a)는 소켓(15)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소켓(15)에는 메인로프(7)가 통과되는 메인로프 통과구멍(18)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로프 통과구멍(18)은 소켓(15)의 선단부(소켓(15)의 로드(16)로부터 떨어진 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메인로프 측 개구부(18a)와, 지름방향 꼭대기부(15a)보다도 로드(16)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 로드 측 개구부(18b)를 가지고 있다. 메인로프 통과구멍(18)의 지름방향 단면적은 소켓(15)의 선단부에서 가장 작게 되어 있으며, 로드(16)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메인로프 통과구멍(18) 내에는 웨지(쐐기)(19)가 로드 측 개구부(18b)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메인로프(7)는 웨지(19)의 외주부에 감겨짐으로써 반전되고 있다. 메인로프(7)의 웨지(19)에 감겨진 부분이 웨지(19)와 함께 메인로프 통과구멍(18) 내로 당겨 넣어짐으로써, 메인로프(7)가 메인로프 통과구멍(18)의 내면과 웨지(19)와의 사이에서 물려 들어가 있다. 메인로프(7)는 메인로프 통과구멍(18)의 내면과 웨지(19)와의 사이에 물려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소켓(15)에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소켓(15)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소켓(15)의 외주부에는 소켓(15)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0)가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0)는 소켓(15)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켓(15)을 둘러싸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볼록부(20)는 소켓(15)의 중간부와 선단부와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드(16)의 중심축선 A로부터 볼록부(20)의 돌출 단부까지의 거리 D1은 로드(16)의 중심축선 A로부터 소켓(15)의 지름방향 꼭대기부(15a)까지의 거리 D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소켓(15)의 외주부는 신축 가능한 탄성재료(예를 들면 고분자 재료인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된 관 모양의 탄성피복체(21)에 의해 볼록부(20)와 함께 피복되어 있다. 소켓(15)의 외주부 가운데, 탄성피복체(21)에 의해서 피복되는 부분은 로드(16)가 기울었을 때에 소켓(15)끼리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탄성피복체(21)는, 소켓(15)의 외주부 가운데, 지름방향 꼭대기부(15a)를 포함하는 소켓(15)의 중간부로부터 소켓(15)의 선단부까지의 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탄성피복체(21)는 소켓(15)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넓혀진 상태에서 소켓(15)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탄성피복체(21)는 소켓(15)을 체결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고, 이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소켓(15)의 외주부에 유지되어 있다.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는 탄성피복체(21)가 소켓(15)에 의해서 넓혀짐으로써 탄성변형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피복체(21)가 소켓(15)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피복체(21)가 볼록부(20)의 형상에 따라서 탄성변형됨으로써,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22)가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로서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에 장착할 때의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탄성피복체(21)는 소켓(15)에 메인로프(7)를 접속하기 전에 소켓(15)에 장착된다.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탄성피복체(21)의 탄성복원력에 거슬러, 탄성피복체(21)의 개구부분을 넓히면서, 소켓(15)을 탄성피복체(21) 내에 삽입한다. 이 후, 탄성피복체(21)의 개구부분을 줄여, 탄성피복체(21)를 탄성적으로 수축시킨다. 이것에 의해, 소켓(15)의 외주부가 탄성피복체(21)에 의해서 피복된다. 이 때,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는 탄성피복체(21)의 탄성변형에 의해 볼록부(20)의 형상에 따라서 형성된 오목부(22)가 생긴다.
메인로프(7)의 소켓(15)으로의 접속은 소켓(15)에 탄성피복체(21)를 피복한 후에 행한다. 또한,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에 장착하는 작업은 제조공장 내에서 행해도 되고, 엘리베이터의 설치현장에서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에서는, 볼록부(소켓 측 끼워맞춤부)(20)가 소켓(15)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탄성피복체(21)가 소켓(15)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있는 상태에서,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피복체 측 끼워맞춤부)(22)가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형성되므로, 서로 인접하는 소켓(15)끼리의 접촉을 탄성피복체(21)에 의해 방지할 수 있어, 소켓(15)끼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소켓(15)에 장착된 탄성피복체(21)끼리가 접촉해도, 소켓(15)에 대한 탄성피복체(21)의 변위를 볼록부(20)로 저지할 수 있어, 소켓(15)에 대한 탄성피복체(21)의 위치를 벗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켓(15)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21)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도구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탄성피복체(21)의 설치 스페이스를 현격히 작게 할 수 있어, 메인로프 고정장치 전체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탄성피복체(21)는 소켓(15)을 체결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고, 이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소켓(15)의 외주부에 유지되므로, 소켓(15)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21)의 탈락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볼록부(20)가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소켓(15)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22)가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로서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생기도록 되어 있지만, 오목부를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소켓(15)의 외주부에 형성하고, 오목부에 끼우는 볼록부가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로서 탄성피복체(21)의 탄성변형에 의해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생기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소켓(15)의 외주부의 일부만이 탄성피복체(21)에 의해서 피복되고 있지만, 소켓(15)의 외주부 전체를 탄성피복체(21)에 의해서 피복해도 된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탄성피복체(21)가 볼록부(20)의 형상에 따라서 탄성변형됨으로써,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22)가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생기도록 되어 있지만,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를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미리 형성해 두어도 된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의 소켓(15)의 외주부를 탄성피복체(21)로 피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는 탄성피복체(21)가 가공됨에 의해,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31)가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로서 미리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는 소켓(15)의 외주부의 형상에 맞추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는 소켓(15)의 외주부 및 볼록부(20)의 각각에 끼우는 형상으로 미리 가공되어 있다.
탄성피복체(21)는 오목부(31)가 볼록부(20)에 끼움으로써 소켓(15)에 장착되고, 오목부(31)가 볼록부(20)로부터 빠짐으로써 소켓(15)으로부터 빠지게 되어 있다. 즉, 탄성피복체(21)는 소켓(15)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31)가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31)를 볼록부(20)에 끼움으로써,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의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볼록부(20)가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소켓(15)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볼록부(20)에 끼우는 오목부(31)가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로서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미리 형성되어 있지만, 오목부를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소켓(15)의 외주부에 형성하고, 오목부에 끼우는 볼록부를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로서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에 미리 형성해 두어도 된다.
실시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의 소켓 및 탄성피복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소켓(15)의 선단부에는 소켓(15)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41)가 규제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1)는 소켓(15)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소켓(15)을 둘러싸서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피복체(21)는, 소켓(15)의 외주부 가운데, 지름방향 꼭대기부(15a)를 포함하는 중간부에서 선단부의 앞까지의 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즉, 탄성피복체(21)는 볼록부(41)을 피해 소켓(15)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볼록부(41)는 노출하고 있다.
볼록부(41)는 소켓(15)의 길이방향(로드(16)의 중심축선 A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 탄성피복체(21)를 받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소켓(15)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탄성피복체(21)의 변위는 볼록부(41)에 의해서 규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도 7은 도 6의 소켓(15)의 외주부를 탄성피복체(21)로 피복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는 소켓(15)의 외주부의 형상에 맞추어 미리 가공되어 있다.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에 장착할 때에는, 탄성피복체(21)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소켓(15)을 선단부 측으로부터 탄성피복체(21) 내에 삽입한다. 탄성피복체(21) 내에의 소켓(15)의 삽입은 볼록부(41)가 노출할 때까지 행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에서는, 소켓(15)의 외주부에 볼록부(41)가 형성되고, 탄성피복체(21)가 볼록부(41)을 피해 소켓(15)의 외주부를 피복하며, 소켓(15)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탄성피복체(21)의 변위가 볼록부(41)에 의해서 규제되므로, 소켓(15)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21)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탄성피복체(21)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메인로프 고정장치(13, 14)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도구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가 소켓(15)의 외주부의 형상에 맞추어 미리 가공되어 있지만, 탄성피복체(21)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탄성피복체(21)의 내주부의 형상이 소켓(15)의 외주부에 따른 형상이 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켓(15)을 체결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탄성피복체(21)에 발생시킬 수 있어, 소켓(15)에 대해서 탄성피복체(21)를 더욱 벗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소켓(15)에 탄성피복체(21)가 장착되어 있지만, 각 소켓(15) 사이에 탄성피복체(21)가 개재하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각 소켓(15) 가운데, 일부의 소켓(15)에만 탄성피복체(21)를 장착해도 된다.
즉,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각 소켓(15)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탄성피복체(21)는, 서로 인접하는 소켓(15) 가운데, 어느 한쪽에만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3개의 소켓(15) 가운데, 중앙에 위치하는 소켓(15)에만 탄성피복체(2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소켓(15)의 외주부는 모두 노출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소켓(15) 가운데, 어느 한쪽에만 탄성피복체(2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소켓(15)끼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로드(16)가 기울었다고 해도, 수지제의 탄성피복체(21)와 금속제의 소켓(15)이 접촉하므로, 탄성피복체(21)가 받는 마찰력을 탄성피복체(21)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보다도 낮은 마찰력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켓(15)에 대해서 탄성피복체(21)를 벗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소켓(15)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21)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피복체(21)를 모든 소켓(15)에 장착하지 않아 되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로프 고정장치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볼록부(20)가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소켓(15)의 외주부에 마련되고 있지만, 볼록부(20)는 아니라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탄성피복체(21)와 소켓(15)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탄성피복체(21)끼리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보다도 작아지므로, 탄성피복체(21)가 소켓(15)에 대해서 벗어나기 어려워져, 소켓(15)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21)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소켓(15) 및 탄성피복체(21)의 구성이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소켓(15) 및 탄성피복체(21)의 구성을 실시형태 2 또는 3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피복체(21)를 탄성변형시켜 소켓(15)의 외주부에 탄성피복체(21)를 마련하게 되어 있지만, 탄성피복체(21)를 사출성형에 의해서 소켓(15)의 외주부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탄성피복체(21)를 구성하는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가 된다. 또, 사출성형에서는, 형틀 내에 소켓(15)이 삽입되고, 소켓(15)의 외주부와 형틀의 내주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액상의 수지가 주입된 후, 냉각에 의해 굳어진 수지가 탄성피복체(21)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도, 탄성피복체(21)에 의해서 소켓(15)의 외주부를 용이하게 피복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피복체(21)를 탄성변형시켜 소켓(15)의 외주부에 탄성피복체(21)를 마련하게 되어 있지만, 탄성피복체(21)를 구성하는 재료를, 열을 받음으로써 수축하는 수지로 하고, 탄성피복체(21)를 열수축에 의해서 소켓(15)의 외주부에 장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탄성피복체(21)에 열을 가하는 것만으로 소켓(15)의 외주부에 탄성피복체(21)를 장착할 수 있어, 소켓(15)의 외주부를 탄성피복체(21)로 피복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피복체(21)를 투명한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탄성피복체(21)를 소켓(15)에 장착한 상태에서, 소켓(15)의 이상(異常)(예를 들면 균열 등)의 유무에 대해서 눈으로 점검을 행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피복체(21)를 난연성(難燃性)의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화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라도 연소(延燒)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탄성피복체(21)가 소켓(1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소켓(15)의 외주부에 접착제를 통하여 탄성피복체(21)를 접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소켓(15)으로부터의 탄성피복체(21)의 탈락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의 매닮 방식이 2:1로핑 방식으로 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의 매닮 방식을 1:1로핑 방식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메인로프(7)의 일단부가 접속된 한쪽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3)가 엘리베이터칸(2)에 장착되고, 메인로프(7)의 타단부가 접속된 다른 쪽의 메인로프 고정장치(14)가 균형추(3)에 장착된다.
2 엘리베이터칸(승강체), 3 균형추(승강체),
15 소켓, 20 볼록부(소켓 측 끼워맞춤부),
21 탄성피복체, 22, 31 오목부(피복체 측 끼워맞춤부),
41 볼록부(규제부).

Claims (10)

  1.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로프가 접속되고, 볼록부 및 오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켓 측 끼워맞춤부로서 외주부에 마련된 소켓, 및
    상기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상기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소켓 측 끼워맞춤부에 끼우는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가 내주부에 형성되는 탄성피복체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통과되는 메인로프 통과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로프 통과구멍의 지름방향 단면적은, 상기 소켓의 선단부에서 가장 작게, 상기 소켓의 중간부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탄성피복체는 상기 메인로프 통과구멍을 가리지 않도록 소켓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지름방향 꼭대기부와 소켓의 선단부와의 구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 측 끼워맞춤부는 상기 탄성피복체가 가공됨으로써 상기 탄성피복체의 내주부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3.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로프가 접속되고, 볼록부가 외주부에 마련된 소켓, 및
    상기 볼록부를 피해 상기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고, 상기 소켓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의 변위가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 규제되는 탄성피복체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통과되는 메인로프 통과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로프 통과구멍의 지름방향 단면적은, 상기 소켓의 선단부에서 가장 작게, 상기 소켓의 중간부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탄성피복체는 상기 메인로프 통과구멍을 가리지 않도록 소켓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지름방향 꼭대기부와 소켓의 선단부와의 구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복체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의 외주부에 사출성형에 의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복체는, 열을 받음으로써 수축하는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의 외주부에 열수축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6.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복체는, 상기 소켓을 체결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소켓의 외주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7.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복체는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8.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복체는 난연성(難燃性)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9.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복체는 상기 소켓의 외주부에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10.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승강체를 매다는 메인로프가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소켓,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소켓 가운데, 어느 한쪽에만 마련되며, 상기 소켓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탄성피복체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통과되는 메인로프 통과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메인로프 통과구멍의 지름방향 단면적은, 상기 소켓의 선단부에서 가장 작게, 상기 소켓의 중간부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크게 되어 있고,
    상기 탄성피복체는 상기 메인로프 통과구멍을 가리지 않도록 소켓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지름방향 꼭대기부와 소켓의 선단부와의 구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KR1020127005709A 2009-10-29 2009-10-29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KR101363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597 WO2011052057A1 (ja) 2009-10-29 2009-10-29 エレベータの主索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244A KR20120041244A (ko) 2012-04-30
KR101363191B1 true KR101363191B1 (ko) 2014-02-13

Family

ID=4392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709A KR101363191B1 (ko) 2009-10-29 2009-10-29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95207A4 (ko)
JP (1) JPWO2011052057A1 (ko)
KR (1) KR101363191B1 (ko)
CN (1) CN102596784B (ko)
WO (1) WO20110520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5912A (zh) * 2015-09-08 2015-11-11 布劳恩电梯有限公司 一种无机房轿厢绳头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5467A1 (de) * 2012-12-18 2014-06-26 Inventio Ag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 ausgleichselement einer aufzugsanlage
CN108861954A (zh) * 2017-05-11 2018-11-2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用于电梯的曳引带及包括该曳引带的电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046A (ja) 2004-01-07 2005-07-21 Hitachi Ltd エレベータ
JP2006244443A (ja) 2005-03-03 2006-09-14 Yasuhiro Tomita 二輪車等のクラッチやブレーキのレバーの被覆
JP2007029559A (ja) 2005-07-28 2007-02-08 Zett Corp 球技用バット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9202453A (ja) 2008-02-28 2009-09-10 Pilot Corporation 筆記具の軸筒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0056U (ko) * 1976-11-12 1978-06-12
JPS59141597U (ja) * 1983-03-09 1984-09-21 株式会社フジクラ ワイヤ−ロ−プの端末部
JPS6072462U (ja) * 1983-10-21 1985-05-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巻上ロ−プ留め保護具
JPH08109586A (ja) * 1994-08-12 1996-04-30 Kunio Ichikawa ロープの表示・被覆構造
JP3958854B2 (ja) * 1997-12-26 2007-08-15 株式会社ニフコ 帯、紐状体の端末カバー
JP2006143435A (ja) * 2004-11-22 2006-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ロープ装置
WO2006126276A1 (ja) * 2005-05-27 2006-11-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ソケッテ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046A (ja) 2004-01-07 2005-07-21 Hitachi Ltd エレベータ
JP2006244443A (ja) 2005-03-03 2006-09-14 Yasuhiro Tomita 二輪車等のクラッチやブレーキのレバーの被覆
JP2007029559A (ja) 2005-07-28 2007-02-08 Zett Corp 球技用バット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9202453A (ja) 2008-02-28 2009-09-10 Pilot Corporation 筆記具の軸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5912A (zh) * 2015-09-08 2015-11-11 布劳恩电梯有限公司 一种无机房轿厢绳头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5207A4 (en) 2014-12-17
EP2495207A1 (en) 2012-09-05
CN102596784B (zh) 2015-07-08
KR20120041244A (ko) 2012-04-30
CN102596784A (zh) 2012-07-18
JPWO2011052057A1 (ja) 2013-03-14
WO2011052057A1 (ja)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670B2 (ja) ベルト端部連結装置およびベルト端部連結装置の保護方法
KR101363191B1 (ko) 엘리베이터의 메인로프 고정장치
CN1962387A (zh) 建造电梯设备的方法及用于该目的的电梯设备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EP1302430A1 (en) Elevator device
US20110132695A1 (en) Elevator Apparatus Yielding No Reverse Rope Bend
US9475675B2 (en) Elevator and elevator refurbishing method
JP5541357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EP1801061B1 (en) Elevator apparatus
JP5656085B2 (ja) エレベータ
JP201210686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装置及び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システム
KR100671608B1 (ko) 엘리베이터 로프의 파지 구조체
JP2009274809A (ja) エレベータの異物噛み込み防止装置
JP550876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930813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CN213202011U (zh) 一种自动调节角度的电梯钢丝绳绳端组合装置
JP427001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656625B1 (ko) 엘리베이터 균형체인용 가이드장치
JP2010275089A (ja)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CN109641719B (zh) 电梯的吊轮装置及吊轮装置的安装方法
JP200818943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非常止め装置の試験方法
JP651504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1026027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交換方法
CN110520375B (zh) 电梯
JP2015189546A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