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833B1 -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833B1
KR101359833B1 KR1020117011833A KR20117011833A KR101359833B1 KR 101359833 B1 KR101359833 B1 KR 101359833B1 KR 1020117011833 A KR1020117011833 A KR 1020117011833A KR 20117011833 A KR20117011833 A KR 20117011833A KR 101359833 B1 KR101359833 B1 KR 10135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drives
adjustable element
power controll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486A (ko
Inventor
쥐르겐 에겔링
클라우스 뒤엔느
더크 헬믹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바하 운트 콤파니 케이지, 할스타드
Publication of KR2012000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2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6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controlling two or more dc dynamo-electric m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of velocity,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1Force or torque control
    • E05Y2400/315Curve setting or adju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e
    • E05Y2400/41Control units therefore for multiple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6Tailgat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264Driven by two mo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242Door, panel, window operation, opening, clos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 장치는 2개의 전기 드라이브(2, 3) 및 제어 장치(4)를 포함하고, 드라이브(2, 3)는 장착된 상태에서 조정 가능 요소(1) 상에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공차 관련 불일치와는 별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제어 장치(4)가 장착된 상태에서, 특히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 중에,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의 드라이브(2, 3)에 각각 출력된 전력이 폐루프 제어를 받게 하는 전력 제어기(5)를 갖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DRIVE ASSEMBLY FOR MOTORIZED ADJUSTING OF AN ADJUSTING ELEMENT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 청구항 14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의 조정 가능 요소 장치 및 청구항 16의 전제부에 따른 이러한 구동 장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조정 가능 요소"는 이 경우에 전포괄적(all-encompassing)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용어는 자동차의 테일게이트(tailgate), 트렁크 덮개, 엔진룸 커버, 화물칸 커버, 사이드 도어-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함-, 화물칸 바닥 및 선루프와 같은 자동차의 임의의 조정 가능 요소를 포함한다. 게다가, 이들은 예를 들어 모터 조정 가능 윈도우 창유리, 미러 또는 차량 시트를 포함한다.
현대식 자동차의 편안함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전술된 조정 가능 요소, 예를 들어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의 모터 구동식 조정은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목적으로, 구동열(drive train)을 경유하여 각각의 조정 가능 요소에 구동 장치에 결합되는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기초로 하고 있는 공지의 구동 장치(EP 1 862 628 A1호)는 2개의 전기 드라이브를 구비한다. 2개의 드라이브는 스핀들 드라이브의 형태로 구성되고, 스핀들/스핀들 너트 전동 장치가 그 하류측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 구동 모터를 각각 갖는다. 2개의 스핀들 드라이브는 테일게이트의 2개의 주연 측면 상에 배열되어 테일게이트 상에 각각 독립적으로 그러나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2개의 스핀들 드라이브는 대응적으로 배열되어, 소정의 동일한 구동력에서 이들이 양 주연 측면 상에서 테일게이트 내로 동일한 구동 토크를 도입하게 된다.
테일게이트의 모터 구동식 제어를 위해, 일반적으로 동일한 구동 전압이 2개의 스핀들 드라이브에 인가된다. 이 경우에, 2개의 구동 모터의 모터 특징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당해의 구동 모터의 모터 특징은 공차 관련 차이를 받게 되는 것이 시험에서 알려져 있다. 이는 특히 상이한 구동 전류 및 대응적으로 상이한 구동력 또는 토크가 동일한 구동 속도 및 동일한 구동 전압에 대해 설정되게 한다. 즉, 하나의 드라이브는 다른 드라이브보다 항상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대응적으로 더 많은 기계적 동력을 출력할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감소된 수명을 갖는 더 큰 부하를 항상 받게 되는 드라이브를 초래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결정된 개방 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 개념이 조정 가능 요소의 각각의 조정 단계에 대해 사용되는 제어 장치(EP 1 860 265 A2호)와 같은 당해의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엔지니어링 접근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2개의 드라이브 상의 불균일한 마모의 양태는 이 문헌에서도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드라이브에 대해 예측되는 수명이 드라이브 사이의 공차 관련 차이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한 동일하도록 공지의 구동 장치를 구성하고 개발하는 문제점에 기초한다.
상기 문제점은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장치에서 해결된다.
2개의 드라이브 상의 불균일한 마모를 회피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어 장치가 전력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하고, 이 전력 제어기는 동일한 전력 소비가 항상 양 드라이브에 대해 설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경우에, 전력 제어기는 2개의 드라이브 사이의 약간의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이는 정밀한 제어라 칭할 수 있다.
이어지는 본문이 전력, 전류 또는 전압을 언급하는 경우에, 이는 항상 평균 전력, 평균 전류 또는 평균 전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2개의 드라이브는 유리하게는 펄스폭 변조(PWM) 구동 전압을 갖고 작동되고 그 결과 대응적으로 펄스된 전력 및 전류값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는 언급할 가치가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전력 제어기는 2개의 드라이브의 구동 전압에 대한 각각의 조작된 변수를 생성하여 동일한 전력 소비가 상기 방식으로 양 드라이브에 대해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드라이브의 구동 전압이 공차 관련 불일치에 따라 상이하다.
청구항 6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전력 제어기는 2개의 드라이브에 의해 소비된 전력이 상기 개념에서 서로 근사하는 방식으로 정밀하게, 2개의 드라이브의 현재 구동 전류 및 현재 구동 전압에 기초하여 2개의 구동 전압에 대한 조작된 변수를 생성하는 것이 해당된다.
청구항 7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어기는 특히 조정 가능 요소의 조정 속도의 폐루프 제어를 위한 이동 제어기의 하류측에 접속된다. 이 경우에, 전력 제어기는 폐루프 이동 제어 및 폐루프 전력 제어의 모두가 상기 개념에서 보장되는 방식으로 전력 제어기가 이동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를 2개의 드라이브와 관련된 2개의 개별 조작된 변수로 변환한다.
상기 전력 제어기를 사용하여, 모터 특징의 차이가 관련되는 한 드라이브 사이의 공차 관련 불일치를 간단한 방식으로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고유의 중요성을 갖는 다른 교시에 따르면, 상기 문제점은 청구항 14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청구항 14의 전제부에 따른 조정 가능 요소 장치의 경우에 해결된다.
이 다른 교시에 따른 본질적인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전술된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대한 설명의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고유의 중요성을 갖는 다른 교시에 따르면, 상기 문제점은 구동 장치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술된 구동 장치인 청구항 16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청구항 16의 전제부에 따른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서 해결된다.
이 다른 교시에 따른 본질적인 특징은, 특히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 중에,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의 드라이브에 각각 출력된 전력이 폐루프 제어를 받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계에서도 역시, 이들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적합한 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관한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자동차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 자동차의 조정 가능 요소 장치 및 이러한 구동 장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를 갖는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의 자동차의 테일 단부의 측면도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구동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테일게이트의 개방 중에 구동 전압의 프로파일, 2개의 드라이브에 의해 소비된 전력 및 조정 경로의 타이밍 다이어그램.
도 4는 구동 전압의 프로파일, 2개의 드라이브에 의해 소비된 전력 및 조정 경로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타이밍 다이어그램.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자동차 내에서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해 사용된다. 도면은 테일게이트의 형태의 조정 가능 요소(1)를 위한 구동 장치의 용례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장점이 있지만, 한정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거의 예외 없이 테일게이트의 형태의 조정 가능 요소(1)에 관련된다. 이들 설명은 또한 다른 유형의 조정 가능 요소(1)에도 완전히 적용된다.
구동 장치는 2개의 전기 드라이브(2, 3)를 구비하는데, 이들 중 단지 전방 드라이브(2)만이 도 1에서 볼 수 있다. 드라이브(2, 3)의 바람직한 배열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소유일 수 있고 이 정도로 본 출원의 요지를 구성하는 독일 실용 신안 DE 20 2007 005 749 U1호를 참조할 수 있다.
게다가, 구동 장치는 2개의 드라이브(2, 3)를 구동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제어 장치(4)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는 개별 유닛으로서 또는 중앙 자동차 전자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브(2, 3) 내에 분포되어 배열된 복수의 제어 모듈을 갖는 분산형 구성이 존재하는 것이 또한 인식 가능하다.
장착된 상태에서, 드라이브(2, 3)는 테일게이트(1) 상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2개의 드라이브(2, 3)는 이들이 주어진 동일한 구동력에서 양 주연 측면 상에서 테일게이트 내에 동일한 구동 토크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대응적으로 배열된다. 게다가, 드라이브(2, 3)는 공차 관련 불일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2개의 마지막에 언급된 양태는 전술된 공차 관련 불일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면 어떠한 단점도 없이 하나의 동일한 구동 전압이 2개의 드라이브(2, 3)에 인가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에 더 설명된 드라이브(2, 3) 상에 불균일한 마모를 유도하는 드라이브(2, 3) 사이의 공차 관련 불일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여기서 가정된다. 이 이유로, 제어 장치(4)는,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정밀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2개의 드라이브(2, 3)에 각각 출력되는 전력이 폐루프 제어를 받게 하는 전력 제어기(5)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루프 제어는 특히 테일게이트(1)의 모터 구동식 조정 중에 제공된다. 그러나, 테일게이트(1)가 드라이브(2, 3)를 대응적으로 여기시키고 역여기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유지되는 유지 모드 중에 본 발명에 따른 폐루프 제어가 제공되는 것이 또한 인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루프 제어가 발생할 수 있는 방식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용어 "전력 제어기"는 본 명세서에서 기능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력 제어기(5)가 개별 유닛으로서 또는 개별 모듈로서 전자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고, 전력 제어기(5)의 작동이 보장되는 것만이 가장 중요하다.
드라이브(2, 3)는 또한 설명되는 전기 구동 모터(2a, 3a) 및 전동 장치(2b, 3b)를 각각 구비한다. 구동 모터(2a, 3a)는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DC 모터이다.
구동 모터(2a, 3a)는 펄스폭 변조(PWM) 구동 전압을 사용하여 특히 바람직한 구성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조정 작동의 저손실 폐루프 제어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공차 관련 불일치가 전기 구동 모터(2a, 3a)에서 발생하고, 이들 불일치는 구동 모터(2a, 3a)의 모터 특징의 공차 관련 차이에 기인한다는 것이 이미 상기에 더 설명되어 있다. 이는 상기에 언급된 불균일한 마모를 초래한다.
불균일한 마모는 특히 장착된 상태에서, 2개의 드라이브(2, 3)의 구동 속도가 모터 구동식 조정 중에 항상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드라이브(2, 3)가 조정 가능 요소(1)에 결합될 때 현저하다. 이는 특히 조정 가능 요소(1), 이 경우에 테일게이트(1)가 강성 디자인을 갖고 드라이브(2, 3)가 조정 가능 요소(1), 이 경우에 테일게이트(1)에 이동의 견지에서 결합될 때에 해당된다.
2개의 드라이브(2, 3)가 동일한 구동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 테일게이트(1)로의 드라이브(2, 3)의 상기 결합은 2개의 드라이브(2, 3)가 테일게이트(1) 상에 상이한 구동 토크 또는 구동력을 갖고 작용하고 이는 전술된 불균일한 마모를 초래하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대응적으로, 이 경우에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전력 제어기(5)가 2개의 드라이브(2, 3)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각각의 조작된 변수(6, 7)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사실이다. 설정되어 있는 구동 전압(8, 9)에 의해, 전력 제어기(5)는 상기 동일한 전력 소비가 설정되는 방식으로 2개의 드라이브(2, 3)에 의해 소비된 전력에 영향을 미친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작된 변수(6, 7)는 바람직하게는 제공될 수 있는 비례 팩터와는 별개로, 구동 전압(8, 9)에 동일하다.
상기 폐루프 전력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피드백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드라이브(2, 3)에 의해 소비된 구동 전류의 결정에 의해 성취된다. 이 목적으로, 적절한 전류 측정 장치(12, 13)가 전력 제어기(5)와 관련된다. 구동 전류는 도면 부호 10, 11에 의해 측정 장치(12, 13)의 출력측에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엄밀히 말하면, 이들은 본래 구동 전류에 대한 측정된 값이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이 구별은 여기서는 무시된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따라서 전력 제어기(5)는 현재의 구동 전류(10, 11) 및 현재의 구동 전압(8, 9)에 기초하여 "미래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기(5)는 먼저 드라이브(2, 3)에 출력되는 2개의 현재의 전력에 대한 값을 결정하고, 이들 값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2개의 "미래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를 생성한다.
이 시점에서 설명된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전력 소비가 항상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의 작동은 또한 예를 들어 속도 조절을 구현하기 위해 2개의 드라이브(2, 3)에 총합하여 출력되는 전력의 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에 의존한다. 이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는 전력 제어기(5)에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동 제어기(14)는 테일게이트(1)의 조정 속도의 폐루프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이동 제어기(14)는 일반적으로 상위의 개방 루프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설정점 조정 속도에 대한 기준 변수(16)를 갖는다. 게다가, 테일게이트(1)의 현재의 조정 속도(17)에 대한 측정된 값은 피드백으로서 이동 제어기(14)에 인가된다. 마지막으로, 이동 제어기(14)는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 전력 제어기(5)에 접속되어 있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상기 조작된 변수인 방식으로 기준 변수(16)와 조정 속도(17) 사이의 시스템 편차로부터 조작된 변수(15)를 생성한다.
현재의 조정 속도(17)는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도 2의 저부에서 드라이브(3)의 구동 속도로부터 유도된다. 원리적으로, 테일게이트(1) 상에 직접 배열된 센서로부터 조정 속도(17)를 유도하는 것이 또한 인식 가능하다.
다양한 가능성이 이제 전력 제어기(5)가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에 기초하여 2개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를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동일한 전력 소비를 구현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인식 가능하다.
바람직한 변형예는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가 구동 전압(8, 9)에 대한 2개의 조작된 변수(6, 7)의 평균값에 항상 대응하고 또는 이 평균값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전력 제어기(5)가 2개의 드라이브(2, 3)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따라서 상기 폐루프 전력 제어의 도중에 구동 전압(8, 9)에 대한 2개의 조작된 변수(6, 7)로의 임의의 변화가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에 대해 "대칭적으로" 항상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 중 하나가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에 대응하거나 이 조작된 변수(15)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전력 제어기(5)가 2개의 드라이브(2, 3)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를 생성하는 것이 또한 인식 가능하다. 이 경우에,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는 간단히 조작된 변수(6, 7) 중 하나에 대해 채택되고, 그 결과 단지 각각의 다른 조작된 변수(7, 6)가 조정되어 전체적으로 동일한 전력 소비가 2개의 드라이브(2, 3)에 대해 재차 설정되게 된다.
2개의 조작된 변수(6, 7)가 존재될 수 있는 비례 팩터와는 별개로 구동 전압(8, 9)에 대응하는 사실의 언급이 이미 상기에 더 제공되어 있다. 이는 전력 제어기(5)에 의해 생성된 2개의 조작된 변수(6, 7)가 단지 드라이브(2, 3)에 또는 드라이브(2,3)의 상류측에 접속된 전력 드라이버(18, 19)에만 접속되어 있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이는 도 2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 정도로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인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제어기(5) 자체는 특정 정도로는 이동 제어기(14)와 관련되고 이동 제어기(14)의 조작된 변수(15)가 일반적으로 인가되는 제어된 시스템의 부분이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기(5)는 또한 이동 제어기(14)의 일체형 부분일 수도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단순히 드라이브(2, 3)의 개방 루프 제어가 제공되면 이동 제어기(14)가 완전히 없는 것이 인식 가능하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전력 제어기(5)에 접속되어 있는 "조작된 변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전 결정된다.
완전함을 이유로, 전류 측정 장치(12, 13)가 전력 제어기(5) 뿐만 아니라 과전류 모니터링 유닛(20)에도 접속되어 있다는 사실에 대한 참조가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측정된 구동 전류(10, 11) 중 하나가 사전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과전류 모니터링 유닛(20)은 대응 과전류 신호(21)를 이동 제어기(14)에 방출한다. 여기서, 테일게이트(1)의 정지 및/또는 제동이 지정되어 있는 대응 조작된 변수(15)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전력 제어기(5)가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제어기(5)가 제공되어 있지 않거나 분리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장치에 대한 테일게이트(1)의 개방 중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는 2개의 전력 드라이버(18, 19)에 직접 접속된다.
도 3은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에 대응하는 구동 전압(8, 9)의 프로파일을 먼저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구동 전압(8, 9)이 이 경우에 궁극적으로 하나의 동일한 구동 전압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구동 전압은 조정 경로(22)를 생성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타이밍 다이어그램으로부터 흥미있는 특징은 2개의 드라이브(2, 3)에 의해 소비된 전력이 현저한 차이를 갖는 사실이다. 이들 전력은 이 경우에 도면 부호 23, 24가 제공되어 있다.
도 4는 전력 제어기(5)가 접속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장치에 대한 테일게이트(1)의 개방 중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도면은 도 3의 도면에 대응하고, 여기서 상이한 스케일에 기인하여, 2개의 도면 사이의 각각의 절대값의 비교의 어떠한 가능성도 제공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교시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력은 이 경우에도 역시 도면 부호 23, 24가 제공되어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드라이브(2, 3)에 의해 소비된 전력(23, 24)은 테일게이트(1)의 조정 중에 대부분 동일한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제 구동 전압(8, 9) 및 구동 전류(10, 11)의 모두는 넓은 범위 내에서 상이하지만, 2개의 드라이브(2, 3)에 의해 소비된 전력(23, 24)은 전술된 바와 같이 대부분 동일하다. 전술된 불균일한 마모는 전력 제어기(5)의 기능성의 결과로서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전력 제어기(5)는 또한 상당히 다른 관점에서 유용할 수 있다. 이 이유는 2개의 드라이브(2, 3)를 갖는 구동 장치의 경우에, 원리적으로 2개의 드라이브(2, 3) 중 하나의 구동열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테일게이트(1)로의 또는 자동차 섀시로의 2개의 드라이브(2, 3) 중 하나의 구동 결합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일시적으로 드라이브(2, 3)에 의해 소비된 전력의 극단적인 불균형을 초래할 것이고, 이는 전력 제어기(5)에서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2개의 현재 전력 사이의 사전 결정된 한계 차이가 초과되는 경우에 대응 신호를 출력하고 그리고/또는 비상 및/또는 유지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전력 제어기(5)에 대한 제공이 이루어진다.
드라이브(2, 3)가 바람직하게는 스핀들 드라이브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이미 언급되어 있다. 이 경우에, 드라이브(2, 3)는 구동 모터(2a, 3a) 및 하류측 스핀들/스핀들 너트 전동 장치(2b, 3b)를 갖는다. 2개의 스핀들 드라이브(2, 3)가 이어서 도 1로부터 어느 정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의 2개의 대향하는 주연 측면에 배열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에 언급되어 있는 DE 20 2007 005 749 U1호에 대한 참조가 재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자동차 내의 모든 가능한 유형의 조정 가능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한 참조가 마찬가지로 이미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게이트 또는 커버의 형태, 특히 테일게이트의 형태, 또는 도어의 형태, 특히 힌지식 또는 슬라이딩 도어의 형태, 또는 화물칸 바닥의 형태의 조정 가능 요소(1)의 구성이다. 설명의 도입부에서 언급된 조정 가능 요소의 모든 다른 구성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그 고유의 중요성을 갖는 다른 교시에 따르면,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가능 요소(1) 및 구동 장치를 갖는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 장치가 청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관한 상기 설명에 대한 완전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 고유의 중요성을 갖는 다른 교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이 청구된다. 여기서,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 중에, 2개의 드라이브(2, 3)에 각각 출력된 전력은,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폐루프 제어를 받게 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교시와 관련하여서도 마찬가지로, 이들 설명이 청구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적합한 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에 관련하는 설명의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1: 조정 가능 요소 2, 3: 드라이브
2a, 3a: 구동 모터 2b, 3b: 전동 장치
4: 제어 장치 5: 전력 제어기
6, 7: 조작된 변수 8, 9: 구동 전압
10, 11: 구동 전류 12, 13: 측정 장치
14: 이동 제어기 15: 조작된 변수
16: 기준 변수 17: 조정 속도
18, 19: 전력 드라이버 20: 과전류 모니터링 유닛

Claims (16)

  1.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drive arrangement)로서, 상기 구동 장치는 2개의 전기 드라이브(2, 3) 및 제어 장치(4)를 갖고, 상기 드라이브(2, 3)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 가능 요소(1)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공차 관련 불일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인, 상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4)는 전력 제어기(5)를 갖고, 상기 전력 제어기(5)는 장착된 상태에서,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2개의 드라이브(2, 3)에 각각 출력되는 전력이 폐루프 제어를 받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2, 3)는 각각 전기 구동 모터(2a, 3a)를 갖고, 상기 2개의 드라이브(2, 3) 사이에서 보상될 불일치는 상기 구동 모터(2a, 3a)의 모터 특징의 공차 관련 차이에 기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2, 3)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드라이브(2, 3)의 구동 속도가 모터 구동식 조정 중에 서로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조정 가능 요소(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5)는 상기 2개의 드라이브(2, 3)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각각의 조작된 변수(6, 7)를 생성하여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드라이브(2, 3)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구동 전류(10, 11)를 결정하기 위해 전류 측정 장치(12, 13)가 상기 전력 제어기(5)와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5)는 현재 구동 전류(10, 11) 및 현재 구동 전압(8, 9) 및 가능하게는 다른 팩터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4)는 상기 조정 가능 요소(1)의 조정 속도의 폐루프 제어를 위한 이동 제어기(14)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기(5)는 상기 이동 제어기의 하류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5)는, 상기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가 항상 구동 전압(8, 9)에 대한 2개의 조작된 변수(6, 7)의 평균값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 평균값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2개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5)는,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 중 하나가 상기 이동 제어기(14)에 의해 생성된 조작된 변수(15)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 조작된 변수(15)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2개의 드라이브(2, 3)의 구동 전압(8, 9)에 대한 조작된 변수(6, 7)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5)에 의해 생성된 2개의 조작된 변수(6, 7)는 드라이브(2, 3)에 또는 상기 드라이브(2, 3)의 상류측에 접속된 전력 드라이버(18, 19)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기(5)는 2개의 현재 전력 사이의 사전 결정된 한계 차이가 초과되는 경우에 대응 신호를 출력하고 가능하게는 비상 및/또는 유지 모드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2, 3)는 각각 스핀들 드라이브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가능 요소(1)는 게이트 또는 도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14. 조정 가능 요소(1) 및 상기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를 갖는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 장치로서, 상기 구동 장치는 2개의 전기 드라이브(2, 3) 및 제어 장치(4)를 갖고, 상기 드라이브(2, 3)는 상기 조정 가능 요소(1)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공차 관련 불일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인 조정 가능 요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4)는 전력 제어기(5)를 갖고, 상기 전력 제어기(5)는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2개의 드라이브(2, 3)에 각각 출력되는 전력이 폐루프 제어를 받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요소 장치.
  15. 삭제
  16.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1)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장치는 2개의 전기 드라이브(2, 3) 및 제어 장치(4)를 갖고, 상기 드라이브(2, 3)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 가능 요소(1)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공차 관련 불일치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인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전력 소비가 양 드라이브(2, 3)에 대해 설정되는 방식으로, 공차 관련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2개의 드라이브(2, 3)에 각각 출력되는 전력이 폐루프 제어를 받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17011833A 2008-10-25 2009-09-21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 KR10135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3113.8 2008-10-25
DE102008053113A DE102008053113A1 (de) 2008-10-25 2008-10-25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in einem Kraftfahrzeug
PCT/EP2009/006789 WO2010046008A1 (de) 2008-10-25 2009-09-21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i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486A KR20120008486A (ko) 2012-01-30
KR101359833B1 true KR101359833B1 (ko) 2014-02-07

Family

ID=4133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833A KR101359833B1 (ko) 2008-10-25 2009-09-21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66563B2 (ko)
EP (1) EP2350751B1 (ko)
JP (1) JP5145462B2 (ko)
KR (1) KR101359833B1 (ko)
CN (2) CN105178762A (ko)
DE (1) DE102008053113A1 (ko)
WO (1) WO2010046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1352B4 (de) * 2010-05-22 2015-11-26 Audi A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21996A1 (de) 2010-05-29 2011-12-01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zweier Antriebe sowie Kraftfahrzeug mit zwei Antrieben, die auf voneinander entkoppelte Räder arbeiten
DE102010034203B3 (de) 2010-08-12 2011-11-1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r Klappenanordnung
DE102010052045A1 (de) 2010-11-23 2012-06-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Antriebsanordnung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0054975B3 (de) 2010-12-20 2012-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fahren für den Betrieb einer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55650A1 (de) 2010-12-22 2012-06-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teuern einer Verstell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1105460B3 (de) * 2011-06-20 2012-08-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erfahren für den Betrieb einer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es
JP5927794B2 (ja) * 2011-07-19 2016-06-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開閉体制御装置
DE102011112273A1 (de) 2011-09-05 2013-03-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Antriebsanordnung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DE202011106149U1 (de) * 2011-09-28 2013-01-0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pindelantrieb zur motorischen Verstellung eines Verstellelement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009856B3 (de) 2012-05-21 2013-05-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Antriebsanordnung
DE102012015650A1 (de) * 2012-08-09 2014-02-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Antriebsanordnung für die Verstellung einer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2024689A1 (de) * 2012-12-18 2014-06-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KR101540917B1 (ko) * 2014-03-07 2015-07-31 (주) 모토텍 좌측 스핀들과 우측 스핀들 사이의 동기화 동작을 구비하는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방법
CN104027978B (zh) * 2014-05-19 2016-03-30 温州南方游乐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乘骑动感车座舱舱门结构
DE102015220020B4 (de) * 2015-10-15 2019-06-1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elektrischen Leitungsunterbrechung beim Betrieb eines Antriebssystems
KR101772099B1 (ko) 2016-06-08 2017-08-28 주식회사 케이씨엘피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CN106597902A (zh) * 2016-12-23 2017-04-26 北京经纬恒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355162A (zh) * 2017-06-07 2017-11-17 周艳红 一种汽车电动尾门双杆同步运动的控制方法及装置
DE102018119226A1 (de) * 2018-08-07 2020-02-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Antriebsanordnung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8119227A1 (de) * 2018-08-07 2020-02-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Antriebsanordnung für eine Klappe eines Kraftfahrzeugs
EP3614555A1 (de) * 2018-08-22 2020-0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mierter betrieb einer maschine mit mehreren antrieben
JP7313621B2 (ja) * 2019-06-20 2023-07-25 三輪精機株式会社 ウイング車のウイング開閉装置
CN110552576B (zh) * 2019-08-28 2020-11-10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尾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21109715B3 (de) 2021-04-16 2022-07-28 Edscha Engineering Gmbh Aktivierbare Antriebsvorrichtung
DE102022102361A1 (de) * 2022-02-01 2023-08-03 Bode - Die Tür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ntriebssystems und Antriebs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5366A (en) * 1971-07-22 1974-10-29 Fincor Inc Integrated drive system
US5625262A (en) * 1996-01-03 1997-04-29 Harnischfeger Corporation System for equalizing the load of a plurality of motors
US20050168010A1 (en) * 2001-04-26 2005-08-04 Litens Automotive Powered opening mechanism and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41087C2 (de) 1990-12-21 1995-03-16 Aumueller Aumat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otorischen Bewegen von großen Flügeln von Lichtkuppeln
DE4119610A1 (de) * 1991-06-14 1992-12-17 Teves Gmbh Co Ohg Alfred Spindelantrieb fuer eine verstelleinrichtung fuer fahrzeugsitze
JP3556709B2 (ja) * 1994-09-12 2004-08-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サーボモータの同期運転方法及びその装置
DE19523241A1 (de) * 1995-06-27 1997-01-02 Aumueller Aumat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Steuern oder Regeln eines elektrischen Stellantriebs
DE19619128A1 (de) * 1996-05-11 1997-11-1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Zentralverriegelungsaggregat mit Ripple-Counter
DK173956B1 (da) * 1997-02-20 2002-03-11 Vkr Holding As Betjeningssystem til elektrisk manøvrerbare indretninger og operatorenhed til brug i et sådant system
JP3343048B2 (ja) * 1997-04-25 2002-11-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線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EP0994560A1 (de) * 1998-10-16 2000-04-19 Klaus App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ynchronen Verstellung von Verstellelementen, insbesondere Tischbeinen
US7170262B2 (en) * 2003-12-24 2007-01-30 Foundation Enterprises Ltd. Variable frequency pow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7208694B2 (en) * 2004-04-16 2007-04-24 Wabtec Holding Corp. Capacitance activated switch device
JP4475097B2 (ja) * 2004-11-02 2010-06-09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の状態検出回路および自動車窓用開閉装置
DE102005033884A1 (de) * 2005-07-20 2007-02-08 Bosch Rexroth Ag Verfahren zum Kompensieren von unterschiedlichen Drehmomenten zweier gekoppelter Elektromotoren und Vorrichtung hierfür
DE202006008465U1 (de) 2006-05-24 2007-10-0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Steuerungsvorrichtung und Verstellsystem eines Kraftfahrzeuges
EP1862628A1 (de) 2006-05-31 2007-12-05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Verstellsystem eines Kraftfahrzeugs zur Verstellung eines Verschließteils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DE202007005749U1 (de) 2006-07-10 2007-11-2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Positionserfassungsanordnung für ein motorisch verstellbares Funktionselement in einem Kraftfahrzeug
JP4247260B2 (ja) 2006-09-28 2009-04-02 東芝サムスン ストレージ・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の情報記録層判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5366A (en) * 1971-07-22 1974-10-29 Fincor Inc Integrated drive system
US5625262A (en) * 1996-01-03 1997-04-29 Harnischfeger Corporation System for equalizing the load of a plurality of motors
US20050168010A1 (en) * 2001-04-26 2005-08-04 Litens Automotive Powered opening mechanism and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66563B2 (en) 2014-07-01
KR20120008486A (ko) 2012-01-30
JP5145462B2 (ja) 2013-02-20
CN102216861A (zh) 2011-10-12
JP2012506335A (ja) 2012-03-15
WO2010046008A8 (de) 2011-05-12
EP2350751B1 (de) 2016-01-06
WO2010046008A1 (de) 2010-04-29
US20120146556A1 (en) 2012-06-14
CN105178762A (zh) 2015-12-23
DE102008053113A1 (de) 2010-05-06
EP2350751A1 (de)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833B1 (ko) 자동차 내의 조정 가능 요소의 모터 구동식 조정을 위한 구동 장치
US9845631B2 (en) Drive arrangement for motor-operated adjustment of a closure element in a motor vehicle
EP1612629B1 (en) Control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body in a vehicle
US20170070167A1 (en) Drive arrangement for the motorized adjustment of an adjustment element of a motor vehicle
JP4770547B2 (ja) ドア駆動制御装置
CA2613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omotive adhesion control
US20140052346A1 (en) Soft start window regulator
JP3934369B2 (ja) 移動体駆動制御装置
CN113396266A (zh) 用于运行机动车的马达式翻盖装置的方法
US9957747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motive adjusting device
CN102317878A (zh) 用于对调整设备的驱动电动机进行脉宽调制控制的方法和装置
US7597357B2 (en) Motorized steering column module with position control
JP5541238B2 (ja) 車両のドア開閉装置
US20200087973A1 (en) Door moving device, door system comprising a door and a door moving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 door
US20160268799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open-close member, and vehicle open-close member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CN111800036A (zh) 用于以马达驱动的方式调整机动车的封闭元件的驱动组件
JP200818474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CN211900225U (zh) 集成式纹波电机、车窗和/或天窗运动系统以及车辆
CN106795734B (zh) 包括具有桥式电路的控制单元的调节设备
JP2000143133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US11511607B2 (en) Opening-closing body control device for vehicle
WO2011027764A1 (ja) パワーアシストドア
JP5211668B2 (ja) モータ駆動装置
JP2014025217A (ja) 車両用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2002302368A (ja) エレベータード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