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522B1 -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 Google Patents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522B1
KR101355522B1 KR1020130098953A KR20130098953A KR101355522B1 KR 101355522 B1 KR101355522 B1 KR 101355522B1 KR 1020130098953 A KR1020130098953 A KR 1020130098953A KR 20130098953 A KR20130098953 A KR 20130098953A KR 101355522 B1 KR101355522 B1 KR 10135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guide
piece
fixing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김효식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인기연
Priority to KR102013009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가 유모차를 몰고 이동 중 위급한 상황 발생시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주행중인 양측의 바퀴를 신속하게 잠금시키고, 위급상황 해제시에도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바퀴의 잠금을 신속하게 해제시켜 주며, 유모차 바퀴의 잠금여부를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 유아가 탑승되는 탑승본체(110)가 연결되고, 하측에 바퀴(120)가 연결되는 프레임부(100)와; 상기 바퀴(120)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바퀴(120)를 잠금하고, 상기 바퀴(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하면 연동되는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바퀴(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바퀴 제동장치(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Stroller with a wheel brake device}
본 발명은 이용자가 유모차를 몰고 이동 중 위급한 상황 발생시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주행중인 양측의 바퀴를 신속하게 잠금시키고, 위급상황 해제시에도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바퀴의 잠금을 신속하게 해제시켜 주며, 유모차 바퀴의 잠금여부를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탑승시켜 이동시키기 위한 수레로서, 유아탑승부의 후방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보호자가 후방에서 손잡이를 잡고 전방에 탑승시킨 유아를 보면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유모차는 기본기능과 더불어 이동 시 편리한 이동편리성, 유아의 관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아관련 물품(기저귀나 우유병 등)을 수납기능 또는 이동 중 위험상황 발생 시 유모차를 정지시켜 주는 제동기능 등의 편의기능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편의기능 중 제동기능의 경우 특히 유아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러한 제동기능이 탑재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선등록(등록특허 제10-0223358호)된 것으로, 종래 유모차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유모차 제동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 제동장치는 손잡이부(11)와 영아 및 유아의 승차부(12) 그리고 지면과 접촉되어 구동하는 각각의 전,후방 바퀴(13)(14)들로 구성된 통상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후방에 설치된 바퀴(14)의 일측에 설치되며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호 작동되는 작동바(23)(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작동바(23)(24)의 선단부에는 각각의 라이닝(25)(26)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작동바(23)(24)의 후단부에는 와이어(27)의 선단부와 각각 연결설치하였고, 상기 와이어(27)의 후단부는 손잡이부(11)에 설치된 브레이크장치 작동레버(21)와 연결 설치하여서 된 브레이크장치(2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유모차 제동장치는 유모차(10)에 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1)를 잡고 이동 중 유모차(10)를 정지시켜야할 위급상황 발생 시 손잡이부(11)에 설치된 브레이크장치 작동레버(21)를 잡게 되면 작동바(23)(24)가 축소되면서 라이닝(25)(26)이 바퀴(14)의 양측면에 가압 접촉됨으로써, 유모차(10)를 제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유모차 제동장치는 바퀴(14)의 양측면에 가압되는 라이닝(25)(26)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브레이크장치 작동레버(21)의 작동과 동시에 멈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모차 제동장치는 유모차(10)를 정지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장치 작동레버(21)를 통해 일정 이상의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체력 정도에 따라 제동성능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동성능이 반감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유모차 제동장치는 바퀴(14)와 가압되는 라이닝(25)(26)의 마찰력를 통해 제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라이닝(25)(26)이 바퀴(14)를 통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마모됨으로써, 사용연한에 따라 제동성능이 반감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유모차를 몰고 이동 중 위급한 상황 발생시 운전을 하는 이용자의 양손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고서 위급상황에 대처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주행중인 양측의 바퀴를 신속하게 잠금시키고, 위급상황 해제시에도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바퀴의 잠금을 신속하게 해제시켜 주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상측에 유아가 탑승되는 탑승본체가 연결되고, 하측에 바퀴가 연결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바퀴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바퀴를 잠금하고, 상기 바퀴가 잠금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하면 연동되는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바퀴의 잠금을 해제하는 바퀴 제동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바퀴를 연결하여 주는 바퀴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 제동장치는, 발판과;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에 내재되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상측이 상기 발판에 연결되고, 외측면에 밀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바퀴가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밀침대에 일측이 접촉된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부가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접촉된 밀침대에 밀리면서 타측이 상기 바퀴쪽으로 이동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바퀴를 잠금시켜주고, 상기 동력전달부가 상부로 이동 시 탄성복원력을 통해 타측이 상기 바퀴의 반대방향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바퀴의 잠금을 해제시켜주는 바퀴잠금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측이 상기 발판에 연결되고, 하측이 개구된 구조를 갖으며, 외측면에 밀침대가 구비된 이동체와; 하측이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 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에 걸이편이 구비된 고정대와;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 상기 이동체의 개구된 하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의 걸이편이 걸려 안내되도록 하강안내 구간영역 및 상승안내 구간영역이 형성된 승강안내구와; 일측이 상기 이동체의 하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 쪽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하부로 이동 시 상기 고정대의 걸이편이 상기 하강안내 구간영역의 상측 쪽에 걸려 고정 시 탄성압착되고, 상기 바퀴가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이동체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대의 걸이편이 상기 승강안내 구간영역의 하측 쪽에 걸리도록 안내하는 승강용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안내구의 하강안내 구간영역 및 상승안내 구간영역 중 상기 하강안내 구간영역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 및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의 최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형성되는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승안내 구간영역은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의 최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 및 일단이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의 최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형성되는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잠금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밀침대에 일측이 접촉되고, 타측에 걸림핀이 돌출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타측 부분이 내입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핀에 대응되는 곳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고정체와; 일측이 상기 걸림핀이 돌출된 이동체의 타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고정체에 접촉되는 스프링과; 상기 바퀴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곳에 잠금구멍들이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형성되고, 중앙부근에 베어링이 설치된 플랜지와; 일측이 상기 고정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의 베어링에 연결되는 이음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 쪽에는 상기 바퀴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알리는 잠금식별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유모차를 몰고 이동 중 위급한 상황 발생시 운전을 하는 이용자의 양손은 유모차의 손잡이를 잡고서 위급상황에 대처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주행중인 양측의 바퀴를 신속하게 잠금시키고, 위급상황 해제시에도 한 번의 가압력을 통해 바퀴의 잠금을 신속하게 해제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 바퀴의 잠금여부를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유모차 제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유모차 제동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구성 중 동력전달부 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구성 중 동력전달부에 구비되는 승강안내구를 다양한 방향에서 작도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구성 중 바퀴잠금부 부분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잠금된 상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가 잠금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된 상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요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구성 중 동력전달부 부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구성 중 동력전달부에 구비되는 승강안내구를 다양한 방향에서 작도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구성 중 바퀴잠금부 부분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잠금된 상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및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가 잠금된 상태에서 잠금 해제된 상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크게, 프레임부(100) 및 바퀴 제동장치(A)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측에 유아가 탑승되는 탑승본체(110)가 연결되고, 하측에 바퀴(120)가 연결되는 구조체로서, 탑승본체(110)가 설치고정되는 손잡이 프레임(101), 전후의 바퀴(120)들을 연결시켜 주는 바퀴 연결프레임(102) 및 손잡이 프레임(101)과 바퀴 연결프레임(102)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10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 제동장치(A)는 바퀴(120)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바퀴(120)를 잠금하고, 상기 바퀴(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하면 연동되는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바퀴(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바퀴 제동장치(A)의 구성은 이용자의 발을 통해 가압력을 전달받는 발판(200), 바퀴연결 프레임(102)에 내재되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상측이 발판(200)에 연결되고, 외측면에 밀침대(311)가 구비되며, 바퀴(120)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바퀴(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동력전달부(300) 및 동력전달부(300)의 밀침대(311)에 일측이 접촉된 것으로, 동력전달부(300)가 하부로 이동 시 접촉된 밀침대(311)에 밀리면서 타측이 바퀴(120)쪽으로 이동하여 걸림으로써 바퀴(120)를 잠금시켜주고, 동력전달부(300)가 상부로 이동 시 탄성복원력을 통해 타측이 바퀴(120)의 반대방향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바퀴(120)의 잠금을 해제시켜주는 바퀴잠금부(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력전달부(300)는 하우징(30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측이 상기 발판(200)에 연결되고, 하측이 개구된 구조를 갖으며, 외측면에 밀침대(311)가 구비된 이동체(310), 하측이 바퀴연결 프레임(102) 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에 걸이편(321)이 구비된 고정대(320), 이동체(310)에 내재되되 이동체(310)의 개구된 하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걸려 안내되도록 하강안내 구간영역(331) 및 상승안내 구간영역(332)이 형성된 승강안내구(330), 일측이 이동체(310)의 하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 쪽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120)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이동체(310)가 하부로 이동 시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하강안내 구간영역(331)의 상측 쪽에 걸려 고정 시 탄성압착되고, 바퀴(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면서 이동체(310)가 상부로 이동되어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승강안내 구간영역(332)의 하측 쪽에 걸리도록 안내하는 승강용 스프링(340)으로 세세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안내구(330)에 형성되는 하강안내 구간영역(331) 및 상승안내 구간영역(332) 중 하강안내 구간영역(331)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 및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과 연통되어,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의 최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형성되는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승안내 구간영역(332)은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과 연통되어,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의 최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 및 일단이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과 연통되고, 타단이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과 연통되어,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의 최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형성되는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강안내 구간영역(331) 및 상승안내 구간영역(332)을 이루는 각 영역 사이에는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인해 이동 시, 도면을 참조하여, 항시 반시계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단차진 턱이 돌출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과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 사이에는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에서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1역방향 이동방지턱(333)이 구비되고,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과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 사이에는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에서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2역방향 이동방지턱(334)이 구비되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과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 사이에는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에서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3역방향 이동방지턱(335)이 구비되고,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과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 사이에는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에서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4역방향 이동방지턱(336)이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동력전달부(300)에는, 이동체(310)가 상하 이동시 흔들리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체(310)가 내입되되 밀침대(311)가 노출될 수 있게 측면이 절개된 고정관(350)을 포함하는데 이때, 고정관(350)이 놓여지는 하우징(301) 내에도 고정공간을 절곡형성하여 억지끼움, 핀결합 또는 본딩결합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관(350)이 하우징(301) 내에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바퀴잠금부(400)는 동력전달부(300)의 밀침대(311)에 일측이 접촉되고, 타측에 걸림핀(412)이 돌출된 수평이동체(410), 수평이동체(410)의 타측 부분이 내입되는 것으로, 걸림핀(412)에 대응되는 곳에 관통구멍(421)이 형성된 고정체(420), 일측이 걸림핀(412)이 돌출된 이동체(310)의 타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관통구멍(421)이 형성된 고정체(420)에 접촉되는 스프링(430), 바퀴(12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관통구멍(421)에 대응되는 곳에 잠금구멍(441)들이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형성되고, 중앙부근에 베어링(442)이 설치된 플랜지(440), 일측이 고정체(420)에 고정되고, 타측이 플랜지(440)의 베어링(442)에 연결되는 이음관(4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평이동체(410)는 밀침대(311)의 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대(411), 외측에 걸림핀(412)이 돌출된 지지대(413) 및 접촉대(411)와 지지대(413) 사이를 연결하는 결합봉(4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밀침대(311)가 하강이동 시 원활하게 접촉대(411)가 수평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밀침대(311)의 형상은 하면은 좁고, 상면은 넓은 역 사다리꼴 형상이고, 밀침대(311)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각 접촉대(411)는 대칭되게 상면은 좁고 하면은 넓은 형상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바퀴잠금부(400)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바퀴(120)의 잠금 수행 시 동시에 양측 바퀴(120)의 잠금을 수행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한쪽의 바퀴(120) 쪽에만 설치되어 한쪽의 바퀴(120)만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바퀴연결 프레임(102) 쪽에는 절개형성된 표시공간(102a)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는 것으로, 바퀴(12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알리는 잠금식별부(500)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비되는 잠금식별부(500)는, 이동체(310)에 고정되는 거치구(510), 거치구(5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이어 부착되는 것으로, 잠금을 나타내는 잠금 식별띠(520) 및 잠금해제를 나타내는 잠금해제 식별띠(530)로 이루어져, 바퀴(120)의 잠금 시 상기 잠금 식별띠(520)가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의 표시공간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바퀴(120)의 잠금해제 시 상기 이동체(3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해제 식별띠(530)가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의 표시공간을 통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이용자가 유모차에 구비된 제동장치의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탑승본체(110)에 유아를 탑승시킨다.
이때, 유모차에 구비된 바퀴 제동장치(A)는, 도 11을 주로 참조하여, 동력전달부(300)를 이루는 승강용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310)는 상부에 위치된 상태이고,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밀침대(311) 또한 상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또한, 이용자는 바퀴연결 프레임(102)의 표시공간(102a)을 통해 노출된 잠금해제 식별띠(530)를 통해 바퀴(120)의 잠금이 해제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은 승강안내구(330)에 형성된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의 최하측 영역에 걸려진 상태이다.
또한, 바퀴잠금부(400)의 일 구성으로, 밀침대(311)에 각각 접촉된 양측의 접촉대(411)도 접촉대(411)의 후측에 놓여진 스프링(430)의 탄성력으로 인해 수평이동체(410) 쪽으로 가장 가까이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걸림핀(412)도 스프링(430)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체(420)의 관통구멍(421)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바퀴(120)의 잠금은 해제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는 유모차에 구비된 손잡이 프레임(101)을 잡고 이동 중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바퀴(120)를 잠금하고자 할 경우 발판(200)을 밟으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승강용 스프링(340)이 탄성압착되면서 발판(200)이 하강하는데 이때,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승강안내구(330)에 형성된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의 최하측 영역에 걸려진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은 제4역방향 이동방지턱(333)에 의해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에서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의 최상측 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연동하여, 하강되는 이동체(310)의 밀침대(311)에 접촉된 수평이동체(410)의 접촉대(411)도 밀침대(311)에 밀리면서 바퀴(120) 쪽으로 수평이동을 하게 되고, 이 때문에, 수평이동체(410)의 걸림핀(412)도 바퀴(120) 쪽으로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서 회전하고 있는 플랜지(440)의 잠금구멍(441)들 중 어느 하나에 내입됨으로써 주행중인 바퀴(120)를 잠금시켜 준다.
이후, 도 13을 주로 참조하여,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압착된 승강용 스프링(340)이 탄성복원되면서, 하강된 이동체(310)가 상승된다.
이때,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의 최상측 쪽으로 이동된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은 제1역방향 이동방지턱(333)에 의해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의 최하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리는데 그 이동거리가 수직거리로 환산하면 아주 작기 때문에, 탄성압착된 승강용 스프링(340)의 일부만 탄성복원된다.
이로 인해, 수평이동체(410)의 걸림핀(412)은 플랜지(440)의 잠금구멍(441)에 내입된 상태가 계속 유지됨으로써, 바퀴(120)의 잠금이 유지되도록 제공한다.
이때, 이용자는 바퀴연결 프레임(102)의 표시공간(102a)을 통해 노출된 잠금 식별띠(520)를 통해 바퀴(120)가 잠금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이용자는 위급한 상황을 벗어난 상태에서 다시 유모차를 이동시키기 위해 바퀴(120)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재차 발판(200)을 밟으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승강용 스프링(340)이 조금 더 탄성압착되면서 발판(200)이 조금 더 하강하는데 이때, 도 14를 주로 참조하여, 승강안내구(330)에 형성된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의 최하측 영역에 걸려진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은 제2역방향 이동방지턱(334)에 의해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의 최상측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체(310)의 걸림핀(412)은 플랜지(440)의 잠금구멍(441)에 내입된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이후, 도 15를 주로 참조하여,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압착된 승강용 스프링(340)이 탄성복원되면서, 하강된 이동체(310)가 상승된다.
이때,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의 최상측 쪽으로 이동된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은 제3역방향 이동방지턱(335)에 의해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의 최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상승되는 이동체(310)의 밀침대(311)에 접촉된 수평이동체(410)의 접촉대(411)는 이동체(310) 쪽으로 가까워지고, 이 때문에, 수평이동체(410)의 걸림핀(412)도 바퀴(12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수평이동을 하게 되면서 내입된 플랜지(440)의 잠금구멍(441)으로 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써 바퀴(120)의 잠금을 해제시켜 준다.
이후, 이용자는 유모차를 몰고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11 : 손잡이부 12 : 유아의 승차부
13,14,120 : 바퀴 22 : 힌지축
23,24 : 작동바 25,26 : 라이닝
27 : 와이어 21 : 브레이크장치 작동레버
20 : 브레이크장치 100 : 프레임부
101 : 손잡이 프레임 102 : 바퀴 연결 프레임
102a : 표시공간 103 : 보강프레임
110 : 탑승본체 200 : 발판
300 : 동력전달부 301 : 하우징
310 : 이동체 311 : 밀침대
320 : 고정대 321 : 걸이편
330 : 승안내구 331 : 하강안내용 구간영역
331a :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
331b :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
332 : 승강안내용 구간영역
332a : 승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
332b : 승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
340 : 승강용 스프링 350 : 고정관
400 : 바퀴잠금부 410 : 수평이동체
411 : 접촉대 412 : 걸림핀
413 : 지지대 414 : 결합봉
420 : 고정체 421 : 관통구멍
430 : 스프링 440 : 플랜지
441 : 잠금구멍 442 : 베어링
500 : 잠금식별부 510 : 거치구
520 : 잠금 식별띠 530 : 잠금해제 식별띠
A : 바퀴 제동장치

Claims (9)

  1. 상측에 유아가 탑승되는 탑승본체(110)가 연결되고, 하측에 바퀴(120)를 연결시켜 주는 바퀴연결 프레임(102)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와;
    상기 바퀴(120)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바퀴(120)를 잠금하고, 상기 바퀴(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전달하면 연동되는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바퀴(120)의 잠금을 해제하는 바퀴 제동장치(A);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퀴 제동장치(A)는, 발판(200)과;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에 내재되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상측이 상기 발판(200)에 연결되고, 외측면에 밀침대(311)가 구비되며, 상기 바퀴(120)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고정되고, 상기 바퀴(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밀침대(311)에 일측이 접촉된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하부로 이동 시 상기 접촉된 밀침대(311)에 밀리면서 타측이 상기 바퀴(120)쪽으로 이동하여 걸림으로써 상기 바퀴(120)를 잠금시켜주고,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상부로 이동 시 탄성복원력을 통해 타측이 상기 바퀴(120)의 반대방향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바퀴(120)의 잠금을 해제시켜주는 바퀴잠금부(4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측이 상기 발판(200)에 연결되고, 하측이 개구된 구조를 갖으며, 외측면에 밀침대(311)가 구비된 이동체(310)와; 하측이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 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에 걸이편(321)이 구비된 고정대(320)와; 상기 이동체(310)에 내재되되 상기 이동체(310)의 개구된 하측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걸려 안내되도록 하강안내 구간영역(331) 및 상승안내 구간영역(332)이 형성된 승강안내구(330)와; 일측이 상기 이동체(310)의 하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 쪽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바퀴(120)의 잠금이 해재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체(310)가 하부로 이동 시 상기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기 하강안내 구간영역(331)의 상측 쪽에 걸려 고정 시 탄성압착되고, 상기 바퀴(120)가 잠금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복원되면서 상기 이동체(31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기 승강안내 구간영역(332)의 하측 쪽에 걸리도록 안내하는 승강용 스프링(3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안내구(330)의 하강안내 구간영역(331) 및 상승안내 구간영역(332) 중
    상기 하강안내 구간영역(331)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 및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과 연통되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의 최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형성되는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승안내 구간영역(332)은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과 연통되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의 최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는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 및 일단이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과 연통되어,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의 최상측에서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형성되는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5. 제4항에 있어서,
    연통된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과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 사이에는 상기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에서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1역방향 이동방지턱(333)이 구비되고,
    연통된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과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 사이에는 상기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에서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1b)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2역방향 이동방지턱(334)이 구비되며,
    연통된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과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 사이에는 상기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에서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2a)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3역방향 이동방지턱(335)이 구비되고,
    연통된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과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 사이에는 상기 고정대(320)의 걸이편(321)이 상기 하강안내용 걸이편 이동구간영역(331a)에서 상기 상승안내용 걸이편 고정구간영역(332b)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제4역방향 이동방지턱(33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300)에는,
    상기 이동체(310)가 상하 이동시 흔들리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310)가 내입되되 상기 밀침대(311)가 노출될 수 있게 측면이 절개된 고정관(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잠금부(400)는,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밀침대(311)에 일측이 접촉되고, 타측에 걸림핀(412)이 돌출된 수평이동체(410)와;
    상기 수평이동체(410)의 타측 부분이 내입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핀(412)에 대응되는 곳에 관통구멍(421)이 형성된 고정체(420)와;
    일측이 상기 걸림핀(412)이 돌출된 이동체(310)의 타측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관통구멍(421)이 형성된 고정체(420)에 접촉되는 스프링(430)과;
    상기 바퀴(12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구멍(421)에 대응되는 곳에 잠금구멍(441)들이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형성되고, 중앙부근에 베어링(442)이 설치된 플랜지(440)와;
    일측이 상기 고정체(4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플랜지(440)의 베어링(442)에 연결되는 이음관(4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 쪽에는
    상기 바퀴(12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알리는 잠금식별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에는 표시공간(102a)이 절개형성되고,
    상기 잠금식별부(500)는, 상기 이동체(310)에 고정되는 거치구(510)와;
    상기 거치구(5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이어 부착되는 것으로, 잠금을 나타내는 잠금 식별띠(520) 및 잠금해제를 나타내는 잠금해제 식별띠(530);로 이루어져, 바퀴(120)의 잠금 시 상기 잠금 식별띠(520)가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의 표시공간(102a)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바퀴(120)의 잠금해제 시 상기 이동체(3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잠금해제 식별띠(530)가 상기 바퀴연결 프레임(102)의 표시공간(102a)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20130098953A 2013-08-21 2013-08-21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135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953A KR101355522B1 (ko) 2013-08-21 2013-08-21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953A KR101355522B1 (ko) 2013-08-21 2013-08-21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522B1 true KR101355522B1 (ko) 2014-01-27

Family

ID=5014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953A KR101355522B1 (ko) 2013-08-21 2013-08-21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5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757B1 (ko) 2014-02-20 2014-10-22 여신동 컴팩트형 카트
KR101637132B1 (ko) * 2015-09-22 2016-07-06 여신동 포트블 제동 카트
KR101712316B1 (ko) * 2016-03-25 2017-03-03 여신동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KR20210079031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태성정밀 유모차
KR20210107448A (ko) 2020-02-24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CN113978539A (zh) * 2020-07-09 2022-01-2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刹车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070U (ko) * 1985-08-30 1987-03-10
KR870018298U (ko) * 1986-05-17 1987-12-23 정도식 유모차의 부레이크장치
KR200416361Y1 (ko) * 2006-03-02 2006-05-15 석종완 노크 장치와 이를 사용한 필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070U (ko) * 1985-08-30 1987-03-10
KR870018298U (ko) * 1986-05-17 1987-12-23 정도식 유모차의 부레이크장치
KR200416361Y1 (ko) * 2006-03-02 2006-05-15 석종완 노크 장치와 이를 사용한 필기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086A1 (ko) * 2014-02-20 2015-08-27 여신동 컴팩트형 카트
KR101452757B1 (ko) 2014-02-20 2014-10-22 여신동 컴팩트형 카트
WO2017052218A1 (ko) * 2015-09-22 2017-03-30 여신동 포트블 제동 카트
KR101637132B1 (ko) * 2015-09-22 2016-07-06 여신동 포트블 제동 카트
US10259482B2 (en) 2016-03-25 2019-04-16 Shin Dong Yeo Braking device for portable cart
WO2017164635A1 (ko) * 2016-03-25 2017-09-28 여신동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KR101712316B1 (ko) * 2016-03-25 2017-03-03 여신동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KR20210079031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태성정밀 유모차
KR102301701B1 (ko) * 2019-12-19 2021-09-14 주식회사 태성정밀 유모차
KR20210107448A (ko) 2020-02-24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CN113978539A (zh) * 2020-07-09 2022-01-2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刹车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AU2021204705B2 (en) * 2020-07-09 2023-02-09 Wonderland Switzerland Ag Baby carriage brake mechanism and baby carriage having the same
US11643128B2 (en) * 2020-07-09 2023-05-09 Wonderland Switzerland Ag Baby carriage brake mechanism and baby carriage having the same
TWI825449B (zh) * 2020-07-09 2023-12-11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嬰兒車煞車機構及具有該機構的嬰兒車
JP7481511B2 (ja) 2020-07-09 2024-05-10 ワンダーランド スイツァーランド アーゲー ベビーカーのブレーキ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ベビーカ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522B1 (ko)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CN105916791B (zh) 设有安全装置配置的电梯
US11174124B2 (en) Elevator car
CN111377339B (zh) 电梯轿厢停车制动器和电梯
JP2016166064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敷居閉塞装置
JP2017206258A (ja) 積荷移動台車
JP201519657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安全装置
KR200493995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5483596B2 (ja) エレベータの二輪車揚重装置
KR102450298B1 (ko) 짐 보유 지지용의 핸드부 및 어시스트 기구
CN202186420U (zh) 一种婴儿推车自动刹车装置
EP1215159A2 (en) Below the car retractable apron
JP201325292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救出装置
KR100831849B1 (ko) 포크수레
CN212155590U (zh) 一种具有磨损检测功能的电梯制动器闸瓦
KR10121369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49076A (en) Elevator-stop
JP3211527U (ja) 作業用ハンガー装置
KR20130071263A (ko)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안전 바퀴
CN216737097U (zh) 一种具有固定卡死装置的电梯钢丝绳曳引轮
JP2004203533A (ja)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停止装置
JP6628538B2 (ja) 分離式昇降搬送車及び入浴装置
KR102506946B1 (ko) 대차용 레일장치
JPS5845723Y2 (ja) 摺動並びに昇降自在の車載用可動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