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316B1 -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316B1
KR101712316B1 KR1020160035944A KR20160035944A KR101712316B1 KR 101712316 B1 KR101712316 B1 KR 101712316B1 KR 1020160035944 A KR1020160035944 A KR 1020160035944A KR 20160035944 A KR20160035944 A KR 20160035944A KR 101712316 B1 KR101712316 B1 KR 10171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raking
rear wheel
pla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신동
Original Assignee
여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신동 filed Critical 여신동
Priority to KR102016003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316B1/ko
Priority to JP2017557116A priority patent/JP6564880B2/ja
Priority to PCT/KR2017/003049 priority patent/WO2017164635A1/ko
Priority to US15/792,062 priority patent/US102594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5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62B5/0461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with positive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76Ri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6Positive loc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2051/001Parts or details of drum brakes
    • F16D2051/008Brakes with only one substantially rigid brak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가 위치된 적재판의 상부 후방측에 원터치형으로 작동되는 풋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제동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카트의 구동시에는 풋브레이크페달이 적재판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카트의 제동시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하기 위해,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재판(2)과, 상기 적재판(2)의 하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는 전륜(3) 및 후륜(10)과, 상기 적재판(2)의 상부측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절첩이 가능하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부(6)가 장착된 손잡이(7)와, 상기 적재판(2)의 전방측 양 대각부에 설치되어 적재판(2)이 장애물에 부딪힐 때 완충역할 및 조향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8)와, 상기 후륜(10)을 제동 제어하는 제동부(100)를 포함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100)는, 상기 한쌍의 후륜(10)끼리 마주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함몰부(11)의 테두리측에 빙둘러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2); 상기 한쌍의 후륜(10)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부가 마주하는 양측 함몰부(11)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홈(12)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동바(20); 상기 제동바(20)가 관통 지지되며, 적재판(2)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부(32)에 연결되어 제동바(20)를 회동시키는 작동링크(30); 상기 작동링크(30)에 후방에 고정된 연동바(42)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하는 연결링크(40); 상기 제동바(20) 및 연동바(42)에 연결되어 상호간에 탄성적으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스프링(50); 상기 연결링크(40)의 상부측에 고정되고 적재판(2)의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 상에서 수직 승하강작동되도록 지지되는 푸시스위치(60); 상기 푸시스위치(60)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적재판(2)의 상부에 노출 위치되는 풋브레이크페달(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Breaking device of portable cart}
본 발명은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가 위치된 적재판의 상부 후방측에 원터치형으로 작동되는 풋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제동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카트의 구동시에는 풋브레이크페달이 적재판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카트의 제동시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체국, 창고 등에서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반용 카트는, 통상 카트 본체 하부에 물건을 실을 수 있는 적재판이 설치되고, 적재판의 전후방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전륜 및 후륜)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적재판의 후방에는 포스트 및 손잡이가 설치되어, 카트 사용자는 손잡이를 밀어가며 전후방의 캐스터를 회전시키면서 일정 구간 내에서 물건을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 택배운송이 보편화되었고, 물류 창고가 대형화되는 환경에서 카트를 일정구간 내에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카트를 운송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거나, 창고설비 등에 다량 적재 보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카트는 종래도면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손수레를 말하는 것으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판(310), 적재판 하부에 장착된 전륜(320)과 후륜(330) 및 상기 적재판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손잡이(34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카트(300)의 적재판(310)에 물건을 적재하여 손잡이(340)를 통해 밀거나 당겨서 물건을 운반하게 된다. 이때 전륜(320)은 360°회전할 수 있어 조향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물건을 적재할 때나, 카트를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 카트에 제동장치가 부착되지 않아,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거나, 바퀴에 제동시킬 수 있는 물건을 받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무거운 물건을 적재하여 운반할 때 제동장치의 부재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가 절첩되지 않아 카트를 옮길 때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옮기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를 절첩할 수 있다 하더라도, 손잡이를 절첩할 수 있는 스위치 부분이 적재판 위에 위치하여 적재되는 물건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카트가 장애물에 부딪히는 경우, 다시 후진시켰다가 조향하여 전진할 수밖에 없어 카트의 운행이 어려웠으며, 특히 무거운 하중의 물건을 적재한 때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카트가 부딪힌 장애물에도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바퀴의 휠과 적재판과 바퀴를 잇는 부분이 철재여서, 상호간 부딪히는 소음이 발생하였고, 사용기간이 길어 질수록 그 소음은 더해 불편을 야기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대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452757호를 통해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 등록특허 제10-1452757호의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에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카트의 제동장치를 개선하고자 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3994호 등록특허 제10-145275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사용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가 위치된 적재판의 상부 후방측에 원터치형으로 작동되는 풋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제동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카트의 구동시에는 풋브레이크페달이 적재판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카트의 제동시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재판(2)과, 상기 적재판(2)의 하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는 전륜(3) 및 후륜(10)과, 상기 적재판(2)의 상부측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절첩이 가능하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부(200)가 장착된 손잡이(7)와, 상기 적재판(2)의 전방측 양 대각부에 설치되어 적재판(2)이 장애물에 부딪힐 때 완충역할 및 조향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8)와, 상기 후륜(10)을 제동 제어하는 제동부(100)를 포함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100)는, 상기 한쌍의 후륜(10)끼리 마주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함몰부(11)의 테두리측에 빙둘러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2); 상기 한쌍의 후륜(10)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부가 마주하는 양측 함몰부(11)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홈(12)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동바(20); 상기 제동바(20)가 관통 지지되며, 적재판(2)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부(32)에 연결되어 제동바(20)를 회동시키는 작동링크(30); 상기 작동링크(30)에 후방에 고정된 연동바(42)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하는 연결링크(40); 상기 제동바(20) 및 연동바(42)에 연결되어 상호간에 탄성적으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스프링(50); 상기 연결링크(40)의 상부측에 고정되고 적재판(2)의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 상에서 수직 승하강작동되도록 지지되는 푸시스위치(60); 상기 푸시스위치(60)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부면이 적재판(2)의 상부에 노출 위치되는 풋브레이크페달(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풋브레이크페달(70)은, 상기 후륜(10)의 구동시 적재판(2)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재판(2)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풋브레이크페달(70)의 상부면이 적재판(2)의 상부면에 일직선 상에 놓이거나 적재판(2) 상에 돌출 형성된 보호가이드(98) 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후륜(10)의 제동시 풋브레이크페달(70)이 적재판(2) 또는 보호가이드(98)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클램핑부(200)는, 상기 손잡이(7)의 양측 하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손잡이(7)가 절첩될 수 있도록 손잡이(7)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형태의 하우징(210)과, 상기 손잡이(7) 하단부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적재판(2)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수평 관통되는 지지바(22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지지바(220)에 축결합되어 손잡이(7)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롤러 형태의 지지부재(230)와, 상기 지지바(220)가 탄성 상승하도록 일측이 지지바(220)의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바(220) 하부측의 하우징(210)의 내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240)와, 상기 풋브레이크페달(70)의 후방에 위치되고 지지바(220)의 작동봉(221) 상부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작동봉(221)을 하향 가압하는 손잡이절첩용페달(250)과, 상기 적재판(2)의 바닥에 하향 연장되며, 지지바(220)의 작동봉(221)이 위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도록 수직형태의 작동로(261)가 형성된 걸림부재(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30)는 롤러 형태로서, 롤러 형태의 중간부에 손잡이(7) 하단부 단면형상의 곡률을 가진 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후륜(10) 각각의 양측에 후륜(10)의 회동을 지지하는 축볼트(14)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5)이 적재판(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륜(10)의 내측에 위치된 브라켓(15a) 상에는 상기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동바(20)의 궤적을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제동바(20)가 관통되는 작동슬롯(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40) 상에는 연동바(42)가 관통되어 유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작동슬롯(4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작동슬롯(43)은 연동바(42)의 궤적을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바(20)를 수용하도록 작동링크(30) 상에 제동바(20)가 관통되어 유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작동슬롯(3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작동슬롯(31)은 제동바(20)의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스위치(60)는, 상기 적재판(2)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의 상부측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푸시블럭(62)과, 상기 푸시블럭(62)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연결링크(40)를 가압 작동하는 탄성스프링(64)과, 상기 푸시블럭(62)의 측부에 밀착 구비되어 푸시블럭(62)의 수직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럭(66)과, 상기 가이드블럭(66)을 따라 푸시블럭(62)이 승하강되도록 푸시블럭(62)과 가이드블럭(66) 사이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6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66)은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진입되는 경사진입로(8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입로(81)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8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로(83)에 연장되어 경사진입로(81)의 초입측에 연결되는 복귀로(8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로(83)에는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상방으로 탄성 걸림되어 작동정지되도록 걸림로(83)의 상부측에 걸림요홈부(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가 위치된 적재판의 상부 후방측에 원터치형으로 작동되는 풋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제동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카트의 구동시에는 풋브레이크페달이 적재판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카트의 제동시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풋브레이크페달의 부근에 손잡이절첩용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발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적재판 상에 손잡이를 절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카트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의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의 저면 분해 사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동바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풋브레이크페달 설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동바 및 작동슬롯 작동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푸시스위치 내부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푸시스위치 작동순서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부의 실시예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사용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가 위치된 적재판의 상부 후방측에 원터치형으로 작동되는 풋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제동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카트의 구동시에는 풋브레이크페달이 적재판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카트의 제동시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보면, 후륜(10)에 형성되는 걸림홈(12), 제동바(20), 작동링크(30), 연결링크(40), 연결스프링(50), 푸시스위치(60) 및 풋브레이크페달(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카트는 도 2에서와 같이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재판(2)과, 상기 적재판(2)의 하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는 전륜(3) 및 후륜(10)과, 상기 적재판(2)의 상부측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절첩이 가능하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부(6)가 장착된 손잡이(7)와, 상기 적재판(2)의 전방측 양 대각부에 설치되어 적재판(2)이 장애물에 부딪힐 때 완충역할 및 조향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8)와, 상기 후륜(10)을 제동 제어하는 제동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등록특허 제10-1452757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통상 카트는 적재판, 조향기능을 갖는 전륜 및 후륜, 손잡이로 구성되어 짧은 거리에서 적재판에 화물을 적재하여 끌거나 밀어서 수송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카트를 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상기 적재판(2)은 도 2에서와 같이 화물이 적재되는 판 형태로서 통상 4각 형태로 형성되며, 적재판(2)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손잡이(7)는 이동시 적재판(2) 상에서 수직 고정되지만, 보관시에는 클램핑부(6)에 의해 절첩되어 적재판(2)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손잡이(7)의 절접 구성으로 인해 적재판(2)의 상부면에 다른 카트를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시 좁은 장소에서도 많은 카트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륜(10)은 적재판(2)의 하부에 지지 설치되어 회동하는 것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한쌍의 후륜(10)끼리 마주하는 내측면에 원형의 함몰부(11)가 형성되고, 그 함몰부(11)의 테두리측에 빙둘러 다수의 걸림홈(12)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2)은 실시예로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함몰부(11)의 테두리측을 따라 연속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원형단면을 갖는 제동바(20)의 단부가 함몰부(11)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홈(12)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면서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이때, 걸림홈(12)은 다른 실시예로서 함몰부(11)의 테두리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동바(20)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즉시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걸림홈(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바(2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한쌍의 후륜(10) 사이에 위치되며, 제동바(20)의 양단부가 마주하는 한쌍의 후륜(10) 양측 함몰부(11)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홈(12)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구현을 위해 상기 제동바(20)는 도 3에서와 같이 적재판(2)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부(32)에 연결되는 작동링크(30)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작동링크(30)는 그 후방에 연결링크(40)와 연결 구비된다. 이때 작동링크(30) 및 연결링크(40)의 사이에는 연동바(42)가 관통 연결되어 연동바(42)를 축으로 작동링크(30) 및 연결링크(40)가 각각 회동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동바(20) 및 연동바(42) 사이에는 연결스프링(50)이 연결되어 상호간에 제동바(20) 및 연동바(42)의 상호간이 탄성적으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링크(40)의 상부측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푸시스위치(60)가 고정 설치된다. 푸시스위치(60)는 연결링크(40)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적재판(2)의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 상에서 수직 승하강작동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푸시스위치(60)의 상부측에는 풋브레이크페달(70)이 고정 구비된다. 풋브레이크페달(70)은 사용자가 적재판(2)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밟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풋브레이크페달(70)의 상부면이 적재판(2)에서 보이도록 구비된다.
이때, 풋브레이크페달(70)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후륜(10)의 구동시에는 적재판(2)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적재판(2)에 실리는 화물 등에 간섭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풋브레이크페달(70)의 상부면이 적재판(2)의 상부면에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할 수 있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서와 같이 적재판(2) 상에 돌출 형성된 풋브레이크페달(70)의 보호가이드(98) 내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륜(10)의 제동시에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풋브레이크페달(70)이 적재판(2) 또는 보호가이드(98)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한쌍의 후륜(10) 각각의 양측에 후륜(10)의 회동을 지지하는 축볼트(14)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5)이 적재판(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륜(10)의 내측에 위치된 브라켓(15a) 상에는 상기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동바(20)의 궤적을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제동바(20)가 관통되는 작동슬롯(16)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동바(20)를 수용하도록 작동링크(30) 상에 제동바(20)가 관통되어 유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작동슬롯(3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작동슬롯(31)은 제동바(20)의 궤적을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구조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40) 상에는 연동바(42)가 관통되어 유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작동슬롯(4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작동슬롯(43)은 연동바(42)의 궤적을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링크(40)의 상부측에 고정되고 적재판(2)의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 상에서 수직 승하강작동되도록 지지되는 푸시스위치(60)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적재판(2)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의 상부측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푸시블럭(62)과, 상기 푸시블럭(62)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연결링크(40)를 가압 작동하는 탄성스프링(64)과, 상기 푸시블럭(62)의 측부에 밀착 구비되어 푸시블럭(62)의 수직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럭(66)과, 상기 가이드블럭(66)을 따라 푸시블럭(62)이 승하강되도록 푸시블럭(62)과 가이드블럭(66) 사이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6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럭(66)은 도 8에서와 같이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진입되는 경사진입로(8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입로(81)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8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로(83)에 연장되어 경사진입로(81)의 초입측에 연결되는 복귀로(8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로(83)에는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상방으로 탄성 걸림되어 작동정지되도록 걸림로(83)의 상부측에 걸림요홈부(8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의 동작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2 및 도 4의 좌측도면에서와 같이 풋브레이크페달(70)이 하강 위치된 상태일 경우 제동바(20)의 단부는 후륜(10)의 함몰부(11)에 위치하게 되므로 후륜(10)이 회동작동된다. 이때 푸시스위치(60)를 구성하는 푸시블럭(62)에 연결된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는 도 9의 ③에서와 같이 걸림요홈부(84)에 걸림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륜(10)을 제동하기 위해서 풋브레이크페달(70)을 원터치 방식으로 밟아 가압하게 되면, 걸림요홈부(84)에 걸림되었던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탄성작동되면서 걸림로(83)를 이탈하여 도 9의 ④에서와 같이 복귀로(85)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승되어 도 9의 ⑤에서와 같이 복귀로(85)와 경사진입로(81)의 접점인 상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4의 우측도면에서와 같이 풋브레이크페달(70)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후륜(10)의 함몰부(11)에 위치되었던 제동바(20)의 단부가 내측 브라켓(15a)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작동슬롯(16)을 따라 이동되어 후륜(10)의 걸림홈(12)에 수용되면서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후륜(10)의 회동 제어 상태에서 해제를 하기 위해서는, 풋브레이크페달(70)를 상기와 똑같은 방식으로 밟아 가압하여야 하며, 이때 도 9의 ①에서와 같이 복귀로(85)와 경사진입로(81)의 접점인 상사점에 위치한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도 9의 ②에서와 같이 경사진입로(81)를 따라 하강 이동하게 되고, 경사진입로(81)의 하사점을 거쳐 도 9의 ③에서와 같이 걸림로(83)로 진입하여 걸림요홈부(84)에 걸림된다.
이때, 도 4의 좌측도면에서와 같이 풋브레이크페달(70)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후륜(10)의 걸림홈(12)에 수용 위치되었던 제동바(20)의 단부가 내측 브라켓(15a)에 형성된 장공 형태의 작동슬롯(16)을 따라 이동되어 후륜(10)의 걸림홈(12)을 이탈하여 함몰부(11)에 위치되면서 후륜(10)의 회동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형성되는 클램핑부(200)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7)의 양측 하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손잡이(7)가 절첩될 수 있도록 손잡이(7)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형태의 하우징(210)과, 상기 손잡이(7) 하단부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적재판(2)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수평 관통되는 지지바(22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지지바(220)에 축결합되어 손잡이(7)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롤러 형태의 지지부재(230)와, 상기 지지바(220)가 탄성 상승하도록 일측이 지지바(220)의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바(220) 하부측의 하우징(210)의 내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240)와, 상기 풋브레이크페달(70)의 후방에 위치되고 지지바(220)의 작동봉(221) 상부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작동봉(221)을 하향 가압하는 손잡이절첩용페달(250)과, 상기 적재판(2)의 바닥에 하향 연장되며, 지지바(220)의 작동봉(221)이 위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도록 수직형태의 작동로(261)가 형성된 걸림부재(2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30)는 롤러 형태로서, 도 11에서와 같이 롤러 형태의 중간부에 손잡이(7) 하단부 단면형상인 원형단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진 홈(231)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고하여 보면,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적재판(2) 상에서 지지바(220)가 수직방향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절첩용페달(250)을 밟게 되면,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손잡이절첩용페달(250)의 하부면에 밀착된 지지바(220)가 걸림부재(260)의 작동로(261)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손잡이(7)의 단부에 밀착지지된 롤러 형태의 지지부재(230)가 지지바(220)를 따라 하강함으로써 손잡이(7)의 단부의 지지를 해제하게 되므로 손잡이(7)의 절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의 (c)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40)의 복귀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230)가 원위치로 상승 복귀하면서 절첩된 손잡이(7)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절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7)를 다시 적재판(2) 상에서 수직하게 세우고자 할 때는 손잡이(7)를 절첩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의하면, 사용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가 위치된 적재판의 상부 후방측에 원터치형으로 작동되는 풋브레이크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제동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카트의 구동시에는 풋브레이크페달이 적재판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카트의 제동시에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풋브레이크페달의 부근에 손잡이절첩용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면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발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적재판 상에 손잡이를 절첩할 수 있게 된다.
2 : 적재판 3 : 전륜
6 : 클램핑부 7 : 손잡이
10 : 후륜 11 : 함몰부
12 : 걸림홈 20 : 제동바
30 : 작동링크 32 : 힌지
40 : 연결링크 42 : 연동바
50 : 연결스프링 60 : 푸시스위치
70 : 풋브레이크페달 100 : 제동부

Claims (9)

  1.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재판(2)과, 상기 적재판(2)의 하부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는 전륜(3) 및 후륜(10)과, 상기 적재판(2)의 상부측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절첩이 가능하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부(200)가 장착된 손잡이(7)와, 상기 적재판(2)의 전방측 양 대각부에 설치되어 적재판(2)이 장애물에 부딪힐 때 완충역할 및 조향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8)와, 상기 후륜(10)을 제동 제어하는 제동부(100)를 포함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100)는,
    상기 한쌍의 후륜(10)끼리 마주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함몰부(11)의 테두리측에 빙둘러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12); 상기 한쌍의 후륜(10) 사이에 위치되어 양단부가 마주하는 양측 함몰부(11)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홈(12)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동바(20); 상기 제동바(20)가 관통 지지되며, 적재판(2)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부(32)에 연결되어 제동바(20)를 회동시키는 작동링크(30); 상기 작동링크(30)에 후방에 고정된 연동바(42)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하는 연결링크(40); 상기 제동바(20) 및 연동바(42)에 연결되어 상호간에 탄성적으로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스프링(50); 상기 연결링크(40)의 상부측에 고정되고 적재판(2)의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 상에서 수직 승하강작동되도록 지지되는 푸시스위치(60); 상기 푸시스위치(60)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상부면이 적재판(2)의 상부에 노출 위치되는 풋브레이크페달(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풋브레이크페달(70)은,
    상기 후륜(10)의 구동시 적재판(2)에 실리는 화물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재판(2)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풋브레이크페달(70)의 상부면이 적재판(2)의 상부면에 일직선 상에 놓이거나 적재판(2) 상에 돌출 형성된 보호가이드(98) 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후륜(10)의 제동시 풋브레이크페달(70)이 적재판(2) 또는 보호가이드(98)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동상태 임을 부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200)는,
    상기 손잡이(7)의 양측 하단부가 각각 수용되어 손잡이(7)가 절첩될 수 있도록 손잡이(7)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형태의 하우징(210)과,
    상기 손잡이(7) 하단부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적재판(2)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210)에 수평 관통되는 지지바(220)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지지바(220)에 축결합되어 손잡이(7)의 하단부에 밀착되는 롤러 형태의 지지부재(230)와,
    상기 지지바(220)가 탄성 상승하도록 일측이 지지바(220)의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바(220) 하부측의 하우징(210)의 내측에 고정되는 탄성부재(240)와,
    상기 풋브레이크페달(70)의 후방에 위치되고 지지바(220)의 작동봉(221) 상부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작동봉(221)을 하향 가압하는 손잡이절첩용페달(250)과,
    상기 적재판(2)의 바닥에 하향 연장되며, 지지바(220)의 작동봉(221)이 위치되어 상하로 승강하도록 수직형태의 작동로(261)가 형성된 걸림부재(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30)는 롤러 형태로서, 롤러 형태의 중간부에 손잡이(7) 하단부 단면형상의 곡률을 가진 홈(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후륜(10) 각각의 양측에 후륜(10)의 회동을 지지하는 축볼트(14)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5)이 적재판(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후륜(10)의 내측에 위치된 브라켓(15a) 상에는 상기 후륜(10)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동바(20)의 궤적을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제동바(20)가 관통되는 작동슬롯(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40) 상에는 연동바(42)가 관통되어 유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작동슬롯(43)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작동슬롯(43)은 연동바(42)의 궤적을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바(20)를 수용하도록 작동링크(30) 상에 제동바(20)가 관통되어 유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작동슬롯(3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작동슬롯(31)은 제동바(20)의 따라 장공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스위치(60)는, 상기 적재판(2)의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되어 적재판(2)의 상부측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푸시블럭(62)과,
    상기 푸시블럭(62)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연결링크(40)를 가압 작동하는 탄성스프링(64)과,
    상기 푸시블럭(62)의 측부에 밀착 구비되어 푸시블럭(62)의 수직 승하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럭(66)과,
    상기 가이드블럭(66)을 따라 푸시블럭(62)이 승하강되도록 푸시블럭(62)과 가이드블럭(66) 사이에 연결되는 복귀스프링(6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66)은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진입되는 경사진입로(8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입로(81)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8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로(83)에 연장되어 경사진입로(81)의 초입측에 연결되는 복귀로(8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로(83)에는 복귀스프링(68)의 직선하단부(69)가 상방으로 탄성 걸림되어 작동정지되도록 걸림로(83)의 상부측에 걸림요홈부(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KR1020160035944A 2016-03-25 2016-03-25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KR10171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44A KR101712316B1 (ko) 2016-03-25 2016-03-25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JP2017557116A JP6564880B2 (ja) 2016-03-25 2017-03-22 ポータブルカートの制動装置
PCT/KR2017/003049 WO2017164635A1 (ko) 2016-03-25 2017-03-22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US15/792,062 US10259482B2 (en) 2016-03-25 2017-10-24 Braking device for portable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44A KR101712316B1 (ko) 2016-03-25 2016-03-25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316B1 true KR101712316B1 (ko) 2017-03-03

Family

ID=5841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44A KR101712316B1 (ko) 2016-03-25 2016-03-25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59482B2 (ko)
JP (1) JP6564880B2 (ko)
KR (1) KR101712316B1 (ko)
WO (1) WO2017164635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8575A (zh) * 2017-03-28 2017-06-13 宁夏平罗县贸易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超市购物车
CN110482094A (zh) * 2019-08-21 2019-11-22 科捷智能装备有限公司 具有新型防坠机构的载货台及其方法
CN111152824A (zh) * 2019-12-30 2020-05-15 云南晨鸣电器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平板推车
KR20200091706A (ko) 2019-01-23 2020-07-31 여신동 물품 운반용 카트
CN111516745A (zh) * 2020-05-13 2020-08-11 苏州艾卡特金属制品有限公司 横向移动式六轮台车
KR102413627B1 (ko) 2021-01-27 2022-06-24 여신동 핸들형 제동구조를 갖는 카트
KR102413625B1 (ko) 2021-01-27 2022-06-24 여신동 간편 제동구조를 갖는 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755B1 (ko) * 2018-03-21 2018-09-17 여신동 바퀴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카트
USD904714S1 (en) * 2019-08-28 2020-12-08 Donald W. Franks Cart
CN113978539A (zh) * 2020-07-09 2022-01-2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刹车机构及具有该机构的婴儿车
CN112914893B (zh) * 2021-01-19 2022-06-07 佛山市安雄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康复科用多功能老年人起身辅助椅
CN113525477B (zh) * 2021-07-07 2022-10-25 广州缘润科电商有限公司 一种夹持效果好且具有防撞功能的移动装置
US11904920B2 (en) 2021-11-19 2024-02-20 Raytheon Company Lift cart with mechanically actuated automatic brak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25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전홍 이동식 손수레
JP2003104208A (ja) * 2001-09-28 2003-04-09 Shin Nippon Sharyo Kk ブレーキ付き手押運搬車
KR20120003994U (ko) 2010-11-29 2012-06-07 윤진환 적재가 간편한 수레
KR101355522B1 (ko) * 2013-08-21 2014-01-27 (주)동인기연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1452757B1 (ko) 2014-02-20 2014-10-22 여신동 컴팩트형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9871A (en) * 1995-05-31 1996-12-03 Lermer Corporation Brake assembly for rollable utility carts
US6408990B1 (en) * 2000-12-20 2002-06-25 Kingstar Baby Carriage Co., Ltd. Settling device for stopping movement of baby car by inhibiting rotation of wheels
US20070045055A1 (en) * 2005-08-25 2007-03-01 Red Lan Stroller with a brake assembly
TW200831338A (en) * 2007-01-24 2008-08-01 Test Rite Int Co Ltd Wag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25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전홍 이동식 손수레
JP2003104208A (ja) * 2001-09-28 2003-04-09 Shin Nippon Sharyo Kk ブレーキ付き手押運搬車
KR20120003994U (ko) 2010-11-29 2012-06-07 윤진환 적재가 간편한 수레
KR101355522B1 (ko) * 2013-08-21 2014-01-27 (주)동인기연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1452757B1 (ko) 2014-02-20 2014-10-22 여신동 컴팩트형 카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8575A (zh) * 2017-03-28 2017-06-13 宁夏平罗县贸易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超市购物车
KR20200091706A (ko) 2019-01-23 2020-07-31 여신동 물품 운반용 카트
CN110482094A (zh) * 2019-08-21 2019-11-22 科捷智能装备有限公司 具有新型防坠机构的载货台及其方法
CN110482094B (zh) * 2019-08-21 2023-09-15 科捷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新型防坠机构的载货台及其方法
CN111152824A (zh) * 2019-12-30 2020-05-15 云南晨鸣电器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平板推车
CN111516745A (zh) * 2020-05-13 2020-08-11 苏州艾卡特金属制品有限公司 横向移动式六轮台车
KR102413627B1 (ko) 2021-01-27 2022-06-24 여신동 핸들형 제동구조를 갖는 카트
KR102413625B1 (ko) 2021-01-27 2022-06-24 여신동 간편 제동구조를 갖는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14443A (ja) 2018-06-07
US10259482B2 (en) 2019-04-16
JP6564880B2 (ja) 2019-08-21
US20180050717A1 (en) 2018-02-22
WO2017164635A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316B1 (ko)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US5117944A (en) Electrical industrial truck
US6386560B2 (en) Dolly for large appliances
US6450515B1 (en) Clip-on wheels for pallets or other structures with runners
US4886286A (en) Portable concession stand
US7448476B2 (en) Brake assembly and control mechanism for a cart, and method
US7192036B2 (en) Manually movable trolley
KR101452757B1 (ko) 컴팩트형 카트
US8562003B2 (en) Cart brake and cart with user-operable brake
KR101637132B1 (ko) 포트블 제동 카트
US7516855B2 (en) Storage carts
US5749587A (en) Hand truck for easy removal of carried objects
US20060279051A1 (en) Steering assembly for a trolley
KR101701590B1 (ko) 계단용 카트의 브레이크 장치
EP4034449B1 (en) Foldable platform truck with a brake controllable by a swivable u-shaped handle
KR200431212Y1 (ko)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KR20130000273U (ko) 운반용 손수레
JP6792109B2 (ja) 音声警報付き台車
KR101849471B1 (ko) 공항용 카트
JPS633875Y2 (ko)
US20120211956A1 (en) Manually Driven Cart with Biased-Direction Rear Wheels
GB2317593A (en) Shopping trolley with supplementary load carrier
JP3026899U (ja) 折り畳み式二段層の工具運搬車
JP2023064853A (ja) 台車
KR101789705B1 (ko) 보조바퀴가 구비된 이동대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