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706A - 물품 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물품 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706A
KR20200091706A KR1020190008838A KR20190008838A KR20200091706A KR 20200091706 A KR20200091706 A KR 20200091706A KR 1020190008838 A KR1020190008838 A KR 1020190008838A KR 20190008838 A KR20190008838 A KR 20190008838A KR 20200091706 A KR20200091706 A KR 20200091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main body
cart
coupled
connec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423B1 (ko
Inventor
여신동
Original Assignee
여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신동 filed Critical 여신동
Priority to KR102019000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4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 킥보드 부재의 이동 방향과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의 이동 방향을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물품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탑재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부, 상기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바퀴 부재,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킥보드 부재, 상기 본체와 킥보드 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킥보드 부재를 동일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위치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킥보드 부재의 방향 전환 과정 없이 계속하여 물품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운반용 카트{CART STRUCTURE FOR GOODS TRANSPORT}
본 발명은 킥보드 부재가 결합된 물품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 킥보드 부재의 이동 방향과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의 이동 방향을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물품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건이나 공구, 부품 등(이하 "물품"이라 한다.)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 카트(Hand Cart)는 물품을 얹거나 적재할 수 있도록 소정 평면적의 본체(짐받이)가 구비되고, 본체의 저부면 전후에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각각 설치되고, 본체 후방에는 절첩식 핸들과 제동수단(제동 페달)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드 카트의 핸들을 밀면 전후방의 캐스터가 미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정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큰 힘 들이지 않고 물품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최근에는 택배운송이 보편화하였고, 물류 창고가 대형화되는 환경에서 카트를 일정구간 내에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카트를 운송차량에 적재하여 이동하거나, 창고설비 등에 다량 적재 보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카트는 물품을 실어 나를 수 있도록 만든 작은 손수레를 말하는 것으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판, 적재판 하부에 장착된 전륜과 후륜 및 상기 적재판에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손잡이로 구성되고, 카트의 적재판에 물건을 적재하여 손잡이를 통해 밀거나 당겨서 물건을 운반하게 된다. 한편, 전륜은 360° 회전할 수 있어 조향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물건이 수용 가능한 캐리어부, 상기 캐리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부 및 상기 캐리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부는 상기 보딩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건을 지지하는 지탱부 및 상기 지탱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탱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딩부는 상기 캐리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첩부, 상기 절첩부에 결합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발판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하는 보딩바퀴를 포함하는 쇼핑카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소정 평면적의 본체, 본체 상부면에 형성되는 바닥, 본체의 저면부 전후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 본체에 설치되는 접철식 핸들, 핸들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구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핸들을 수직으로 세우면 지지구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핸들의 하단부가 지지되면서 자동으로 세워지며, 반대로 발로 풋 페달의 답판을 밟으면 상기 롤러가 상승 이동하면서 핸들의 하단부 지지력이 제거되어 핸들이 자동으로 접어지는 핸드 카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판, 상기 적재판의 하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전륜 및 후륜, 상기 적재판의 상부 측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절첩이 가능하고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램핑부가 장착된 손잡이, 상기 적재판의 전방 측 양 대각부에 설치되어 적재판이 장애물에 부딪힐 때 완충역할 및 조향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 상기 후륜을 제동 제어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11822호(2016.02.0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2756호(2017.03.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2316호(2017.02.24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보딩부를 마련하여 쇼핑카트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키고, 방향 전환을 편리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물품의 무게가 크고 대량의 물품을 이송하는 경우, 캐리어부의 이동 방향과 보딩부의 이동 방향이 어긋나면, 원하는 방향으로 물품의 이송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 및 3은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것으로서, 상기 특허문헌 2에는 풋 페달을 이용하여 핸들을 쉽고 편리하게 접을 수 있는 핸드 카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상기 특허문헌 3에는 손잡이부가 위치된 적재판의 상부 후방 측에 원터치 형으로 작동되는 풋 브레이크 페달을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제동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물품 운반용 카트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품의 무게가 크고 대량의 물품을 고속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물품 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 킥보드 부재의 이동 방향과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의 이동 방향을 자동으로 일치시킬 수 있는 물품 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킥보드 부재와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물품 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는 물품을 탑재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부, 상기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바퀴 부재,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킥보드 부재, 상기 본체와 킥보드 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킥보드 부재를 동일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위치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킥보드 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킥보드 상에는 제1 연결축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 부재에는 제2 연결축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 복원 부재는 상기 제1 연결축과 제2 연결축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상기 위치 복원 부재는 토션 스프링 또는 토션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상기 제1 연결축에는 "Y"자 형상의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축에는 상기 "Y"자 형상의 홈에 대응하는 중심 심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상기 핸들부에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마련되고, 상기 킥보드 부재는 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킥보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상기 제1 연결축과 제2 연결축은 상기 위치 복원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상기 킥보드 부재에는 보드용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보드용 바퀴는 전기적 동력(전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의하면, 본체와 킥보드 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킥보드 부재를 동일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위치 복원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을 사용하여 이송을 위한 킥보드 부재의 방향 전환 과정 없이 계속하여 물품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의하면, 위치 복원 부재가 자동으로 본체와 킥보드 부재의 이동 방향을 일치시키므로, 물품의 이송을 고속이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의하면, 연결판에 마련된 자석 부재의 자성에 의해 킥보드 부재가 접착하게 되므로, 킥보드 부재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품 운반용 카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적용되는 위치 복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복원 부재의 결합 상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복원 부재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적용되는 위치 복원 부재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위치 복원 부재의 동작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적용되는 위치 복원 부재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본체와 킥보드 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는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의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 제1 실시 예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품 운반용 카트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적용되는 위치 복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복원 부재의 결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탑재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본체의 상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킥보드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의 일측 상부에는 본체(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0)는 플라스틱 또는 철재와 같은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체의 중량을 감소시키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위해 본체(100)의 하부에는 바퀴 부재(110)가 결합된다. 상기 바퀴 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전륜(111)과 한 쌍의 후륜(112)으로 이루어진다. 또 한 쌍의 전륜(111)과 한 쌍의 후륜(112)은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 본체(100)의 상면 후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면을 향해 핸들부(300)를 접게 할 수 있는 핸드 접이용 페달(120)과 상기 바퀴 부재(11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130)이 마련된다. 상기 핸드 접이용 페달(120)은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상기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2756호)에 개시된 핸드 카트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브레이크 페달(130)도 본 발명자가 출원하여 등록된 상기 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2316호)에 개시된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킥보드 부재(200)는 플라스틱 또는 철재와 같은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을 탑재하여 운용을 하므로 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킥보드 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을 탑재하는 탑재부(210)와 탑재부(210)의 하부에 마련된 보드용 바퀴(220)를 구비한다. 또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킥보드 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부재(230)가 마련된다. 따라서 킥보드 부재(200)는 힌지 부재(230)에 의해 상기 핸들부(300)를 향해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된다.
상기 힌지 부재(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의 중앙 부분에 한 쌍으로 결합된 지지부(231), 상기 한 쌍의 지지부(231) 사이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회동축(232), 상기 회동축(23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힌지 부재(233)를 포함한다. 이 힌지 부재(233)는 중공 형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의 제작 시, 회동축(232)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는 회동축(232)이 한 쌍의 지지부(231)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회동축(232)이 한 쌍의 지지부(231) 상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힌지 부재(233)가 회동축(232)의 외주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핸들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면 후측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 제한부(310), 회전 제한부(310)의 일측에 마련된 좌측 프레임(320)과 회전 제한부(310)의 타측에 마련된 우측 프레임(330) 및 좌측 프레임(320)과 우측 프레임(330)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340)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의 프레임, 상기 좌측 프레임(320)과 우측 프레임(330)의 사이에 결합된 연결판(35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예를 들어 일체로 이루어진 철재의 원통형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판(350)은 철재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판(350)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킥보드 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부재(36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킥보드 부재(200)의 이동 방향과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위치 복원 부재(400)가 마련된다.
즉, 위치 복원 부재(400)는 사용자가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위해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가 일시적으로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도 방향 전환 후,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를 동일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복원 부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킥보드 부재(200)의 탑재부(210)에서 상부를 향해 마련된 제1 연결축(211), 상기 제1 연결축(211)에 대향하여 상기 힌지 부재(233)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제2 연결축(234), 상기 제2 연결축(234)에서 연장하여 마련된 중심 심재(410)를 포함한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축(211)은 힌지 부재(233)와 일체화되어 마련될 수 있고, 제2 연결축(234)도 힌지 부재(233)와 일체화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축(2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Y"자 형상의 홈(420)이 마련되고, 이 홈(420)에 중심 심재(410)가 삽입 유지된다. 즉 홈(420)은 제1 연결축(211)의 상부 둘레 부분에서 중앙 부분을 향한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되고, 이 테이퍼 형상의 중앙 부분에서 하부를 향해 오목부가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제2 연결축(234)의 하부는 상기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 둘레 부분에서 중앙 부분을 향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하여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중심 심재(410)가 마련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홈(420)에 중심 심재(420)가 끼워 맞춤된 상태는 킥보드 부재(200)의 이동 방향과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100)의 이동 방향이 동일 방향(정위치)일 때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1 연결축(211), 제2 연결축(234) 및 중심 심재(410)는 킥보드 부재(200)의 이동 방향과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100)의 이동 방향의 어긋남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축(211), 제2 연결축(234) 및 중심 심재(410)가 홈(420) 내에서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므로, 제1 연결축(211), 제2 연결축(234) 및 중심 심재(4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철재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킥보드 부재(200)의 이동 방향과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자동으로 일치시키는 기능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위치 복원 부재의 동작 설명도 이다.
사용자가 본체(100) 상에 탑재된 물품의 무게가 크고 대량의 물품을 이송하면서 핸들부(300)의 조작에 의해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의 이동 방향이 어긋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의 이동 방향이 어긋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심재(410)가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킥보드 부재(200)에 마련된 제1 연결축(21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에 따라 일시적으로 힌지 부재(233)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제2 연결축(234)의 경사면이 이동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본체(100)에 탑재된 물품의 중력에 따라 힌지 부재(233)의 중앙 부분에 마련된 제2 연결축(234)의 경사면이 킥보드 부재(200)에 마련된 제1 연결축(211)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을 따라 하강하는 것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킥보드 부재(200)의 이동 방향이 본체(100)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도록 킥보드 부재(200)를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복원 부재(40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물품의 이송 과정에서 사용자가 본체(100)의 방향 전환을 하여도 킥보드 부재(200)는 자동적으로 본체(100)의 이동 방향을 추종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사용하여 본체(100)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도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를 동일 방향으로 유지하므로, 사용자의 발을 사용하여 이송을 위한 킥보드 부재(200)의 방향 전환 과정 없이 계속하여 물품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다.
[ 제2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로서 위치 복원 부재의 다른 구조를 도 6 및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본체(100), 킥보드 부재(200) 및 핸들부(300)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위치 복원 부재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적용되는 위치 복원 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위치 복원 부재의 동작 설명도 이다.
제2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제1 연결축(211)과 제2 연결축(234)은 제1 실시 예의 구조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면이 평탄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실시 예에서 위치 복원 부재는 토션 바(torsion bar, 430)를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토션 바(430)는 비틀릴 때 에너지를 축적하고 본체(100)에서 인가되는 같은 중량일 때 코일 스프링에 비해 보존(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가 크고,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서 가늘고 곧기 때문에 공간 효율이 높으며, 속이 찬 강봉을 사용하지만, 중공의 강관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토션 바(430)의 하측은 제1 연결축(211)의 상부에 결합되고, 토션 바(430)의 상측은 제2 연결축(234)의 하부에 결합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와의 방향 어긋남이 발생하여도, 토션 바(43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방향으로 복원된다.
상기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과 토션 바(430)의 결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바(430)의 내부에 삽입 홈을 마련하고,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의 각각의 끝 부분을 억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의 각각의 단부와 토션 바(4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체결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의 각각의 단부와 토션 바(430)의 내부 또는 외부를 볼트와 너트의 체결 구조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 제2 실시 예에 의해서도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사용하여 본체(100)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도 토션 바(430)의 기능에 의해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가 동일 방향으로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발을 사용하여 이송을 위한 킥보드 부재(200)의 방향 전환 과정 없이 계속하여 물품을 고속으로 이송할 수 있다.
[ 제3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 실시 예로서 위치 복원 부재의 또 다른 구조를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본체(100), 킥보드 부재(200) 및 핸들부(300)의 구조는 제1 실시 예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므로, 위치 복원 부재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 적용되는 위치 복원 부재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3 실시 예에 적용되는 제1 연결축(211)과 제2 연결축(234)은 제1 실시 예의 구조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면이 평탄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 예에서 위치 복원 부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440)을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토션 스프링(440)은 스프링의 비틀림을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것이다.
토션 스프링(440)의 하측은 제1 연결축(211)의 상부에 결합되고, 토션 바(430)의 상측은 제2 연결축(234)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와의 방향 어긋남이 발생하여도, 토션 스프링(44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방향으로 복원된다.
상기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과 토션 스프링(440)의 결합은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440)의 내부에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의 각각의 끝 부분을 억지 끼워 맞춤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의 각각의 끝 부분의 외부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스프링이 나사 체결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제1 연결축(211) 및 제2 연결축(234)의 각각의 단부에 홈을 마련하고, 이 각각의 홈에 토션 스프링(440)의 인출부가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 제3 실시 예에 의해서도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사용하여 본체(100)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여도 토션 스프링(440)의 기능에 의해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가 동일 방향으로 유지되므로, 사용자의 발을 사용하여 이송을 위한 킥보드 부재(200)의 방향 전환 과정 없이 계속하여 물품을 고속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와 같이 구성된 물품 운반용 카트의 보관 및 운반에 대해서는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 본체와 킥보드 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는 도 9의 (a)와 같은 상태로 물품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며, 물품 운반용 카트가 물품을 탑재하지 않고 운반 또는 보관되는 경우, 도 9의 (b)와 (c)의 단계를 거쳐 본체(100)의 상부에 킥보드 부재(200)와 핸들부(300)가 접혀진 상태로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다.
즉, 킥보드 부재(200)는 힌지 부재(230)에 의해 핸들부(300)를 향해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향해 보드용 바퀴(220) 부분을 들어올려 킥보드 부재(200)가 연결판(350)에 접촉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킥보드 부재(200)를 철재로 제작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50)에 마련된 자석 부재(360)에 킥보드 부재(200)가 접착하게 된다.
이어서, 통상의 카트와 같이 핸드 접이용 페달(12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에서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킥보드 부재(200)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는 제1 연결축(211)과 제2 연결축(234)이 위치 복원 부재에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구조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치 복원 부재(400)에서 제1 연결축(211) 또는 제2 연결축(234)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반 또는 보관 시, 본체(100)와 킥보드 부재(200)를 분리하여 운반 또는 보관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서는 킥보드 부재(200)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보드용 바퀴(220)가 전기적 동력(전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킥보드 부재(200)의 탑재부(210) 하부에 전원용 배터리, 이 배터리의 의해 작동하는 모터, 모터의 회전 축과 보드용 바퀴(220)의 회전 축을 연결하는 체인 등을 마련하고, 보드용 바퀴(220)를 전기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100) 상의 물품을 보다 용이하게 이송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운반용 카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킥보드 부재의 방향 전환 과정 없이 계속하여 물품의 이송을 실현할 수 있다.
100 : 본체
200 : 킥보드 부재
300 : 핸들부
400 : 위치 복원 부재

Claims (7)

  1. 물품을 탑재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부,
    상기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바퀴 부재,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킥보드 부재,
    상기 본체와 킥보드 부재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킥보드 부재를 동일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위치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용 카트.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킥보드 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킥보드 상에는 제1 연결축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 부재에는 제2 연결축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 복원 부재는 상기 제1 연결축과 제2 연결축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용 카트.
  3. 제2항에서,
    상기 위치 복원 부재는 토션 스프링 또는 토션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용 카트.
  4. 제2항에서,
    상기 제1 연결축에는 "Y"자 형상의 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연결축에는 상기 "Y"자 형상의 홈에 대응하는 중심 심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용 카트.
  5. 제1항에서,
    상기 핸들부에는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마련되고,
    상기 킥보드 부재는 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킥보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자석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용 카트.
  6. 제1항에서,
    상기 제1 연결축과 제2 연결축은 상기 위치 복원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용 카트.
  7. 제1항에서,
    상기 킥보드 부재에는 보드용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보드용 바퀴는 전기적 동력(전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운반용 카트.
KR1020190008838A 2019-01-23 2019-01-23 물품 운반용 카트 KR102158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38A KR102158423B1 (ko) 2019-01-23 2019-01-23 물품 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38A KR102158423B1 (ko) 2019-01-23 2019-01-23 물품 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706A true KR20200091706A (ko) 2020-07-31
KR102158423B1 KR102158423B1 (ko) 2020-09-21

Family

ID=7183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838A KR102158423B1 (ko) 2019-01-23 2019-01-23 물품 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146B1 (ko) * 2021-06-23 2023-09-01 이명자 스마트 달구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1993B1 (en) * 2002-02-12 2003-11-25 Thomas Emerzian Transport apparatus
JP2011235865A (ja) * 2010-05-06 2011-11-24 Ito Seitai Kogyosho:Kk 台車スケーター
KR200474422Y1 (ko) *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20160011822A (ko) 2014-07-22 2016-02-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KR101712316B1 (ko) 2016-03-25 2017-03-03 여신동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KR101722756B1 (ko) 2016-11-30 2017-04-03 여신동 핸드 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1993B1 (en) * 2002-02-12 2003-11-25 Thomas Emerzian Transport apparatus
JP2011235865A (ja) * 2010-05-06 2011-11-24 Ito Seitai Kogyosho:Kk 台車スケーター
KR200474422Y1 (ko) * 2013-03-18 2014-09-17 (주)한스이엔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20160011822A (ko) 2014-07-22 2016-02-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카트
KR101712316B1 (ko) 2016-03-25 2017-03-03 여신동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KR101722756B1 (ko) 2016-11-30 2017-04-03 여신동 핸드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423B1 (ko) 202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836B2 (en) Wheeled transports
KR890700504A (ko) 손수레
CA3009156C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US8162329B1 (en) Material transporter
KR20200091706A (ko) 물품 운반용 카트
US200602458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rolled materials
CN208881875U (zh) 小推车
KR101738302B1 (ko) 다기능 대차
CN211642234U (zh) 一种板车用折叠式把手结构体
US3456960A (en) Two-wheel hand cart with folding load supporting members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JP6198467B2 (ja) 被搬送物の取出装置
KR200460971Y1 (ko) 손수레
US9365226B1 (en) Transport dolly
CN212473584U (zh) 一种转运推车
US6170855B1 (en) Web roll cart
KR200431212Y1 (ko) 손잡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카트
CN114454930A (zh) 一种物料车
CN220298577U (zh) 一种电机驱动自动行驶的可折叠式物流台车
US20220409461A1 (en) Removable electric propulsion system for a rolling object, in particular a bed
EP0376720B1 (en) Carrier pallet
CN112208609A (zh) 一种物流运输车
CN218172319U (zh) 一种便携式手推车
KR200445617Y1 (ko) 이동 및 격납용 보면대 카트
CN217575227U (zh) 可变形手拉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