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756B1 - 핸드 카트 - Google Patents

핸드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756B1
KR101722756B1 KR1020160160981A KR20160160981A KR101722756B1 KR 101722756 B1 KR101722756 B1 KR 101722756B1 KR 1020160160981 A KR1020160160981 A KR 1020160160981A KR 20160160981 A KR20160160981 A KR 20160160981A KR 101722756 B1 KR101722756 B1 KR 10172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handle
coupled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신동
Original Assignee
여신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신동 filed Critical 여신동
Priority to KR102016016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6Handle bars rotatable about their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풋 페달(Foot Pedal)을 이용하여 핸들을 쉽고 편리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핸드 카트(Hand Cart)에 관한 것으로, 본체(2)의 선단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구(11)(12)와, 상기 지지구(11)(12)에 축설치되는 핸들(8)의 하단부(8b)와, 상기 지지구(11)(12)에 설치되고 핸들(8) 하단부(8b)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구(1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형 장공(23)(24)과, 상기 장공(23)(24)에 결합되는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와, 상기 축부(30b)에 축 결합되고 핸들(8) 하단부(8b)의 선단이나 선단 외주면을 지지하는 롤러(25)(26)와, 상기 롤러(25)(26)가 상승되도록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7)(28)과, 상기 본체(2)의 선단 중앙에 형성되는 요입홈(33)과, 상기 요입홈(33)의 바닥(33a)에 형성되는 통공(33b)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페달(36)과, 상기 페달(36)이 상승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41)(42)과, 상기 페달(36)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9)와, 상기 페달(36)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삽지부(45)와, 상기 삽지부(45)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홈(47)과, 상기 개방홈(47)에 결합되는 작동봉(30)의 중앙부와, 상기 작동봉(30)의 중앙부와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30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 카트{Hand Cart}
본 발명은 핸드 카트(Hand Cart)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의 풋 페달(Foot Pedal)을 이용하여 핸들을 쉽고 편리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건이나 공구, 부품 등(이하 '물건'이라 한다)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핸드 카트(Hand Cart)는 물건을 얹거나 적재할 수 있도록 소정 평면적의 본체(짐받이)가 구비되고, 본체의 저부면 전후에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가 각각 설치되고, 본체 후방에는 절첩식 핸들과 제동수단(제동 페달)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드 카트의 핸들을 밀면 전후방의 캐스터가 미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정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큰 힘 들이지 않고 물건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최근 택배 운송이 보편화되고, 물류 창고가 대형화되는 환경에서 일정 구간 내에서 물건을 운반하는데 핸드 카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이 비싸고 무거우며, 디자인이 심플하지 못하며, 핸들을 절첩하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 상부에 핸들을 접철시킬 수 있도록 작동봉이 수평으로 설치된 구성의 핸드 카트가 제안된 바 있으나, 핸들을 접기 위하여 작동봉을 발로 밟는 경우 길이가 긴 작동봉이 휘면서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작동봉을 강하게 밟는 경우 본체의 선단이 들리면서 적재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핸들을 접을 때에도 상기 작동봉을 밟아야되고, 핸들을 펼칠 때에도 상기 작동봉을 밟아야 되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작동봉에 의해 물건 적재 공간이 줄어들며, 물건이 작동봉을 누르거나 물건이 떨어지면서 작동봉에 충격을 주는 경우 핸들이 접어지면서 사용자나 주변 사람이 다치거나 물건이 파손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9644호(발명의 명칭: 무한궤도를 갖는 핸드카트, 2011. 08. 25.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5495호(발명의 명칭: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2010. 06. 25. 특허공고)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풋 페달(Foot Pedal)을 이용하여 핸들을 쉽고 편리하게 접을 수 있는 핸드 카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며, 디자인이 심플하면서 미려하고, 가격이 저렴한 핸드 카트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핸드 카트는, 소정 평면적의 본체와, 본체 상부면에 형성되는 바닥과, 본체의 저면부 전후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 및 회전형 캐스터와, 본체에 설치되는 접철식 핸들과, 핸들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구를 포함하되, 풋 페달을 이용하여 상기 핸들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핸드 카트는, 본체의 선단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축설치되는 핸들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구에 설치되고 핸들의 하단부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구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형 장공과, 상기 장공에 결합되는 작동봉의 양측 축부와, 상기 본체의 선단 중앙에 형성되는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의 통공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페달과, 상기 페달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페달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삽지부와, 상기 삽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에 결합되는 작동봉의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에 축 결합되고 핸들 하단부의 선단을 지지하는 롤러의 반원형 요입홈과, 상기 롤러가 상승되도록 지지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페달이 상향 탄지되도록 페달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페달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수직 돌출부와, 상기 안내부재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가 결합되어 페달의 수직 승강을 안내하는 수직 안내홈과, 상기 작동봉의 중앙부와 작동봉의 양측 축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본체 바닥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페달의 답판을 둘러싸는 테두리부와, 상기 답판의 저부면 양측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하향 돌출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풋 페달(10)에 의해 핸들(8)을 쉽고 편리하게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8)을 수직으로 세우면 지지구(11)(12)에 설치된 롤러(25)(26)에 의해 핸들(78)의 하단부(8b)가 지지되면서 자동으로 세워지며, 반대로 발로 풋 페달(10)의 답판(32)을 밟으면 상기 롤러(25)(26)가 상승 이동하면서 핸들(78)의 하단부(8b) 지지력이 제거되므로 핸들(8)이 자동으로 접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핸드 카트(8)는 사용이 편리하고, 전체 구조가 간단하여 가볍고 저렴하며, 디자인이 심플하면서 미려한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저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풋 페달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작동부 분해 사시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풋 페달 부분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풋 페달 부분 단면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풋 페달 부분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풋 페달 부분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핸들 부분 단면도로, 롤러의 상승에 의해 핸들이 수직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
도 1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핸들 부분 단면도로, 롤러의 하강에 의해 지지력이 제거되면서 핸들이 접히고 있는 상태.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핸들 부분 단면도로, 핸들이 완전히 접힌 상태.
도 14 : 본 발명에서 핸들이 완전히 접혀 바닥면에 접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 핸드 카트(1)는, 소정 평면적의 본체(짐받이)(2)와, 본체(2) 상부면에 형성되는 바닥(3)과, 본체(2)의 저면부 전후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형 캐스터(4) 및 회전형 캐스터(5)와, 본체(2) 후방에 설치되는 절첩식(접철식) 핸들(8)과, 핸들(8)의 하단부(8b)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구(11)(12)와, 지지구(11)(12)에 의해 지지되는 핸들(8)을 사용자의 발로 쉽고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풋 페달(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핸들(8) 접철 구성은, 본체(2)의 선단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구(11)(12)와, 상기 지지구(11)(12)에 축설치되는 핸들(8)의 하단부(8b)와, 상기 지지구(11)(12)에 설치되고 핸들(8) 하단부(8b)의 후단(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1)와, 상기 지지구(11)(12)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형 장공(23)(24)과, 상기 장공(23)(24)에 결합되는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와, 상기 축부(30b)에 축 결합되고 핸들(8) 하단부(8b)의 선단(전면)이나 선단 외주면을 지지하는 롤러(25)(26)와, 상기 롤러(25)(26)가 상승되도록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7)(28)과, 상기 본체(2)의 선단 중앙에 형성되는 요입홈(33)과, 상기 요입홈(33)의 바닥(33a)에 형성되는 통공(33b)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페달(36)과, 상기 페달(36)이 상승되도록 지지하는 스프링(41)(42)과, 상기 페달(36)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9)와, 상기 페달(36)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삽지부(45)와, 상기 삽지부(45)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홈(47)과, 상기 개방홈(47)에 결합되는 작동봉(30)의 중앙부와, 상기 작동봉(30)의 중앙부와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30a)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구(11)(12)는 본체(2) 선단 좌우측 구멍에 끼워진 다음 복수의 체결부재(29)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구(11)(12) 내부에는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수납공간(21)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구(11)(12)의 상부에는 핸들(8)이 수직 및 수평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개방공(21a)이 형성되고, 수납공간(21)의 후단부에는 수직 상태의 핸들(8) 하단부(8b)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1)가 구성되고, 수납공간(21)의 일측에는 핸들(8)의 하단부(8b)가 축핀(13)(15) 및 고정와셔(14)(16)에 의해 축 설치되고, 지지구(11)(12)의 하부 일측에는 통공(21b)이 각각 형성되어 핸들(8)과 롤러(25)(26) 및 토션스프링(27)(28)의 설치가 쉽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미 설명부호 (8a)와, (17) 및 (18)은 상기 축핀(13)과 축핀(15)이 결합되는 축공이다.
상기 지지구(11)(12)의 양측에는 경사형 장공(23)(2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장공(23)(24)에는 작동봉(3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축부(30b)가 각각 결합되어 장공(23)(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납공간(21)에 위치하는 축부(30b) 부분에는 반원형의 요입홈(25a)(26a)이 형성되는 롤러(25)(26)가 축 설치되어 핸들(8) 하단부(8b)의 선단 외주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축핀(13)(15)으로 축지지되는 핸들(8)의 하단부(8b)는 도 11과 같이 축핀(13)(15)보다 높이가 낮은 지지부(31)와 롤러(25)(26)에 의해 선후단이 지지되는 3점 지지구조에 의해 핸들(8)이 수직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롤러(25)(26)가 축 결합된 축부(30b)는 토션스프링(27)(28)에 의해 상향 탄지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풋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1과 같이 축부(30b)가 장공(23)(2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반대로 사용자가 풋 페달(10)을 밟게 되면, 도 12와 같이 축부(30b)가 장공(23)(24)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핸들(8)이 반시계방향(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27)(28)은 지지구(11)(12)에 설치되는 축핀(13a)에 축 지지되며, 토션스프링(27)(28)의 일측단부는 축부(30b)에 감기고, 토션스프링(27)(28)의 타측단부는 수납공간(21)의 바닥에 접지되면서 상향 탄지되도록 함으로써 풋 페달(10)을 밟지 않는 이상 축부(30b)가 장공(23)(24)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장공(23)(24)은 축핀(13a)을 중심으로 한 가상 원호선 상에 위치하며, 따라서 하향할수록 지지부(31)와는 멀어진다.
상기 수납공간(21)의 상부 후단에는 핸들(8)의 하단부(8b)가 요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요입홈(21c)을 형성함으로써 지지구(11)(12)의 강도 저하 또는 개방공(21a)의 강도 저하가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풋 페달(10) 부분 도면으로, 본체(2)의 선단 중앙에 요입홈(33)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33)의 바닥(33a) 중앙에 형성되는 통공(33b) 부분에는 상부에 답판(32)이 형성된 페달(36)을 끼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되, 페달(36)의 좌우측에 스프링(41)(42)을 설치하여 페달(36)이 상향 탄지되도록 하고, 요입홈(33)의 전면에 형성되는 또 다른 요입홈(53)에는 안내부재(49)를 끼운 다음 스크류(52)를 이용하여 요입홈(53)의 바닥(51)에 고정시켜, 페달(36)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한다.
상기 페달(36)의 전면부에는 수직 돌출부(36a)가 형성되고, 안내부재(49)의 후면부에는 상기 수직 돌출부(36a)가 결합되는 수직 안내홈(50)이 형성되어 있어서 페달(36)의 수직 승강이 안내된다.
상기 페달(36)은 삽지부(45)에 체결되어 있고, 삽지부(45)의 개방홈(47)에는 작동봉(30)이 결합되어 있어서 페달(36) 및 답판(32)의 상승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스프링(41)(42)의 상하부는 답판(32)의 저부면에 형성되는 하향 돌출부(37)(38)와, 바닥(33a) 상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39)(40)에 각각 끼워져 위치 이탈이 방지되며, 답판(32)의 저부면 양측에는 하향 돌출판(43)(44)이 형성되어 스프링(14)(4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스프링(41)(42)으로 이물이 유입되 않도록 함으로써 풋 페달(10)의 동작불량이나 스프링(41)(42)의 산화를 방지하여 수명단축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본체(2) 바닥(3)에는 소정 높이로 답판(32)을 둘러싸는 테두리부(34)를 형성하여 답판(32)을 과도하게 밟거나, 과도하게 하강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달(36)의 저부면에는 삽지부(45)가 스크류(46)로 고정되고, 삽지부(45)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홈(47)에는 작동봉(30)의 중앙부분이 삽입되어 지지 된다.
상기 작동봉(30)은 중앙부 양측에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0a)가 형성되고, 절곡부(30a)의 양끝단에는 재차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앙부와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축부(30b)가 형성된다.
상기 삽지부(45)에 형성되는 홈(48)은 삽지부(45)를 체결할 때, 스크류(46)를 끼우기 위한 홈이다.
본체(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통공(7)은 핸드 카트(1)를 움직일 때, 또는 핸드 카트(1)를 들어 이동시킬 때 손가락으로 잡고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체(2)의 전면 모서리 부분에 축 설치되는 복수의 수평롤러(6)에 의해 이동 중 주변 물체와의 직접적인 충돌이 방지되므로 본체(2)의 손상이나 파손이 방지되며, 아울러 수평롤러(6)에 접촉되는 물체의 손상이나 파손도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핸드 카트(1)를 사용할 때,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핸들(8)을 들어올리면 축핀(13)(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핸들(8)의 하단부(8b)가 롤러(25)(26)를 밀어 내리게 되므로, 롤러(25)(26)와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가 도 12와 같이 장공(23)(24)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핸들(8)의 하단부(8b)가 지지부(31)에 면접촉하면서 수직 상태로 전개되면서 잠시 하강했던 롤러(25)(26)와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가 토션스프링(27)(28)의 탄발력에 의해 장공(23)(24)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장공(23)(24)을 따라 상승하던 롤러(25)(26)의 요입홈(25a)(26a)은 도 11과 같이 핸들(8)의 하단부(8b)를 밀어 지지하게 되므로 핸들(8)이 수직 상태로 펼쳐져 지지되며, 핸들(8)이 수직으로 펼쳐지면 본체(2)의 바닥(3)에 각종 물건이나 공구, 부품 등의 물건을 얹거나, 얹어 적재한 다음 운반하면 된다.
다음으로, 핸드 카트(1)의 사용이 끝나거나, 또는 핸드 카트(1)를 보관하기 위하여 핸들(8)을 접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도 10과 같이 풋 페달(10)의 답판(32)을 밟게 되면(B 방향), 스프링(41)(42)에 의해 상승해 있던 발판(32)과 그 하부의 페달(36)이 하강하게 되고, 페달(36)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삽지부(45) 또한 하강하면서 작동봉(30)이 하강하게 되며, 삽지부(45)의 개방홈(47)에 결합되어 있던 작동봉(30)도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작동봉(30)이 하강하게 되면, 일체형으로 절곡 구성된 양측 축부(30b) 또한 장공(23)(24)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도 12와 같이 축부(30b)에 결합된 롤러(25)(26)가 하강하면서 핸들(8) 하단부(8b)의 선단 지지력이 제거되므로 핸들(8)이 축핀(13)(1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14와 같이 핸들(8)이 접어지면서 본체(2) 바닥면(3)에 접촉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밟고 있던 답판(32)으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스프링(41)(42)의 탄발력에 의해 답판(32)이 상승하게 되고, 페달(36)과 삽지부(45)와 작동봉(30)이 따라서 상승하게 되며, 또한 축부(30b)와 롤러(25)(26)는 토션스프링(27)(28)의 탄발력에 의해 도 13과 같이 장공(23)(24)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풋 페달(10)을 이용하여 핸들(8)을 쉽고 편리하게 접을 수 있으며, 또한 쉽게 펼칠 수 있어서 사용이 용이하며, 전체 구조가 간단하여 가볍고 저렴하며, 디자인이 미려하면서 심플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핸들(8)을 수직으로 세우면 지지구(11)(12)에 설치된 롤러(25)(26)에 의해 핸들(78)의 하단부(8b)가 지지되면서 자동으로 세워지며, 반대로 발로 풋 페달(10)의 답판(32)을 밟으면 상기 롤러(25)(26)가 상승 이동하면서 핸들(78)의 하단부(8b) 지지력이 제거되므로 핸들(8)이 자동으로 접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 핸드 카트와 같이 작동봉이 휘거나 동작불량이 방지되며 본체가 들리거나 적재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핸드 카트 (2)--본체
(3)(33a)(51)--바닥 (4)(5)--캐스터
(6)--수평롤러 (7)(21b)--통공
(8)--핸들 (8b)--핸들의 하단부
(10)--풋 페달 (11)(12)--지지구
(13)(15)--축핀 (14)(16)--고정와셔
(21)--수납공간 (21a)--개방공
(23)(24)--장공 (25)(26)--롤러
(25a)(26a)(33)(53)--요입홈 (27)(28)--토션스프링
(29)--체결부재 (30)--작동봉
(30a)--작동봉의 절곡부 (30b)--작동봉의 축부
(31)--지지부 (32)--답판
(33a)--요입홈의 바닥 (33b)--통공
(34)--테두리부 (36)--페달
(36a)--수직 돌출부 (37)(38)--하향 돌출부
(39)(40)--돌출부 (41)(42)--스프링
(43)(44)--하향 돌출판 (45)--삽지부
(46)(52)--스크류 (47)--개방홈
(49)--안내부재 (50)--수직 안내홈

Claims (1)

  1. 본체(2)의 선단 좌우측에 설치되는 지지구(11)(12);
    상기 지지구(11)(12)에 축설치되는 핸들(8)의 하단부(8b);
    상기 지지구(11)(12)에 설치되고 핸들 하단부(8b)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1);
    상기 지지구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사형 장공(23)(24);
    상기 장공(23)(24)에 결합되는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
    상기 본체(2)의 선단 중앙에 형성되는 요입홈(33);
    상기 요입홈(33)의 바닥(33a)에 형성되는 통공(33b)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페달(36);
    상기 페달(36)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9);
    상기 페달(36)의 저부면에 고정되는 삽지부(45);
    상기 삽지부(45)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홈(47);
    상기 개방홈(47)에 결합되는 작동봉(30)의 중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30b)에 축 결합되고 핸들 하단부(8b)의 선단을 지지하는 롤러(25)(26)의 반원형 요입홈(25a)(26a);
    상기 롤러(25)(26)가 상승되도록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7)(28);
    상기 페달(36)이 상향 탄지되도록 페달(36) 좌우측에 설치되는 스프링(41)(42);
    상기 페달(36)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수직 돌출부(36a);
    상기 안내부재(49)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출부(36a)가 결합되어 페달(36)의 수직 승강을 안내하는 수직 안내홈(50);
    상기 작동봉(30)의 중앙부와 작동봉(30)의 양측 축부(30b) 사이에 형성되는 절곡부(30a);
    본체(2) 바닥(3)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고 페달(36)의 답판(32)을 둘러싸는 테두리부(34);
    상기 답판(32)의 저부면 양측에 형성되어 스프링(14)(4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하향 돌출판(43)(44);
    을 더 포함하는 핸드 카트.
KR1020160160981A 2016-11-30 2016-11-30 핸드 카트 KR10172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81A KR101722756B1 (ko) 2016-11-30 2016-11-30 핸드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81A KR101722756B1 (ko) 2016-11-30 2016-11-30 핸드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756B1 true KR101722756B1 (ko) 2017-04-03

Family

ID=5858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81A KR101722756B1 (ko) 2016-11-30 2016-11-30 핸드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7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0703A (zh) * 2017-07-14 2017-11-24 陕西舜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简易物流单车固定架
CN108515995A (zh) * 2018-04-27 2018-09-11 天津市友森金属结构有限公司 一种方便实用的保温物流台车
CN109050601A (zh) * 2018-06-28 2018-12-21 南京昊铭远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线转运车
KR20200091706A (ko) 2019-01-23 2020-07-31 여신동 물품 운반용 카트
KR102413627B1 (ko) 2021-01-27 2022-06-24 여신동 핸들형 제동구조를 갖는 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948B2 (ko) * 1972-01-10 1975-09-11
KR100965495B1 (ko) 2008-07-16 2010-06-25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KR101059644B1 (ko) 2010-10-15 2011-08-25 허기호 무한궤도를 갖는 핸드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948B2 (ko) * 1972-01-10 1975-09-11
KR100965495B1 (ko) 2008-07-16 2010-06-25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KR101059644B1 (ko) 2010-10-15 2011-08-25 허기호 무한궤도를 갖는 핸드카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0703A (zh) * 2017-07-14 2017-11-24 陕西舜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简易物流单车固定架
CN107380703B (zh) * 2017-07-14 2019-01-01 泉州市凡鼎贸易有限公司 一种物流单车固定架
CN108515995A (zh) * 2018-04-27 2018-09-11 天津市友森金属结构有限公司 一种方便实用的保温物流台车
CN109050601A (zh) * 2018-06-28 2018-12-21 南京昊铭远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线转运车
KR20200091706A (ko) 2019-01-23 2020-07-31 여신동 물품 운반용 카트
KR102413627B1 (ko) 2021-01-27 2022-06-24 여신동 핸들형 제동구조를 갖는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756B1 (ko) 핸드 카트
US8960625B2 (en) Movable base with control surface
US8317451B2 (en) Lifting system for display cases
CA2877262C (en) Pallet lift
US5405236A (en) Apparatus for lifting and moving an article
US8353524B2 (en) Wheeled cart slidable onto horizontal surface
US20110031259A1 (en) Lower Frame for a Product Holder, Holder and Operating Procedure
US8366061B2 (en) Paint container holder
US20080023415A1 (en) Motorcycle stand
US6158749A (en) Step stool and dolly apparatus
KR101555859B1 (ko) 상판의 절첩장치
JP7212178B2 (ja) 折りたたみ式四輪ハンドカート
US6824152B1 (en) Dolly device
US20020068664A1 (en) Running exerciser structure
NL1014986C2 (nl) Theetafel-voetenbankcombinatie.
US3608600A (en) Laundry basket and stand therefor
US20050103590A1 (en) Feet for wheeled luggage
JP2017100481A (ja) 台車
US7163020B2 (en) Walking stick mounted with casters
KR200328767Y1 (ko) 쇼핑카트를 겸한 유모차
KR20230001620U (ko) 이동이 편리한 물품 운반용 핸드카트
US20230382444A1 (en) Drywall car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220840124U (zh) 一种防倾倒机构及防倾倒工具箱
JP2023160010A (ja) 工業用扇風機用のキャスター付きスタンド
KR101801000B1 (ko) 물건 지지팔의 폭 조절이 가능한 핸드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