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302B1 - 다기능 대차 - Google Patents
다기능 대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8302B1 KR101738302B1 KR1020160039991A KR20160039991A KR101738302B1 KR 101738302 B1 KR101738302 B1 KR 101738302B1 KR 1020160039991 A KR1020160039991 A KR 1020160039991A KR 20160039991 A KR20160039991 A KR 20160039991A KR 101738302 B1 KR101738302 B1 KR 101738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fixed
- stacking
- support angl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having a prop or stand for maintain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62B1/0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1/04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목적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기능 대차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대차의 적치대를 2개 확보하고, 이들 적치대의 핸들을 반대편 적치대에 설치하며, 공용으로 사용되는 중심휠을 중심으로 일측 적치대에는 전방휠을 설치하고 타측 적치대에는 전방으로 지지각을 형성하여서 줌으로써 4개 휠로 물품을 쉽게 운반하는 대차로서의 기능과 2개 휠로 이동하여 협소한 통로나 커브가 심한 통로에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핸드카로서의 기능 또한 필요한 경우 견고한 지지각에 의한 정지 기능 등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대차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대차의 적치대를 2개 확보하고, 이들 적치대의 핸들을 반대편 적치대에 설치하며, 공용으로 사용되는 중심휠을 중심으로 일측 적치대에는 전방휠을 설치하고 타측 적치대에는 전방으로 지지각을 형성하여서 줌으로써 4개 휠로 물품을 쉽게 운반하는 대차로서의 기능과 2개 휠로 이동하여 협소한 통로나 커브가 심한 통로에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핸드카로서의 기능 또한 필요한 경우 견고한 지지각에 의한 정지 기능 등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대차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굴곡이 심한 좁은 길에서 두 바퀴로 운반 및 고정 그리고 네 바퀴로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대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경량의 부피가 비교적 작은 물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85297(발명의 명칭: 핸드카; 이하"인용발명1"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1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한조의 바퀴(118) 위에 지지수단(100)이 구비되어 짐을 재치할 수 있는 재치대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그 전방으로 제2지지부재(102)를 두어 정지 시에 지지수단(100)이 수평으로 안정되도록 하며, 운반 시에는 지지수단(100)과 수직상으로 연결된 하측지지부재(140) 및 손잡이수단(40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 수단(400)을 잡고 당겨 주어 바퀴(118)를 중심으로 지지수단(100)이 기울어진 상태로 되도록 한 후 밀고 앞으로 나가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경량의 물품을 이송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보편적인 형태의 인용발명1을 비롯한 핸드카에 의하면 한 쌍의 바퀴를 사용하므로 협소한 통로에서 이동은 유리하나 한 쌍의 바퀴와 작업자의 다리로 하중이 분산되며, 특히 구조상 재치판의 물품이 기울어져 작업자 측으로 하중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므로 중량의 물품이나 부피가 큰 물품의 이송에는 부적합하여 주로 비닐하우스나 점포에서 물품을 옮기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동력 모우터를 구비하여 한 쌍의 바퀴를 회동시키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도2로 보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3593(발명의 명칭: 운반용 대차; 이하 "인용발명2"라 함.)와 도3으로 보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26267(발명의 명칭: 전동 핸드카; 이하 "인용발명3"이라 함)에 의하여 제안되었다.
이러한 인용발명 2,3에 의하면 공히 동력 모우터 및 축전지, 감속기 등 중량의 기계적 요소가 추가가 불가피하므로 가정이나 점포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에는 구입 및 관리, 유지에 부담스러우므로 일부 산업 현장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량의 물품이나 부피가 큰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운반 대차의 예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75907(고안의 명칭: 물품운반용 운반대차; 이하 "인용발명4"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으며, 이는 도4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팔레트(3)가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3)의 후방부에 물품지지대(5)가 상기 팔레트(3) 판면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물품운반용 운반대차에 있어서, 그 하방에 4개의 휠이 구비된 것이다.
이는 짐을 핸드카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운반하는 것이 아니므로 많은 짐을 안정적으로 적재 가능한 반면 협소한 통로에서는 사용이 불가하게 되고, 굴곡이 심하거나 좁은 통로에서는 사용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약간만 경사진 상태에서도 정지시켜 놓을 수 없는 것이므로 주로 평탄면상으로 된 작업장에서 물품을 옮기는 제한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드카나 이송용 대차는 그 용도가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물품을 다양한 환경에서 운반하여야 하는 택배 업무 등에는 이들 운반수단들이 갖는 판이한 특징들로 인하여 적합한 운반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4개 휠로 물품을 쉽게 운반하는 대차로서의 기능과, 2개 휠로 이동하여 협소한 통로나 커브가 심한 통로에서 물품을 운반하기 위한 핸드카로서의 기능 또한 필요한 경우 견고한 지지각에 의한 정지 기능 등 다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대차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차의 적치대를 2개 확보하고, 이들 적치대의 핸들을 반대편 적치대에 설치하며, 공용으로 사용되는 중심 휠을 중심으로 일측 적치대에는 전방 휠을 설치하고 타측 적치대에는 전방으로 지지각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협소한 통로에서는 중심 휠로 이동가능하고, 일반 통로에서는 중심 휠과 전방 휠을 구비한 일반 대차로 변경 사용 가능 하여 운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가능하므로 여러 작업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짐이 적은 경우 중심 휠만으로 이동하는 핸드카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짐의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경우 중심 휠과 전방 휠 4개 바퀴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운반 가능한 이송 대차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물품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필요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적재대 전방에 형성된 지지각에 의하여 지면에 세워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상태로 세워둘 수 있으므로 물품을 안정적으로 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핸드카를 예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배터리를 구비한 운반용 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3은 종래의 배터리를 구비한 전동 핸드카를 보인 사시도.
도4는 종래의 물품운반용 운반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대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6은 도5의 'A' 부분으로 보인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대차의 조작레버 및 크램프바에 의한 체결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7은 도5로 보인 조작레버의 조작으로 체결구조 해제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에서 도5,6의 크램프바 및 고정바의 체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9는 제1대차에 의한 4개 휠 구동에 의한 물품 이송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0은 도9의 'B' 부분으로 보인 본 본 발명에 의한 지지각이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연결관에 제2관통관과 탄성간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핸드카로의 사용을 위하여 지지각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서 핸드카로의 사용을 위하여 제2적재대가 수평으로 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서 핸드카로의 사용을 위하여 제2적재대가 수평으로 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5는 도14의 'C' 부분으로 보인 지지각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6은 본 발명에서 운반이나 보관을 위하여 제1적재대와 제2적재대가 중첩되도록 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7은 중심축에 고정된 제1관통관과 탄성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에서 망체를 이용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에서 확장간을 구비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20은 도19의 'D' 부분으로 보인 협지관에 의한 협지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배터리를 구비한 운반용 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3은 종래의 배터리를 구비한 전동 핸드카를 보인 사시도.
도4는 종래의 물품운반용 운반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대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6은 도5의 'A' 부분으로 보인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대차의 조작레버 및 크램프바에 의한 체결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7은 도5로 보인 조작레버의 조작으로 체결구조 해제 상태를 보이는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에서 도5,6의 크램프바 및 고정바의 체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9는 제1대차에 의한 4개 휠 구동에 의한 물품 이송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0은 도9의 'B' 부분으로 보인 본 본 발명에 의한 지지각이 접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연결관에 제2관통관과 탄성간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핸드카로의 사용을 위하여 지지각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서 핸드카로의 사용을 위하여 제2적재대가 수평으로 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서 핸드카로의 사용을 위하여 제2적재대가 수평으로 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5는 도14의 'C' 부분으로 보인 지지각이 전개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16은 본 발명에서 운반이나 보관을 위하여 제1적재대와 제2적재대가 중첩되도록 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17은 중심축에 고정된 제1관통관과 탄성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8은 본 발명에서 망체를 이용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에서 확장간을 구비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20은 도19의 'D' 부분으로 보인 협지관에 의한 협지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대차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5의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적재대(100)의 일방 양측(도5의 도면에서 왼쪽 대각선 방향인 전방 양측)에 전방휠(202)이 구비되고, 제1적재대(100)의 타방 양측(도5의 도면에서 후방 양측)에 중심휠(201)을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제1적재대(100)의 후방 양측에 제2적재대 힌지(318)와 제2적재대 고정축 나사(319)를 구비하여 제2적재대(300) 후방 양측을 고정하여 제2적재대 고정축 나사(319)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적재대(100) 전방으로는 제2적재대 핸들(301)을 설치하고 제2적재대(300) 전방으로는 제1적재대 핸들(101)을 설치한다.
이러한 제1적재대(100)과 제2적재대(300)는 각도유지수단(320)에 의하여 90ㅀ 직각 상태가 유지되도록 용접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절첩되도록 한 발전된 형태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전된 형태인 절첩 가능한 상태를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각도유지수단(320)은 상기 제2적재대 힌지(318) 후방 양측에 스터드바(103)를 세워 설치하며, 상기 제2적재대(300) 후방 양측에는 제3관통관(312)을 복수개 관통하는 고정바(317)를 설치하고, 상기 제3관통관(312)에는 양단이 회동함에 따라 스터드바(103)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크램프바(313)의 중간을 끼워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적재대(300)의 전방측으로 지지각 힌지(304) 및 지지각 고정축 나사(305)를 사용하여 지지각(303)이 지지각 고정축 나사(30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지지각(303)의 양측을 연결간(309)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간(309)이 제2관통관(311)을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상기 중심휠(201)의 중심축(200)에는 제1관통관(310)을 끼우고, 상기 제1관통관(310)에 탄성간(306)의 일단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간(306)의 타단측으로 일단이 제2슬리브(316)로 탄성간(306)에 고정된 스프링(307)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307)의 타단이 제1슬리브(315)에 탄력으로 밀어 내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제1슬리브(315)가 상기 제2관통관(311)과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탄성간(306)의 상단에는 스토퍼(308)가 구비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이송 대차로 사용하기 위한 상태를 도5,6,7으로 보였다. 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적재대(100)를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으로 되도록 하고, 제2적재대(300)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기립되도록 함으로써 제1적재대 핸들(101)을 잡고 전방휠(202) 방향으로 밀면 전방휠(202)과 중심휠(201)이 지면을 구르면서 제1적재대(100)에 실린 짐들을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2적재대(300)가 견고한 상태로 기립되어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6,7,8로 보인 바와 같이, 제2적재대(300)의 후방에 고정된 고정바(317)에 제3관통관(312)에 의하여 고정된 크램프바(313)가 제1적재대(100) 후방의 스터드바(103) 상단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되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9,10,11로 보인 바와 같이, 지지각(303)의 지지각 힌지(304)에 고정된 지지각 고정축 나사(305)보다 내측으로 연결간(309)이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간(306)이 제1슬리브(315)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로 압축되어 있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스프링(307)의 힘으로 지지각(303)이 꺾인 상태에서 도10의 화살표로 보인 바와 같이, 도면상 상방으로 밀리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한 크램프바(313)와 함께 제1적재대(100)가 수평으로 전개되고, 제2적재대(300)가 수직상으로 기립된 상태가 안정화되도록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방휠(202) 2개와 중심휠(201) 2개 그리고 수평으로 놓인 제1적재대(100)에 실린 물품이 안정된 상태로 적재되어 힘들이지 않고 많은 짐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이송용 대차로 활용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중심휠(201) 2개만으로 이동하는 핸드카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12로 보인 바와 같이, 지지각 힌지(304)의 지지각 고정축 나사(305)를 중심으로 지지각(303)이 회동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간(309)이 회동하면서 제2관통관(311)이 함께 회동하므로 제2슬리브(315)역시 회동하면서 탄성간(306)이 중심축(20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탄성간(306)의 제2슬리브(315)가 중심축(200)에서 가장 먼거리까지 이동하여 탄성간(306)의 스토퍼(308)에 닿아 정지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스프링(307)은 최대 길이로 신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후 제2적재대(300)를 수평으로 놓고, 제1적재대(100)를 수직상으로 되도록 뒤집으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대차의 제2적재대(300) 전방으로는 2개의 지지각(303)이 위치하고, 제2적재대(300) 후방으로는 중심휠(201)이 놓이는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물품을 적재하면 지지각(303)에 의하여 견고한 지지 상태가 제공되는 것이며, 운반을 위하여 제1적재대(100)에 형성된 제2적재대 핸들(301)을 잡고 약간 당겨 지지각(303)이 지면에서 약간 뜨도록 한 후 밀면 일반 핸드카와 동일한 방법으로 협소한 통로에서도 밀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13, 14, 15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지지각(303)은 스프링(307)의 탄력으로 밀려나는 제1슬리브(315)에 의하여 연결간(309)이 도면상 우측으로 밀려나도록 도15의 화살표 방향으로 보인 바와 같이, 지지각 힌지(304)의 지지각 고정축 나사(305) 바깥으로 밀어 내는 것이므로 안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하다가 보면 보관을 위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접어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도6으로 보인 상태에서 도7로 보인 바와 같이, 조작레버(314)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줌으로써 고정바(317)에 제3관통관(312)에 의하여 고정된 크램프바(313)가 제1적재대(100) 후방의 스터드바(103) 상단에서 벗어나 상승하도록 손으로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이 하면 제2적재대(300)가 제1적재대(100)와 직각을 이루어 기립되어 있었던 지지 구조가 해체되어 제2적재대(300)가 제2적재대 힌지(318)에 고정된 제2적재대 고정축 나사(319)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1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제1적재대(100)와 제2적재대(300)가 겹쳐지도록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는 부피가 최소화된 것이므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고정바에 결합된 크램프바가 회동하기 위하여 제3관통관을 사용하고,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연결간에 결합된 탄성간이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관통관을 사용하였으며,
도17로 보인 바와 같이, 중심축에 결합된 탄성간이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관통관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제1,2,3관통관은 어떤 축에 회동되는 구조를 예시하는 것에 불과하며, 다른 형태의 결합구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18으로 보인 바와 같이, 제2적재대(300) 또는 제1적재대(100)에 망체(400)를 고정하거나 제1적재대(100)와 제2적재대(300) 모두에 망체(400)를 고정함으로써 작은 물품인 경우에도 밑으로 떨어져 분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1적재대(100)와 제2적재대(30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간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망체(400)로 대체함으로써 통상의 보강간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망체(400)를 제작하기 위한 강선의 굵기와 메쉬를 적절히 조절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19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적재대(100)의 양측으로 제1확장간(102)을 설치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당겨 준 다음 제1적재대(100)가 수평상으로 되도록 뒤집어 줌으로써 제1적재대(100)의 실효 면적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적재대(100) 측부의 출몰공에 다소의 탄성을 지닌 협지관(500)을 도20으로 보인 바와 같이, 끼워 고정하고 제1확장간(102)과 제2확장간(302)이 협지관(500)을 통하여 강제력에 의하여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이동된 제1확장간(102)이 협지관(500)의 조임 탄성에 의하여 현재 위치에서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제1확장간(102)에 의한 유효면적의 증대는 제2적재대의 제2확장간(302)에 그대로 적용하고, 협지관(500)에 의한 조임 탄성에 의하여 필요한 위치에서 안정화되도록 도19 및 도20에 보인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여 제2적재대(300)의 유효면적 증대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송 물품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제1적재대(100)와 제2적재대(300)의 측부에 상기 제1확장간(102) 및 제2확장간(302)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부피가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제1확장간(102) 및 제2확장간(30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탄성을 지닌 협지관(500)이 아닌 조임 나사 구조 등 일반적인 관용 구조들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인 예시를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통상의 여행용 가방 등에서 볼 수 있는 신축가능한 핸들 구조를 적용 하는 등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1적재대 101: 제1적재대 핸들 102: 제1확장간
103: 스터드바 200: 중심축 201: 중심휠
202: 전방휠 300: 제2적재대 301: 제2적재대 핸들
302: 제2확장간 303: 지지각 304: 지지각 힌지
305: 지지각 고정축 나사 306: 탄성간 307: 스프링
308: 스토퍼 309: 연결간 310: 제1관통관
311: 제2관통관 312: 제3관통관 313: 크램프바
314: 조작레버 315: 제1슬리브 316: 제2슬리브
317: 고정바 318: 제2적재대 힌지 319: 제2적재대 고정축 나사
320: 각도유지수단 400: 망체 500: 협지관
103: 스터드바 200: 중심축 201: 중심휠
202: 전방휠 300: 제2적재대 301: 제2적재대 핸들
302: 제2확장간 303: 지지각 304: 지지각 힌지
305: 지지각 고정축 나사 306: 탄성간 307: 스프링
308: 스토퍼 309: 연결간 310: 제1관통관
311: 제2관통관 312: 제3관통관 313: 크램프바
314: 조작레버 315: 제1슬리브 316: 제2슬리브
317: 고정바 318: 제2적재대 힌지 319: 제2적재대 고정축 나사
320: 각도유지수단 400: 망체 500: 협지관
Claims (6)
- 제1적재대의 일방 양측에 전방휠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적재대의 타방 양측에 중심휠이 설치되며,
상기 제1적재대의 타방 양측에 제2적재대 힌지와 제2적재대 고정축 나사로 제2적재대 일방 양측을 고정하여 제2적재대 고정축 나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적재대 일방으로는 제2적재대의 핸들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적재대 타방으로는 상기 제1적재대의 핸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1적재대와 상기 제2적재대가 직각으로 세워 유지되도록 한 각도 유지 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2적재대의 타방측으로 지지각 힌지 및 지지각 고정축 나사를 사용하여 지지각이 지지각 고정축 나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지지각의 양측이 연결간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간이 제2관통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중심휠의 중심축에는 제1관통관이 끼워지고, 상기 제1관통관에 탄성간의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일단이 제2슬리브를 통해 상기 탄성간에 고정된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제1슬리브에 탄력으로 밀어 내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제1슬리브가 상기 제2관통관과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탄성간의 타단에는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대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유지 수단은 제2적재대 힌지에 인접된 제1적재대에 스터드바를 세워 설치되며,
상기 제2적재대 일방 양측에는 제3관통관을 관통하는 고정바가 설치되고, 상기 제3관통관에는 양단이 회동함에 따라 스터드바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는 크램프바의 중간을 끼워 상기 스터드바에 결합되거나 탈거됨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대차.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대와 제2적재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망체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대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재대의 측부의 출몰공에 탄성을 지닌 협지관을 통해 끼워 고정되고, 상기 출몰공에 제1확장간의 양단이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협지관의 조임 탄성에 의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대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적재대의 측부의 출몰공에 탄성을 지닌 협지관을 통해 끼워 고정되고, 상기 출몰공에 제2확장간의 양단이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협지관의 조임 탄성에 의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대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991A KR101738302B1 (ko) | 2016-04-01 | 2016-04-01 | 다기능 대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991A KR101738302B1 (ko) | 2016-04-01 | 2016-04-01 | 다기능 대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8302B1 true KR101738302B1 (ko) | 2017-05-19 |
Family
ID=5904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9991A KR101738302B1 (ko) | 2016-04-01 | 2016-04-01 | 다기능 대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830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42657A (zh) * | 2017-11-27 | 2018-01-30 | 天津市嘉瑞宝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基于多功能方钢支撑的装置 |
KR102079969B1 (ko) * | 2018-12-06 | 2020-04-08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판대 겸용 핸드카트 |
KR102591093B1 (ko) * | 2022-08-01 | 2023-10-17 | 권혁관 | 절첩식 카트용 프레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845Y1 (ko) * | 2002-12-23 | 2003-05-22 | 고춘산 | 손수레 |
-
2016
- 2016-04-01 KR KR1020160039991A patent/KR101738302B1/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845Y1 (ko) * | 2002-12-23 | 2003-05-22 | 고춘산 | 손수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42657A (zh) * | 2017-11-27 | 2018-01-30 | 天津市嘉瑞宝金属制品有限公司 | 一种基于多功能方钢支撑的装置 |
KR102079969B1 (ko) * | 2018-12-06 | 2020-04-08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판대 겸용 핸드카트 |
KR102591093B1 (ko) * | 2022-08-01 | 2023-10-17 | 권혁관 | 절첩식 카트용 프레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76291B1 (en) | Foldable A-frame carrier | |
US8764046B2 (en) | Multi-functional utility carts | |
US20020044853A1 (en) | Wheeled transports | |
KR101738302B1 (ko) | 다기능 대차 | |
US20160184676A1 (en) | Collapsible transport carriage | |
US11932299B2 (en) | Collapsible cart with fabric in receiving space | |
US20210188025A1 (en) | Trolley for use as a bicycle trailer or as a hand cart | |
US9630640B1 (en) | Interlocking primary and secondary cart assemblies with lock and release mechanisms | |
US4168078A (en) | Mobile storage and transport unit for use in a shelf storage system | |
KR20160093868A (ko) | 폴딩 왜건 | |
US20090194959A1 (en) | Mobile platform methods and system | |
KR20150029142A (ko) | 운반용 카트 | |
US9278703B1 (en) | Apparatus having a hand truck configuration and a tripod configuration | |
JP3059651U (ja) | サイズ可変型台車 | |
KR200485301Y1 (ko) | 다용도 손수레 | |
KR102158423B1 (ko) | 물품 운반용 카트 | |
JP7285207B2 (ja) | 折り畳み式搬送装置 | |
JP3006800U (ja) | 折たたみ式荷車 | |
JP3213355U (ja) | 運搬用台車 | |
JP3221014U (ja) | 運搬台車用荷台枠 | |
TWM336895U (en) | Novel structure for cart with ladder | |
TWM510268U (zh) | 手推車結構 | |
JP2017081386A (ja) | 運搬台車 | |
TWM596185U (zh) | 推車 | |
CA1067118A (en) | Mobile storage and transport unit for use in a shelf storag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