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448A -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 Google Patents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448A
KR20210107448A KR1020200022461A KR20200022461A KR20210107448A KR 20210107448 A KR20210107448 A KR 20210107448A KR 1020200022461 A KR1020200022461 A KR 1020200022461A KR 20200022461 A KR20200022461 A KR 20200022461A KR 20210107448 A KR20210107448 A KR 20210107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wheel
braking
ca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울
원효진
이민재
서경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7448A/ko
Publication of KR20210107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제동부는 외측으로 노출되며, 카트부에 틸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동 패드를 포함한다. 제동 패드가 회전되면, 이에 접촉된 구속 부재가 회전되며 제동 축이 메인 휠의 홈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을 이용하여 제동 패드를 누름 조작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메인 휠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제한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스마트 유모차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Cart unit and smart stroll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카트부의 주행을 용이하게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영아 또는 유아가 안착되어, 보호자에 의해 주행될 수 있는 도구를 가리킨다.
유모차는 크게 유아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 안착부와, 유모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바퀴 등이 구비된 카트부를 구비될 수 있다. 보호자는, 유아를 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카트부를 가압하거나 당김으로써 유모차를 주행시킬 수 있다.
카트부는 용이한 주행을 수행하기 위해 바퀴를 구비함이 일반적이다. 바퀴는 카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호자가 카트부를 가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가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유모차가 실외에서 주행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실외 환경이 항상 평지인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산악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이 평지에 더 많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유모차가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에 위치한 경우, 보호자는 유모차가 임의로 주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트부를 파지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때, 전화 수신 등 불측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 보호자가 무심결에 카트부를 놓으면, 유모차가 의도치 않게 주행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모차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55522호는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발을 이용하여 가압력을 전달받는 발판과 발판에 연결되어, 바퀴잠금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바퀴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모차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는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부재가 과다하게 요구된다는 한계가 있다. 즉, 발판에서 바퀴까지 구속력을 전달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 다단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부재가 오작동될 경우, 유모차가 제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바퀴 제동장치는 바퀴가 구속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기 어렵다. 즉, 사용자가 유모차를 파지하고 주행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발판이 사용자의 시선의 수직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하지 않는 한, 발판이 누름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23297호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핸들을 놓을 경우, 전동슬라이드 및 이에 연결된 밴드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유모차를 제동시킬 수 있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또한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부재가 과다하게 요구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술한 선행문헌과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부재가 오작동될 경우, 유모차의 제동이 실패할 염려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는 밴드브레이크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유모차의 사용이 지속됨에 따라, 밴드브레이크가 마모될 경우, 제동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55522호 (2014.01.27.)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23297호 (2017.04.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바퀴의 회전 여부를 용이하게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퀴의 회전 여부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기 위한 부재 및 그 구조가 간명하게 형성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퀴의 회전 여부를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의 과다한 자세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퀴의 회전 여부가 구속 또는 구속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바퀴의 회전을 구속하는 부재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wheel);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 휠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패드; 및 상기 제동 패드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메인 휠의 일 면에 함몰 형성된 홈에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제동 축을 포함하는 카트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메인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동부는,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패드와 상기 제동 축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와 상기 구속 부재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되면, 상기 제동 축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동 축을 상기 메인 휠의 상기 일 면에 함몰 형성된 상기 홈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동 축은, 상기 구속 부재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동 패드는,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상기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동 축이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 패드의 상기 제1 부분과 접촉되고, 상기 제동 축이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 패드의 상기 제2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동 패드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구속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회전축은,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구속 회전축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에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는 모따기(taper)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가 누름 조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기 설정된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시트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 휠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패드; 상기 제동 패드와 상기 메인 휠의 중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 부재; 및 상기 제동 패드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메인 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동 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되면, 상기 구속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제동 축이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메인 휠은, 상기 제동 축을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되면, 상기 제동 축은 상기 홈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메인 휠의 상기 일 면과 상기 구속 부재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에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와 상기 메인 휠의 일 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에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는 모따기(taper)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카트부에는 제동부가 구비된다. 제동부의 제동 패드는 카트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을 이용하여 제동 패드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 있는 자세에서, 발을 이용하여 제동 패드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스마트 유모차의 주행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동부는 제동 패드와 접촉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한다. 구속 부재는 카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동 패드가 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속 부재가 회전되면, 메인 휠의 홈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제동 축이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제동 축이 메인 휠의 상기 홈에 삽입되어, 메인 휠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제동 패드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구속 부재는 제동 패드와 함께 회전되어 제동 축과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동 축이 메인 휠의 상기 홈에서 인출되어, 메인 휠의 회전이 구속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패드를 누름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동 패드의 회전이 메인 휠까지 전달되는 부재의 개수 및 그 구조가 간명해지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동부는 서로 마주하는 복수 개의 메인 휠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즉, 제동부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의 핸들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왼발을 이용하여 좌측에 위치된 제동부를 누름 조작하거나, 오른발을 이용하여 우측에 위치된 제동부를 용이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동부를 조작하기 위해 왼발 또는 오른발을 중앙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기립한 자세에서 과다하게 자세를 변경하지 않고도 메인 휠의 회전 여부를 용이하게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동 패드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제동 패드를 누름 조작하면,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수직 하측을 주시하면, 제동 패드가 누름 조작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동 패드의 각도의 변화가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동부는 디스플레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동부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시각화 정보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휠의 회전이 구속 또는 구속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동부는 제동 축을 포함한다. 제동 축은 메인 휠의 홈에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 중인 메인 휠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구속하는 경우에 비해, 마모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제동부의 내구 연한이 증가되며,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서 유아용 시트부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카트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를 도시하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에서 빛이 발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브레이크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브레이크부가 누름 조작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브레이크부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메인 휠의 제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차량에 구비되는 크래들부 또는 독자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 신호, 전력 등이 전달될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의 배터리(미도시)에서 공급된 전력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는 사용자가 핸들부(230)를 통해 인가하는 힘에 의해, 휠부(300)가 회전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 및 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의 전방 측 및 하측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쿠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에어 커버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버부(30)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물리적, 정전기적 인력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에는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어, 유아가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2) 카트부(2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상기 주행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휠부(300)에 의해 달성된다.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의 시트 지지부(2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부(2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트부(2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핸들부(23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또는 LED(미도시) 등이 발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부(20)는 몸체부(200), 휠부(300), 제어부(400) 및 제동부(50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휠부(300), 제어부(400) 및 제동부(5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몸체부(200)는 카트부(20)의 골격을 형성한다. 몸체부(200)는 카트부(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20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2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2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수직부(210), 베이스부(220), 핸들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시트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수직부(210)는 몸체부(200) 중 상하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수직부(210)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 및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210)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210)는 보호자가 핸들부(230)를 파지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210)는 보호자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수직부(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21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21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직부(210)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지면을 향하는 수직부(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베이스부(2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210)는 베이스부(220)를 향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면에 반대되는 수직부(2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핸들부(23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들부(230)는 수직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230)는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가장 용이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220)와 핸들부(23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부(210)의 일 위치에는, 시트 지지부(250)와 연결되는 승강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관통 결합된다.
승강부는 수직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부(2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핸들부(2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승강부는 수직부(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카트부(20)의 하측의 수평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부(220)는 수직부(210)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20)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220)에 가방 등의 소품들을 안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2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220)는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부(220)의 형상은 수직부(210)와 결합되고, 휠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22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22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수직부(210)를 향하는 베이스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후방 측에는 수직부(210)가 결합된다.
수직부(210)에 반대되는 베이스부(2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는 메인 휠 지지부(313)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부(22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는 서브 휠 지지부(3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220)의 폭 방향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발광부(330)가 구비된다. 발광부(330)는 LED 램프 등으로 구비되어,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상태 또는 카트부(20)의 주행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핸들부(230)는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핸들부(23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카트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핸들부(230)는 수직부(2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230)는 베이스부(220)에 반대되는 수직부(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핸들부(230)는 수직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장에 맞춰 핸들부(23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230)를 수직부(210)의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카트부(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230)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부(240)가 위치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및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제어된 결과를 시각화 정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40)는 UI(User Interface) 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패널, 누름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40)는 LED 램프, LED 패널, LCD 램프 및 LCD 패널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의 각 센서 유닛(410, 420)을 통해 감지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의 발광 제어 유닛(430)을 통해 발광부(330)가 제어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제어 신호 및 그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제어된 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지지부(25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25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지지부(2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미도시)가 공급하는 전력은 시트 지지부(25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핸들부(230)에 반대되는 수직부(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즉, 시트 지지부(2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를 인지하며 카트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결합 부재(도면 부호 미도시)에 의해 수직부(210)와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는 수직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지지부(250) 또한 수직부(210)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25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250)는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25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면(sphere surface)의 일부로 형성된다.
이는, 시트 지지부(250)에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구형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시트 지지부(250)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휠부(300) 및 제어부(4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휠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휠부(300)는 회전 가능하게 카트부(20)에 구비된다. 휠부(300)가 회전됨에 따라, 카트부(20)가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휠부(300)는 회전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300)는 바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휠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30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310) 및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휠(32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300)는 메인 휠(310), 서브 휠(320) 및 발광부(330)를 포함한다.
메인 휠(310)은 베이스부(220)의 하측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310)은 카트부(20)를 후방 측에서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휠(310)은 모터 부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가 핸들부(2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모터 부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주행 중인 상황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310)이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 부재(미도시)는 메인 휠(310)이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트부(20)가 임의 주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메인 휠(3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휠(31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31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312)을 포함한다.
메인 휠(310)은 제동부(50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를 작동시키면, 메인 휠(3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동 패드(510)는 사용자가 발로 누름 조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에 의해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 휠(310)은 제1 메인 휠(311), 제2 메인 휠(312), 메인 휠 지지부(313) 및 메인 휠 회전축(314)을 포함한다.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은 베이스부(2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 중 어느 하나는 후술될 제동부(50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동부(500)를 조작할 경우, 카트부(20)의 주행이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휠(311)의 좌측 면 및 제2 메인 휠(312)의 우측 면에는 상기 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 사이에는 제동부(500)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홈(미도시)은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의 각 면 중 제동부(500)를 향하는 각 면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홈(미도시)에는 제동 축(530)이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상기 삽입 및 인출은 제동 패드(510) 및 구속 부재(520)의 회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홈(미도시)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홈(미도시)은 각 메인 휠(311, 312)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미도시)이 각 메인 휠(311, 312)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는, 후술될 제동 축(530)이 각 메인 휠(311, 312)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동 패드(510) 및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어 제동 축(530)의 단부를 가압하면,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 또는 제2 메인 휠(312)에 형성된 상기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인 휠(311) 또는 제2 메인 휠(312)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은 각각 메인 휠 지지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는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313)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는 베이스부(2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메인 휠(310)은 임의로 주행 방향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에, 메인 휠 지지부(313)는 베이스부(220)의 일 구성 요소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 휠 지지부(313)는 각 메인 휠(311, 312)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의 우측 단부에는 제1 메인 휠(3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메인 휠(3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제동부(500)의 일부 구성 요소가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휠 지지부(313)의 상기 공간에는 제동 회전축(511), 구속 부재(520) 및 제동 축(530)이 실장될 수 있다.
메인 휠 회전축(314)은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의 회전 중심이다(도 13 참조). 메인 휠 회전축(314)은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휠 회전축(314)이 회전되면,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휠 회전축(314)은 복수 개 구비되어,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은 서로 다른 방향 및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메인 휠 회전축(314)은 제1 및 제2 메인 휠(311, 312)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서브 휠(320)은 베이스부(220)의 하측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320)은 카트부(20)를 전방 측에서 지지한다.
서브 휠(3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32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서브 휠(32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서브 휠(32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휠(321) 및 제2 서브 휠(322)은 베이스부(2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휠(321, 322)이 이격되는 거리는 각 메인 휠(311, 312)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서브 휠(321) 및 제2 서브 휠(322)은 각각 서브 휠 지지부(3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는 제1 서브 휠(321) 및 제2 서브 휠(3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서브 휠 지지부(323)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는 베이스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브 휠 지지부(323)의 회전 방향을 조정하여 카트부(20)가 주행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서브 휠 지지부(323)는 각 서브 휠(321, 322)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의 우측 단부에는 제1 서브 휠(32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32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서브 휠(32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광부(3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발광된다. 발광부(330)에서 발광된 빛은 카트부(20)의 양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비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주행 중인 환경의 조도가 낮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유모차(1)의 주변 환경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과 외주 사이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과 동축의 중심을 갖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과 동축인 환형(ring shape)이다.
발광부(330)는 제어 신호 또는 전력의 인가에 따라 발광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는 복수 개의 LED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LED 램프는, 발광부(33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또는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30)는 배터리(미도시)와 통전된다. 발광부(330)가 발광되기 위해 요구되는 전력은 배터리(미도시)에서 전달될 수 있다.
발광부(330)는 제어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부(330)는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에 따라 발광되거나 소광될 수 있다.
발광부(330)는 시각화 정보를 임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점멸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30)는 색상, 명도, 채도 등이 다양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전달받은 정보 및 발광부(330)를 제어한 결과에 대한 정보는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정보의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RAM, ROM, Micro SD, SSD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휠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휠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400)가 발광부(330)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메인 휠(310)의 회전과 관련된 사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400)가 전달받은 정보 및 제어부(400)에서 연산된 정보는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부(400)의 각 유닛(410, 420, 430, 440)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정보가 서로 다른 유닛(410, 420, 430, 440)에 전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조도 센서 유닛(410), 위치 센서 유닛(420), 발광 제어 유닛(430) 및 입출력 유닛(440)을 포함한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의 조도(luminous intensity)를 감지한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빛의 세기 또는 밝기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광전도 효과를 이용하여 빛의 세기 또는 밝기 등을 감지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메인 휠(310)에 배치되는 발광부(3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도 센서 유닛(410)은 발광부(330)에 인접한 환경의 조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메인 휠(310)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조도 센서 유닛(410)은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에 의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을 수 있다.
조도 센서 유닛(410)이 감지한 조도 정보는 발광 제어 유닛(430)에 전달될 수 있다. 조도 센서 유닛(410)은 발광 제어 유닛(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스마트 유모차(1)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특정 물체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센서 유닛(420)은 GPS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스마트 유모차(1)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위치 센서 유닛(420)은 디스플레이부(240)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의 상측에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위치 센서 유닛(420)이 감지한 위치 정보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위치 센서 유닛(420)이 감지한 위치 정보는 발광 제어 유닛(430)에 전달될 수 있다. 위치 센서 유닛(420)은 발광 제어 유닛(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는 발광부(330)의 발광 여부 및 형태 등을 제어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디스플레이부(24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각 센서 유닛(410, 420)에서 감지된 각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각 센서 유닛(410, 4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입력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발광 제어 유닛(430)이 전달받은 제어 신호, 각 정보 및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는 입출력 유닛(440)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과 입출력 유닛(44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입력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 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발광부(330)의 점등, 소등 또는 점멸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 또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발광부(330)가 발산할 빛의 색상, 명도, 채도, 세기, 시간 등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그에 상응하도록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조도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와 비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도 정보 및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는 특정한 값을 갖는 수치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는, 발광부(330)가 발광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 유모차(1) 주변의 식별이 어려운 상태에서의 조도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는, 발광부(330)가 발광되지 않더라도 스마트 유모차(1) 주변 환경의 식별이 가능한 최소한의 조도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된 조도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 미만일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감지된 조도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조도 정보 이상일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위치 정보 및 기준 위치 정보는 3차원의 좌표값을 갖는 수치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는, 주변 환경의 조도가 다른 환경의 조도에 비해 낮은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는, 발광부(330)가 발광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 유모차(1) 주변의 환경의 식별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는, 숲, 야산 또는 바닷가 등에 대한 위치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감지된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에 해당할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감지된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위치 정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가 빛을 발산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이때,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하는 제어 정보에는, 발산될 빛의 조도, 색상, 명도 및 채도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정보에는, 발산될 빛의 점멸 여부, 점멸 간격 등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30)는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광되거나 소광될 수 있다.
입출력 유닛(440)은 각 센서 유닛(410, 420)이 감지한 조도 정보 및 위치 정보,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를 전달받는다. 입출력 유닛(440)은 각 센서 유닛(410, 420) 및 발광 제어 유닛(4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입출력 유닛(440)은 전달받은 각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입력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입출력 유닛(440)은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출력 유닛(440)은 외부의 단말기(E.D)와 무선 또는 유선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 유닛(440)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형태로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입출력 유닛(440)은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입출력 유닛(440)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된 각 정보는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감지된 각 정보 및 감지된 정보에 따라 연산된 제어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의 설명
도 7,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제동부(500)를 포함한다.
제동부(500)는 휠부(300)의 회전을 구속하여, 카트부(20)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동부(500)는 메인 휠(310)의 회전을 제한하여, 카트부(20)가 이동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 유모차(1)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손은 핸들부(230)를 파지하는 것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제동부(500)는 휠부(30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동부(50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제동 패드(510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동부(500)는 제1 메인 휠(311) 및 제2 메인 휠(312) 중 어느 하나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오른발 또는 왼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부(500)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31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는, 오른손잡이인 사람은 일반적으로 오른발을 더 용이하게 활용함에 기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동부(50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31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동부(500)가 제1 메인 휠(311)에 인접하게 위치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제동부(500)는 디스플레이부(24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동부(500)가 조작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각화 정보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될 경우(즉,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되었으며, 메인 휠(310)의 회전이 불가하다는 내용의 시각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Break On" 등의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경우(즉,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제동 패드(510)가 누름 조작되지 않았으며, 메인 휠(310)의 회전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시각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Break Off" 등의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부(500)는 제동 패드(510), 구속 부재(520) 및 제동 축(530)을 포함한다.
제동 패드(51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누름 조작하는 부분이다. 제동 패드(510)가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되면, 후술될 구속 부재(520) 및 제동 축(530)에 의해 메인 휠(310)의 회전이 구속된다.
즉, 제동 패드(510)는 카트부(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위치로 기능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회전축(314)에 대해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회전축(314)의 후방의 상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상기 배치 방식에 의해,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회전축(314)과 사용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310)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 패드(510)는 제1 메인 휠(31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거리는,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에서 메인 휠 지지부(313)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동 패드(5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후방 측에 노출된다.
제동 패드(510)가 노출된 상기 후방 부분은,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동부(500)를 작동시켜 메인 휠(310)의 회전을 구속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2 부분을 가압하여 제동 패드(510)를 회전(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시킬 수 있다.
또한, 제동부(500)의 작동 상태를 해제하여 메인 휠(310)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1 부분을 가압하여 제동 패드(510)를 회전(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시킬 수 있다.
제동 패드(510)의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에는 제동 회전축(511)이 관통 결합된다.
제동 회전축(511)은 제동 패드(510)가 회전되는 중심축으로 기능된다. 제동 패드(510)의 상기 제1 부분 또는 상기 제2 부분이 가압되면, 제동 패드(510)는 제동 회전축(5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동 회전축(511)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동 회전축(511)은 제동 패드(510)의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제동 회전축(511)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동 회전축(51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동 회전축(511)의 길이 방향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메인 휠(3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 회전축(511)은 메인 휠(31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동 패드(510)의 상기 제2 부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구속 부재(520)가 접촉된다.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가 가압되어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어, 제동 축(53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동 축(530)이 메인 휠(310)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메인 휠(310)이 이동되지 않는다.
구속 부재(52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의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위치된다.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에 구비되는 돌출부와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에 비해 메인 휠 회전축(314)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구속 부재(520)는 제동 패드(510)와 메인 휠 회전축(314) 사이에 위치된다.
구속 부재(520)는 메인 휠(310)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 부재(520)는 제1 메인 휠(311)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거리는,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에서 메인 휠 지지부(313)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면, 메인 휠 지지부(313)를 향하는 제동 축(530)의 일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구속 부재(520)에 의해 가압되어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구속 부재(520)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구속 부재(520)에 구비되는 구속 회전축(521)에 의해 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속 부재(520)는 구속 회전축(521)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고, 제동 패드(510)에 접촉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부분은 제동 패드(510)가 회전되기 전 제동 패드(510)와 접촉될 수 있다(도 13의 (a) 참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속 회전축(521)은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는 중심축으로 기능된다. 구속 부재(520)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제동 패드(510)에 의해 가압되면, 구속 부재(520)는 구속 회전축(5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속 회전축(521)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구속 회전축(521)은 구속 부재(520)의 상기 제1 부분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구속 회전축(521)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속 회전축(521)의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메인 휠 지지부(3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속 회전축(521)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메인 휠(3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 회전축(512)은 메인 휠(31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동 회전축(512)은 메인 휠 회전축(314)과 제동 회전축(5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 회전축(512)은 메인 휠 회전축(314)을 중심으로 제동 회전축(511)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제동 축(530)은 제동 패드(510) 및 구속 부재(520)가 회전됨에 따라 메인 휠(31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메인 휠(310)의 회전을 방지한다.
제동 축(530)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동 축(53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일 방향이 제동 회전축(511) 및 구속 회전축(521)이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제동 축(530)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또한, 제동 축(530)은 메인 휠 지지부(313)의 내부 공간에서,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1 메인 휠(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 또는 상기 홈(미도시)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의 중심에서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제동 축(530)과 제1 메인 휠(311)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과 제1 메인 휠(311)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구속 부재(5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동 축(530)은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속 부재(520)와 접촉되지 않되, 구속 부재(520)가 회전된 경우 구속 부재(520)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동 축(530)은 구속 부재(520)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된다.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1 메인 휠(31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된다.
제동 축(530)이 제1 메인 휠(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동 축(530)은 상기 홈(미도시)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휠(311)에 반대되는 제동 축(5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와 제1 메인 휠(311) 사이의 거리는 구속 부재(520)와 제1 메인 휠(311)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동 축(530)의 부분 중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구속 부재(520)와 제1 메인 휠(311)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제1 메인 휠(310)에 반대되는 방향의 제동 축(530)의 단부,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모따기(taper) 가공될 수 있다. 즉, 제동 축(530)의 상기 단부는, 제1 메인 휠(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그 단면의 직경이 감소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동 축(530)의 상기 단부는 제1 메인 휠(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외주면이 제동 축(530)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동 축(530)의 상기 형상에 의해,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어 제동 축(530)과 접촉되어 제동 축(530)을 가압하면,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제동 축(530)은 지지 부재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부재는 제동 축(53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다(도 13 참조). 이에 따라, 구속 부재(520)의 회전에 상응하게,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의 상기 홈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메인 휠(311)에 형성된 홈(미도시)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제동 축(530)을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의 일측(즉, 좌측) 단부는 상기 홈(미도시)을 향하는 제동 축(530)의 일측(즉, 우측) 단부와 접촉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의 타측(즉, 우측) 단부는 상기 홈(미도시)을 감싸는 일 면(즉, 우측 면)에 접촉된다.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압축되지 않는다. 구속 부재(520)가 회전되어 제동 축(530)이 상기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가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구속 부재(520)가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되면(즉, 구속 부재(520)와 제동 축(530)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저장한 탄성력을 제동 축(53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동 축(530)은 상기 홈(미도시)에서 부분적으로 인출되어, 구속 부재(520)와 접촉되기 전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제동부(500)가 동작되어 카트부(20)의 주행이 제한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발광부(33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의 조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에 따라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위치된 주변 환경에 따라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어, 주행의 안정성 및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발광부(330)에서 빛이 발산되는 상태가 다른 각도에서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제어 유닛(430)은 발광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인자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감지된 조도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한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통해 제어 신호를 입력한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입력된 제어 신호는 입출력 유닛(440)을 통해 발광 제어 유닛(430)에 전달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발광 제어 유닛(430)은 조도 센서 유닛(410) 또는 위치 센서 유닛(420)에서 감지된 조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발광 제어 유닛(430)은 감지된 조도 정보와 기준 조도 정보의 비교 결과 또는 감지된 위치 정보와 기준 위치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발광 제어 유닛(4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는 발광부(330)의 발광 여부, 발광부(330)의 발광 형태 및 발광부(330)에서 발산될 빛의 조도, 색상, 명도, 채도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제어 유닛(430)은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발광부(3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발광부(330)에서는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빛이 발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330)는 메인 휠(310)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 외측에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발광부(330)의 방사상 외측을 향하도록 발산될 수 있다.
즉,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메인 휠(310)의 중심에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발산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메인 휠(310)의 중심 축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메인 휠(310)의 중심의 방사상 외측으로 발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45˚일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은 보다 넓은 공간을 향해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330)에서 발산된 빛(L.E) 중 하측을 향해 발산된 빛은 메인 휠(310)의 축 방향의 외측을 향해 조사된다(도 9 및 도 10의 음영 부분 참조). 이에 따라, 메인 휠(310) 주변의 지면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정지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제동부(500)를 포함한다. 제동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메인 휠(310)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카트부(2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동부(500)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이 제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후방 측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부(500)는 제1 메인 휠(311)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동부(500)의 제동 패드(510)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른발을 이용하여 제동부(500)를 용이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제동 패드(510)의 나머지 부분 및 제동부(500)의 기타 구성 요소는 메인 휠 지지부(313)의 공간 및 메인 휠(310)에 수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제동 패드(510)가 회전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2의 (a) 및 도 13의 (a)는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제동 패드(510)의 제1 부분은 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되고, 제2 부분은 후방의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둔각을 이루며 연속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상태에서, 메인 휠(310)은 제동 축(530)에 의해 구속되지 않아 카트부(20)가 주행될 수 있다.
도 12의 (b) 및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동 패드(510)의 제2 부분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제동 패드(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제동 축(530)은 제1 메인 휠(311)에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된다. 따라서, 메인 휠(310)의 회전은 제동 축(530)에 의해 구속되어, 카트부(20)가 주행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동 패드(510)에서 발을 떼더라도, 제동 패드(510)는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동 패드(510)는 틸팅(tilting)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된 제동 패드(51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을 이용하여 제동 패드(510)를 누름 조작하여 카트부(20)의 주행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고, 카트부(20)의 임의 주행이 방지되어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유모차
10: 유아용 시트부
20: 카트(cart)부
30: 에어 커버부
200: 몸체부
210: 수직부
220: 베이스부
230: 핸들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시트 지지부
300: 휠(wheel)부
310: 메인 휠
311: 제1 메인 휠
312: 제2 메인 휠
313: 메인 휠 지지부
314: 메인 휠 회전축
320: 서브 휠
321: 제1 서브 휠
322: 제2 서브 휠
323: 서브 휠 지지부
330: 발광부
331: 제1 발광부
332: 제2 발광부
400: 제어부
410: 조도 센서 유닛
420: 위치 센서 유닛
430: 발광 제어 유닛
440: 입출력 유닛
500: 제동부
510: 제동 패드
511: 제동 회전축
520: 구속 부재
521: 구속 회전축
530: 제동 축
E.D(External Device): 외부의 단말기
L.E(Light Emitted): 발산된 빛

Claims (15)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wheel);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 휠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패드; 및
    상기 제동 패드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메인 휠의 일 면에 함몰 형성된 홈에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제동 축을 포함하는,
    카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은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동부는,
    복수 개의 상기 메인 휠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카트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제동 패드와 상기 제동 축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와 상기 구속 부재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접촉되는,
    카트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되면, 상기 제동 축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제동 축을 상기 메인 휠의 상기 일 면에 함몰 형성된 상기 홈을 향해 가압하는,
    카트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축은,
    상기 구속 부재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되는,
    카트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패드는,
    상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상기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카트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제동 축이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 패드의 상기 제1 부분과 접촉되고,
    상기 제동 축이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동 패드의 상기 제2 부분과 접촉되는,
    카트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패드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구속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회전축은,
    상기 메인 휠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구속 회전축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카트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카트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에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는 모따기(taper) 처리되는,
    카트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동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가 누름 조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기 설정된 시각화 정보를 출력하는,
    카트부.
  12.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시트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 휠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메인 휠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 패드;
    상기 제동 패드와 상기 메인 휠의 중심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속 부재; 및
    상기 제동 패드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메인 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동 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되면,
    상기 구속 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제동 축이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스마트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은,
    상기 제동 축을 향하는 일 면에 함몰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동 패드가 회전되면,
    상기 제동 축은 상기 홈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스마트 유모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의 상기 일 면과 상기 구속 부재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에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와 상기 메인 휠의 일 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짧은,
    스마트 유모차.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휠의 상기 홈의 내부에는,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을 향하는 방향의 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동 축의 단부 중 상기 메인 휠에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는 모따기(taper) 처리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0200022461A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07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1A KR20210107448A (ko)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61A KR20210107448A (ko)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48A true KR20210107448A (ko) 2021-09-01

Family

ID=7778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61A KR20210107448A (ko) 2020-02-24 2020-02-24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744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22B1 (ko) 2013-08-21 2014-01-27 (주)동인기연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1723297B1 (ko) 2015-07-10 2017-04-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22B1 (ko) 2013-08-21 2014-01-27 (주)동인기연 바퀴 제동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101723297B1 (ko) 2015-07-10 2017-04-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유모차용 안전 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631B2 (ja) 携帯用の情報表示装置
EP3889003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997948B2 (en)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US10648659B2 (en) Status light assembly for patient handling equipment
US10449108B2 (en) Robot and method of supporting walking using robot
JP6663847B2 (ja) 地表面上を任意方向に転動するボールを備える操縦者の移動のための車両
KR20130107684A (ko) 셀프 밸런싱 전동장치가 구비된 백팩형 가방
JPWO2015199048A1 (ja) 手押し車
KR101703940B1 (ko)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2554A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210107448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07447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572254B1 (ko)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20210089009A (ko)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17053A (ko)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7445A (ko) 스마트 유모차
JP2015058012A (ja) ブレーキ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歩行車
KR2021012256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565828B1 (ko) 사용자의 안전한 착석을 위한 패턴 발생기를 구비한 휠체어
KR20210089011A (ko) 공기 청정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부
CN113442986A (zh) 推车单元及其控制方法
JP5617705B2 (ja) 移動体
EP3579806B1 (en) Modular driving system for a wheelchair
KR102282390B1 (ko) 킥보드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킥보드 안전 장치
KR102252819B1 (ko) 전동 휠체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