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562A -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 Google Patents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562A
KR20210122562A KR1020200039874A KR20200039874A KR20210122562A KR 20210122562 A KR20210122562 A KR 20210122562A KR 1020200039874 A KR1020200039874 A KR 1020200039874A KR 20200039874 A KR20200039874 A KR 20200039874A KR 20210122562 A KR20210122562 A KR 20210122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le
cart
vertical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종
이수미
고성규
이윤성
손효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2562A/ko
Publication of KR20210122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3Measuring a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는 사용자가 핸들부에 인가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는 핸들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베어링 및 수직부에 각각 결합되어, 핸들부의 회전에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핸들부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압력 센서는 핸들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Cart unit and smart strolle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가 몸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출생한지 얼마 되지 않은 어린 연령대의 어린이를 지칭한다. 유아는 아직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쉽게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에, 유아가 집안에서 체재하는 경우는 별론, 집 밖으로 나가는 경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들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외출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로,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모차는 내부에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유아는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보호자가 인가하는 힘에 따라 이동되는 유모차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런데, 유모차를 운용하는 보호자의 신체 조건은 사람마다 동일하지 않다. 즉, 평균의 신장을 가진 보호자가 있는가 하면, 평균 이하의 신장 또는 평균 이상의 신장을 가진 보호자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의 편의를 위해, 최근에는 보호자가 유모차를 파지하는 부분인 손잡이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의 유모차가 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91428호는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높이 멈춤 핀이 삽입되는 손잡이 높이 조절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하여, 손잡이 높이 조절구멍 중 어느 하나에 높이 멈춤 핀을 삽입함으로써 손잡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는, 사용자가 손잡이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높이 멈춤 핀을 인출하고, 손잡이의 높이를 조정한 후 다시 높이 멈춤 핀을 손잡이 높이 조절구멍에 삽입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0276371호는 유모차 손잡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의 좌우 접철이 가능하여, 손잡이의 위치를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변경할 수 있는 유모차 손잡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유모차 손잡이 조절장치는, 손잡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할 뿐, 손잡이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은 유모차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에 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들에 따른 유모차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에 의해서만 구동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모차를 주행시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91428호 (2011.12.07.)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0276371호 (2002.05.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되더라도, 용이하게 주행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잡이의 높낮이가 조정되더라도,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의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압력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는,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압력 센서의 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카트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핸들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위치되며,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수직부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핸들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카트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핸들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조작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핸들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 및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을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핸들부는, 상기 수직부와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상기 수직부의 후방 측에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1 부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의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위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수직부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 위치; 및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위치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압력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 휠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압력 센서가 감지한 상기 압력 정보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조작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압력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기 공간 및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는,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압력 센서의 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스마트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조작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조작부는 상기 수직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카트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부와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압력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 휠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모터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공기 청정 모듈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제2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유모차의 상기 베어링은 볼 베어링(ball bea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핸들부는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부는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핸들부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지면에 대해 수평한 제1 위치, 제2 부분이 수직부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 위치 및 제2 부분이 제1 위치에 비해 낮게 위치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부를 회전시켜 본인의 신체 조건에 따라 편한 높이로 핸들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와 수직부 사이에는 압력 센서가 구비된다. 압력 센서는 핸들부 내부에 형성된 공간 및 수직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압력 센서는 사용자가 제2 부분을 가압하여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을 감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이 압력 센서에 의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가 감지한 압력 정보는 모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가 주행 방향을 향할 경우, 모터부는 메인 휠이 상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감지된 압력 정보가 주행 방향에 반대될 경우, 모터부는 메인 휠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에 상응하게 모터부가 작동되어 카트부가 주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트부를 주행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압력 센서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는 수직부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압력 센서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 중 다른 하나는 핸들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베어링에 결합된다.
베어링에 의해, 핸들부의 회전은 압력 센서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압력 센서는 핸들부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고, 수직부 또는 다른 부재와 기 설정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는 핸들부에 인가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을 항상 같은 배치 상태에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가 회전되더라도,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이 정확하게 감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의 유아용 시트부와 카트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유모차에 구비되는 카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트부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도시하는 개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카트부의 핸들부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핸들부가 회전되기 전, 압력 센서와 수직부의 상대적인 각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3의 카트부에 구비되는 핸들부가 회전된 후, 압력 센서와 수직부의 상대적인 각도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스마트 유모차(1)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차량에 구비되는 크래들부 또는 독자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 가능한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 신호, 전력 등이 전달될 수 있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카트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유모차(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의 배터리(미도시)에서 공급된 전력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통해 인가하는 힘에 의해, 휠부(200)가 회전되어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 및 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공간의 전방 측 및 하측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쿠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에어 커버부(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커버부(30)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물리적, 정전기적 인력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 내부 공간에는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어, 유아가 청정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2) 카트부(2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카트부(20)를 포함한다.
카트부(20)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주행될 수 있다. 상기 주행은 카트부(20)에 구비되는 휠부(200)에 의해 달성된다.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의 시트 지지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트부(2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카트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카트부(2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가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터리(미도시)는 핸들부(13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미도시)는 카트부(20)에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또는 LED(미도시) 등이 발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카트부(20)는 몸체부(100) 및 휠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카트부(20)는 압력 센서(3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압력 센서(3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몸체부(100)의 설명
몸체부(100)는 카트부(20)의 골격을 형성한다. 몸체부(100)는 카트부(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몸체부(10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1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수직부(110), 베이스부(120), 핸들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시트 지지부(150), 센서 수용부(160), 조작부(170) 및 베어링(180)을 포함한다.
수직부(110)는 몸체부(100) 중 상하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수직부(110)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 및 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직부(110)는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파지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110)는 사용자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수직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긴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직부(11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직부(110)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지면을 향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베이스부(12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직부(110)는 베이스부(120)를 향해 폴딩(folding)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지면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는 핸들부(13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130)는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가장 용이한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와 핸들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부(110)의 일 위치에는, 시트 지지부(150)와 연결되는 승강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관통 결합된다.
승강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부(1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핸들부(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승강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승강부의 높이를 조정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카트부(20)의 하측의 수평 방향의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20)는 수직부(110)를 향하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120)에 가방 등의 소품들을 안착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는 전방 측 모서리 및 후방 측 모서리가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베이스부(120)의 형상은 수직부(110)와 결합되고, 휠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20)에는 유아 이외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짐 등이 수납,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의 각 모서리는 모따기 처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베이스부(12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수직부(110)를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의 후방 측에는 수직부(110)가 결합된다.
수직부(110)에 반대되는 베이스부(1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는 메인 휠 지지부(213)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부(12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전방 측에는 서브 휠 지지부(22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부(130)는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핸들부(13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카트부(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핸들부(130)는 베이스부(120)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신장에 맞춰 핸들부(13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핸들부(130)를 수직부(110)의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카트부(20)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수직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부(130)와 수직부(110) 사이에는 센서 수용부(160) 및 조작부(170)가 위치된다. 즉, 수직부(110)에는 조작부(1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조작부(170)에는 센서 수용부(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센서 수용부(160)에는 핸들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핸들부(130) 및 핸들부(130)와 수직부(110) 사이에 위치되는 센서 수용부(160) 및 조작부(170)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은 베어링(180)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핸들부(130)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부분(131)과, 제1 부분(131)과 연속되며, 수직부(110)의 후방 측에서 연장되는 제2 부분(13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핸들부(130)의 제1 부분(131)은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부(130)의 제1 부분(131)과 수직부(110) 사이에는 센서 수용부(160) 및 조작부(170)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부분(131)은 센서 수용부(16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부분(131)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센서 수용부(16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된다. 압력 센서(300)는 수직부(110)에서 조작부(170)의 내부 공간 및 센서 수용부(16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제1 부분(13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13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는 베어링(180)이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3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 중, 센서 수용부(160)를 향하는 일측에는 베어링(18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부(130)의 제1 부분(13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부분(131)은 수직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130)의 제2 부분(132)은, 제1 부분(131)의 단부 중 수직부(110)에 반대되는 일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1 부분(131)과 제2 부분(132)이 서로 마주하는 각 일측의 내부 공간에는 베어링(18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부(130)의 제2 부분(132)은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후,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핸들부(130)의 제2 부분(132)의 우측 부분은 우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핸들부(130)의 제2 부분(132)의 좌측 부분은 좌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는, 제2 부분(132)은 수직부(110)의 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부분(131)은 그 일측 단부가 각 센서 수용부(16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후, 그 타측 단부가 제2 부분(132)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핸들부(130)의 제2 부분(132)의 좌측 및 우측 부분은 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속된다. 사용자는 제2 부분(132)의 후방 측을 파지하여 카트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핸들부(130)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부(140)가 위치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가 스마트 유모차(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및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1)가 제어된 결과를 시각화 정보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40)는 UI(User Interface) 부라고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패널, 누름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LED 램프, LED 패널, LCD 램프 및 LCD 패널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수직부(110)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수직부(110)의 상측 단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핸들부(130)의 상기 제1 부분(131)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140)를 조작하거나, 출력된 시각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카트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시트 지지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와 통전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카트부(2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도선 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미도시)가 공급하는 전력은 시트 지지부(15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핸들부(130)에 반대되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즉,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카트부(20)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의 상태를 인지하며 카트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결합 부재(도면 부호 미도시)에 의해 수직부(110)와 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는 수직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트 지지부(150) 또한 수직부(110)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카트부(20)를 보관하고자 할 경우, 카트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15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지지부(150)는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트 지지부(15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면(sphere surface)의 일부로 형성된다.
이는, 시트 지지부(150)에 안착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구형으로 형성됨에 기인한다. 즉, 시트 지지부(150)의 형상은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160)는 내부에 압력 센서(300)를 수용한다. 즉, 센서 수용부(160)는 압력 센서(300)의 하우징으로 기능된다. 이에 따라, 압력 센서(300)는 카트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센서 수용부(160)는 수직부(110) 및 핸들부(130)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수용부(160)는 일측이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핸들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수용부(160)와 수직부(110) 사이에 조작부(1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센서 수용부(160)는 조작부(17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핸들부(130) 및 센서 수용부(160)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은 베어링(18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160)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수직부(110)를 향하는 방향 및 핸들부(13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센서 수용부(160)에 관통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센서 수용부(160)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간, 즉 관통공의 내부에는 압력 센서(300)의 일 부분이 수용된다.
센서 수용부(16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 수용부(160)는 각각 수직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센서 수용부(160)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센서 수용부(16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센서 수용부(162)를 포함한다.
제1 센서 수용부(161)는 수직부(110)의 우측에서, 제1 조작부(171) 및 핸들부(130)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센서 수용부(162)는 수직부(110)의 좌측에서, 제2 조작부(172) 및 핸들부(130)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센서 수용부(160)의 내부에 수용된 압력 센서(300)는 센서 수용부(16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어, 스마트 유모차(1)가 작동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조작부(170)를 회전 조작하여,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모터부(2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70)의 일측은 수직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170)는 수직부(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부(170)의 타측은 센서 수용부(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170)는 센서 수용부(16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부(17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조작부(17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조작부(17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170)의 상기 공간에는 압력 센서(300)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조작부(170)가 회전되더라도, 압력 센서(300)는 회전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17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일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조작부(170)의 형상은 센서 수용부(160) 및 핸들부(130)의 제1 부분(131)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부(130), 센서 수용부(160) 및 조작부(170)를 파지할 때 이질감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낄 수 있다.
조작부(17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작부(170)는 수직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작부(170)는 수직부(1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작부(170)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조작부(170)와 사용자의 손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17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170)는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조작부(17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조작부(172)를 포함한다.
제1 조작부(17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조작부(171)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제1 센서 수용부(16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조작부(171)는 회전 조작되어 모터부(23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조작부(171)를 회전 조작하여 카트부(20)에 인가하는 힘의 방향에 따라 모터부(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조작부(17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수직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조작부(172)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제2 센서 수용부(16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조작부(172)는 회전 조작되어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조작부(172)를 회전 조작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청정하도록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베어링(180)은 핸들부(130), 센서 수용부(160) 및 조작부(170)의 회전과 무관하게, 압력 센서(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압력 센서(300)를 지지한다(도 6 참조).
베어링(180)은 핸들부(1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베어링(180)은 핸들부(130)의 제1 부분(131)의 내부 공간에, 센서 수용부(160)를 향하는 일측에 수용된다. 베어링(180)은 압력 센서(300)와 연결되어, 압력 센서(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180)은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어링(180)은 볼 베어링(ball bea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180)이 볼 베어링의 형태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베어링(18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180)의 외주면은 핸들부(130)의 제1 부분(131)의 내부 공간을 감싸는 제1 부분(131)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8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압력 센서(30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130), 센서 수용부(160) 및 조작부(170)가 회전되더라도, 압력 센서(300)는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직부(110)와 압력 센서(300)의 상대적인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베어링(18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베어링(180)은 수직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베어링(180)은 복수 개의 센서 수용부(160)에 각각 수용되어, 복수 개의 압력 센서(30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어링(18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131)에 수용되는 제1 베어링(18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131)에 수용되는 제2 베어링(182)을 포함한다.
제1 베어링(181)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131)에 수용되어, 제1 압력 센서(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 베어링(181)은 수직부(110)의 우측에 위치된다.
제2 베어링(182)은 좌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131)에 수용되어, 제2 압력 센서(3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베어링(182)은 수직부(110)의 좌측에 위치된다.
베어링(180)에 의해, 압력 센서(300)가 수직부(110)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휠부(200)의 설명
다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휠부(200)를 포함한다.
휠부(200)는 회전 가능하게 카트부(20)에 구비된다. 휠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카트부(20)가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휠부(200)는 회전되어 구름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바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휠부(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210) 및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휠(220)을 포함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휠부(200)는 메인 휠(210), 서브 휠(220), 모터부(230) 및 브레이크(240)를 포함한다.
메인 휠(210)은 베이스부(120)의 하측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210)은 카트부(20)를 후방 측에서 지지한다.
메인 휠(210)은 모터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카트부(20)가 주행 중인 상황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부(20)가 오르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이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카트부(2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는 경우,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이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트부(20)가 임의 주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메인 휠(21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휠(21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21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212)을 포함한다.
메인 휠(210)은 브레이크(24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레이크(240)를 가압하면, 메인 휠(21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240)는 사용자가 발로 누름 조작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휠(210)은 제1 메인 휠(211), 제2 메인 휠(212) 및 메인 휠 지지부(213)를 포함한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은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 중 어느 하나는 브레이크(24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브레이크(240)를 조작할 경우, 카트부(20)의 주행이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메인 휠(211)의 좌측 면 및 제2 메인 휠(212)의 우측 면에는 상기 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은 각각 메인 휠 지지부(2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제1 메인 휠(211) 및 제2 메인 휠(2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213)는 지면을 향하는 베이스부(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의 후방 측에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베이스부(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메인 휠(210)은 임의로 주행 방향이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에, 메인 휠 지지부(213)는 베이스부(120)의 일 구성 요소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 휠 지지부(213)는 각 메인 휠(211, 212)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우측 단부에는 제1 메인 휠(2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좌측 단부에는 제2 메인 휠(21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휠 지지부(21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브레이크(240)의 일부 구성 요소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휠 지지부(213)의 내부에는 카트부(20)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 휠(220)은 베이스부(120)의 하측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220)은 카트부(20)를 전방 측에서 지지한다.
서브 휠(2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220)은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서브 휠(221) 및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서브 휠(222)을 포함한다.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은 베이스부(1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휠(221, 222)이 이격되는 거리는 각 메인 휠(211, 212)이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서브 휠(221) 및 제2 서브 휠(222)은 각각 서브 휠 지지부(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서브 휠(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서브 휠(220)은 서브 휠 지지부(223)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220)이 결합된 서브 휠 지지부(223)가 베이스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서브 휠(220)이 주행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휠(220)은 서브 휠 지지부(223)의 좌우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이스부(120)에 상하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메인 휠(210)에 반대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20)의 전방의 하측에 결합된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하는 힘 또는 메인 휠(210)이 회전되는 상태에 따라, 서브 휠 지지부(223)가 해당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트부(20)의 주행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서브 휠 지지부(223)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휠 지지부(223)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휠 지지부(223)는 베어링(미도시)의 형태로 서브 휠(221, 222)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휠 지지부(223)는 서브 휠(221, 222)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에 결합되어, 메인 휠(210)을 회전시킨다. 모터부(230)는 메인 휠(2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휠(210)은 카트부(20)가 전진되는 방향 또는 후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모터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모터부(230)는 각 메인 휠(211, 2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터부(230)는 제1 메인 휠(211)에 결합되는 제1 모터(231) 및 제2 메인 휠(212)에 결합되는 제2 모터(232)를 포함한다.
모터부(230)는 압력 센서(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터부(230)는 압력 센서(30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제어되어, 회전되거나 정지될 수 있다. 모터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형태로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모터부(230) 및 압력 센서(300)는 각각 제어부(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압력 센서(300)가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정보를 연산하고, 이에 따라 모터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부(230)는 전력 및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 및 정지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서, 모터부(230)는 모터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240)는 메인 휠(21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한다. 사용자는 브레이크(240)를 누름 조작하여 메인 휠(21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브레이크(240)는 메인 휠(21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240)는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240)는 메인 휠(210)에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핀(pin)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메인 휠(210)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브레이크(240)가 삽입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브레이크(240)는 메인 휠(2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240)는 후방 측에 위치되는 메인 휠 지지부(213)에,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메인 휠(211)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240)는 제1 메인 휠(211)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브레이크(24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2 메인 휠(21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240)는 제2 메인 휠(212)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센서(300)의 설명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유모차(1)는 압력 센서(300)를 더 포함한다.
압력 센서(300)는 핸들부(130)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감지한다. 즉, 압력 센서(300)는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밀거나 당기기 위해 인가하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감지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압력 센서(300)가 감지하는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압력 정보"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압력 센서(300)는 압력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 센서(300)는 로드셀(loadcell)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압력 센서(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압력 센서(300)는 수직부(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압력 센서(300)는 각 센서 수용부(161, 162)에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압력 센서(300)는 모터부(23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터부(230)는 압력 센서(300)가 감지한 압력 정보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부(2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압력 센서(300)는 수직부(110)의 우측에 위치되는 제1 압력 센서(310) 및 수직부(110)의 좌측에 위치되는 제2 압력 센서(320)를 포함한다.
제1 압력 센서(310)는 수직부(110)의 우측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핸들부(130)의 우측에 인가하는 힘의 압력 정보를 감지한다.
제1 압력 센서(3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압력 센서(310)는 제1 센서 수용부(161) 및 제1 조작부(171)의 내부에 관통된다.
제1 압력 센서(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압력 센서(310)의 상기 일측은 수직부(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3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제1 베어링(181)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압력 센서(310)의 상기 타측은 제1 베어링(18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 센서(310)의 상기 타측 단부는 핸들부(130)의 우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131)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핸들부(130), 제1 센서 수용부(161) 및 제1 조작부(171)가 회전되더라도, 제1 압력 센서(310)는 수직부(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압력 센서(310)와 수직부(110) 사이의 각도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320)는 수직부(110)의 좌측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핸들부(130)의 좌측에 인가하는 힘의 압력 정보를 감지한다.
제2 압력 센서(32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압력 센서(320)는 제2 센서 수용부(162) 및 제2 조작부(172)의 내부에 관통된다.
제2 압력 센서(3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수직부(110)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압력 센서(320)의 상기 일측은 수직부(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3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제2 베어링(182)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압력 센서(320)의 상기 타측은 제2 베어링(18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압력 센서(320)의 상기 타측 단부는 핸들부(130)의 좌측에 위치되는 제1 부분(131)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핸들부(130), 제2 센서 수용부(162) 및 제2 조작부(172)가 회전되더라도, 제2 압력 센서(320)는 수직부(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압력 센서(320)와 수직부(110) 사이의 각도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제1 및 제2 압력 센서(310, 320)와 수직부(110) 사이의 각도 관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130)의 회전과 무관하게, 제1 및 제2 압력 센서(310, 320)가 핸들부(130)에 인가되는 힘의 압력 정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압력 센서(300)가 수직부(110)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핸들부(130)는 수직부(1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부(130)를 파지하는 위치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는 수직부(110)와 핸들부(130) 사이에서 연장되는 압력 센서(300)를 포함한다. 압력 센서(300)는 사용자가 핸들부(130)에 인가하는 힘의 압력 정보를 감지한다. 감지된 압력 정보에 의해, 모터부(230)의 회전이 제어되어,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센서(300)는 핸들부(130)의 회전과 무관하게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직부(110)와 압력 센서(300)가 이루는 상대적인 각도가 변경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핸들부(130)가 어떠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가압되더라도, 압력 센서(300)는 인가되는 힘의 압력 정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트부(20)의 압력 센서(300)가 수직부(110)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핸들부(130)가 수직부(11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핸들부(130)가 수직부(110)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된다.
이때, 핸들부(130)의 위치는 제1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핸들부(130)가 수직부(110)와 둔각을 이루는 위치이다. 또는, 제1 위치는 핸들부(130)가 지면에 대해 평행한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핸들부(130)가 상측을 향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는, 스마트 유모차(1)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신장이 큰 경우로 예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핸들부(130)의 제2 부분(132)이 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핸들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들부(130)의 위치는 제2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위치는, 핸들부(130)가 제1 위치에서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부분(132)이 수직부(110)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배치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핸들부(130)가 하측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는, 스마트 유모차(1)를 운용하는 사용자의 신장이 작은 경우로 예상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핸들부(130)의 제2 부분(132)이 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핸들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들부(130)의 위치는 제3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3 위치는, 핸들부(130)가 제1 위치에서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부분(132)이 제1 위치에서의 제2 부분(132)의 높이에 비해 낮게 배치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핸들부(130)가 수직부(110)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된다. 즉, 핸들부(130)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압력 센서(300)는 수직부(1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수직부(1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압력 센서(300)는 수직부(110)의 전방 측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압력 센서(300)는 지면 또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핸들부(130)가 상측을 향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다. 즉, 핸들부(130)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도, 압력 센서(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110)의 전방 측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는, 압력 센서(300)는 지면 또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다.
즉, 핸들부(130)의 회전과 무관하게, 압력 센서(300)는 수직부(110), 베이스부(120) 또는 지면 등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다. 압력 센서(300)의 상기 배치 구조는 핸들부(130)의 제1 부분(13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베어링(180)에 압력 센서(300)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어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 센서(300)는 지면 또는 베이스부(12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압력 센서(300)는 핸들부(130)가 제1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의 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부(130)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가압하는 경우에도, 압력 센서(300)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을 전방 측 또는 후방 측 방향 등으로 분해하여 감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핸들부(130)의 높이가 조정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핸들부(130)가 임의의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에도 압력 센서(300)는 핸들부(130)에 인가되는 힘의 압력 정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부(230)가 감지된 압력 정보에 따라 회전되어, 사용자가 카트부(20)를 주행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유모차
10: 유아용 시트부
20: 카트(cart)부
30: 에어 커버부
100: 몸체부
110: 수직부
120: 베이스부
130: 핸들부
131: 제1 부분
132: 제2 부분
140: 디스플레이부
150: 시트 지지부
160: 센서 수용부
161: 제1 센서 수용부
162: 제2 센서 수용부
170: 조작부
171: 제1 조작부
172: 제2 조작부
180: 베어링
181: 제1 베어링
182: 제2 베어링
200: 휠(wheel)부
210: 메인 휠
211: 제1 메인 휠
212: 제2 메인 휠
213: 메인 휠 지지부
220: 서브 휠
221: 제1 서브 휠
222: 제2 서브 휠
223: 서브 휠 지지부
230: 모터부
231: 제1 모터
232: 제2 모터
240: 브레이크
300: 압력 센서
310: 제1 압력 센서
320: 제2 압력 센서

Claims (15)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압력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는,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압력 센서의 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카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위치되며,
    상기 센서 수용부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수직부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관통되는,
    카트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카트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카트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관통되는,
    카트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상기 압력 센서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핸들부 및 상기 조작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핸들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 및 상기 센서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을 관통되는,
    카트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수직부와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상기 수직부의 후방 측에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카트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1 부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는,
    카트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제1 위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수직부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되는 제2 위치; 및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위치보다 낮게 위치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카트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압력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 휠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상기 압력 센서가 감지한 상기 압력 정보에 따라 회전되는,
    카트부.
  11. 내부에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지지하는 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조작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한 압력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기 공간 및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수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수직부에 결합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의 상기 공간에는,
    상기 수직부를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압력 센서의 타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스마트 유모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조작부는 상기 수직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스마트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부는,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서 상기 수직부와 결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휠; 및
    상기 압력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 휠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 휠을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모터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조작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부는,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공기 청정 모듈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조작되어 상기 공기 청정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제2 조작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볼 베어링(ball bearing)으로 구비되는,
    스마트 유모차.
KR1020200039874A 2020-04-01 2020-04-01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22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74A KR20210122562A (ko) 2020-04-01 2020-04-01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874A KR20210122562A (ko) 2020-04-01 2020-04-01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62A true KR20210122562A (ko) 2021-10-12

Family

ID=7807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874A KR20210122562A (ko) 2020-04-01 2020-04-01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25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71Y1 (ko) 2001-11-14 2002-05-21 주식회사 소예 유모차 손잡이 조절장치
KR101091428B1 (ko) 2010-08-24 2011-12-07 이정우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71Y1 (ko) 2001-11-14 2002-05-21 주식회사 소예 유모차 손잡이 조절장치
KR101091428B1 (ko) 2010-08-24 2011-12-07 이정우 다기능 애완견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US7971885B2 (en) Infant stroller rocking device
JP5394547B2 (ja) セルフバランシング電動装置付きバックパック型カバン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856674B2 (ja) ベビーカーコンフォート装置、ベビーカー下部フレーム、ならびにベビーカー
CN107878651A (zh) 折叠式六轮电动多用车
JP4599907B2 (ja) 走行装置
KR2021012256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CN115843287A (zh) 电动移动设备
KR20210089009A (ko)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73269A (ko) 무동력 이동장치의 후륜 수용이 가능한 전동 탑승 장치
US6607200B1 (en) Stroller device
KR20120030626A (ko) 시트 회전이 가능한 유모차
CN112208616A (zh) 一种智能电动婴儿车
CN207955908U (zh) 折叠式六轮电动多用车
KR20210117053A (ko) 스마트 유모차 및 그 제어 방법
EP3885235A1 (en) Car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07445A (ko) 스마트 유모차
CN211519612U (zh) 一种多功能婴儿车
KR20210107447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101941000B1 (ko) 회전시트를 탈부착할 수 있고 비상시 자동으로 제동하는 유모차
KR2021011705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46144A (ko) 카트부
KR20120056381A (ko) 전동식 보행장치
KR20210107448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