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09A -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09A
KR20210089009A KR1020200002185A KR20200002185A KR20210089009A KR 20210089009 A KR20210089009 A KR 20210089009A KR 1020200002185 A KR1020200002185 A KR 1020200002185A KR 20200002185 A KR20200002185 A KR 20200002185A KR 20210089009 A KR20210089009 A KR 20210089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rotation
seat
vo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원효진
서경혜
최한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009A/ko
Publication of KR2021008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스마트 카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성 정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가 회전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는 음성 정보의 세기에 따라 회전될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는 회전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의 임의 회전이 방지되어, 안착된 유아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Smart car seat and method control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크래들부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면서도,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카시트(car sea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시트는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 설치된다. 유아는 카시트에 안착되고, 고정된다.
카시트는 안착된 유아를 보호함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카시트는 안착된 유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부재에 의해 차량에 고정 결합된다.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유아는 상기 다양한 부재에 의해 차량의 요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카시트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아가 차량에서 하차해야 할 경우, 보호자는 상기 다양한 부재를 일일이 체결 해제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유아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는 있으나, 긴급한 상황에서 유아를 신속하게 차량에서 하차시키기는 어렵다.
더욱이, 유아가 카시트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차할 경우, 안전상의 문제 및 유아의 심리적 안정성을 위해서는, 유아가 보호자를 마주하며 하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용 카시트가 회전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50832호는 카시트의 회전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유아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함께 회전되는 회동어셈블리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카시트의 회전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카시트의 회전장치는 회전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부를 누름 조작해야만 하는 한계가 있다. 즉, 통상 유아용 카시트가 유아의 안전을 위해 대형화됨을 고려하면, 비좁은 실내 공간에서 조작부를 찾은 후 누름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89710호는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시트의 중앙에 회전지지체를 구비하여, 결합된 유아용 카시트가 회전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유아용 카시트 또한 회전체에 형성된 방향설정홈이 방향고정핀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지지체에 결합된 유아용 카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누름 조작을 수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술한 선행문헌들은,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누름 조작하는 경우에만 유아용 카시트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음은 별론, 유아의 보호자가 유아용 카시트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50832호 (2018.04.20.)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689710호 (2016.12.2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가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카시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아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아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경우, 심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래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결합 공간부; 상기 결합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 부재; 상기 결합 공간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주부; 상기 외주부의 내면에, 상기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레일부; 상기 회전 레일부에 접촉되고, 상기 삽입 부재에 연결되는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기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와 함께 회전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는, 상기 삽입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회전 구동부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로드부 및 상기 삽입 부재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로드부 및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 방향으로 0˚ 내지 90˚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크래들부는,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어, 음성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음성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복수 개의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가 이루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9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삽입 부재에 결합된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음성 정보 감지부; 및 상기 삽입 부재에 결합된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로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음성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제1 음성 정보 감지부 및 상기 제2 음성 정보 감지부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제3 음성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제1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크래들부는,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작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조작 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정보 입력 모듈이 유아용 시트부의 회전 또는 리클라이닝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제어 정보 연산 모듈이 입력된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c) 구동 모듈이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a1) 조작 정보 수신부가 외부의 단말기에 입력된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조작 정보 수신부가 입력된 상기 조작 정보를 입력 정보 수신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의 상기 (a) 단계는, (a3) 제1 음성 정보 감지부가 입력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4) 제2 음성 정보 감지부가 입력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5) 제3 음성 정보 감지부가 입력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a6) 입력 정보 수신 모듈이 감지된 상기 음성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의 상기 (b) 단계는, (b1) 회전 정보 연산부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b2) 상기 회전 정보 연산부가 전달된 상기 전달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의 상기 (c) 단계는, (c1) 구동 모듈이 연산된 상기 회전 방향 정보에 따라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c2) 상기 구동 모듈이 연산된 상기 회전 각도 정보에 따라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은,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제어 정보 출력 모듈이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의 상기 (d) 단계는, (d1) 제어 정보 전송부가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d2) 제어 정보 출력부가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유아는 유아용 시트부에 안착된다. 유아용 시트부는 차량에 고정 결합되는 크래들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자는 유아가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만을 차량에 수용하거나, 차량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를 크래들부를 통해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는 크래들부의 시트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 결합부는 유아용 시트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는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자는 외부의 단말기를 통해 조작 정보를 입력하여 유아용 시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보호자는 음성 정보를 발하여 유아용 시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외부의 단말기가 구비되지 않거나, 주변 환경의 소음으로 인해 음성 정보가 정확하게 입력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자가 직접 회전 버튼부를 누름 조작하여 수동으로 유아용 시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상황에 따라 가장 편리한 방법을 통해 유아용 시트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부에는 회전 구동부가 구비된다. 회전 구동부가 회전되면, 회전 기어부가 회전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며 유아용 시트부가 회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크래들부에는 회전 버튼부가 구비된다. 회전 버튼부는 외주부의 회전 제한부에 삽입 결합되는 회전 레일 결합부를 포함한다. 회전 레일 결합부가 회전 제한부에 삽입 결합되면, 외주부는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는 보호자가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할 경우에는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보호자가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회전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지 않는 한 유아용 시트부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아가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는 보호자가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동으로 회전 버튼부를 누름 조작하는 경우에만 회전된다. 이에 따라, 유아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 개의 음성 정보 감지부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음성 정보 감지부는 크래들부 상에서,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음성 정보 감지부는 전방 측,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다.
보호자가 음성 정보를 발할 경우, 제어부는 음성 정보가 가장 우세하게(즉, 가장 큰 세기로) 감지된 방향으로 유아용 시트부를 회전시키는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따라서, 보호자가 차량의 뒷자석의 문 중 임의의 문을 개방하고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유아용 시트부가 보호자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탑승 및 하차시 유아가 보호자를 바라볼 수 있게 되어, 유아의 심리적 안정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시트의 유아용 시트부 및 크래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카시트의 유아용 시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아용 시트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유아용 시트부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유아용 시트부에 구비되는 크래들 결합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마트 카시트의 크래들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크래들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크래들부를 또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크래들부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크래들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중 S1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중 S2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중 S3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중 S400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의 유아용 시트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의 유아용 시트부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크래들부 또는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이라는 용어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라는 용어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은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조작 정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조작 정보는 스마트 카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정보는 유아용 시트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음성 정보"라는 용어는 음파의 형태로 입력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음성 정보는 스마트 카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는 유아용 시트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태 정보'라는 용어는 유아용 시트부(10) 또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상태와 관련된 임의의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는 유아용 시트부(10) 주변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유아의 심박 수, 체온, 호흡 수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라는 용어는 스마트 카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 카시트(1)는 유아용 시트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부(420)를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동 정보"라는 용어는 제어 정보에 의해 구동부(420)가 제어된 결과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는 구동부(420)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카시트(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인가되는 탄성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래들부(20)에 구비되는 차량 연결부(310)가 차량에 구비되는 고리부(미도시)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시선은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는 후방 측, 즉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방향을 마주하게 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 사이의 결합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카트(cart)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카트부(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카시트 및 유모차를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바디부(100)의 하측 및 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바디부(10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크래들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바디부(100) 및 크래들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1) 바디부(100)의 설명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몸체를 형성한다. 또한,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내부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된다.
바디부(100)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리클라이닝(reclining)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외측 커버부(110), 내측 커버부(120), 안착부(130), 공간부(140) 및 손잡이부(150)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즉,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는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내측 커버부(120) 및 안착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간에는 유아를 안착부(1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노출되는 부분은 경량이면서도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충격 등에 의해 부상당하지 않게 된다.
외측 커버부(110)는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경사부(111)는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부(112)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2 경사부(112)의 후방 측 각 단부는 제1 경사부(111)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의 전방 측 각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3 경사부(113)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는 제2 경사부(1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부분보다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각각 연속된다.
각 경사부(111, 112, 113)는 제1 경사부(111)에서 제3 경사부(113)를 향하는 방향, 즉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경사부(111)가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제3 경사부(113)가 가장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 및 제3 경사부(113) 사이의 높이에 위치된다.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내측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된다.
유아가 공간부(140)에 수용되면, 유아의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등에서 머리에 이르는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상기 공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공간부의 전방 측은 내측 커버부(1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안착부(130)와 연속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부(12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제3 경사부(113)의 내측에서, 제3 경사부(113)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즉,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내측 커버부(120)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 커버부(120)의 상측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가 외측 커버부(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내측 커버부(120)와 외측 커버부(1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미세먼지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을 통해 정화된 후, 다시 유아용 시트부(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안착부(130)는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된다. 안착부(130)는 상기 공간의 하측을 형성한다.
안착부(13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30)는 내측 커버부(120)와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30)에 안착된 유아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공간부(140)는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되는 공간이다. 공간부(140)는 외측 커버부(110) 및 내측 커버부(12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하측에는 안착부(13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신체 부위 중 하체는 안착부(13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전방 측에는 내측 커버부(12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상체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는 바디부(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연통된다. 유아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간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공간부(1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공간부(140)의 일측은 개방 형성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는 상기 후방 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하는 부분이다. 손잡이부(15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손잡이부(150)는 내측, 즉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아용 시트부(10)를 옮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50)는 택-스프링(tact-spr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50)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복수 개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두 손으로 잡고 옮기는 것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손잡이부(150)는 바디부(10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50)는 외측 커버부(110)와 동일한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어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그에 따라 크래들 결합부(200)의 결합 핀부(230)와 시트 결합부(400)의 결합 홈(462)이 분리될 수 있다.
2) 크래들 결합부(200)의 설명
크래들 결합부(2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크래들 결합부(200)는 크래들부(20)의 시트 결합부(4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크래들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의해 지지됨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래들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중심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의 질량중심이 시트 결합부(400)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100)가 크래들부(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크래들 결합부(200)는 결합 함몰부(210),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및 가이드부(240)를 포함한다.
결합 함몰부(210)는 시트 결합부(40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결합 함몰부(210)는 바디부(100)의 하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결합 함몰부(210)의 크기는 시트 결합부(400)의 삽입 부재(46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함몰부(21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삽입 부재(46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기인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삽입 부재(460)가 결합 함몰부(21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는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및 가이드부(240)가 위치된다.
통전부(220)는 크래들부(20)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통전부(220)는 크래들부(20)의 통전 단자부(464)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전부(220)는 통전 단자부(464)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크래들 결합부(200)와 시트 결합부(400)의 결합이 완료되면, 통전부(220)는 삽입 부재(460)의 통전 단자부(464)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 상태는 크래들 결합부(200)와 시트 결합부(400)가 분리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 중 바디부(1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면에 위치된다.
통전부(22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은,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통전부(22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은 후술될 제어 정보 출력부(552)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를 향하는 통전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결합 함몰부(210)의 내측에 노출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통전부(2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바디부(100)의 내측에 함몰된다.
통전부(220)의 상기 타측은 도선 등의 부재(미도시)에 의해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또는 제어부(5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 핀부(230)는 삽입 부재(460)의 결합 홈(462)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크래들 결합부(200)와 시트 결합부(400)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462)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462)에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분리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핀부(23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결합 핀부(230b)를 포함한다.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460)가 삽입되는 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이격 거리는 삽입 부재(46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460)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면, 삽입 부재(460)의 두께에 의해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삽입 부재(460)가 소정의 거리만큼 삽입되면, 결합 홈(462)이 결합 핀부(230)와 인접한 높이에 위치된다. 결합 홈(462)의 형상으로 인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462)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이 완료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는 서로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미도시)는 삽입 부재(46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된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탄성 부재(미도시)는 압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탄성 부재(미도시)는 결합 핀부(230)와 가이드부(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각 결합 홈(462a, 462b)에 삽입되면, 탄성 부재(미도시)는 저장된 탄성력을 각 결합 핀부(230a, 230b)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결합 홈(462)에 삽입된 결합 핀부(23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탄성 부재(미도시)는 압축 또는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미도시)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함몰부(210)는 직사각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40)는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 및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두 쌍의 옆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24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부(220)와 통전 단자부(464)를 통한 통전 이외의 다른 통전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24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2) 크래들(cradle)부(20)의 구성의 설명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크래들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차량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래들부(20)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량의 시거 잭(cigar jack) 등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위해, 도선 등의 통전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크래들부(20)에는 별도의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는, 여름철 등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 밀폐된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어 폭발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음에 기인한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차량으로부터 전달된 전력은 크래들부(2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전은 통전부(220)와 통전 단자부(464)의 접촉에 의해 달성된다.
크래들부(20)는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크래들부(20)는 차량 연결부(310)를 통해 차량의 시트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래들부(20)는 차량의 시트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크래들부(20)의 시트 결합부(400)가 이동되더라도, 크래들부(20)는 이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크래들부(20)는 몸체부(300) 및 시트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1) 몸체부(300)의 설명
몸체부(300)는 크래들부(20)의 몸체를 형성한다. 몸체부(300)는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몸체부(300)의 높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길이는 되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카시트(1) 전체의 질량중심을 하측으로 유지하여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체부(30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3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수평부(301) 및 경사부(3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301)는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부(301)는 지면 또는 차량의 시트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301)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술될 시트 결합부(400)는 수평부(301)에 형성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하는 수평부(301)의 일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하는 수평부(301)의 단부에서 경사부(302)가 연장 형성된다.
경사부(302)는 수평부(301)와 연속된다. 경사부(302)는 수평부(30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차량의 시트가 이루는 각도와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가 차량에 설치되면,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경사부(302)의 일측은 차량의 시트와 접촉될 수 있다. 그 결과, 크래들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경사부(302)는 수평부(301)와 둔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유아용 시트부(10)와 경사부(302)가 접촉되지 않도록, 수평부(301)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와 경사부(302)는 충분히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302)에는 차량 연결부(310)가 구비된다. 차량 연결부(310)에 의해 크래들부(20)가 차량의 시트와 결합될 수 있다.
경사부(302)에는 파지부(320)가 관통 형성된다. 사용자는 파지부(320)를 통해 크래들부(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차량 연결부(310), 파지부(320) 및 회전 버튼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300)에는 시트 결합부(400)가 형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차량 연결부(310)는 크래들부(20)가 차량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차량 연결부(310)에 의해, 크래들부(20)는 차량과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차량 연결부(310)는 "ISOFix"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 연결부(310)는 경사부(302)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연결부(310)는 경사부(302)의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차량 연결부(310)는 경사부(302)의 후방 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차량 연결부(3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는 같은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경사부(30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거리와 같거나 더 작게 결정될 수 있다.
차량 연결부(310)는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경사부(302)를 향하는 차량 연결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경사부(302)에 결합된다.
경사부(302)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차량 연결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차량에 구비되는 연결부(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차량 연결부(310)는 차량 결합부(311) 및 분리 버튼부(312)를 포함한다.
차량 결합부(311)는 차량 연결부(310)가 차량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차량 결합부(311)는 경사부(302)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차량 결합부(311)는 차량에 구비되는 고리(미도시)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차량 결합부(311)가 상기 고리(미도시)와 결합되면, 분리 버튼부(312)가 조작되지 않는 한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가 차량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분리 버튼부(312)는 차량 결합부(311)와 차량에 구비되는 고리(미도시) 사이의 결합을 인가하거나 해제한다. 분리 버튼부(312)가 누름 조작되면, 차량 결합부(311)가 형상이 변형되어 차량의 고리(미도시)와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리 버튼부(312)를 누름 조작할 경우 차량 연결부(310)가 경사부(30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차량 연결부(310)는 차량의 고리(미도시)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크래들부(20)만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버튼부(312)는 경사부(302)를 향하는 차량 연결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분리 버튼부(312)는 경사부(302)의 양측에 구비되되, 외측을 향하는 단부가 경사부(302)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분리 버튼부(312)는 경사부(302)의 상기 양측 면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분리 버튼부(312)가 임의로 누름 조작되어 크래들부(20)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파지부(320)는 사용자가 크래들부(20)를 옮기거나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파지부(320)는 경사부(302)에 위치된다. 파지부(320)는 차량 연결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파지부(320)는 경사부(302)에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 전체의 질량이 감소될 수 있다.
파지부(320)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파지부(320)는 경사부(302) 상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 사이에서 연장 형성된다.
회전 버튼부(33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수평하게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시트 결합부(400)의 외주부(401)가 크래들부(20)의 몸체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달성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회전은 사용자가 직접 외력을 가하여 수행된다.
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상기 회전은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 부재(460)가, 회전 구동부(422)에 의해 외주부(40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달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이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가 입력되어 수행된다.
이때, 별도의 조작 없이도 유아용 시트부(10)가 임의로 회전될 경우 안착된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는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되는 경우에만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도록 허용한다. 이는, 회전 버튼부(330)의 회전 레일 결합부(333)가 회전 레일부(433)가 형성된 외주부(401)의 회전을 구속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회전 레일 결합부(333)는 회전 버튼부(330)와 결합되어, 회전 버튼부(33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회전 레일 결합부(333)는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외주부(401)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되지 않는 경우, 회전 레일 결합부(333)는 외주부(401)의 회전 제한부(402)에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외주부(401)는 몸체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되면, 회전 레일 결합부(333)는 회전 제한부(402)에서 배출된다. 따라, 외주부(401)는 몸체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레일 결합부(333)는 회전 버튼부(330)의 누름 조작에 따라 회전 제한부(402)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수평 방향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향은, 유아용 시트부(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차량의 문이 열리는 경우를 감안한 것이다. 즉, 우측의 문이 열릴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좌측의 문이 열릴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 버튼부(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버튼부(33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회전 버튼부(331)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회전 버튼부(332)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버튼부(331)가 누름 조작될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버튼부(332)가 누름 조작될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버튼부(330)의 누름 조작 또는 사용자가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시트 결합부(400)의 설명
시트 결합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결합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크래들 결합부(2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삽입 부재(460)와 결합 핀부(230)의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크래들 결합부(2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통전 단자부(464)와 통전부(220)의 접촉에 의해 달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몸체부(30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시트 결합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수평부(301)의 내부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결합부(400)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 결합부(400)는 원통형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시트 결합부(400)는 수평부(3010)의 전방 측에 형성된 라운드진 부분과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트 결합부(400)는 수평부(301)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 일부는 시트 결합부(4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시트 결합부(400)는 외주부(401), 회전 제한부(402), 결합 공간부(410), 구동부(420), 레일부(430), 이동 부재 삽입 홈(440), 이동 부재(450) 및 삽입 부재(460)를 포함한다.
외주부(401)는 유아용 시트부(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결합 공간부(410)의 외측 경계를 형성한다.
외주부(401)는 몸체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주부(401)는 몸체부(300)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외주부(401)의 상기 회전은, 사용자가 회전 버튼부(330)를 누름 조작한 후 유아용 시트부(10)를 직접 회전시켜 수행될 수 있다.
외주부(401)의 내면, 즉 결합 공간부(410)를 향하는 면에는 회전 레일부(433)가 형성된다. 회전 레일부(433)에는 구동부(420)의 회전 기어부(424)가 기어 결합(gear fit)된다.
따라서, 구동부(420)의 회전 구동부(422)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주부(401)가 회전되면, 회전 기어부(424) 및 회전 기어부(424)에 연결된 삽입 부재(460) 또한 외주부(40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외주부(40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는 회전 제한부(402)가 형성된다.
회전 제한부(402)는 외주부(401)에 관통 형성된다. 회전 제한부(402)에는 회전 버튼부(330)의 회전 레일 결합부(333)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회전 제한부(402)에 회전 레일 결합부(333)가 삽입 결합됨에 따라, 외주부(401)는 회전 버튼부(330)에 의해 구속되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레일 결합부(333)는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회전 제한부(402)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결합 공간부(410)는 시트 결합부(400)의 각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결합 공간부(41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결합 공간부(41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수평부(30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결합 공간부(4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 공간부(410)는 원통형의 공간이다. 이에 따라, 구(sphere)형으로 형성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결합 공간부(410)는 외주부(401)에 둘러싸인다. 결합 공간부(41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외주부(40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공간부(41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외주부(40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이동 부재(450)가 이동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 또한 이동 부재(45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회전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420)는 모터(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42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구동부(420)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구동부(421), 회전 구동부(422) 로드부(423) 및 회전 기어부(424)를 포함한다.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는 이동 부재(450)를 이동 부재(4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시트 결합부(400)가 별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부재(450)는 회전 버튼부(330) 또는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이동 부재(450)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는 이동 부재(450)를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시킨다.
즉,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는 이동 부재(450) 및 이동 부재(450)에 연결되는 삽입 부재(46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는 이동 부재(450)와 랙 & 피니언(rack & pinion)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되면, 회전 구동부(422)에 연결된 로드부(423) 및 피니언이 회전되어 이동 부재(450)에 구비되는 랙이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50)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이동 부재(450)는 레일부(430)를 따라 이동된다. 레일부(430)의 높이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450)가 레일부(430)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각 위치에서의 이동 부재(450)의 높이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되어, 유아용 시트부(10)가 리클라이닝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는 반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50)가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방향 또는 회전 버튼부(3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구동부(421)의 회전력은 로드부(423)를 통해 이동 부재(450)에 전달된다.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는 후술될 제어부(500)의 구동 모듈(5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회전 구동부(422)는 이동 부재(450)를 수평 방향에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회전 구동부(422)는 레일부(430), 이동 부재(450) 및 삽입 부재(460)를 수평 방향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 구동부(422)는 회전 기어부(424)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422)는 전류를 공급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구동부(422)는 모터(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외주부(401)를 향하는 회전 구동부(422)의 일측, 즉, 삽입 부재(460)의 방사상 외측에는 회전 기어부(424)가 구비된다. 회전 기어부(424)는 외주부(401)의 내측에 형성되는 회전 레일부(433)와 기어 결합되며, 회전 구동부(422)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되면, 회전 기어부(424)가 회전되며 회전 레일부(433)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460) 및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될 수 있다.
로드부(423)는 리클라이닝 구동부(421)의 회전력을 이동 부재(450)에 전달한다. 로드부(423)는 리클라이닝 구동부(421) 및 이동 부재(45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로드부(423)는 회전 구동부(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로드부(423)는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되더라도 회전되지 않는다. 즉, 로드부(423)의 일측은 회전 구동부(4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회전 구동부(422)가 작동되어 회전 기어부(424)가 회전 레일부(433)를 따라 이동되면, 로드부(423) 및 로드부(423)에 연결된 이동 부재(450) 또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424)는 외주부(401)를 향하는 회전 구동부(422)의 일측, 즉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회전 기어부(424)는 회전 구동부(422)와 결합되어,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424)는 회전 레일부(433)와 기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기어부(424)는 외주부(401)의 내면에 형성되는 회전 레일부(433)와 랙 앤 피니언(rack & pinion)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되면, 회전 기어부(424)와 회전 레일부(433)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주부(401)는 회전 레일 결합부(333)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회전 레일부(433)는 회전되지 않고, 회전 기어부(424)가 결합 공간부(410)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회전 레일부(43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레일부(430)는 삽입 부재(4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리클라이닝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레일부(430)는 삽입 부재(4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레일부(430)는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 및 회전 레일부(43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이동 부재(45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동 부재(450)는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에 의해 지지되어,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시트 결합부(400)가 별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회전 버튼부(330) 또는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상기 상태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이동 부재(45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에 결합된 이동 부재(450)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복수 개 구비된다.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각각 이동 부재(450)의 양측에 위치된다. 즉,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1, 432)는 이동 부재(450)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는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는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와 연속된다.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는 회전 버튼부(330) 및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는 지면 또는 차량의 시트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는 전방 측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의 단부는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와 연속되는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의 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는 하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가 만곡되는 정도는 바디부(100)의 하측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는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는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와 연속된다.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는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의 일측 단부에서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는 지면 또는 차량의 시트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는 후방 측을 향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의 단부는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431)와 연속되는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의 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는 하측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가 만곡되는 정도는 바디부(100)의 하측의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432)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하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형상이 바디부(100)의 하측 형상에 상응하게 결정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회전 레일부(433)는 회전 기어부(424)와 기어 결합된다. 회전 구동부(422)가 작동되면, 회전 기어부(424)는 회전 레일부(433)에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 기어부(424)와 회전 레일부(433)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레일부(433)는 외주부(401)의 내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레일부(433)는 결합 공간부(410)를 둘러싸는 외주부(401)의 일면에 형성된다. 회전 레일부(433)는 외주부(401)의 상기 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레일부(433)와 회전 기어부(424)는 랙 앤 피니언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레일부(433)가 형성된 외주부(401)에는 회전 제한부(402)가 관통 형성된다. 회전 제한부(402)에는 회전 레일 결합부(333)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회전 레일 결합부(333)가 회전 제한부(40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되면, 외주부(401)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 구동부(422)에 결합된 회전 기어부(424)가 회전되며 회전 레일부(433)를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50), 삽입 부재(460) 및 이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레일 결합부(333)가 회전 제한부(402)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외주부(401)는 몸체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기어부(424)는 회전 레일부(433)에 기어 결합된 상태이므로, 외주부(401)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50), 삽입 부재(460) 및 이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 부재 삽입 홈(440)에는 이동 부재(45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은 레일부(430)에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은 복수 개의 레일부(43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 각각 함몰 형성된다.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은 레일부(4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다만,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이 연장되는 방향의 양측 단부는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50)가 이동 부재 삽입 홈(440)에서 임의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동 부재(45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은 레일부(430)의 형상에 상응하게, 하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을 측면에서 바라보면, 바디부(100)의 하측 형상과 같이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동 부재(450)는 시트 결합부(40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의 리클라이닝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이동 부재(450)는 복수 개의 레일부(430)에 형성된 이동 부재 삽입 홈(44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동 부재(450)는 이동 부재 삽입 홈(4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일부(43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50)는 로드부(423)에 의해 리클라이닝 구동부(421)와 연결된다. 리클라이닝 구동부(421)가 구동되면, 로드부(423)가 회전되어 이동 부재(450)가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50)는 레일부(4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50)는 차량 연결부(310) 또는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동 부재(450)는 레일부(430) 및 이동 부재 삽입 홈(440)의 형상에 상응하게 연장 형성된다. 즉, 이동 부재(450)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측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 부재(450)는 레일부(430) 및 이동 부재 삽입 홈(440)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450)는 레일부(430)의 연장 길이의 절반 이상이되, 레일부(430)의 전체 연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장에 의해, 이동 부재(45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5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레일부(430)의 길이의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의 리클라이닝 각도 또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부재(450)는 베이스부(451) 및 가이드 부재(45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451)는 이동 부재(450)의 몸체를 형성한다. 베이스부(451)는 레일부(430)의 형상에 상응하게 연장 형성된다.
베이스부(451)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모서리는 이동 부재 삽입 홈(44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베이스부(451)의 상측에는 삽입 부재(460)가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베이스부(451)의 일측이 삽입 부재(46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베이스부(451)의 하측에는 가이드 부재(452)가 구비된다.
가이드 부재(452)는 베이스부(451)가 이동 부재 삽입 홈(440)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한다. 또한, 가이드 부재(452)는 베이스부(451)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부재(452)는 베이스부(45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452)는 베이스부(451)와 같은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5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452)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 가이드 부재(452)가 레일부(430)를 향하는 일측은 레일부(430)와 접촉될 수 있다.
삽입 부재(460)는 크래들 결합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삽입 부재(460)와 결합 핀부(230)의 결합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삽입 부재(460)는 이동 부재(450)에 의해 지지된다. 삽입 부재(460)는 이동 부재(450)에서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삽입 부재(460)는 이동 부재(450)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460)는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이동 부재(450)의 일측, 즉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삽입 부재(460)는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이동 부재(45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삽입 부재(460)는 이동 부재(450)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46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460)가 연장되는 방향은 이동 부재(45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될 수 있다.
삽입 부재(460)는 이동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아용 시트부(10)에 압력을 가한다. 상기 형상에 의해, 삽입 부재(460)는 더 넓은 면적을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삽입 부재(460)는 삽입 부재 바디부(461), 결합 홈(462), 삽입 부재 헤드부(463) 및 통전 단자부(464)를 포함한다.
삽입 부재 바디부(461)는 삽입 부재(460)의 몸체를 형성한다. 삽입 부재 바디부(461)는 베이스부(4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베이스부(451)를 향하는 삽입 부재 바디부(46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베이스부(451)에 결합된다.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삽입 부재 바디부(461)의 일측에는 삽입 부재 헤드부(463)가 위치된다.
삽입 부재 바디부(461)와 삽입 부재 헤드부(463) 사이에는 결합 홈(462)이 형성된다.
결합 홈(462)은 결합 핀부(2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결합 홈(462)은 삽입 부재 바디부(461) 및 삽입 부재 헤드부(463) 사이에 위치된다.
결합 홈(462)은 삽입 부재 바디부(461)와 삽입 부재 헤드부(463)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합 홈(462)의 형상은 서로 마주하는 결합 핀부(230)의 단부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462)에 결합 핀부(230)가 삽입되면, 손잡이부(150)의 조작 없이는 결합 핀부(230)가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홈(462)은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 홈(462)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62)은 제1 결합 홈(462a) 및 제2 결합 홈(462b)을 포함하여 두 개 형성된다. 제1 결합 홈(462a) 및 제2 결합 홈(462b)은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 결합 홈(462a) 및 제2 결합 홈(462b)에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복수 개의 결합 홈(462)의 배치 방식은 결합 핀부(230)의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부재 헤드부(463)는 결합 홈(462)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삽입 부재 헤드부(463)는 결합 홈(462)보다 베이스부(451)에서 더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삽입 부재 헤드부(463)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 헤드부(463)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형상에 의해, 삽입 부재(460)가 크래들 결합부(20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부재 헤드부(463)의 상측에는 통전 단자부(464)가 구비된다.
통전 단자부(464)는 크래들부(20)가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되는 부분이다. 통전 단자부(464)는 통전부(22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통전 단자부(464)는 다른 부재와 접촉되어 의해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 단자부(464)는 포고핀(pogo pi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제어부(500)의 설명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입력 정보에 따라 스마트 카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외부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 카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크래들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래들부(20)는 입력된 조작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제어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부(20)는 감지된 상태 정보를 제어부(5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00)에서 연산된 제어 정보는 크래들부(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어부(50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어부(5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제어부(500)는 유아용 시트부(10) 또는 크래들부(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500)가 작동되기 위한 전력은 차량에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0)는 차량 또는 크래들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외부의 단말기(E.D, External Device)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0)는 외부의 단말기(E.D)에 입력된 조작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연산된 제어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500)와 각 구성들 간의 통전 가능한 연결은 유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전은 도선(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술한 제어부(500)와 각 구성들 간의 통전 가능한 연결은 무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전은 무선 랜(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전력의 전달, 전기적 신호의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00)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전기적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부(500)는 정보 입력 모듈(510),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 구동 모듈(54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모듈(510, 520, 530, 540, 550)은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 모듈(510, 520, 530, 540, 550)에 전달된 각 정보 및 연산된 정보는 다른 모듈(510, 520, 530, 540, 550)에 전달될 수 있다.
(1) 정보 입력 모듈(510)의 설명
정보 입력 모듈(510)은 제어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근거가 되는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정보는 조작 정보, 음성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입력 모듈(510)은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정보 입력 모듈(510)에 입력된 상기 정보는 입력 정보로 연산되어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로 전달될 수 있다.
정보 입력 모듈(510)은 조작 정보 수신부(511), 음성 정보 감지부(512) 및 상태 정보 감지부(513)를 포함한다.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외부의 단말기(E.D)에 입력된 조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외부의 단말기(E.D)와 유선 또는 무선의 수단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블루투스 또는 Wi-Fi를 이용하여 외부의 단말기(E.D)와 연결될 수 있다.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입력된 조작 정보를 입력 정보로 연산한다. 입력된 입력 정보는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로 전달된다.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입력된 음성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음파(sound wave) 형태의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마이크(Mic)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입력된 음성 정보를 입력 정보로 연산한다. 연산된 입력 정보는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로 전달된다.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몸체부(300)의 각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각각 시트 결합부(4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음성 정보 감지부(512)는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 및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를 포함하여, 총 세 개 구비된다. 음성 정보 감지부(512)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각 음성 정보 감지부(512a, 512b, 512c)는 시트 결합부(4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각 음성 정보 감지부(512a, 512b, 512c)는 시트 결합부(400)의 방사상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각 음성 정보 감지부(512a, 512b, 512c)는 시트 결합부(400)의 외주에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는 회전 버튼부(330)를 향하는 몸체부(3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는 시트 결합부(400)의 외주부(401)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는 정면에서 입력된 음성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는 몸체부(30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된다.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는 외주부(401)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는 우측에서 입력된 음성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는 몸체부(300)의 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된다.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는 외주부(401)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는 좌측에서 입력된 음성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 및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는 결합 공간부(4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 및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는 결합 공간부(410)의 중심에 대해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내지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a, 512b, 512c)와 결합 공간부(410)의 중심을 지나는 각각의 가상의 선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와 결합 공간부(41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와 결합 공간부(41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직교할 수 있다.
상기 배치 방식에 의해, 제1 내지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a, 512b, 512c)는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발한 방향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해당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태 정보 감지부(513)는 유아용 시트부(10) 주변의 상태 정보 또는 유아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태 정보 감지부(513)는 상기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상태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태 정보 감지부(513)가 유아용 시트부(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정보 감지부(513)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심박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태 정보는 유아용 시트부(10)가 리클라이닝되었는지 여부 및 리클라이닝된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 감지부(513)는 감지된 상태 정보를 입력 정보로 연산한다. 연산된 입력 정보는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로 전달된다.
(2)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의 설명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은 정보 입력 모듈(510)에 입력된 상기 정보들, 즉 조작 정보, 음성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된 복수 개의 입력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신 받는다.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은 정보 입력 모듈(51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은 수신된 입력 정보를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에 전달한다.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은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3)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의 설명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전달받은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상태 정보 감지부(513)가 감지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유아가 수면 상태, 가수면 상태, 휴식 상태 또는 기상 상태인지 여부 등을 연산한 후, 그에 상응하게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이 연산하는 제어 정보는 스마트 카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는 유아용 시트부(10)를 리클라이닝시키거나, 유아용 시트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제어 정보는 회전 정보 및 리클라이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이 연산한 제어 정보는 구동 모듈(54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된다.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구동 모듈(54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회전 정보 연산부(531) 및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를 포함한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과 관련된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정보 연산부(531)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 부재(460)와 연결되는 회전 기어부(424)의 회전과 관련된 회전 정보를 연산한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따라 회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회전 정보는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는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 및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을 포함한다.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입력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될 방향에 대한 정보인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회전 구동부(422)에 연결된 회전 구동부(422)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회전 방향 정보는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될 방향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방향 정보는 회전 기어부(424)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보로 연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이용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과 관련된 조작 정보를 입력한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입력된 조작 정보에 따라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사용자가 음성을 발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과 관련된 조작 정보를 입력한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입력된 음성 정보에 따라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가 정면에 위치되는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에서 우세하게(즉, 가장 큰 세기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음성 정보를 발한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포함하는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 및 인식하여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왼쪽으로 45˚만큼 틀어줘",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려줘" 등일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왼쪽으로 45도만큼 틀어줘"라는 음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왼쪽, 즉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려줘'라는 음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오른쪽,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가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에서 우세하게(즉, 가장 큰 세기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차량의 우측 문을 열고 음성 정보를 발한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오른쪽,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가 좌측에 위치되는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에서 우세하게(즉, 가장 큰 세기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차량의 좌측 문을 열고 음성 정보를 발한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왼쪽, 즉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회전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회전 자체에만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유아용 시트부(10)를 오른쪽,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오른쪽에 있는 문을 이용하여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 또는 하차함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입력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는 각도에 대한 정보인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회전 구동부(422)에 연결된 회전 구동부(422)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에, 회전 각도 정보는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되는 양(즉, 회전되는 사이클 수)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각도 정보는 0˚ 내지 90˚의 각도로 연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를 이용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과 관련된 조작 정보를 입력한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입력된 조작 정보에 따라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사용자가 음성을 발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과 관련된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입력된 음성 정보에 따라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포함하는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 및 인식하여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는 "왼쪽으로 45도만큼 틀어줘",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려줘" 등일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왼쪽으로 45도만큼 틀어줘"라는 음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45˚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예에서,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려줘'라는 음성 정보가 입력된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삽입 부재(46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회전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회전 방향만을 위한 정보를 입력한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회전 각도 정보를 90˚로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돌려줘"라는 음성 정보를 입력한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유아용 시트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는 구동 모듈(54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가 연산한 회전 정보는 구동 모듈(540)에 전달된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는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가 연산한 회전 정보는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된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전달받은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리클라이닝 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리클라이닝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상태 정보 감지부(513)가 감지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리클라이닝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유아가 수면 상태, 가수면 상태, 휴식 상태 또는 기상 상태인지 여부 등을 연산한 후, 그에 상응하게 리클라이닝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가 연산하는 리클라이닝 정보는 스마트 카시트(1)를 제어하기 위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클라이닝 정보는 유아용 시트부(10)를 리클라이닝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구동 모듈(54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가 연산한 리클라이닝 정보는 구동 모듈(540)에 전달된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가 연산한 리클라이닝 정보는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된다.
(4) 구동 모듈(540)의 설명
구동 모듈(540)은 연산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부(420)를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 모듈(540)은 구동부(420)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듈(540)은 연산된 리클라이닝 정보에 따라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듈(540)은 연산된 회전 정보에 따라 회전 구동부(422)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모듈(540)은 리클라이닝 구동부(421) 및 회전 구동부(422)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구동 모듈(540)은 리클라이닝 구동부(421) 및 회전 구동부(422)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 모듈(540)은 회전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 등과 관련된 정보(이하 "구동 정보"라 한다.)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모듈(540)은 리클라이닝 구동부(421) 또는 회전 구동부(422)의 구동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5)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의 설명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은 연산된 제어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 카시트(1)가 어떤 형태로 제어되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은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산된 제어 정보는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은 구동 모듈(54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모듈(540)이 감지한 구동부(420)의 각 정보는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은 유아용 시트부(10) 또는 크래들부(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은 제어 정보 전송부(551) 및 제어 정보 출력부(552)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 전송부(551)는 연산된 제어 정보 및 감지된 구동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달한다. 제어 정보 전송부(551)는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외부의 단말기(E.D)는 전달받은 제어 정보 및 구동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한다. 사용자는 외부의 단말기(E.D)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시트(1)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출력부(522)는 연산된 제어 정보 및 감지된 구동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한다. 또한, 제어 정보 출력부(522)는 연산된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제어 정보 출력부(522)는 LED 또는 LCD 등 시각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출력부(522)는 스피커 등 청각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정보 출력부(522)는 유아용 시트부(10) 및 크래들부(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제어방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카시트(1)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제어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제어 방법은 정보 입력 모듈(510)이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또는 리클라이닝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 구동 모듈(540)이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부(420)를 제어하는 단계(S30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이 연산된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1) 정보 입력 모듈(510)이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또는 리클라이닝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의 설명
정보 입력 모듈(510)에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S100)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정보 입력 모듈(510)에는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가 입력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보 입력 모듈(510)에는 감지된 상태 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먼저, 조작 정보가 입력되는 과정(S110)을 설명한다. 상기 조작 정보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또는 리클라이닝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조작 정보 수신부(511)가 사용자가 외부의 단말기(E.D)에 입력한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S111).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외부의 단말기(E.D)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외부의 단말기(E.D)와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수신된 조작 정보를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에 전달한다(S112). 조작 정보 수신부(511)는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은 전달받은 조작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에 전달한다.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음,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과정(S120)을 설명한다. 상기 음성 정보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또는 리클라이닝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S121).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신하며(S122),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S123).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은 각 음성 정보 감지부(512a, 512b, 512c)가 수신한 음성 정보를 전달받는다(S124). 각 음성 정보 감지부(512a, 512b, 512c)는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은 전달받은 음성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에 전달한다.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2)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의 설명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이 전달받은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00)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이 전달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10)를 설명한다. 상기 회전 정보에는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회전 정보 연산부(531)의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전달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인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S211).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음성 정보 감지부(512a)에서 감지된 음성 정보가 가장 우세할 경우(즉, 그 세기가 가장 큰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감지된 음성 정보에 포함된 회전 방향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즉, 상술한 예와 같이,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왼쪽으로 45˚만큼 틀어줘"인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유아용 시트부(10)를 왼쪽, 즉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상술한 예와 같이,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려줘"인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유아용 시트부(10)를 오른쪽,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에 방향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유아용 시트부(10)를 오른쪽,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제2 음성 정보 감지부(512b)에서 감지된 음성 정보가 가장 우세할 경우(즉, 그 세기가 가장 큰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유아용 시트부(10)를 오른쪽,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제3 음성 정보 감지부(512c)에서 감지된 음성 정보가 가장 우세할 경우(즉, 그 세기가 가장 큰 경우),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은 유아용 시트부(10)를 왼쪽, 즉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한다.
다음, 회전 정보 연산부(531)의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전달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인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S212).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입력 정보 수신 모듈(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전달된 음성 정보에 포함된, 회전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 및 연산하여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즉, 상술한 예와 같이,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왼쪽으로 45˚만큼 틀어줘"인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유아용 시트부(10)를 45˚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상술한 예와 같이,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오른쪽으로 완전히 돌려줘"인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유아용 시트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단지 회전 방향과 관련된 정보만을 포함한 음성 정보를 발한 경우,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유아용 시트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한다.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이 연산한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이 연산한 회전 각도 정보는 구동 모듈(54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된다(S213).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 및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구동 모듈(54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과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531a) 및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531b)은 전달된 조작 정보에 따라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전달된 조작 정보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이 전달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리클라이닝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S220)를 설명한다. 상기 리클라이닝 정보는 리클라이닝 여부 및 리클라이닝 각도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전달된 음성 정보 또는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리클라이닝 정보를 연산한다(S221).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가 연산한 리클라이닝 정보에는, 리클라이닝 여부 및 리클라이닝 각도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가 연산한 리클라이닝 정보는 구동 모듈(54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된다(S222).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구동 모듈(540) 및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과 각각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3) 구동 모듈(540)이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S300)의 설명
구동 모듈(540)이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부(420)의 리클라이닝 구동부(421) 또는 회전 구동부(422)를 제어하는 단계(S300)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구동 모듈(540)이 연산된 회전 정보에 따라 회전 구동부(422)를 제어하는 단계(S310)를 설명한다. 상기 회전 정보에는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 모듈(540)은 회전 구동부(422)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모듈(540)은 연산된 회전 방향 정보에 따라 회전 구동부(422)의 회전 방향을 제어한다(S311). 구동 모듈(540)은 회전 구동부(422)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구동 모듈(540)은 유아용 시트부(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동 모듈(540)은 연산된 회전 각도 정보에 따라 회전 구동부(422)의 회전량을 제어한다(S312). 구동 모듈(540)은 회전 구동부(422)가 회전되는 회전 수를 제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구동 모듈(540)은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 구동 모듈(540)이 연산된 리클라이닝 정보에 따라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를 제어하는 단계(S320)를 설명한다. 상기 리클라이닝 정보에는 리클라이닝 여부 및 리클라이닝 각도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 모듈(540)은 리클라이닝 구동부(421)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모듈(540)은 연산된 리클라이닝 정보에 따라 리클라이닝 구동부(421)를 제어한다(S321). 구동 모듈(540)은 리클라이닝 구동부(421)의 회전과 정지,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 수를 제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구동 모듈(540)은 유아용 시트부(10)가 리클라이닝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4)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이 연산된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00)의 설명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이 연산된 제어 정보를 출력하여, 연산된 제어 정보가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단계(S400)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연산된 제어 정보를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한다(S410).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정보는 회전 방향 정보, 회전 각도 정보 및 리클라이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정보 연산부(531)는 연산된 회전 방향 정보 및 회전 각도 정보를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한다. 또한,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532)는 연산된 리클라이닝 정보를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에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정보 출력 모듈(550)은 스마트 카시트(1)를 통해 제어 정보를 출력하거나, 외부의 단말기(E.D)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제어 정보 전송부(551)는 전달된 제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E.D)에 전송한다(S420). 제어 정보 전송부(551)와 외부의 단말기(E.D)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외부의 단말기(E.D)는 전달받은 제어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 출력부(552)는 전달받은 제어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의 형태로 연산하여 출력한다(S430).
제어 정보 출력부(552)는 LED 램프 등의 형태로 구비되어 시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정보 출력부(552)는 스피커 등의 형태로 구비되어 청각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따라 스마트 카시트(1)가 제어된 결과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유아용 시트부(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버튼부(330)가 조작되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시트(1)의 좌측에서 음성 정보를 발한 경우 또는 좌측을 향하도록 유아용 시트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스마트 카시트(1)에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상태가 도시된다. 이때, 유아용 시트부(10)의 안착부(130) 및 공간부(140)는 후방 측, 즉 크래들부(20)가 차량에 연결된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중인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대해 45˚만큼 회전된다. 상기 상태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 중인 상태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상태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로도 볼 수 있다.
도 18의 (c)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시계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회전 자체에 대한 정보만을 입력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 경우로도 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스마트 카시트(1)의 우측에서 음성 정보를 발한 경우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유아용 시트부(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정보가 입력된 경우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스마트 카시트(1)에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상태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안착된 유아가 후방 측, 즉 크래들부(20)가 차량에 연결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는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대해 45˚만큼 회전된다. 상기 상태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 중인 상태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상태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로도 볼 수 있다.
도 19의 (c)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 각도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회전 자체에 관한 정보만을 입력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90˚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 경우로도 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는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유아용 시트부(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 정보 연산 모듈(530)은 음성 정보가 더 우세하게 입력된 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발한 음성 정보가 명확하게 인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회전 버튼부(330)를 누름 조작하여 수동으로 유아용 시트부(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아용 시트부(1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안착된 유아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카시트
10: 유아용 시트부
20: 크래들(cradle)부
100: 바디부
110: 외측 커버부
111: 제1 경사부
112: 제2 경사부
113: 제3 경사부
120: 내측 커버부
130: 안착부
140: 공간부
150: 손잡이부
200: 크래들 결합부
210: 결합 함몰부
220: 통전부
230: 결합 핀부
230a: 제1 결합 핀부
230b: 제2 결합 핀부
240: 가이드부
300: 몸체부
301: 수평부
302: 경사부
310: 차량 연결부
311: 차량 결합부
312: 분리 버튼부
320: 파지부
330: 회전 버튼부
331: 제1 회전 버튼부
332: 제2 회전 버튼부
333: 회전 레일 결합부
400: 시트 결합부
401: 외주부
402: 회전 제한부
410: 결합 공간부
420: 구동부
421: 리클라이닝 구동부
422: 회전 구동부
423: 로드부
424: 회전 기어부
430: 레일부
431: 제1 리클라이닝 레일부
432: 제2 리클라이닝 레일부
433: 회전 레일부
440: 이동 부재 삽입 홈
450: 이동 부재
451: 베이스부
452: 가이드 부재
460: 삽입 부재
461: 삽입 부재 바디부
462: 결합 홈
462a: 제1 결합 홈
462b: 제2 결합 홈
463: 삽입 부재 헤드부
464: 통전 단자부
500: 제어부
510: 정보 입력 모듈
511: 조작 정보 수신부
512: 음성 정보 감지부
512a: 제1 음성 정보 감지부
512b: 제2 음성 정보 감지부
512c: 제3 음성 정보 감지부
513: 상태 정보 감지부
520: 입력 정보 수신 모듈
530: 제어 정보 연산 모듈
531: 회전 정보 연산부
531a: 회전 방향 정보 연산 모듈
531b: 회전 각도 정보 연산 모듈
532: 리클라이닝 정보 연산부
540: 구동 모듈
550: 제어 정보 출력 모듈
551: 제어 정보 전송부
552: 제어 정보 출력부
E.D(External Device): 외부의 단말기

Claims (1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래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결합 공간부;
    상기 결합 공간부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 부재;
    상기 결합 공간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주부;
    상기 외주부의 내면에, 상기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레일부;
    상기 회전 레일부에 접촉되고, 상기 삽입 부재에 연결되는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기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기어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와 함께 회전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부는,
    상기 삽입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마트 카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로드부 및 상기 삽입 부재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스마트 카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 및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시계 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 방향으로 0˚ 내지 90˚의 각도로 회전되는,
    스마트 카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부는,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어, 음성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음성 정보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스마트 카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가 이루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90˚인,
    스마트 카시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삽입 부재에 결합된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는 제1 음성 정보 감지부; 및
    상기 삽입 부재에 결합된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로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타측에 위치되는 제2 음성 정보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외주부의 방사상 외측에서, 상기 제1 음성 정보 감지부 및 상기 제2 음성 정보 감지부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는 제3 음성 정보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음성 정보 감지부는,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90˚만큼 회전되었을 때 향하는 타측에 위치되는,
    스마트 카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부는,
    외부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작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조작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12. (a) 정보 입력 모듈이 유아용 시트부의 회전 또는 리클라이닝과 관련된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제어 정보 연산 모듈이 입력된 상기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c) 구동 모듈이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조작 정보 수신부가 외부의 단말기에 입력된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a2) 상기 조작 정보 수신부가 입력된 상기 조작 정보를 입력 정보 수신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3) 제1 음성 정보 감지부가 입력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4) 제2 음성 정보 감지부가 입력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a5) 제3 음성 정보 감지부가 입력된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a6) 입력 정보 수신 모듈이 감지된 상기 음성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회전 정보 연산부가 전달된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 및
    (b2) 상기 회전 정보 연산부가 전달된 상기 전달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 각도 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구동 모듈이 연산된 상기 회전 방향 정보에 따라 회전 구동부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c2) 상기 구동 모듈이 연산된 상기 회전 각도 정보에 따라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제어 정보 출력 모듈이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제어 정보 전송부가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d2) 제어 정보 출력부가 연산된 상기 제어 정보를 시각화 정보 또는 청각화 정보로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의 제어 방법.
KR1020200002185A 2020-01-07 2020-01-07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89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185A KR20210089009A (ko) 2020-01-07 2020-01-07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185A KR20210089009A (ko) 2020-01-07 2020-01-07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09A true KR20210089009A (ko) 2021-07-15

Family

ID=7688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185A KR20210089009A (ko) 2020-01-07 2020-01-07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90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1851A (zh) * 2021-11-10 2022-12-06 北京罗克维尔斯科技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160928A (zh) * 2023-03-02 2023-05-26 重庆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车辆座椅旋转控制方法、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10B1 (ko) 2015-07-07 2016-12-26 한예령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KR101850832B1 (ko) 2016-09-13 2018-04-20 주식회사 쁘레베베 카시트의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710B1 (ko) 2015-07-07 2016-12-26 한예령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KR101850832B1 (ko) 2016-09-13 2018-04-20 주식회사 쁘레베베 카시트의 회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31851A (zh) * 2021-11-10 2022-12-06 北京罗克维尔斯科技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160928A (zh) * 2023-03-02 2023-05-26 重庆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车辆座椅旋转控制方法、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KR20210089009A (ko)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54764A1 (zh) 人机互动体感车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US20070175678A1 (en) Multifunctional electric-powered infant car with cradle function
US20180148120A1 (en) Balancing vehicle
WO2019134503A1 (zh) 儿童安全座椅的旋转机构
JP6856674B2 (ja) ベビーカーコンフォート装置、ベビーカー下部フレーム、ならびにベビーカー
KR102126996B1 (ko) 유아용 전동 카시트
KR101725020B1 (ko) 핸들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유아용 세발자전거
US20160058201A1 (en) Infant-supporting devices
US20060181124A1 (en) Remote controlled baby seat
US20210309275A1 (en)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178425A1 (en) Hybrid wheelchair
TW202112580A (zh) 兒童安全座椅
KR20110105450A (ko) 인력거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인력거
KR20210117050A (ko) 유아용 시트부 및 그 제어 방법
CN211223722U (zh) 一种平衡车
JP558635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ベルト固定具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CN206466089U (zh) 一种体感纵向二轮车
KR20210089010A (ko) 스마트 카시트
KR20210122562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117048A (ko) 유아용 시트부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41939A (ko)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16086A (ko)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