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086A -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 Google Patents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086A
KR20210116086A KR1020200032804A KR20200032804A KR20210116086A KR 20210116086 A KR20210116086 A KR 20210116086A KR 1020200032804 A KR1020200032804 A KR 1020200032804A KR 20200032804 A KR20200032804 A KR 20200032804A KR 20210116086 A KR20210116086 A KR 20210116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cradle
coupl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원효진
서경혜
최한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6086A/ko
Publication of KR2021011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having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는 차량과 연결되는 차량 연결부를 포함한다. 차량 연결부는 차량에 직접 연결되는 차량 결합부 및 분리 버튼부를 포함한다. 분리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면, 차량 결합부는 차량의 후크와 분리될 수 있다.
크래들부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 및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경사부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가 관통 형성된다. 사용자는 파지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크래들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Cradle unit and smart car sea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카시트(car sea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시트는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 설치된다. 유아는 카시트에 안착되고, 고정된다.
카시트는 안착된 유아를 보호함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카시트는 안착된 유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부재에 의해 차량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유아가 카시트에 안착된 상태에서, 카시트 전체를 들고 이동하기는 어렵다. 즉, 카시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카시트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부재들을 일일이 체결 해제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런데, 유아의 경우 불측의 사정으로 인해 긴급하게 차량에서 하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아가 질병 등의 사유로 긴급하게 병원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상기 상황에서, 카시트가 복수 개의 부재에 의해 차량에 체결된 경우에는 카시트에 안착된 유아가 신속하게 하차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05677호는 뒷자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뒷자석의 등받이에 유아용 카시트를 장착하여, 유아가 탑승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시트를 트렁크에 수납하고, 유아가 탑승하는 경우에는 수납된 카시트를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의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는 카시트가 차량에 고정 결합됨을 전제한다. 즉, 상기 유형의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는 유아의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경우에도, 반드시 유아를 카시트에서 분리하여 하차시켜야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유형의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는 오로지 유아를 카시트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는 유아의 안착 이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9-0080114호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이소픽스를 이용하여, 아이소픽스에 안착된 카시트의 각도 및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는 안착된 시트부의 각도 및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만을 제공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유아가 안착된 카시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선행문헌들은 카시트의 기능이 유아의 안착에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즉, 기술 발전에 따라, 유아의 안착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05677호 (2013.09.09.)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9-0080114호 (2019.11.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차량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과 분리된 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방된 차량의 문의 방향과 무관하게,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는 구조의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의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과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부재가 임의로 조작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의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유아가 수용된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결합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차량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크래들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몸체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plate shape)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연속되며, 상기 수평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경사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시트 결합부는, 상기 수평부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경사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경사부가 연장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파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차량의 시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차량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 및 상기 차량 결합부와 연속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 결합되는 분리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분리 버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의 면과 같은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부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크래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plate shape)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상기 수평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경사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경사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파지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차량의 후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연결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차량의 후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차량의 후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 및 상기 차량 결합부와 연속되며, 상기 경사부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면, 상기 차량 결합부와 상기 차량의 후크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경사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카시트의 상기 파지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파지부가 연장되는 상기 소정의 길이는, 복수 개의 상기 차량 연결부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크래들부의 일측, 즉 후방 측에는 차량 연결부가 구비된다. 차량 연결부는 차량의 시트를 향해 연장되어 차량의 후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 및 차량 결합부와 연속되며, 크래들부의 몸체에 결합되는 분리 버튼부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크래들부를 차량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차량 결합부가 차량의 후크에 결합되는 것만으로 크래들부가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크래들부를 차량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분리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면 차량 결합부와 차량의 후크가 분리된다.
따라서, 크래들부가 차량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부는 수평부 및 경사부를 포함한다. 경사부는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일측, 즉 후방의 상측을 향해 연장된다. 경사부에는 파지부가 관통 형성된다. 사용자는 파지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크래들부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는 경사부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파지부에 삽입하기 위해 팔이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사용자와 파지부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사용자가 파지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부가 차량의 후크와 분리된 후, 사용자는 파지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크래들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는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경사부에 형성되는 파지부 또한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파지부는 좌우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좌측 문 및 우측 문 중 어떤 방향의 문이 개방되더라도, 사용자는 파지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개방된 문에서 파지부까지 접근하기 위한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는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파지부는 차량의 시트를 향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경사부에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파지부가 형성됨에 따라, 경사부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경사부를 포함하는 크래들부 전체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크래들부를 파지하고 이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크래들부를 파지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크래들부가 차량의 후크와 연결되는 차량 연결부는 차량 결합부 및 차량 결합부와 연결되는 분리 버튼부를 포함한다. 분리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면, 차량 결합부는 차량의 후크와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버튼부는 경사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 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분리 버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경사부의 외부의 면과 같은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분리 버튼부는 경사부의 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분리 버튼부가 의도치 않게 누름 조작되어 크래들부와 차량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와 차량의 결합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카시트의 유아용 시트부와 크래들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카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용 시트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4의 유아용 시트부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아용 시트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유아용 시트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도시하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유아용 시트부의 크래들 결합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마트 카시트에 구비되는 크래들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크래들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크래들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크래들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스마트 카시트와 도 8의 크래들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스마트 카시트와 도 8의 크래들부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3의 스마트 카시트와 도 8의 크래들부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크래들부의 분리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어 차량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8의 크래들부의 파지 홈이 파지되어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상기 방향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영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능숙하게 보행할 수 없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유아"라는 용어는 자립 보행할 수 없거나, 자립 보행이 가능하더라도 탈 것 등을 이용하여 운송될 수 있는 임의의 연령대의 아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는 만 1세 내지 만 6세 사이의 나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영아"와 "유아"를 "유아"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시트부"라는 용어는 영아 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는 크래들부 또는 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이라는 용어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라는 용어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은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에 의해 스마트 카시트(1)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후술될 크래들 결합부(200)와 시트 결합부(4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래들부(20)에 구비되는 차량 연결부(310)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의 후크(H)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도 15 참조).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유아의 시선은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는 후방 측, 즉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는 방향을 마주하게 된다.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 사이의 결합 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카트(cart)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카트부(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유모차(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카시트 및 유모차를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의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유아용 시트부(10)의 구성의 설명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카시트(1)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포함한다.
유아용 시트부(10)에는 유아가 수용된다.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 또는 카트부(미도시)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카시트(1) 또는 스마트 유모차(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전체적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되는 바디부(100)의 하측 및 후방 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바디부(100)의 상측은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좌우 대칭 형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도 유아용 시트부(1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는 유아가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됨을 전제함에 기인한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경량화를 위해, 통전을 위한 배터리 등은 크래들부(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바디부(100) 및 크래들 결합부(200)를 포함한다.
1) 바디부(100)의 설명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몸체를 형성한다. 또한, 바디부(10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내부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된다.
바디부(100)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리클라이닝(reclining)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는 보호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크래들부(2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외측 커버부(110), 내측 커버부(120), 안착부(130), 공간부(140) 및 손잡이부(150)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즉,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외측 커버부(110)는 바디부(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는 상측이 개방된 구(sphere)형으로 형성된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내측 커버부(120) 및 안착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간에는 유아를 안착부(1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노출되는 부분은 경량이면서도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측 커버부(110)의 외측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110)의 상기 외측은 손잡이부(150)의 외측과 같은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50)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측 커버부(110)의 상기 외측과 손잡이부(150)의 외측 면은 같은 면 상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손잡이부(150)는 외측 커버부(1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조작되는 과정에서, 손잡이부(150)가 의도치 않게 가압되지 않게 된다.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가 서로 마주하는 부분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충격 등에 의해 부상당하지 않게 된다.
외측 커버부(110)는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경사부(111)는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는 외측 커버부(110)의 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1 경사부(111)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을 형성한다.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경사부(112)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경사부(112)는 외측 커버부(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다. 제2 경사부(112)의 후방 측 각 단부는 제1 경사부(111)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2 경사부(112)의 전방 측 각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단부와 각각 연속된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3 경사부(113)는 상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는 제2 경사부(1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부분보다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제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경사부(113)는 외측 커버부(11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된다. 제3 경사부(113)의 좌우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경사부(112)와 각각 연속된다.
각 경사부(111, 112, 113)는 제1 경사부(111)에서 제3 경사부(113)를 향하는 방향, 즉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경사부(111)가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제3 경사부(113)가 가장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2 경사부(112)는 제1 경사부(111) 및 제3 경사부(113) 사이의 높이에 위치된다.
제1 경사부(111), 제2 경사부(112) 및 제3 경사부(113)에 둘러싸인 공간, 즉 공간부(140)에는 유아가 수용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내측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의 내측, 즉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된다.
유아가 공간부(140)에 수용되면, 유아의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등에서 머리에 이르는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공간부(140)를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서 감싼다. 공간부(140)의 전방 측은 내측 커버부(1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안착부(130)와 연속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버부(12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유아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제3 경사부(113)의 내측에서, 제3 경사부(113)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즉, 내측 커버부(120)는 바디부(100)의 전방 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내측 커버부(120)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 커버부(120)의 상측 단부는 제3 경사부(113)의 상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가 외측 커버부(110)와 직접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내측 커버부(120)는 외측 커버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내측 커버부(120)와 외측 커버부(1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공간에는 유아용 시트부(10)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미세먼지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을 통해 정화된 후, 다시 유아용 시트부(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달리 표현하면,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는 안착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안착부(130)는 외측 커버부(11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부(140)에 위치된다. 안착부(130)는 공간부(140)를 하측에서 감싼다.
안착부(13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30)는 내측 커버부(120)와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130)에 안착된 유아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
공간부(140)는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되는 공간이다. 공간부(140)는 외측 커버부(110) 및 내측 커버부(12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하측에는 안착부(13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신체 부위 중 하체는 안착부(13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의 전방 측에는 내측 커버부(120)가 위치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의 상체 부위는 내측 커버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공간부(140)는 바디부(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연통된다. 유아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공간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는 공간부(14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차량 연결부(310)를 향하는 공간부(140)의 일측은 개방 형성된다.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는 상기 후방 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하는 부분이다. 손잡이부(15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손잡이부(150)는 내측, 즉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아용 시트부(10)를 옮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50)는 택-스프링(tact-spring)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50)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복수 개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두 손으로 잡고 옮기는 것이 일반적임에 기인한다.
손잡이부(150)는 바디부(10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50)는 외측 커버부(110)와 동일한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50)는 외측 커버부(110)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어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그에 따라 크래들 결합부(200)의 결합 핀부(230)와 시트 결합부(400)의 결합 홈(432)이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150)는 택 ?? 스프링(tack ??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외부 프레임(151), 내부 프레임(152), 스프링 수용부(153),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외부 프레임(151)은 손잡이부(150)의 외측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151)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에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51)이 노출되는 면은 외측 커버부(110)와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이 외측 커버부(110)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아용 시트부(10)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은 바디부(100)의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공간부(1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외부 프레임(151)은 내부 프레임(152)을 향하는 방향 또는 내부 프레임(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이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힘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프레임(151)을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외부 프레임(151)을 공간부(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에 의해,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파지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아용 시트부(1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으로부터 공간부(140)를 향해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내부 프레임(152)이 구비된다.
내부 프레임(152)은 손잡이부(150)의 내측을 형성한다. 내부 프레임(152)은 유아용 시트부(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내부 프레임(152)은 공간부(140)를 둘러싸는 면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프레임(152)이 공간부(140)를 향해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간부(140)에 수용된 유아가 상해를 입거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내부 프레임(152)은 바디부(100)에 고정 결합된다. 즉, 외부 프레임(151)의 누름 조작과 무관하게, 내부 프레임(152)은 이동되지 않는다.
외부 프레임(151)과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는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이 수용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과 내부 프레임(15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스프링 수용부(153)로 정의된다.
스프링 수용부(153)는 외부 프레임(151)과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이다.
외부 프레임(151)의 이동 거리는 스프링 수용부(153)의 폭(즉, 방사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은 스프링 수용부(153)를 통과하여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 수용부(153)는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을 수용한다.
복귀 스프링(154)은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된 외부 프레임(151)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부 프레임(151)을 누름 조작함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은 복귀 스프링(154)을 압축하며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된다. 사용자가 외부 프레임(151)의 누름 조작을 종료하면, 복귀 스프링(154)은 압축되며 저장한 복원력을 외부 프레임(151)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5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귀 스프링(154)은 두 개 구비된다. 각 복귀 스프링(154)은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이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에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귀 스프링(154)은 양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각 홈에 수용된다.
복귀 스프링(154)은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귀 스프링(154)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54) 사이에는 제어 스프링(155)이 위치된다.
제어 스프링(155)은 외부 프레임(151)의 이동을 크래들 결합부(200)의 결합 핀부(230)에 전달한다. 제어 스프링(155)은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 핀부(230)와 연결된다.
제어 스프링(155)은 사용자가 외부 프레임(151)을 누름 조작함에 따라, 가압되며 압축될 수 있다. 제어 스프링(155)이 압축되며 저장된 복원력은 상기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 핀부(230)에 전달되어, 결합 핀부(230)가 결합 홈(432)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동력으로 작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스프링(155)은 강체(rigid body) 형태의 부재로 구비되어, 외부 프레임(151)에 결합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이 이동되면, 상기 부재 또한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되어, 결합 핀부(230)를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51) 및 내부 프레임(152)이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어 스프링(155)은 양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각 홈에 수용된다.
제어 스프링(155)은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스프링(155)은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2) 크래들 결합부(200)의 설명
크래들 결합부(2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크래들 결합부(200)는 크래들부(20)의 시트 결합부(4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크래들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의해 지지됨에 기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크래들 결합부(200)는 바디부(100)의 중심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바디부(100)의 질량중심이 시트 결합부(400)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100)가 크래들부(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크래들 결합부(200)는 결합 함몰부(210),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가이드부(240) 및 삽입 공간부(250)를 포함한다.
결합 함몰부(210)는 시트 결합부(40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결합 함몰부(210)는 바디부(100)의 하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결합 함몰부(210)의 크기는 시트 결합부(400)의 삽입 부재(43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함몰부(21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삽입 부재(43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기인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삽입 부재(430)가 결합 함몰부(21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삽입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는 통전부(220), 결합 핀부(230), 가이드부(240) 및 삽입 공간부(250)가 위치된다.
통전부(220)는 크래들부(20)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통전부(220)는 크래들부(20)의 통전 단자부(434)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전부(220)는 통전 단자부(434)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부(220)는 포고 핀(pogo pin)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통전부(220)는 삽입 공간부(25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부(220)는 바디부(100)의 내측에 수용되되, 삽입 부재(430)를 향하는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가 삽입 공간부(250)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크래들 결합부(200)와 시트 결합부(400)의 결합이 완료되면, 통전부(220)는 삽입 부재(430)의 통전 단자부(434)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 상태는 크래들 결합부(200)와 시트 결합부(400)가 분리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는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의 내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통전부(22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 중 바디부(1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면에 위치된다.
통전부(22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은, 바디부(100)에 구비되는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등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를 향하는 통전부(2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결합 함몰부(210)의 내측에 노출된다. 또한,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통전부(2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바디부(100)의 내측에 함몰된다.
통전부(220)의 상기 타측은 도선 등의 부재(미도시)에 의해 공기 청정 모듈(미도시) 등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결합 핀부(230)는 삽입 부재(430)의 결합 홈(432)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크래들 결합부(200)와 시트 결합부(400)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432)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되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432)에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분리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손잡이부(150)와 임의의 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핀부(230)는 제어 스프링(155)과 상기 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51)이 누름 조작되어 제어 스프링(155)이 가압되면, 제어 스프링(155)이 저장하는 탄성력은 상기 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 핀부(2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핀부(230)는 삽입 부재(43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결합 홈(432)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크래들부(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를 가압하며 결합 홈(432)에서 배출된다. 따라서, 손잡이부(150)로 인가되던 압력이 해제되면, 결합 핀부(230)는 가압된 탄성 부재(231)가 저장하는 복원력에 의해, 결합 홈(432)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핀부(230)는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결합 핀부(230b)를 포함한다.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430)가 삽입되는 공간이 정의된다.
상기 이격 거리는 삽입 부재(43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430)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면, 삽입 부재(430)의 두께에 의해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삽입 부재(430)가 소정의 거리만큼 삽입되면, 결합 홈(432)이 결합 핀부(230)와 인접한 높이에 위치된다. 결합 홈(432)의 형상으로 인해, 결합 핀부(230)는 결합 홈(432)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이 완료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는 서로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231)는 삽입 부재(430)의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된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에 복원력을 인가한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탄성 부재(231)는 압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탄성 부재(231)는 결합 핀부(230)와 가이드부(2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결합 핀부(230a, 230b)가 각 결합 홈(432a, 462b)에 삽입되면, 탄성 부재(231)는 저장된 탄성력을 각 결합 핀부(230a, 230b)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결합 홈(432)에 삽입된 결합 핀부(23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탄성 부재(231)는 압축 또는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31)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3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31)는 두 개 구비된다. 두 개의 탄성 부재(231)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와 각각 연결된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40)는 결합 핀부(230)의 이동 방향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결합 함몰부(210)를 둘러싸는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함몰부(210)는 직사각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240)는 바디부(100)의 중심을 향하는 일측 면 및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두 쌍의 옆 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24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부(220)와 통전 단자부(434)를 통한 통전 이외의 다른 통전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24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부(250)에는 삽입 부재(430)가 삽입 결합된다. 삽입 공간부(250)는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250)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 공간부(250)는 삽입 부재(4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부(250)는 공간부(140)를 향하는 일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판형의 기둥 형상이다.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는 삽입 공간부(250) 내부에서 서로를 향하는 방향 또는 서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핀부(230)의 상기 이동은 외부 프레임(151)이 가압되거나, 탄성 부재(231)의 형상 변형에 의해 수행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삽입 공간부(250)에는 통전부(22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래들부(20)를 향하는 통전부(22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삽입 공간부(250)에 노출된다.
삽입 공간부(250)에 삽입 부재(430)가 삽입되면, 삽입 부재(430)에 구비되는 통전 단자부(434)와 통전부(220)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에 통전되는 전류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되어, 다양한 구성 요소가 작동될 수 있다.
(2) 크래들(cradle)부(20)의 구성의 설명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크래들부(2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는 차량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래들부(20)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량의 시거 잭(cigar jack) 등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연결을 위해, 도선 등의 통전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크래들부(20)에는 별도의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지 않고, 차량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는, 여름철 등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 밀폐된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어 폭발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음에 기인한다.
크래들부(20)는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차량으로부터 전달된 전력은 크래들부(20)를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통전은 통전부(220)와 통전 단자부(434)의 접촉에 의해 달성된다.
크래들부(20)는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크래들부(20)는 차량 연결부(310)를 통해 차량의 시트(Seat)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15 참조).
크래들부(20)는 차량의 시트(Seat)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크래들부(20)의 시트 결합부(400)가 이동되더라도, 크래들부(20)는 이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크래들부(20)는 몸체부(300) 및 시트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1) 몸체부(300)의 설명
몸체부(300)는 크래들부(20)의 몸체를 형성한다. 몸체부(300)는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몸체부(300)의 높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의 길이는 되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카시트(1) 전체의 질량중심을 하측으로 유지하여 유아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몸체부(30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경량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몸체부(30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수평부(301) 및 경사부(3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301)는 차량의 주행 방향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부(301)는 지면 또는 차량의 시트(Seat)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301)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술될 시트 결합부(400)는 수평부(301)에 형성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하는 수평부(301)의 일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하는 수평부(301)의 단부에서 경사부(302)가 연장 형성된다.
경사부(302)는 수평부(301)와 연속된다. 경사부(302)는 수평부(30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 형성된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차량의 시트(Seat)가 이루는 각도와 유사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가 차량에 설치되면,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는 경사부(302)의 일측은 차량의 시트(Seat)와 접촉될 수 있다. 그 결과, 크래들부(20)가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경사부(302)는 수평부(301)와 둔각을 이루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아용 시트부(1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유아용 시트부(10)와 경사부(302)가 접촉되지 않도록, 수평부(301)에 안착된 유아용 시트부(10)와 경사부(302)는 충분히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부(302)에는 차량 연결부(310)가 구비된다. 차량 연결부(310)에 의해 크래들부(20)가 차량의 시트(Seat)와 결합될 수 있다.
경사부(302)에는 파지부(320)가 관통 형성된다. 사용자는 파지부(320)를 통해 크래들부(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차량 연결부(310), 파지부(320) 및 회전 버튼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300)에는 시트 결합부(400)가 형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차량 연결부(310)는 크래들부(20)가 차량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차량 연결부(310)에 의해, 크래들부(20)는 차량과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연결부(310)는 차량의 후크(H)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도 15 참조). 이에, 차량 연결부(310)는 "ISOFix"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 연결부(310)는 경사부(302)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연결부(310)는 경사부(302)의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에 위치된다.
차량 연결부(310)는 경사부(302)의 후방 측에서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차량 연결부(3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는 같은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 거리는 경사부(302)의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길이와 같거나 더 작게 결정될 수 있다.
차량 연결부(310)는 소정 거리만큼 연장 형성된다. 경사부(302)를 향하는 차량 연결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경사부(302)에 결합된다.
경사부(302)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는 차량 연결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의 후크(H)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는 경사부(302)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연결부(310)는 차량 결합부(311) 및 분리 버튼부(312)를 포함한다.
차량 결합부(311)는 차량 연결부(310)가 차량의 후크(H)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차량 결합부(311)는 경사부(302)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는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차량 결합부(311)는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의 후크(H)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차량 결합부(311)가 차량의 후크(H)와 결합되면, 분리 버튼부(312)가 조작되지 않는 한 임의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가 차량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분리 버튼부(312)는 차량 결합부(311)와 차량의 후크(H) 사이의 결합을 인가하거나 해제한다. 분리 버튼부(312)가 누름 조작되면 차량 결합부(311)의 형상이 변형되어, 차량 결합부(311)가 차량의 후크(H)에서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리 버튼부(312)를 누름 조작할 경우 차량 연결부(310)가 경사부(30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차량 연결부(310)는 차량의 고리(미도시)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크래들부(20)만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버튼부(312)는 경사부(302)를 향하는 차량 연결부(3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분리 버튼부(312)는 경사부(302)의 양측에 구비되되, 외측을 향하는 단부가 경사부(302)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분리 버튼부(312)는 경사부(302)의 상기 양측 면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분리 버튼부(312)가 임의로 누름 조작되어 크래들부(20)가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파지부(320)는 사용자가 크래들부(20)를 옮기거나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 파지되는 공간이다.
파지부(320)는 경사부(302)에 위치된다. 파지부(320)는 차량 연결부(3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부(320)는 수평부(301)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다.
파지부(320)는 경사부(302)에 관통 형성된다. 파지부(320)는 차량의 시트(Seat)에서 멀어지는 방향 또는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 전체의 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는 파지부(320)에 손가락을 관통시켜 크래들부(20)를 용이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20)는 차량의 주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파지부(320)는 경사부(302) 상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차량 연결부(310) 사이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파지부(320)의 형상은, 수평부(301)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관통되며, 수평부(301)의 연장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도시된 실시 예에서 직교하며) 연장되는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320)에 손가락을 관통 삽입하고, 파지부(320)를 상측에서 감싸는 경사부(302)의 상측 부분을 파지하여 크래들부(20)를 파지할 수 있다.
파지부(320)는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파지부(320)가 연장되는 길이는, 차량 연결부(310)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버튼부(330)는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는 수평하게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회전은 사용자가 직접 외력을 가하여 수행된다.
또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상기 회전은 유아용 시트부(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 부재(430)가 리클라이닝부(420)와 함께 회전되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은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 정보 또는 음성 정보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조작 없이도 유아용 시트부(10)가 임의로 회전될 경우 안착된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는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되는 경우에만 유아용 시트부(10)가 회전되도록 허용한다.
즉, 회전 버튼부(330)는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 결합부(40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회전 버튼부(330)가 누름 조작되면, 시트 결합부(400)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시트 결합부(400)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시트 결합부(40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 또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향은, 유아용 시트부(1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차량의 문이 열리는 경우를 감안한 것이다. 즉, 우측의 문이 열릴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좌측의 문이 열릴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 버튼부(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버튼부(33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회전 버튼부(331)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회전 버튼부(332)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버튼부(331)가 누름 조작될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 버튼부(332)가 누름 조작될 경우, 유아용 시트부(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2) 시트 결합부(400)의 설명
시트 결합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시트 결합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크래들 결합부(2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삽입 부재(430)와 결합 핀부(230)의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크래들 결합부(2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은 통전 단자부(434)와 통전부(220)의 접촉에 의해 달성된다.
시트 결합부(400)는 몸체부(30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시트 결합부(40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수평부(301)의 내부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 결합부(400)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 결합부(400)는 원통형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시트 결합부(400)는 수평부(3010)의 전방 측에 형성된 라운드진 부분과 같은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트 결합부(400)는 수평부(301)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부(2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 일부는 시트 결합부(4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시트 결합부(400)는 결합 공간부(410), 리클라이닝부(420) 및 삽입 부재(430)를 포함한다.
결합 공간부(410)는 시트 결합부(400)의 각 구성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결합 공간부(410)에는 유아용 시트부(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결합 공간부(410)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수평부(30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 형성된다.
결합 공간부(4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 공간부(410)는 원통형의 공간이다. 이에 따라, 구(sphere)형으로 형성되는 유아용 시트부(10)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부(420)는 삽입 부재(430)와 연결되어, 삽입 부재(430)를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430)에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리클라이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클라이닝부(420)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의 몸이 지면 또는 차량의 시트(Seat)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클라이닝부(420)는 삽입 부재(430)를 후방 측을 향해서만 이동시킬 수 있다. 유아용 시트부(10)에 수용된 유아가 차량의 시트(Seat)를 향하도록 안착됨을 고려하면, 리클라이닝부(420)의 이동에 의해, 유아는 상체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방향, 즉 더 눕는 방향으로만 리클라이닝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클라이닝부(420)는 동력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리클라이닝부(420)가 삽입 부재(4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부는 상기 동력부(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동력부(미도시)는 모터(motor)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 부재(430)는 크래들 결합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삽입 부재(430)와 결합 핀부(230)의 결합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삽입 부재(430)는 리클라이닝부(420)에 의해 지지된다. 삽입 부재(430)는 리클라이닝부(420)에서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삽입 부재(430)는 리클라이닝부(420)의 연장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삽입 부재(430)는 리클라이닝부(420)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 부재(430)는 리클라이닝부(420)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43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430)가 연장되는 방향은 리클라이닝부(42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될 수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닝부(420)가 이동될 때, 삽입 부재(430)가 유아용 시트부(10)에 가하는 힘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삽입 부재(430)는 이동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유아용 시트부(10)에 압력을 가한다. 상기 형상에 의해, 삽입 부재(430)는 더 넓은 면적을 통해 유아용 시트부(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삽입 부재(430)는 삽입 부재 바디부(431), 결합 홈(432), 삽입 부재 헤드부(433) 및 통전 단자부(434)를 포함한다.
삽입 부재 바디부(431)는 삽입 부재(430)의 몸체를 형성한다. 삽입 부재 바디부(431)는 리클라이닝부(4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 형성된다.
리클라이닝부(420)를 향하는 삽입 부재 바디부(43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리클라이닝부(420)에 결합된다.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하는 삽입 부재 바디부(431)의 일측에는 삽입 부재 헤드부(433)가 위치된다.
삽입 부재 바디부(431)와 삽입 부재 헤드부(433) 사이에는 결합 홈(432)이 형성된다.
결합 홈(432)은 결합 핀부(2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결합 홈(432)은 삽입 부재 바디부(431) 및 삽입 부재 헤드부(433) 사이에 위치된다.
결합 홈(432)은 삽입 부재 바디부(431)와 삽입 부재 헤드부(433)의 외면을 연결하는 가상의 면에서 소정 거리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결합 홈(432)의 형상은 서로 마주하는 결합 핀부(230)의 단부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432)에 결합 핀부(230)가 삽입되면, 손잡이부(150)의 조작 없이는 결합 핀부(230)가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합 홈(432)은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 홈(432)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홈(432)은 제1 결합 홈(432a) 및 제2 결합 홈(432b)을 포함하여 두 개 형성된다. 제1 결합 홈(432a) 및 제2 결합 홈(432b)은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 결합 홈(432a) 및 제2 결합 홈(432b)에는 제1 결합 핀부(230a) 및 제2 결합 핀부(230b)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복수 개의 결합 홈(432)의 배치 방식은 결합 핀부(230)의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삽입 부재 헤드부(433)는 결합 홈(432)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삽입 부재 헤드부(433)는 결합 홈(432)보다 리클라이닝부(420)에서 더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삽입 부재 헤드부(433)는 유아용 시트부(10)를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부재 헤드부(433)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형상에 의해, 삽입 부재(430)가 크래들 결합부(20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부재 헤드부(433)의 상측에는 통전 단자부(434)가 구비된다.
통전 단자부(434)는 크래들부(20)가 유아용 시트부(10)와 통전되는 부분이다. 삽입 부재(430)가 삽입 공간부(250)에 삽입되면, 통전 단자부(434)는 통전부(22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통전 단자부(434)는 다른 부재와 접촉되어 의해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 단자부(434)는 포고 핀(pogo pi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통전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결합 및 통전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에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크래들부(20)에 결합된다. 크래들부(20)가 하측에서 유아용 시트부(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크래들부(20)의 삽입 부재(43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삽입 공간부(250)에 삽입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공간부(250)를 둘러싸는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에, 결합 핀부(230)가 서로 마주하는 각 단부는 삽입 부재(430)에 접촉되며 소정 거리만큼 삽입 부재(4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결합 핀부(230)는 탄성 부재(231)를 압축하며 이동된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도시된다.
유아용 시트부(10)의 결합 핀부(230)는 크래들부(20)의 결합 홈(432)에 삽입된다. 이때, 결합 핀부(230) 및 결합 홈(432)은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결합 핀부(230)가 복수 개의 결합 홈(432)에 각각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삽입 부재(430)의 상측에 위치되는 통전 단자부(434)는 삽입 공간부(250)에 노출되는 통전부(220)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크래들부(20)로 유입된 전류가 유아용 시트부(1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는 상기 결합에 의해 서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분리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유아용 시트부(10)의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된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51)이 내부 프레임(152)을 향해 이동되며 제어 스프링(155)이 압축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제어 스프링(155) 대신 강체(rigid body)가 구비되어, 외부 프레임(151)과 함께 이동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부(150)를 누름 조작함에 따라 삽입 부재(430)와 결합 핀부(230)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손잡이부(150)가 누름 조작됨에 따라, 제어 스프링(155)과 연결되는 결합 핀부(230) 또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핀부(230)는 삽입 부재(43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결합 홈(432)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430)는 결합 핀부(230)에서 해방되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는 결합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이에, 유아용 시트부(10)와 크래들부(20)가 분리되면, 상기 통전 상태가 해소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결합된 유아용 시트부(10)가 크래들부(20)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 커버부(11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의 외부 프레임(151)이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50)는 유아용 시트부(10)의 좌우 방향의 외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손잡이부(150)를 각각 가압하여, 파지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50)가 가압되면, 손잡이부(150)와 연결된 결합 핀부(230)가 삽입 공간부(2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의 삽입 부재(430)가 삽입 공간부(250)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삽입 공간부(25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50)에는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50)를 가압하면, 복귀 스프링(154) 및 제어 스프링(155)은 압축되어 형상이 변형되며 탄성력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손잡이부(150)의 가압을 종료할 경우, 복귀 스프링(154)은 저장한 탄성력을 손잡이부(15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150)의 외부 프레임(151)이 다시 외측 커버부(110)의 외면과 같은 면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50)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가 차량에서 분리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는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크래들부(20)는 용이하게 차량과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가 차량에서 분리되어 파지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크래들부(20)가 차량에서 분리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래들부(20)는 차량 연결부(310)에 의해 차량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차량 연결부(310)의 차량 결합부(311)는 차량의 후크(H)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결합부(311) 및 차량의 후크(H)는 각각 ISO-FIX의 형태로 구비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크래들부(20)를 차량에서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차량 연결부(310)의 분리 버튼부(312)를 가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연결부(310)는 몸체부(300)의 좌측 및 우측의 후방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각 분리 버튼부(312)를 각각 가압한다.
동시에, 크래들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시트(Seat)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차량 결합부(311)와 차량의 후크(H)와 분리된다. 일 실시 예에서, 분리 버튼부(312)가 가압됨에 따라, 차량 결합부(311)가 차량의 후크(H)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차량과 분리된 크래들부(20)가 파지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크래들부(20)의 형상, 즉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경사부(302)가 후방 측에 위치됨에 따라, 크래들부(20)는 전체적으로 전방 측에 비해 후방 측의 중량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때, 경사부(302)에는 파지부(320)가 관통 형성된다. 즉, 파지부(320)는 크래들부(20) 중 더 고중량인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320)를 통해 크래들부(20)를 파지할 경우, 크래들부(20)가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20)는 경사부(302)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파지부(32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320)에 의해 크래들부(20)가 파지되면, 크래들부(20)는 경사부(302) 및 경사부(302)에 형성된 파지부(320)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따라서, 크래들부(20)는 사용자의 몸체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파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래들부(20)와 사용자의 몸체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사용자가 크래들부(20)를 회전시키고 파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모멘트(Moment)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과정이 역으로 수행되어 크래들부(20)가 차량에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래들부(20)는 차량과 용이하게 결합 및 탈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크래들부(20)는 파지부(320)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되어, 차량과 분리되거나, 차량과 결합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스마트 카시트
10: 유아용 시트부
20: 크래들(cradle)부
100: 바디부
110: 외측 커버부
111: 제1 경사부
112: 제2 경사부
113: 제3 경사부
120: 내측 커버부
130: 안착부
140: 공간부
150: 손잡이부
151: 외부 프레임
152: 내부 프레임
153: 스프링 수용부
154: 복귀 스프링
155: 제어 스프링
200: 크래들 결합부
210: 결합 함몰부
220: 통전부
230: 결합 핀부
230a: 제1 결합 핀부
230b: 제2 결합 핀부
231: 탄성 부재
240: 가이드부
250: 삽입 공간부
300: 몸체부
301: 수평부
302: 경사부
310: 차량 연결부
311: 차량 결합부
312: 분리 버튼부
320: 파지부
330: 회전 버튼부
331: 제1 회전 버튼부
332: 제2 회전 버튼부
400: 시트 결합부
410: 결합 공간부
420: 리클라이닝부
430: 삽입 부재
431: 삽입 부재 바디부
432: 결합 홈
432a: 제1 결합 홈
432b: 제2 결합 홈
433: 삽입 부재 헤드부
434: 통전 단자부
Seat: 차량의 시트(Seat)
H: 차량의 후크(hook)

Claims (15)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유아가 수용된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 결합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어, 차량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크래들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plate shape)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연속되며, 상기 수평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경사부에 관통 형성되는,
    크래들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결합부는,
    상기 수평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크래들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경사부가 연장되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래들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파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크래들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크래들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차량의 시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차량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 및
    상기 차량 결합부와 연속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에 결합되는 분리 버튼부를 포함하는,
    크래들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버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일측의 면과 같은 면 상에 위치되는,
    크래들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결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크래들부.
  10. 유아가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유아용 시트부; 및
    상기 유아용 시트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아용 시트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크래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plate shape)으로 형성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상기 수평부에 대해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경사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파지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스마트 카시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파지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차량의 후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연결부가 결합되는,
    스마트 카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차량의 후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차량의 후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결합부; 및
    상기 차량 결합부와 연속되며, 상기 경사부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버튼부가 누름 조작되면, 상기 차량 결합부와 상기 차량의 후크가 분리되는,
    스마트 카시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결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차량 연결부는 상기 경사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스마트 카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파지부가 연장되는 상기 소정의 길이는, 복수 개의 상기 차량 연결부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 이하로 형성되는,
    스마트 카시트.
KR1020200032804A 2020-03-17 2020-03-17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KR20210116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804A KR20210116086A (ko) 2020-03-17 2020-03-17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804A KR20210116086A (ko) 2020-03-17 2020-03-17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086A true KR20210116086A (ko) 2021-09-27

Family

ID=7792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804A KR20210116086A (ko) 2020-03-17 2020-03-17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60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77B1 (ko) 2013-03-22 2013-09-09 김해준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KR20190080114A (ko) 2017-12-28 2019-07-08 이지현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77B1 (ko) 2013-03-22 2013-09-09 김해준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KR20190080114A (ko) 2017-12-28 2019-07-08 이지현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71836B (zh) 调整机构及具有该调整机构的儿童安全座椅
US7748780B2 (en) Juvenile seat pad with variable size infant receptacle
CN203543727U (zh) 可调节倾斜角度的安全座椅
US20100060055A1 (en) Child safety seat
KR101738307B1 (ko) 전동 유모차
US11279267B2 (en) Child restraint carrier and locking mechanism thereof
JP2005538764A (ja) 乳幼児用多目的カーシート
KR20210116086A (ko)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JP558635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ベルト固定具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20210116083A (ko) 유아용 시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KR20210089009A (ko)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 방법
US10259356B2 (en) Child safety seat
KR20210089010A (ko) 스마트 카시트
JPH0514927Y2 (ko)
US20230415623A1 (en) Base structure adapted for a seat body of a child safety seat
KR101406730B1 (ko)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KR101788719B1 (ko) 카시트
JP7474960B2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自転車
KR20210107445A (ko) 스마트 유모차
KR102662532B1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차량시트용 컵홀더
KR20210146142A (ko) 스마트 유모차
KR102148373B1 (ko) 유아용 카시트
KR20210107443A (ko)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KR20210041939A (ko) 스마트 카시트 및 그 제어방법
JP2574396Y2 (ja) 車両用シー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