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373B1 - 유아용 카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373B1
KR102148373B1 KR1020190174582A KR20190174582A KR102148373B1 KR 102148373 B1 KR102148373 B1 KR 102148373B1 KR 1020190174582 A KR1020190174582 A KR 1020190174582A KR 20190174582 A KR20190174582 A KR 20190174582A KR 102148373 B1 KR102148373 B1 KR 10214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eat
infant
wear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희
박태훈
Original Assignee
(주)셀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파 filed Critical (주)셀파
Priority to KR102019017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8Adaptations for seat belts characterised by guiding means for childr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002/28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와 좌판부가 판체형 패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사용은 물론 휴대 및 보관 등 취급상의 편리함은 물론, 유아가 사용시 편안함을 더해줄 수 있게 하며, 착용 및 탈거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하며, 또한 어깨 착용벨트와 상하 복수의 장착벨트 구조를 "X"형 구조를 이루게 구성등함으로써, 받이와 좌판이 일체형 차량시트는 물론 분리형 차량시트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가슴의 견고한 밀착 고정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착용벨트의 버클 위치를 가슴 착용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시 유아의 상체가 앞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어깨 착용벨트에 빛의 발산이나 반사되는 식별띠를 형성하고 벨트의 탈거를 위한 누름버튼을 야광이나 발광체로 구성함으로써, 야간이나 터널안 등 어두운 곳에서 쉽게 식별 가능하게 하는 등 위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탈거 및 착용상태의 확인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카시트{Baby car sea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상의 슬림화에 따른 휴대 및 보관의 편리함과, 다양한 차량시트에 장착 사용과, 유아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나 영아 및 유아와 같은 어린아이들이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유아용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즉, 차량용 시트는 성인의 신체 조건에 알맞도록 제작되어 있으므로 신생아를 포함하는 어린아이들이 상기의 차량 시트에 앉게 될 경우 지나치게 넓은 좌석과 등받이 및 안전벨트가 너무 높은 위치에서 가로질러 체결된다. 이에 따라 차량 시트에 어린아이가 앉게 될 경우 급출발이나 급제동 또는 차량 등의 추돌이나 충돌 등의 상황에서 안전벨트가 어린아이의 몸을 안전하게 지탱해주지 못하고 오히려 목 졸림 등의 흉기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편적으로는 어린아이의 신체 구조와 알맞게 제작된 유아용 카시트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아용 카시트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고 있는데, 통상적인 유아용 카시트의 경우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된 프레임의 표면에 부드러운 면직물로 된 시트커버를 씌워 제작되고,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고정되는 벨트부재는 시트커버 상에 앉은 어린아이의 몸이 견고하게 고정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그 부피가 상당하여 휴대나 보관 등 취급이 매우 곤란하였으며, 유아가 탑승시 딱한 탑승감으로 매우 불편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시트는 유아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부재의 체결위치가 유아의 하체에 위치된 것인바,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시 유아의 상체가 앞으로 튕겨나와 허리 등의 부상이나 얼굴 등에 부상을 입는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859886호.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2-00186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등받이와 좌판부가 판체형 패드 구조를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슬림화가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사용은 물론 휴대 및 보관 등 취급상의 편리함은 물론, 유아가 사용시 편안함을 더해줄 수 있게 하며, 착용 및 탈거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어깨 착용벨트와 상하 복수의 장착벨트 구조를 "X"형 구조를 이루게 구성등함으로써, 받이와 좌판이 일체형 차량시트는 물론 분리형 차량시트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과, 가슴의 견고한 밀착 고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착용벨트의 버클 위치를 가슴 착용 구조를 이루게 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시 유아의 상체가 앞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어깨 착용벨트에 빛의 발산이나 반사되는 식별띠를 형성하고 벨트의 탈거를 위한 누름버튼을 야광이나 발광체로 구성함으로써, 야간이나 터널안 등 어두운 곳에서 쉽게 식별 가능하게 하는 등 위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탈거 및 착용상태의 확인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하 길이를 이루며, 전면 양측에는 상체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체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직물로 된 쿠션재 패드 형태를 이루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전방에는 머리 수용홈이 형성되며, 직물로 된 쿠션재 패드 형태를 이루는 머리 받침부;
상기 등받이부 하단에 연결 및 절곡 가능하며,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 중앙에는 벨트 인출홈이 형성되며, 직물로 된 쿠션재 패드 형태로 된 좌판부;
상기 등받이부 후면에 하부에 고정 및 벨트 인출홈을 통해 전방으로 인출되며, 선단에는 양측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원터치 체결 및 누름버튼 해제가 가능한 벨트 클램프가 형성된 중앙 착용벨트;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양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벨트 클램프의 체결홈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된 어깨 착용벨트;
양단이 등받이부의 후면 상부 양측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제1 결합구가 형성된 상부 장착벨트;
양단이 등받이부의 후면 하부 양측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1 결합구와 착탈 결합력을 가지는 제2 결합구가 형성된 하부 장착벨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등받이부의 상체 지지돌부와, 좌판부와, 어깨 보호패드는 각각 표면이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통풍과 쾌적한 탑승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는, 쿠션재로 된 등받이와 좌판부가 판체형 패드 형태로 구성된 것인바, 구조의 슬림화에 따른 편리한 사용은 물론,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유아가 탑승시 포근함을 더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방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하부 장착벨트가 "X" 형태로 구성된 것인바, 차량시트의 헤드레스트의 걸이 설치나 등받이 결착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등 간편한 사용과 견고한 장착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아의 전면에 위치되어 어깨 착용벨트와 하부의 중앙 착용벨트를 연결하는 버클이 보호패드로 보호 및 유아의 가슴 부분에 위치되고, 어깨 착용벨트가 착용시 "X"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유아의 앞뒤에서 "X" 형태로 견고하게 잡아주어 차량의 충돌이나 금제동으로 인해 유아의 상체가 앞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유아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전개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전개상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보관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작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전개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전개상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등받이부(100)와, 머리 받침부(200)와, 좌판부(300)와, 중앙 착용벨트(400)와, 어깨 착용벨트(500)(500')와, 상부 장착벨트(600)와, 하부 장착벨트(700)로 구성된다.
먼저, 등받이부(1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 유아의 등 부분의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등받이부(100)는 상하 길이를 이루면서 소정 두께를 이루며 직물 쿠션재로 된 판체형 패드 형태로 구성되며, 전면 양측에는 유아가 등을 기댈시 상체의 양측을 자연스럽게 잡아줄 수 있도록 양측 한 쌍의 상체 지지돌부(110)(110')가 돌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상체 지지돌부(110)(110')는 표면이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쿠션력을 가짐과 동시에 통풍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등받이부(100)에는 하부 양측에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차량시트에 고정 장착이 가능하도록 양측 한 쌍의 하부 안전벨트고리(120)가 각각 더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하부 안전벨트고리(120)에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차량시트에 장착함에 있어, 차량시트의 하부에 위치한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하부 안전벨트고리(120)는 안전벨트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구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등받이부(100)에는 그 후면 하부에 후술하는 중앙 착용벨트(400)와 하부 장착벨트(700)의 수납 보관이 가능하도록 벨트 주머니(130)가 더 구성된다.
즉, 등받이부(100)는 쿠션을 가져 유아가 앉을시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되며, 이때 양측의 상체 지지돌부(110)(110')에 의해 좌우 쏠림이 방지되는 등 그 안정감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머리 받침부(2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 유아의 머리 부분의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머리 받침부(200)는 소정 두께를 이루며 직물 쿠션재로 된 판체형 패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다.
이때, 머리 받침부(200)에는 그 전면에 유아의 머리가 수용되어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함몰 형태의 머리 수용홈(210)이 구성된다.
또한, 머리 받침부(200)에는 그 양측에 상기 하부 안전벨트고리(120)와 대응되도록 상부 안전벨트고리(220)가 각각 더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부 안전벨트고리(220)에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차량시트에 장착함에 있어, 차량시트의 상부에 위치한 안전벨트가 고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 안전벨트고리(220)는 안전벨트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즉, 머리 받침부(200)는 쿠션을 가져 유아가 머리를 기댈시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되며, 이때 머리 수용홈(210)에 머리가 안착되어 좌우 쏠림이 방지되는 등 그 안정감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좌판부(3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 유아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좌판부(300)는 소정 두께를 이루며 직물 쿠션재로 된 판체형 패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등받이부(100)의 하단에 연장 형성 및 자유로운 절곡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좌판부(300)는 표면이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쿠션력을 가짐과 동시에 통풍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좌판부(300)에는 그 전방에 후술하는 중앙 착용벨트(400)가 유아의 다리 사이로 인출 가능하도록 벨트 인출홈(310)이 구성된다.
또한, 좌판부(300)에는 그 저면에 중앙 착용벨트(400)의 부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벨크로테이프(320)가 구성된다.
즉, 좌판부(300)는 쿠션을 가져 유아가 앉을시 편안함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 착용벨트(4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 유아의 하체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중앙 착용벨트(400)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그 후단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후면 하부 중앙에 고정되고 전방이 등받이부(100)의 전방으로 인출 사용되게 구성되며, 길이 조절 구조를 이룸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중앙 착용벨트(400)에는 선단에 후술하는 어깨 착용벨트(500)(50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벨트 클램프(410)가 구성된 것으로, 벨트 클램프(410)에는 양측에 체결홈(411)이 각각 구성되어 어깨 착용벨트(500)(500')의 체결구(510)가 원터치 체결 및 전면의 누름버튼(412)을 통해 체결 해제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벨트 클램프(410)에 체결구(510)를 원터치 체결 및 누름버튼(412) 해제하는 구조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버클 등과 같이 내부에 스프링 및 걸림 구조를 이루게 구성되며, 누름버튼(412) 작동에 의해 걸림 해제되는 구조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벨트 클램프(410)의 누름버튼(412)은 야간이 터널 등 어두운 곳에서 빛의 발산이 가능한 야광체 또는 배터리 등의 전기 작동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체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야광체나 발광체의 구성은 어두운 곳에서 사용시 보호자가 쉽게 누름버튼(412)의 식별이 가능하여 그 체결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하며, 특히 어두운 곳에서 위급 상황 발생시 신속한 분리 사용으로 유아의 안전을 우선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 착용벨트(400)를 이용하여 유아를 착용시 벨트 클램프(410)의 위치가 등받이부(100)의 상하 중앙으로부터 상부에 위치되어 유아의 가슴에 위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 클램프(410)에는 그 후면에 유아의 가슴과 접할시 압박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재로 된 가슴 보호패드(420)가 더 구성된 것으로, 가슴 보호패드(420)의 표면은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쿠션력을 가짐과 동시에 통풍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중앙 착용벨트(400)에는 그 일측면에는 상기 좌판부(300)의 벨크로테이프(320)와 부착력을 가지는 반대 형태의 벨크로테이프(430)가 더 구성된 것으로, 그 벨크로테이프(430)를 통해 사용시 좌판부(300) 저면에 부착되어 안정된 고정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즉, 중앙 착용벨트(400)는 좌판부(300)에 앉은 유아의 다리 사이를 통해 상부로 인출되어 다리를 분리 및 지지하여 유아가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어깨 착용벨트(500)(5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 유아의 상체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어깨 착용벨트(500)(500')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되,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은 등받이부(100)의 전면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되게 구성되며, 길이 조절 구조를 이룸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어깨 착용벨트(500)(500')에는 그 중앙에 상기 벨트 클램프(410)의 체결홈(411)에 삽입 및 벨트 클램프(410)에 체결 가능한 체결구(510)가 각각 구성된 것으로, 그 체결구(510)을 벨트 클램프(410)에 착용시 양측이 "X" 형태를 이루어 유아의 어깨는 물론, 가슴부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어깨 착용벨트(500)(500')에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구(510)는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하 중앙으로부터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벨트 클램프(410)에 체결시 유아의 가슴에 위치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어깨 착용벨트(500)(500')에는 상기 체결구(510)를 중심으로하여 상부 후면에는 유아의 가슴과 접할시 압박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재로 된 어깨 보호패드(520)가 더 구성된 것으로, 어깨 보호패드(520)는 그 표면이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쿠션력을 가짐과 동시에 통풍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각의 어깨 착용벨트(500)(500')에는 상부 전면에 어두운 곳에서 확인이 용이하기 위한 식별띠(530)가 각각 더 구성된 것으로, 그 식별띠(530) 통해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사용시 보호자가 쉽게 착용 상태의 식별과 사고시 쉽게 식별되어 구조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식별띠(53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 자체 발광되는 야광체나 빛을 제귀반사 하는 반사띠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어깨 착용벨트(500)(500')는 좌판부(300)에 앉은 유아의 상체 "X" 형태로 감싸면서 벨트 클램프(410)에 착용 되어 유아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되며, 이때 벨트 클램프(410)가 유아의 가슴부에 위치되어 상체의 전방 쏠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 장착벨트(6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 그 유아용 카시트(1)를 차량시트에 고정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 장착벨트(6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이루되, 양단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게 구성되며, 길이 조절 구조를 이룸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부 장착벨트(600)에는 그 중앙에 후술하는 하부 장착벨트(7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구(610)가 구성된다.
즉, 상부 장착벨트(6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차량시트에 장착함에 있어, 차량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걸어 장착하거나, 차량시트의 후방에서 후술하는 하부 장착벨트(700)와 체결하여 차량시트를 감싸 장착함은 물론, 상기 어깨 장착벨트(500)(500')와 함께 앞뒤에서 유아를 "X" 형태로 견고하게 잡아주게 된다.
상기 하부 장착벨트(7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구성함에 있어, 그 유아용 카시트(1)를 차량시트에 고정 장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하부 장착벨트(7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이루되, 양단이 상기 등받이부(100)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게 구성되며, 길이 조절 구조를 이룸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하부 장착벨트(700)에는 그 중앙에 상기 제1 결합구(610)와 착탈 결합력을 가지는 제2 결합구(710)가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결합구(610)와 제2 결합구(710)의 결합 구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버클 결합식이나 금속링 결합구조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링" 구조를 이루어 간편하게 체결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부 장착벨트(600)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차량시트에 장착함에 있어, 차량시트의 후방에서 상기 상부 장착벨트(600)와 체결하여 "X" 형태로 감싸 장착은 물론, 상기 어깨 장착벨트(500)(500')와 함께 앞뒤에서 유아를 "X" 형태로 견고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취급 및 사용상의 편리함과 사용상 유아의 편안함과 안정성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먼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등받이부(100)와 머리 받침부(200)와 좌판부(300)가 쿠션재 패드 형태로 구성된 것인바, 그 취급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4를 참조하여 그 휴대 및 보관시에는 부피의 최소화에 따른 편리한 취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휴대 및 보관시에는 사용시 직각을 이루는 등받이부(100)에 연장 형성된 좌판부(300)가 절곡 사용이 가능한 것인바, 미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절곡 및 등받이부(100)와 머리 받침부(200)와 좌판부(300)를 평평하게 펼친 상태로의 취급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간편하게 차량의 트렁크 등에 펼친 상태의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그 중량이 매우 가벼워 차량 등에 휴대 운행시에도 연비에 지장을 주지 않아 매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그 보관함에 있어, 중앙 착용벨트(400)와 하부 장착벨트(700)를 등받이부(100)의 후방에서 벨트 주머니(130)에 수납 가능한 것인바, 보관시 벨트들의 정리 보관이 용이하게 되며, 사용시 간편하게 좌판을 절곡시켜 차량시트에 장착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를 사용시에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차량시트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차량시트(10)의 등받이(11)와 좌판(12)이 일체화된 구조 즉, 승용차 차량의 뒷좌석의 경우에는 먼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의 좌판부(300)를 차량시트의 좌판(12)에 안착 및 등받이부(100)를 등받이(11)에 기대어 설치하고, 등받이부(10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상부 장착벨트(600)를 이용하여 차량시트의 헤드레스트(13)에 걸어 고정하면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차량시트 유형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1)를 고정한 상태에서 유아를 탑승시키되, 유아는 통상의 유아용 카시트와 같이 좌판부(300)에 안착 및 등받이부(100)에 상체를 기댄 상태에서 머리가 머리 받침부(200)의 머리 수용홈(210) 탑승시키면 된다.
이후, 유아를 안전하게 고정하되, 먼저 중앙 착용벨트(400)를 좌판부(300)의 벨트 인출홈(310)을 통해 상부로 인출 및 벨트 클램프(410)를 유아의 가슴 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어깨 착용벨트(500)(500')에 형성된 체결구(510)를 벨트 클램프(410)에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어깨 착용벨트(500)(500')는 "X" 형태를 이루고, 벨트 클램프(410)는 유아의 가슴 위치에서 상체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이후, 차량시트의 안전벨트(14)를 이용하여 한번 더 유아 및 유아용 카시트(1)를 고정하되, 이는 안전벨트(14)의 하부 수평부를 등받이부(10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하부 안전벨트고리(120)에 걸고, 상부의 경사부를 머리 받침부(200)의 상부 안전벨트고리(220)에 건 상태에서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유아의 하체 및 상체의 고정과 유아용 카시트(1)의 동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편하면서도 안정된 착용 및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차량시트(10)의 등받이(11)와 좌판(12)이 분리된 구조 즉, 일반적인 승합차나 버스 차량의 좌석의 경우에는 먼저,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의 좌판부(300)를 차량시트의 좌판(12)에 안착 및 등받이부(100)를 등받이(11)에 기대어 설치하고, 등받이부(100)의 후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장착벨트(600)와 하부 장착벨트(700)를 이용하여 차량시트의 등받이(11) 후방을 X" 형태로 감싼 상태에서 제1 결합구(610)와 제2 결합구(710)를 서로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차량시트 유형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1)를 고정한 상태에서 유아를 탑승시키되, 유아는 통상의 유아용 카시트와 같이 좌판부(300)에 안착 및 등받이부(100)에 상체를 기댄 상태에서 머리가 머리 받침부(200)의 머리 수용홈(210) 탑승시키면 된다.
이후, 유아를 안전하게 고정하되, 먼저 중앙 착용벨트(400)를 좌판부(300)의 벨트 인출홈(310)을 통해 상부로 인출 및 벨트 클램프(410)를 유아의 가슴 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어깨 착용벨트(500)(500')에 형성된 체결구(510)를 벨트 클램프(410)에 체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어깨 착용벨트(500)(500')는 "X" 형태를 이루고, 벨트 클램프(410)는 유아의 가슴 위치에서 상체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즉,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차량에 장착함에 있어, 차량시트의 유형에 상관없이 간편하고 신속한 설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사용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유아가 탑승시 등받이부(100)의 양측에 형성된 상체 지지돌부(110)(110')에 의해 유아의 상체 양측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머리 받침부(200)의 머리 수용홈(210)을 통해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게 되는 것인바,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유아의 경우 보다 견고하고 포근한 탑승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차량의 충돌시나 급제동이 발생시 유아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차량의 충돌시나 급제동시 유아는 중심을 잃고 관성에 의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유아가 앞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1)는 중앙 착용벨트(400)와 양측의 어깨 착용벨트(500)(500')의 체결 위치 즉, 벨트 클램프(410)의 위치가 유아의 가슴 부위에 위치된 것인바, 관성에 의해 상체가 전방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유아의 허리 부상이나 안면이 충돌하는 부상을 완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유아용 카시트는 구조상의 슬림화에 따른 취급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원터치 방식의 누름버튼을 통해 신속한 탈거와 어두운 곳에서 빛의 발광으로 신속한 식별 사용으로 유아의 구출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유아의 탑승시 앞뒤에서 "X" 형태로 견고하게 잡아주어 안정감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100 : 등받이부 110,110' : 상체 지지돌부
120 ; 하부 안전벨트고리 130 : 벨트 주머니
200 : 머리 받침부 210 : 머리 수용홈
220 : 상부 안전벨트고리
300 : 좌판부 310 : 벨트 인출홈
320 : 벨크로테이프
400 : 중앙 착용벨트 410 : 벨트 클램프
411 : 체결홈 412 : 누름버튼
420 : 가슴 보호패드 430 : 벨크로테이프
500,500' : 어깨 착용벨트 510 : 체결구
520 : 어깨 보호패드 530 : 식별띠
600 : 상부 장착벨트 610 : 제1 결합구
700 : 하부 장착벨트 710 : 제2 결합구

Claims (7)

  1. 상하 길이를 이루며, 전면 양측에는 상체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체 지지돌부(110)(110')가 돌출 형성되며, 직물로 된 쿠션재 패드 형태를 이루는 등받이부(100);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고 전방에는 머리 수용홈(210)이 형성되며, 직물로 된 쿠션재 패드 형태를 이루는 머리 받침부(200);
    상기 등받이부(100) 하단에 연결 및 절곡 가능하며, 전방으로 돌출되고 전방 중앙에는 벨트 인출홈(310)이 형성되며, 직물로 된 쿠션재 패드 형태로 된 좌판부(300);
    상기 등받이부(100) 후면에 하부에 고정 및 벨트 인출홈(310)을 통해 전방으로 인출되며, 선단에는 양측에 체결홈(411)이 형성되어 원터치 체결 및 누름버튼(412) 해제가 가능한 벨트 클램프(410)가 형성된 중앙 착용벨트(400);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양단은 상기 등받이부(100)의 전면 양측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벨트 클램프(410)의 체결홈(411)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구(510)가 형성된 어깨 착용벨트(500)(500');
    양단이 등받이부(100)의 후면 상부 양측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제1 결합구(610)가 형성된 상부 장착벨트(600);
    양단이 등받이부(100)의 후면 하부 양측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1 결합구(610)와 착탈 결합력을 가지는 제2 결합구(710)가 형성된 하부 장착벨트(7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등받이부(100)의 상체 지지돌부(110)(110')와, 좌판부(300)와, 어깨 보호패드(520)는 각각 표면이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통풍과 쾌적한 탑승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착용벨트(400)의 벨트 클램프(410)는 착용시 등받이부(100)의 상하 중앙으로부터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하되,
    상기 어깨 착용벨트(500)(500')의 각각의 체결구(510)가 벨트 클램프(410)에 체결시 유아의 가슴에 지지되게 "X" 형태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램프(410)에는,
    후면에 유아의 가슴 압박시 보호가 가능한 쿠션재로 된 가슴 보호패드(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어깨 착용벨트(500)(500')에는,
    상기 체결구(510)를 중심으로 상부 후면에 쿠션재로 된 어깨 보호패드(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가슴 보호패드(420)와 어깨 보호패드(520)는 각각 표면이 메쉬 재질로 구성되어 통풍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00)의 하부 양측에는 하부 안전벨트고리(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머리 받침부(200)의 양측에는 상부 안전벨트고리(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00)에는,
    후면 하부에 벨트 주머니(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벨트 주머니(130)에 중앙 착용벨트(400)와 하부 장착벨트(700)의 수납 보관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300)는,
    저면에 벨크로테이프(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중앙 착용벨트(400)에는,
    상기 벨크로테이프(320)와 탈부착력을 가지는 벨크로테이프(430)가 형성되어 중앙 착용벨트(400)를 사용시 좌판부(300)에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램프(410)의 누름버튼(412)은 어두운 곳에서 빛의 발산이 가능한 야광체 또는 불빛이 발광하는 발광체로 구성하고,
    상기 어깨 착용벨트(500)(500')의 상부 전면에는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산하거나 반사 가능한 식별띠(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KR1020190174582A 2019-12-24 2019-12-24 유아용 카시트 KR10214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82A KR102148373B1 (ko) 2019-12-24 2019-12-24 유아용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82A KR102148373B1 (ko) 2019-12-24 2019-12-24 유아용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373B1 true KR102148373B1 (ko) 2020-08-27

Family

ID=7223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82A KR102148373B1 (ko) 2019-12-24 2019-12-24 유아용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3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44Y1 (ko) * 2004-06-12 2004-09-07 태 의 홍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090129679A (ko) * 2008-06-13 2009-12-17 (주)다인모터스 어린이용 안전시트
KR20120018696A (ko) 2010-08-23 2012-03-05 김태형 유아용 카시트
KR20130004959A (ko) * 2011-07-05 2013-01-15 강신태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KR20140011173A (ko) * 2012-07-18 2014-01-28 최종팔 유아용 차량 안전벨트
KR101859886B1 (ko) 2017-12-20 2018-05-18 주식회사 다이치 시트 회전 기능이 있는 유아용 카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144Y1 (ko) * 2004-06-12 2004-09-07 태 의 홍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090129679A (ko) * 2008-06-13 2009-12-17 (주)다인모터스 어린이용 안전시트
KR20120018696A (ko) 2010-08-23 2012-03-05 김태형 유아용 카시트
KR20130004959A (ko) * 2011-07-05 2013-01-15 강신태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KR20140011173A (ko) * 2012-07-18 2014-01-28 최종팔 유아용 차량 안전벨트
KR101859886B1 (ko) 2017-12-20 2018-05-18 주식회사 다이치 시트 회전 기능이 있는 유아용 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6639B1 (en) Baby support
US7530634B1 (en) Head support system for infants and toddlers
US5074588A (en) Child safety restraint
US6116691A (en) Head support pillow
US3563600A (en) Infant safety car seat
US6827400B2 (en) Sleeping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vehicles
US4838611A (en) Car seat pillow
CA1292097C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US20050268381A1 (en) Wearable side impact protector
US6793287B2 (en) Booster seat head rest
US10369906B2 (en) Child safety seat
US5016915A (en) Child restraint for use with a seat belt in an automobile
US6676213B1 (en) Dimensionally adjustable booster seat
US3512830A (en) Safety belts
US6554363B1 (en) Traveling pillow
US10144319B2 (en) Carrier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AU2017316615A1 (en) Child safety seat
US20040074937A1 (en) Combination backpack and child seat for a vehicle
KR102148373B1 (ko) 유아용 카시트
US20060001299A1 (en) Novel baby seat covers
KR20180002971U (ko) 유아용 카시트
US10967762B2 (en) Child safety seat
US4164357A (en) Combination infant and child seat
KR20200076122A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JP6995323B1 (ja) 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