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14A -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14A
KR20190080114A KR1020170182354A KR20170182354A KR20190080114A KR 20190080114 A KR20190080114 A KR 20190080114A KR 1020170182354 A KR1020170182354 A KR 1020170182354A KR 20170182354 A KR20170182354 A KR 20170182354A KR 20190080114 A KR20190080114 A KR 20190080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r seat
link
isopixes
lock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612B1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7018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6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손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카시트(100)를 좌석에 고정할 수 있는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동시에 슬라이딩 되도록 상호 연결하고, 회전 가능한 록킹샤프트(340); 일단이 록킹샤프트(340)의 중간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이 카시트(100)의 전방까지 연장되는 링크; 링크의 타단에 설치되고, 전방에서 노출되는 레버부(200); 및 레버부(200)와 상기 링크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록킹샤프트(340)의 회전이 유발되고, 상기 회전에 의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위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잠금해제의 상태에서 상기 푸쉬풀 동작은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Easy Handling ISOFIX Fixing Device of a Car Seat}
본 발명은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손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시트(car seat)는 신생아 또는 유아 등의 연소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되는 기구로서, 급제동, 급출발, 충돌 등이 발생할 경우 신생아나 유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카시트의 안전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차량의 좌석 일측에 앵커가 구비되고, 카시트의 일측에 앵커와 결합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아이소픽스(ISOFIX) 방식을 이용한 카시트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는 안전을 높이기 위해 한쌍으로 구성되곤 하였다. 즉, 카시트의 베이스로부터 한쌍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예 : 왼쪽의 아이소픽스 및 오른쪽의 아이소픽스)가 돌출되어 좌석 일측에 고정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는 각각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에 잠금/잠금해제 장치가 구비되어 있었다. 따라서,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왼쪽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잠금해제하여 길이를 돌출시키고 잠금상태로 전환하였다. 그 다음 오른쪽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돌출길이를 맞추었다. 이러한 반복 과정은 카시트를 차량 좌석에 장착할 때 뿐만 아니라 차량 좌석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매번 반복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카시트 베이스의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좁은 차량 실내에서 손을 뻗어 잠금과정 또는 잠금해제 과정을 좌측과 우측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매우 번거로웠다.
따라서, 카시트의 안전을 최대로 확보하면서도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편리하게 장착하거나 장착해제할 수 있는 메카니즘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4-0090832호(2014년 7월 18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586960호(2016년 1월 1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차량의 좌석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한손으로 한번 동작함으로써 2개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동시에 잠금/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시트(100)를 좌석에 고정할 수 있는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동시에 슬라이딩 되도록 상호 연결하고, 회전 가능한 록킹샤프트(340); 일단이 록킹샤프트(340)의 중간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시트(100)의 전방까지 연장되는 링크; 링크의 타단에 설치되고, 전방에서 노출되는 레버부(200); 및 레버부(200)와 링크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샤프트(340)의 회전이 유발되고, 회전에 의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위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잠금해제의 상태에서 푸쉬풀 동작은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사이에는 제 2 가로빔(1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로빔(140)과 링크 사이에는 잠금수단이 잠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링크는, 슬라이딩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2 링크(330, 332); 일측에서 제 1, 2 링크(330, 332)의 타단들을 연결하고, 타측이 레버부(200)에 고정되는 제 1 가로빔(12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레버부(200)는, 손가락을 수용하는 파지부(210); 일단이 파지부(210)내에서 눌려지도록 노출되고, 타단이 레버축(26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단부(240)를 형성하는 레버(220); 및 레버단부(240)의 인근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레버 스토퍼(250);를 포함함으로써 레버(220)가 눌려진 상태에서의 푸쉬풀 동작이 잠금수단을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레버 스토퍼(250)의 단차는 레버단부(240)와 소정거리를 유지하는 제 1 단차; 및 소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먼 거리를 유지하는 제 2 단차;로 구성된다.
또한, 잠금수단은, 록킹샤프트(340)와 일체로 회전하는 폴(370); 및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폴(370)과 형상맞춤되는 래칫부(360);를 포함한다.
또한, 록킹샤프트(34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한쌍의 폴(370); 및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폴(370)과 형상맞춤되는 래칫부(360);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록킹샤프트(340), 링크, 레버부(200); 및 잠금수단;은 베이스(300)에 설치되고, 카시트(100)는 베이스(300) 상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버부가 카시트의 전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차량의 좌석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한손으로 한번 동작함으로써 2개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동시에 잠금/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로 인한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카시트(100)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수용된 상태의 측면도,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돌출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베이스에 함께 설치되는 주요 구성요소의 전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만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부(200)중 레버(22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7b는 도 7a와 같이 레버(22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부(200)중 레버(220)가 눌려진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8b는 도 8a와 같이 레버(220)가 눌려진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잠금수단이 잠금상태일 때, 폴(370)과 래칫부(360)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잠금수단이 잠금해제상태일 때, 폴(370)과 래칫부(360)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차량좌석(500)에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고정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차량좌석(500)으로부터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해제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설치된 카시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수용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가 돌출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시트(100)는 하부에 베이스(300)와 연결된다. 레버부(200)는 베이스(300)의 전방 상면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기 쉬운 곳에 위치한다.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는 베이스(300)의 배면 하부에 각각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0) 내부로 수납될 수 있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을 위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고정장치는 레버부(200)와 연동하며, 관련 구성요소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300)내에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베이스에 함께 설치되는 주요 구성요소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만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채 평행하게 위치하고, 제 2 가로빔(140)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사이를 연결하여 동시 슬라이딩 및 강성 유지 역할을 한다.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노출되는 단부에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차량 좌석의 앵커와 착탈 가능한 구성이다. 이러한 커넥터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각의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에는 래칫부(360)가 형성되어 있고, 폴(370)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래칫부(360)는 다수의 톱니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톱니는 경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방향 운동만을 허용한다. 또한 잠금상태에서도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일방향 운동(아이소픽스가 수용되는 방향)은 허용하여 차량의 좌석에 단단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잠금상태에서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역방향 운동(아이소픽스가 노출되는 방향)은 허용하지 않아 차량의 좌석으로부터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폴과 래칫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폴(370)은 록킹샤프트(34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록킹샤프트(34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폴(370)은 래칫부(360)의 톱니와 형상 맞춤되며, 폴연동부(372)가 소정각도를 유지하여 폴(37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한다.
록킹샤프트(340)의 양단 영역은 각각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에 연결되어 상대 회전이 가능하며, 양끝단에는 폴(370)과 폴연동부(372)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제 1, 2 링크(330, 332)는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와 각각 평행하게 구비된다. 제 1, 2 링크(330, 332)의 일단은 제 1 가로빔(1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록킹샤프트(340)의 중간 영역에 링크된다. 이러한 제 1, 2 링크(330, 332)는 레버부(200)의 푸쉬풀 동작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제 1, 2 스프링(350, 352)의 일단은 제 1, 2 링크(330, 332)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 1, 2 스프링(350, 352)의 타단은 제 2 가로빔(14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2 스프링(350, 352)은 제 1, 2 스프링(350, 352)을 잡아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외력이 없는 경우 폴(370)이 항상 래칫부(360)와 맞물리도록 한다.
제 1 가로빔(120)은 양단에 제 1, 2 링크(330, 332)가 각각 연결되며, 전방에는 레버부(200)가 고정된다. 따라서, 레버부(200)에 가해지는 힘은 제 1 가로빔(120)을 통해 제 1, 2 링크(330, 332)로 분산하여 전달된다.
레버부(200)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고 푸쉬풀 동작을 수행하는 핸들기능을 한다. 이러한 레버부(200)를 통해 잠금/잠금해제를 전환할 수 있으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를 돌출 또는 수납시킬 수 있다.
제 1, 2 프레임(310, 312)은 베이스(300)의 골격을 이루는 구성이며, 본 발명에 따른 아이소픽스 고정장치의 형태를 유지하고 푸쉬풀 동작과 슬라이딩 동작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가이드 기능을 갖는다.
도 7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부(200)중 레버(22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와 같이 레버(22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200)의 내부는 상부로부터 함몰되어 파지부(210)를 형성한다. 레버(220)는 파지부(21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레버(220)는 손가락으로 눌러서 레버부(20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잠금해제 기능을 한다. 레버(220)의 일단은 누를 수 있도록 파지부(210)에 노출되어 있고, 중간에는 레버축(260)이 형성되어 회동의 중심을 이룬다. 레버(220)의 타단은 레버 스토퍼(250)의 단차와 맞닿을 수 있도록 레버 단부(240)를 형성한다. 레버 스프링(230)은 레버 단부(24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레버 스토퍼(250)는 제 1, 2 단차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 1 단차는 레버 단부(240)와 거리가 가깝고, 제 2 단차는 레버 단부(240)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다.
도 8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레버부(200)중 레버(220)가 눌려진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와 같이 레버(220)가 눌려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20)는 소정 각도 만큼 회동 가능하다. 이 때, 레버단부(240)는 제 1 단차를 벗어나게 되고, 제 1 단차와 거리(L)만큼을 유지한다. 따라서, 레버부(200)를 잠금해제용 거리(L)만큼 푸쉬했을 때 폴(370)이 회동하여 래칫부(360)와의 잠금이 해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잠금수단이 잠금상태일 때, 폴(370)과 래칫부(360)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잠금수단이 잠금해제상태일 때, 폴(370)과 래칫부(360)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링크(380)는 아이소픽스(400)와 연결되어 있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38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들홀(382)에는 폴 연동부(372)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대적인 회전운동과 슬라이딩 운동을 허용한다.
카시트의 장착과정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차량의 좌석에 장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차량좌석(500)에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고정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11a와 같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돌출된 상태에서 차량좌석(500)에 카시트(100)와 베이스(300)를 올려 놓는다.
그 다음, 도 11b와 같이 카시트(100)와 베이스(300)를 밀어서 차량좌석(500)의 앵커(미도시)에 연결시킨다.
그 다음 도 11c와 같이 카시트(100)와 베이스(300)를 등받이(510)에 밀착시킨다. 도 11c의 밀착과정을 세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레버부(200)의 레버(220)를 누른다. 그러면, 레버단부(240)가 제 1 단차에서 제 2 단차로 이동하면서 잠금해제용 거리(L)만큼의 이동 여유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220)를 누른 상태에서 레버부(200)를 푸쉬하면 제 1 가로빔(120)과 제 1, 2 링크(330, 332)로 전달되어 록킹 샤프트(340)가 살짝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폴(370)이 래칫부(360)로부터 떨어져서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계속되는 푸쉬 동작은 잠금해제 상태이기 때문에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로 전달되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베이스(300) 내부로 수납된다. 참고로,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단부는 이미 앵커(미도시)에 물린 상태이므로 레버부(200)를 푸쉬하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베이스(300) 내부로 수납되면서 등받이(510)에 밀착되게 된다.
그 다음, 레버(220)와 레버부(200)를 놓게 되면, 레버(220)는 레버스프링(230)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고, 폴(370)은 제 1, 2 스프링(350, 352)에 의해 래칫부(360)에 물리는 잠금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는 한손으로 푸쉬하는 동작만으로 간단히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를 차량좌석(5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착 완료 상태에서 베이스(300)를 등받이(510)에 더 밀착시키면 래칫부(360)가 폴(370)을 들어 올리면서 이동하여 더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반면, 이러한 밀착방향의 역방향으로는 폴(370)이 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되지 않는다.
카시트의 탈거과정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된 카시트를 탈거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차량좌석(500)으로부터 본 발명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해제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시트(100)와 베이스(300)가 차량좌석(500)과 등받이(510)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시작한다.
먼저, 사용자는 레버부(200)의 레버(220)를 누른다. 그러면, 레버단부(240)가 제 1 단차에서 제 2 단차로 이동하면서 잠금해제용 거리(L)만큼의 이동 여유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220)를 누른 상태에서 레버부(200)를 살짝 푸쉬하면 제 1 가로빔(120)과 제 1, 2 링크(330, 332)로 전달되어 록킹 샤프트(340)가 살짝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폴(370)이 래칫부(360)로부터 떨어져서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레버(220)를 누른 상태에서 풀 동작을 하면 잠금해제 상태이기 때문에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베이스(300)로부터 돌출된다. 참고로,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단부는 이미 앵커(미도시)에 물린 상태이므로 레버부(200)를 당기면(풀 동작)하면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베이스(300) 내부로부터 돌출되어 등받이(510)로부터 이격된다(도 12b 참조).
그 다음,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를 앵커(미도시)로부터 분리한다. 분리 과정은 종래의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구성을 통한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 레버(220)와 레버부(200)를 놓게 되면, 레버(220)는 레버스프링(230)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고, 폴(370)은 제 1, 2 스프링(350, 352)에 의해 래칫부(360)에 물리는 잠금상태가 된다. 즉, 사용자는 한손으로 살짝 푸쉬하는 동작후 당기는 동작(풀 동작)으로 간단히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를 차량좌석(5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카시트,
120 : 제 1 가로빔,
140 : 제 2 가로빔,
200 : 레버부,
210 : 파지부,
220 : 레버,
230 : 레버 스프링,
240 : 레버 단부,
250 : 레버 스토퍼,
260 : 레버축,
300 : 베이스,
310 : 제 1 프레임,
312 : 제 2 프레임,
330 : 제 1 링크,
332 : 제 2 링크,
340 : 록킹샤프트,
350 : 제 1 스프링,
352 : 제 2 스프링,
360 : 래칫부,
370 : 폴,
372 : 폴연동부,
380 : 가이드 링크,
382 : 가이드홀,
400 : 제 1 아이소픽스,
410 : 제 2 아이소픽스,
500 : 차량좌석,
510 : 등받이,
L : 잠금해제용 거리.

Claims (9)

  1. 카시트(100)를 좌석에 고정할 수 있는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상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동시에 슬라이딩 되도록 상호 연결하고, 회전 가능한 록킹샤프트(340);
    일단이 상기 록킹샤프트(340)의 중간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시트(100)의 전방까지 연장되는 링크;
    상기 링크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에서 노출되는 레버부(200); 및
    상기 레버부(200)와 상기 링크의 푸쉬풀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샤프트(340)의 회전이 유발되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의 위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의 상태에서 상기 푸쉬풀 동작은 상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사이에는 제 2 가로빔(14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로빔(140)과 상기 링크 사이에는 상기 잠금수단이 잠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슬라이딩의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2 링크(330, 332);
    일측에서 상기 제 1, 2 링크(330, 332)의 타단들을 연결하고, 타측이 상기 레버부(200)에 고정되는 제 1 가로빔(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200)는,
    손가락을 수용하는 파지부(210);
    일단이 상기 파지부(210)내에서 눌려지도록 노출되고, 타단이 레버축(26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단부(240)를 형성하는 레버(220); 및
    상기 레버단부(240)의 인근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레버 스토퍼(25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레버(220)가 눌려진 상태에서의 상기 푸쉬풀 동작이 상기 잠금수단을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스토퍼(250)의 단차는
    상기 레버단부(240)와 소정거리를 유지하는 제 1 단차; 및
    상기 소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먼 거리를 유지하는 제 2 단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록킹샤프트(340)와 일체로 회전하는 폴(370); 및
    상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폴(370)과 형상맞춤되는 래칫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샤프트(34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한쌍의 폴(370); 및
    상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폴(370)과 형상맞춤되는 래칫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아이소픽스(400, 410), 록킹샤프트(340), 링크, 레버부(200); 및 잠금수단;은 베이스(300)에 설치되고,
    상기 카시트(100)는 상기 베이스(300)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KR1020170182354A 2017-12-28 2017-12-28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KR10204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54A KR102044612B1 (ko) 2017-12-28 2017-12-28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54A KR102044612B1 (ko) 2017-12-28 2017-12-28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14A true KR20190080114A (ko) 2019-07-08
KR102044612B1 KR102044612B1 (ko) 2019-11-13

Family

ID=6725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354A KR102044612B1 (ko) 2017-12-28 2017-12-28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6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10A (ko)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카시트
KR20210116083A (ko) 2020-03-17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아용 시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KR20210116086A (ko) 2020-03-17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692A (ja) * 2007-05-30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40090832A (ko) 2013-01-10 2014-07-18 이지현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KR101571246B1 (ko) * 2014-06-17 2015-11-23 이지영 조작레버가 구비된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KR101586960B1 (ko) 2014-12-05 2016-01-20 이지현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692A (ja) * 2007-05-30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140090832A (ko) 2013-01-10 2014-07-18 이지현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KR101571246B1 (ko) * 2014-06-17 2015-11-23 이지영 조작레버가 구비된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KR101586960B1 (ko) 2014-12-05 2016-01-20 이지현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10A (ko)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카시트
KR20210116083A (ko) 2020-03-17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아용 시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KR20210116086A (ko) 2020-03-17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크래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612B1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4762B1 (en) Baby stroller with a folding mechanism triggered by a child carrier
KR20190080114A (ko)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US20080093824A1 (en) Stroller having a single folding shaft
US10584755B2 (en) Stroller
KR20190111399A (ko) 낙상 방지 안전 휠체어 브레이크 장치
TWI746043B (zh) 嬰幼兒推車
KR101586960B1 (ko)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CN112519867B (zh) 具有暂停功能的解锁装置
CN211196326U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JP440181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ベビーカーへのロック機構
CN218877365U (zh) 一种单双座可自由切换的婴幼儿推车
KR101642604B1 (ko)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CN109625071B (zh) 一种婴儿车
EP4257422A1 (en) Multifunctional baby carrycot
JP2023136452A (ja) 座席付き育児器具
CN106672055A (zh) 带有附属桥接装置的婴儿车
KR200175542Y1 (ko) 유모차의 어린이 손잡이 착탈구조
KR101326483B1 (ko) 차량용 파킹레버장치
KR200300495Y1 (ko) 차량용 파킹레버의 버튼록킹장치
WO2006034616A1 (fr) Landau pour enf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