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832A -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832A
KR20140090832A KR1020130002933A KR20130002933A KR20140090832A KR 20140090832 A KR20140090832 A KR 20140090832A KR 1020130002933 A KR1020130002933 A KR 1020130002933A KR 20130002933 A KR20130002933 A KR 20130002933A KR 20140090832 A KR20140090832 A KR 20140090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ody frame
car seat
slide rail
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876B1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1401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9083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3000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876B1/ko
Priority to CN201310432424.0A priority patent/CN103921697B/zh
Publication of KR20140090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60N2/2809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with additional tether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hild seat and passing above the top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detecting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the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3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back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 본체의 양측면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카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 레일이 구비된 프레임 및 프레임의 슬라이드 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일측 종단부가 슬라이드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되는 앵커에 결속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를 구현한 다.

Description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Front and Rear Two Way Type Clamp Device for ISOFIX Car Seat}
본 발명은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시트를 전향 및 후향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향 및 후향 방향으로 각각 작동하는 래치부를 구비하여 사용양태에 따라 해당 래치부만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아동용 카시트는 현재 차량의 성인용 무릎 및 대각 좌석 벨트(Lap and Kiagonal Seat Belt) 또는 단지 무릎 벨트만을 사용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고, 고정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차량에 따라 각각 좌석 및 벨트의 모델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카시트의 고정은 불안정하다.
이러한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좌석 일측에 앵커가 구비되고, 카시트의 일측에 앵커와 결합하는 래치가 구비된 ISOFIX 방식을 이용한 카시트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ISOFIX 방식의 카시트는 ISOFIX 방식의 고정장치가 일방에만 구비되어 전향 또는 후향 중 하나의 방식으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신생아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좌석의 등받이 부분을 바라보고 장착하는 후향 방식으로 사용하지만, 아이가 성장하여 후향으로는 착석이 불편한 경우에는 기존 차량의 벨트를 이용한 방식으로 카시트를 고정하거나, 새로운 카시트를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SOFIX 방식의 결합장치가 구비된 베이스 대좌 및 유아가 앉는 패널부가 분리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분리되는 패널을 전향 또는 후향으로 회전시켜 전향 및 후향 겸용으로 사용하는 카시트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카시트는 베이스 대좌 및 패널부가 분리형식이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이 번거롭고,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품의 중량이 무거워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카시트는 ISOFIX 방식의 결합을 위한 앵커가 구비되지 않은 차량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2010-0029718 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카시트를 전향 및 후향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향 및 후향 방향으로 각각 작동하는 래치부를 구비하여 사용양태에 따라 해당 래치부만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카시트 본체의 양측면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카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 레일이 구비된 프레임 및 프레임의 슬라이드 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일측 종단부가 슬라이드 레일의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되는 앵커에 결속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은, 카시트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레일 및 카시트와 결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레일의 상단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래치부는,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카시트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종단부가 돌출되는 제 1 래치부 및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카시트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종단부가 돌출되는 제 2 래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의 중심 일측에는 제 1 래치부 및 제 2 래치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 1 래치부 및 제 2 래치부는 각각, 길이 방향 양측 종단부 일측에 타원으로 형성된 제 1 리벳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종단부에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종단부에서 이격되어 제 1 리벳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되는 앵커와 결속 및 결속 해제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 및 몸체부의 일측을 연결하여 몸체부의 이동에 따라 탄성에 의해 래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몸체부를 좌우 양측에서 고정하는 제 1 몸체 프레임 및 제 2 몸체 프레임 및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래치부의 위치 및 래치의 결속 여부를 제어하는 레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몸체 프레임 및 제 2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는 몸체부의 제 1 리벳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 및 제 1 리벳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제 2 리벳 결합공이 형성되고, 제 1 몸체 프레임에는 결합부가 관통하여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결합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 몸체부(30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리벳 결합공(320)을 관통하는 제 2 리벳(352) 및 제 2 리벳 결합공(630)을 관통하는 제 3 리벳(353)을 포함한다.
또한, 레버부는, 제 1 몸체 프레임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래치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토퍼 레버장치 및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래치의 결속 및 결속 해제를 조작하는 해제 레버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 레버장치는, 베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 1 몸체 프레임 및 제 2 몸체 프레임을 관통하는 지지바, 지지바의 베이스와 결합하는 일측 종단에 연결되어 지지바를 당겨주어 래치부와 프레임의 결속을 해제하는 제 1 조작부 및 지지바의 타측 종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와셔홈을 포함하는 스토퍼 레버와, 상기 스토퍼 레버의 와셔홈에 삽입되는 와셔 및 제 1 몸체 프레임의 내부면 일측과 와셔 사이에 지지바가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지지바의 일측 종단부가 제 2 몸체 프레임을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스토퍼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해제 레버장치는, 베이스의 일측에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2 조작부 및 제 2 조작부 일측에 제 1 몸체 프레임을 관통하여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조작부의 일측에는 인디케이터 라벨이 부착되고, 베이스의 일측에는 제 2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인디케이터 라벨을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확인공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의 일측 종단에는 래치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래치의 좌우 양측면 일측을 지지하는 래치 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 1 몸체 프레임 및 제 2 몸체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1 몸체 프레임 및 제 2 몸체 프레임을 감싸는 래치 커버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향 또는 후향 양측으로 각각 돌출 가능한 래치부를 이용하여 전향 및 후향 모두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향 또는 후향 중 사용하지 않는 방향의 래치부는 프레임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전향으로 사용하는 경우 유아의 발을 카시트 외부로 내놓더라도 전향 방향의 래치부는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향 및 후향의 래치부는 각각 다단계로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앵커에 최적의 상태로 카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래치의 조작 및 래치부의 위치를 하나의 레버부로 집약하여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레버부는 단순히 당기거나 누르는 조작만으로 기능 수행이 가능하므로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ISOFIX 방식의 앵커가 구비되지 않은 차량에는 전향 및 후향의 래치부를 모두 프레임 내부에 삽입하여 벨트 결합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가 구비된 카시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부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결합상태도,
도 5b는 앵커로부터 이탈된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사용양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가 구비된 카시트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10)는 대략 프레임(100) 및 래치부(200,20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래치부(200,200')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래치부(200,200')를 보관, 및 지지하는 장치로서, 카시트(1000)와 래치부(200,200')가 결합되도록, 카시트(1000)의 본체의 좌, 우 양측면 각 일측, 바람직하게는 좌, 우 양측면 각 하부 일측에 카시트(1000)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슬라이드 레일(110) 및 플랜지(120)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레일(110)은 카시트(1000)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되어 래치부(200,20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인 직육면체 형상의 장치이다.
이때, 개방된 일측면의 일측 종단부는 슬라이드 레일(110) 내부로 삽입되어 직선운동하는 래치부(200,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 1 걸림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 종단부는 래치부(200,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한 제 2 걸림부(112)가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110)의 일측에는 복수의 간격 조정공(113)이 형성되어 래치부(200,200')가 돌출되는 간격을 복수의 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후술하는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를 각각 5 단계로 그 이동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5개의 간격 조정공(113)이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그 개수 및 간격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다.
플랜지(120)는 슬라이드 레일(110)의 상단면에 슬레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슬라이드 레일(110)을 카시트(1000)의 측면 일측에 프레임(100)을 부착할 수 있도록 나사, 볼트 등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래치부(200,200')는 슬라이드 레일(110)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레일(110) 내부로 보관하고, 카시트(1000)를 차량의 좌석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일측 종단이 슬라이드 레일(110)에서 카시트(10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하여 일측 종단부가 슬라이드 레일(110)로부터 돌출되어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된 앵커에 결속되어 카시트(1000)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래치부(200,200')는 카시트(100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종단부가 돌출되는 제 1 래치부(200) 및 카시트(1000)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종단부가 돌출되는 제 2 래치부(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슬라이드 레일(110)의 중심 일측에는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114)는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래치부로 이루어져 양측 종단에 앵커와 결합할 수 있는 래치(4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래치부(200, 200')의 세부 구성은 다음에서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는 각각 몸체부(300), 결합부(310), 래치(400), 제 1 스프링(500), 제 1 몸체 프레임(610), 제 2 몸체 프레임(620) 및 레버부(70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300)는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좌석부에 구비된 앵커와 결합하는 래치(400)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때, 몸체부(300)의 양측 종단부 일측에는 몸체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축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제 1 리벳 결합공(320)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300)의 일측 종단에는 몸체부(300)와 수직하게 측면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부(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부(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 1 리벳 결합공(320)의 장축의 길이 만큼 몸체부(300)를 소정간격 이동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몸체부(300)의 타측 종단에는 후술하는 래치(400)가 회동할 때 흔들림을 제한하기 위하여 래치(400)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래치 지지부(330)가 구비된다.
이러한 래치 지지부(330)의 길이는 몸체부(300)가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래치(4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 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언제든지 래치(400)의 회동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래치(400)는 몸체부(300)의 일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후술하는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에 제 1 리벳(351)을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되는 앵커와 결속하여 몸체부(300), 즉,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10)를 차량에 고정하는 장치이다.
제 1 스프링(500)은 래치(400)의 일측 및 몸체부(300)의 일측을 연결하여 평소에는 몸체부(300)가 래치(400)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몸체부(300)가 래치(400)와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 래치(400)의 일측을 당겨주어 래치(400)를 개방(결속 해제)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 1 스프링(500)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은 몸체부(300) 및 래치(400)의 양측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되어 몸체부(300) 및 래치(40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의 일측에는 몸체부(300)의 제 1 리벳 결합공(320)과 대응되는 위치 및 래치(400)를 고정하는 제 1 리벳(351)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는 제 2 리벳 결합공(630)이 형성된다.
이때, 제 2 리벳 결합공(630) 중 제 1 리벳 결합공(3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리벳 결합공(630)은 몸체부(300)가 래치(400)에 밀착된 상태, 즉,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리벳 결합공(320)의 래치(400)와 대향되는 측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 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 2 리벳(352) 및 제 3 리벳(353)을 통해 상호 결합 된다.
또한, 제 1 몸체 프레임(610)에는 결합부(310)가 관통하여 몸체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결합부 관통공(640)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의 래치(400)가 구비되는 일측 종단에는 앵커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앵커 삽입홈(650)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부(700)는 베이스(710), 래치부(200, 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토퍼 레버장치(720) 및 래치(400)의 결속 및 결속 해제를 조작하는 해제 레버장치(730)로 구성된다.
베이스(710)는 제 1 몸체 프레임(6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스토퍼 레버장치(720) 및 해제 레버장치(730)가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베이스(710)는 전체적으로 "ㄸ"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ㄷ"자형상과 "ㄷ"자 형상의 사이는 관통되어 있다. 개방된 일측이 제 1 몸체 프레임(6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레치부가 구비된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부 일측에 결합한다. 그리고 뒷면의 "ㄷ"자 형상은 측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스토퍼 레버장치(720)가 안착되어 왕복할 수 있도록 일부 개방되어 있고, 폐쇄된 일측에는 해제 레버장치(73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확인공(711)이 형성된다.
스토퍼 레버장치(720)는 제 1 몸체 프레임(610) 일측에 결합되어 제 1 래치부(200) 또는 제 2 래치부(200')를 각각 움직여 슬라이드 레일(110)에 형성된 간격 조정공(113)에 결합함으로써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토퍼 레버장치(720)는 스토퍼 레버, 와셔(724) 및 제 2 스프링(725)으로 이루어진다.
스토퍼 레버는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레일(110)의 간격 조정공(113)에 결합되어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토퍼 레버는 지지바(721), 제 1 조작부(722) 및 와셔홈(723)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바(721)는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관통하여 양측 종단이 각각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지지바(721)의 일측 종단부, 바람직하게는 제 2 몸체 프레임(620) 측의 일측 종단부에는 제 2 몸체 프레임(62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와셔홈(723)이 형성된다.
제 1 조작부(722)는 지지바(721)에 힘을 가하여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관통하여 일측 종단이 슬라이드 레일(110)의 간격 조정공(113)에 삽입된 지지바(721)를 분리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 1 조작부(72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지지바(721)를 제 1 몸체 프레임(610)의 외측면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평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바(721)의 일측 종단, 바람직하게는 베이스(710)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바(721)의 일측 종단에 결합 된다.
와셔(724)는 스토퍼 레버의 지지바(721)의 일측 종단에 형성된 와셔홈(723)에 결합된다. 이때, 와셔(724)는 스프링 와셔를 사용한다.
제 2 스프링(725)은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와셔(724)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지지바(721)의 일측 종단이 항상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관통하여 슬라이드 레일(110)의 간격 조정공(11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 2 스프링(725)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
해제 레버장치(730)는 스토퍼 레버장치(720)의 베이스(710)에 삽입되어 소정간격 몸체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몸체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직진운동할 수 있도록 외력을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해제 레버장치(730)는 제 2 조작부(731) 및 연결부(733)로 이루어진다.
제 2 조작부(731)는 베이스(710)의 일측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몸체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 후로 직진운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 2 조작부(731)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베이스(710)의 인디케이터 확인공(711)에 일부분이 확인될 수 있는 인디케이터 라벨(732)이 형성된다. 일 예로써, 인디케이터 라벨(732)의 일측에는 안전(고정), 타측에는 위험(조작중) 등의 문구가 새겨져 있고, 제 2 조작부(731)의 직진운동에 따라 인디케이터 확인공(711)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경되어 제 2 조작부(731)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제 2 조작부(731)의 조작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연결부(733)는 제 2 조작부(731)의 내측, 즉, 몸체부(30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제 1 몸체 프레임(610)을 관통하는 결합부(310)가 삽입되어 제 2 조작부(731) 및 결합부(310)를 연결하여 제 2 조작부(731)에 전달되는 외력을 몸체부(3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결부(733)는 사각, 원형 또는 타원 기둥 형상의 돌기부로 제 2 조작부(73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돌기부의 일측에는 결합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커버는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리벳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버는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인 형상은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의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는 스토퍼 레버장치(720) 및 해제 레버장치(730)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400)가 구비된 일측 종단에서 레버부(700)와 인접한 부분까지만 형성된다.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사용양태>
(제 1 실시 예)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생아 또는 체구가 작은 유아를 위해 카시트(1000)가 차량의 좌석 등받이를 보도록(후향) 장착한다.
이때, 카시트(10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10)는 카시트(1000)의 전방으로 구비된 제 1 래치부(200)를 돌출시켜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된 앵커에 결합하고, 제 2 래치부(200')는 프레임(100)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유지한다.
제 1 래치부(200)의 돌출길이는 차량에 구비된 앵커의 위치에 따라 스토퍼 레버장치(720)를 조작하여 그 돌출길이를 조정한다.
여기서, 스토퍼 레버장치(720)의 조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시트(1000)의 장착 전에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는 모두 슬라이드 레일(110)의 간격 조정공(113) 중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간격 조정공(113)에 스토퍼 레버장치(720)의 지지바(721)가 결합 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즉,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는 모두 슬라이드 레일(1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래치부(200)의 스토퍼 레버장치(720)의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 1 조작부(722)를 측면 방향으로 당긴다. 이와 같은 외력이 작용하면 제 2 스프링(725)이 압착되며 슬라이드 레일(110)의 간격 조정공(113)에 삽입되어 있던 지지바(721)의 종단부가 간격 조정공(113)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이 지지바(721)가 당겨진 상태에서 레버부(700)의 베이스(710)를 카시트(1000)의 전방으로 밀어주며 카시트(1000)가 차량의 좌석부에 결합하기에 최적의 길이 만큼 돌출시킨다.
다음으로, 제 1 조작부(722)에 가해지던 외력을 해제한다. 제 1 조작부(722)의 측면으로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제 2 스프링(725)의 탄성에 의해 스토퍼 레버장치(720)의 지지바(721)는 슬라이드 레일(110) 방향으로 밀려나고, 해당 위치에 있는 간격 조정공(113)에 삽입되어 제 1 래치부(200)의 위치를 고정한다. 만약, 지지바(721)의 위치가 간격 조정공(113)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 1 조작부(722)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상 유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레버부(700)를 전, 후로 움직여주어 간격 조정공(113)에 지지바(721)가 삽입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결합상태도이고, 도 5b는 앵커로부터 이탈된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의 상태도이다.
다음으로, 카시트(1000) 또는 스토퍼 레버장치(720)를 움직여 차량의 좌석부에 구비된 앵커로 밀어 넣으면 래치(400)가 앵커에 고정하며 카시트(1000)를 고정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400)의 끝단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앵커방향으로 제 1 래치부(200)가 이동하면 이동하는 힘에 의해 래치(400)의 끝단이 들려지고, 앵커가 삽입된 후에는 래치(400)가 하강하여 앵커와 결합 된다. 만약, 자동적인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제 레버장치(730)를 이용하여 래치(400)를 들어올린 후 앵커와 결합할 수 있다.
해제 레버장치(730)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해제 레버장치(730)는 평상시에 몸체부(300)가 래치(400) 방향으로 전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베이스(710)의 인디케이터 확인공(711)에는 안전(고정)의 문구가 표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래치(4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해제 레버장치(730)의 제 2 조작부(731)를 후방, 즉, 래치(400)가 구비된 일측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눌러준다. 이러한 외력이 작용하면 제 2 조작부(731)는 후방으로 소정간격 이동하고, 연결부(733)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310)를 통해 몸체부(300) 역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디케이터 확인공(711)에는 위험(조작중)이라는 문구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300)가 뒤로 밀려나면서 몸체부(300)의 일측과 래치(400)를 연결하는 제 1 스프링(500)이 래치(400)의 일측을 당겨 래치(400)가 상방으로 들려지도록 회동시킨다.
이때, 몸체부(300)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리벳 결합공(320)으로 인해 제 1 리벳 결합공(320)의 장축의 여유 공간만큼 이동이 가능하지만, 리벳은 제 1 리벳(351)을 통해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고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400)가 상방으로 들려지면 래치(400)의 종단부가 개방되어 앵커가 결합 될 수 있다. 앵커와 결합된 후에는 제 2 조작부(731)로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한다. 외력에 의해 몸체부(300)가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제거되면 제 1 스프링(500)의 탄성에 의해 몸체부(300)는 고정된 래치(40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래치(400)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래치(40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후, 카시트(1000)의 상부에 구비된 톱 태더(1100)를 이용하여 카시트(10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카시트(10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전술한 것과 같이 제 2 조작부(731)를 조작하여 래치(4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래치(400)를 앵커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카시트(1000)를 차량의 좌석부에서 분리할 수 있다.
카시트(1000)를 분리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레일(110)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 1 래치부(200)를 전술한 방법과 같이 스토퍼 레버장치(720)를 조작하여 슬라이드 레일(110) 내부로 삽입하여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축면도이다.
제 2 실시 예는 체구가 큰 유아를 위해 후향 장착 시 유아가 불편해하는 고려하여 카시트(1000)가 차량의 전방을 보도록(전향) 장착한다.
이때, 카시트(10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10)는 카시트(1000)의 후방으로 구비된 제 2 래치부(200')를 돌출시켜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된 앵커에 결합하고, 제 1 래치부(200)는 프레임(100)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유지한다.
제 2 래치부(200')의 조작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제 1 래치부(200)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 및 해제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3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의 사용양태도이다.
제 3 실시 예는 차량에 ISOFIX용 앵커가 구비되지 않거나, 래치부(200, 200')의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된다.
이때, 카시트(100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10)는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를 모두 프레임(100)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의 카시트(1000)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좌석 일측에 구비되는 안전 벨트(1200)를 이용하여 카시트(1000)를 고정한다. 이때,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가 모두 프레임(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좌석 등에 래치부(200, 200')가 걸리지 않아 안전 벨트(12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카시트(1000)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카시트 고정장치
100 : 프레임
110 : 슬라이드 레일
111 : 제 1 걸림부
112 : 제 2 걸림부
113 : 간격 조정공
114 : 스토퍼
120 : 플랜지
200 : 제 1 래치부
200' : 제 2 래치부
300 : 몸체부
310 : 결합부
320 : 제 1 리벳 결합공
330 : 래치 지지부
351 : 제 1 리벳
352 : 제 2 리벳
353 : 제 3 리벳
400 : 래치
500 : 제 1 스프링
610 : 제 1 몸체 프레임
620 : 제 2 몸체 프레임
630 : 제 2 리벳 결합공
640 : 결합부 관통공
650 : 앵커 삽입홈
700 : 레버부
710 : 베이스
711 : 인디케이터 확인공
720 : 스토퍼 레버장치
721 : 지지바
722 : 제 1 조작부
723 : 와셔홈
724 : 와셔
725 : 제 2 스프링
730 : 해제 레버장치
731 : 제 2 조작부
732 : 인디케이터 라벨
733 : 연결부
1000 : 카시트
1100 : 톱 태더
1200 : 안전 벨트

Claims (12)

  1. 카시트(1000) 본체의 양측면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카시트(1000)의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레일(110)이 구비된 프레임(10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일측 종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카시트(1000)가 장착될 차량의 좌석부 일측에 구비되는 앵커에 결속되는 래치부(200, 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카시트(1000)의 전, 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 및
    상기 카시트(10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의 상단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200, 200')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을 따라 상기 카시트(1000)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종단부가 돌출되는 제 1 래치부(200);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을 따라 상기 카시트(1000)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종단부가 돌출되는 제 2 래치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의 중심 일측에는 상기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치부(200) 및 제 2 래치부(200')는 각각,
    길이 방향 양측 종단부 일측에 타원으로 형성된 제 1 리벳 결합공(320)이 형성된 몸체부(300);
    상기 몸체부(300)의 일측 종단부에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310);
    상기 몸체부(300)의 타측 종단부에서 이격되어 제 1 리벳(35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상기 좌석부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앵커와 결속 및 결속 해제되는 래치(400);
    상기 래치(400) 및 상기 몸체부(300)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300)의 이동에 따라 탄성에 의해 상기 래치(4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 1 스프링(500);
    상기 몸체부(300)를 좌우 양측에서 고정하는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 및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에 상기 결합부(310)와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래치부(200, 200')의 위치 및 상기 래치(400)의 결속 여부를 제어하는 레버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300)의 상기 제 1 리벳 결합공(320)과 대응되는 위치 및 상기 제 1 리벳(351)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제 2 리벳 결합공(63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에는 상기 결합부(310)가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결합부 관통공(64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 몸체부(30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리벳 결합공(320)을 관통하는 제 2 리벳(352) 및 제 2 리벳 결합공(630)을 관통하는 제 3 리벳(3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700)는,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 일측에 결합되는 베이스(710);
    상기 베이스(7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부(200, 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토퍼 레버장치(720); 및
    상기 베이스(7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400)의 결속 및 결속 해제를 조작하는 해제 레버장치(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레버장치(720)는,
    상기 베이스(7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관통하는 지지바(721), 상기 지지바(721)의 베이스(710)와 결합하는 일측 종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721)를 당겨주어 상기 래치부(200, 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결속을 해제하는 제 1 조작부(722) 및 상기 지지바(721)의 타측 종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와셔홈(723)을 포함하는 스토퍼 레버;
    상기 스토퍼 레버의 상기 와셔홈(723)에 삽입되는 와셔(724); 및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의 내부면 일측과 상기 와셔(724) 사이에 상기 지지바(721)가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721)의 일측 종단부가 상기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관통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스토퍼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스프링(7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레버장치(730)는,
    상기 베이스(710)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 2 조작부(731); 및
    상기 제 2 조작부(731) 일측에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연결부(7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작부(731)의 일측에는 인디케이터 라벨(732)이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710)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조작부(731)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인디케이터 라벨(732)을 확인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 확인공(7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0)의 일측 종단에는 상기 래치(400)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400)의 좌우 양측면 일측을 지지하는 래치 지지부(33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몸체 프레임(610) 및 제 2 몸체 프레임(620)을 감싸는 래치 커버가 더 구비하고,
    상기 래치 커버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10)의 개방된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및 후향 겸용 카시트 고정장치.
KR1020130002933A 2013-01-10 2013-01-10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KR101421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33A KR101421876B1 (ko) 2013-01-10 2013-01-10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CN201310432424.0A CN103921697B (zh) 2013-01-10 2013-09-22 前向及后向兼用汽车座椅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33A KR101421876B1 (ko) 2013-01-10 2013-01-10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32A true KR20140090832A (ko) 2014-07-18
KR101421876B1 KR101421876B1 (ko) 2014-07-22

Family

ID=5114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33A KR101421876B1 (ko) 2013-01-10 2013-01-10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1876B1 (ko)
CN (1) CN103921697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9221A (zh) * 2016-02-17 2016-05-04 苏州米克诺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换向装置且带isofix接口的儿童安全座椅
KR101716978B1 (ko) 2015-12-17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CN108082013A (zh) * 2017-12-21 2018-05-29 浙江雅虎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isofix二道锁机构
CN108725275A (zh) * 2018-05-29 2018-11-02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isofix双向调节结构
KR20190080114A (ko) 2017-12-28 2019-07-08 이지현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CN110562103A (zh) * 2018-06-05 2019-12-13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isofix连接装置及儿童安全座椅
GB2606569A (en) * 2021-05-14 2022-11-16 Ince Broadlink Wuhan Int Trade Co Ltd Clasp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a pet bas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60B1 (ko) * 2014-12-05 2016-01-20 이지현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CN106427692A (zh) * 2016-12-01 2017-02-22 陈依林 具有isofix接口报警功能的儿童安全座椅
CN108501776A (zh) * 2017-02-27 2018-09-07 苏州德乾辰精工科技有限公司 具有isofix接口报警功能的儿童安全座椅
CN109228969B (zh) * 2018-10-15 2020-09-25 东风汽车有限公司 座椅滑轨调节装置和座椅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91929Y (zh) * 2004-02-12 2005-04-13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安装装置
JP4946037B2 (ja) * 2005-12-21 2012-06-06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JP4946039B2 (ja) * 2005-12-21 2012-06-06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EP1849649B1 (en) 2006-04-26 2012-04-11 SABELT S.p.A. Device for fastening a child seat to a fixed striker in a motor vehicle
JP5157261B2 (ja) * 2007-05-30 2013-03-06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US8348337B2 (en) * 2010-03-17 2013-01-08 Britax Child Safety, Inc. Child safety seat with energy absorbing apparatus
CN102673444B (zh) * 2011-03-01 2014-05-2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驱动机构及具有该驱动机构的儿童汽车座椅
CN202593324U (zh) * 2012-05-11 2012-12-12 常州博万达汽车安全设备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isofix连接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978B1 (ko) 2015-12-17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CN105539221A (zh) * 2016-02-17 2016-05-04 苏州米克诺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换向装置且带isofix接口的儿童安全座椅
CN108082013A (zh) * 2017-12-21 2018-05-29 浙江雅虎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isofix二道锁机构
KR20190080114A (ko) 2017-12-28 2019-07-08 이지현 조절이 용이한 카시트의 아이소픽스 고정장치
CN108725275A (zh) * 2018-05-29 2018-11-02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isofix双向调节结构
CN108725275B (zh) * 2018-05-29 2024-04-05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isofix双向调节结构
CN110562103A (zh) * 2018-06-05 2019-12-13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isofix连接装置及儿童安全座椅
GB2606569A (en) * 2021-05-14 2022-11-16 Ince Broadlink Wuhan Int Trade Co Ltd Clasp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a pet bas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21697B (zh) 2017-04-12
CN103921697A (zh) 2014-07-16
KR101421876B1 (ko) 201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876B1 (ko)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US8382150B2 (en) Easy lock and release mechanism for a safety seat retaining on a stroller frame and a base
US7040694B2 (en) Infant car seat and stroller system
US20140284977A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ies
KR101779077B1 (ko) 유아의자
US8919889B2 (en) Adjustable harness and chair therewith
US11186209B2 (en) Child safety seat
US20140077545A1 (en) Child seat, particularly a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KR101852746B1 (ko)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WO2018126712A1 (zh) 儿童安全座椅支撑腿结构
KR101586960B1 (ko)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CN203110967U (zh)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US9776534B2 (en) Car safety seat
KR101970736B1 (ko) 의자
US20220219580A1 (en) Adjustable protector and safety seat
AU2011101475A4 (en) An adjustable shoulder strap mechanism for baby stroller
CN107161202B (zh) 一种儿童座兜及儿童推车
US20230034226A1 (en) Child safety seat
NO337090B1 (no) Bilbarnesete
EP2586676A2 (en) Strap adjuster and stroller backrest tilt adjusting device
KR10136125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 레스트를 구비한 카시트
CN109984519B (zh) 肩带高度调整机构及其幼儿载具
KR20150084512A (ko) 높이 조절식 카시트 머리 받침대
US10800297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ttaching soft goods to a child&#39;s apparatus
CN109835299B (zh) 织带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609

Effective date: 201509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