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978B1 -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 Google Patents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978B1
KR101716978B1 KR1020150181268A KR20150181268A KR101716978B1 KR 101716978 B1 KR101716978 B1 KR 101716978B1 KR 1020150181268 A KR1020150181268 A KR 1020150181268A KR 20150181268 A KR20150181268 A KR 20150181268A KR 101716978 B1 KR101716978 B1 KR 101716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rotated
isofix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혁
김용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8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는, 자동차의 후석에 설치되어 보조 카시트가 장착되는 ISOFIX로서, 상기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가 결합 방향으로 진입시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커버, 상기 커버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면 결합 위치로 전진되고 상기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와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보조 카시트가 분리되면 상기 커버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폐쇄 위치와 후퇴 위치로 원복시키는 탄성부, 상기 커버와 일체로 회동되는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제1캠, 상기 와이어가 결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회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제2캠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제1캠이 회동되면서 상기 제2캠을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를 회동시키고, 상기 베이스가 회동되면 이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결합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APPARATUS OF ROTATING ISOFIX INTERLOCKING WITH ISOFIX COVER}
본 발명은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카시트를 장착할 때 편의성을 향상시킨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자동차의 뒷좌석에는 어린 아이들이 앉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전석 안전벨트 착용이 점차 의무화되고 있는 가운데, 뒷좌석에 앉은 아이들에게도 안전벨트를 착용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키가 작은 아이들은, 일반적인 안전벨트를 착용시 어깨띠가 목을 조르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뒷좌석에 별도의 보조 카시트를 설치하여 어린 아이의 체형에 맞는 보호 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카시트를 장착시키는 표준 형식으로 ISOFIX가 있다. ISOFIX는 보조 카시트 체결부의 단부에 C자형 구조를 형성시키고, 이를 좌석 측에 설치된 와이어에 걸어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좌석 측의 와이어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시키거나, 개폐식의 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와이어를 노출시킬 경우 외관상 깔끔하지 않고, 커버를 설치할 경우 보조 카시트를 장착할 때 별도로 커버를 여닫는 과정이 추가되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조 카시트 체결부를 삽입시키면 커버가 안쪽으로 눌리면서 개방되는 푸쉬 타입 커버를 사용한 ISOFIX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푸쉬 타입 커버를 사용할 경우, 커버의 회동 반경 바깥쪽에 와이어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가 ISOFIX 베젤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았고, 이로 인해 보조 카시트를 ISOFIX에 결합시킬 때 결합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도 1에 종래의 푸쉬 타입 커버를 사용한 ISOFIX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폐쇄 위치의 커버(1a)가 개방 위치(1b)로 회동되는 과정 중에, 만약 와이어(2)가 커버의 회동 경로상에 위치한다면 커버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을 것이다. 이 때문에 와이어(2)를 베젤(3)의 후방 방향 깊숙히 설치해야만 했던 것이다.
따라서, 외관이 깔끔하고, 커버의 별도 개폐가 불필요하면서도 보조 카시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새로운 ISOFIX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90832 (2014.07.1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 과정이 용이한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는, 자동차의 후석에 설치되어 보조 카시트가 장착되는 ISOFIX로서, 상기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가 결합 방향으로 진입시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커버, 상기 커버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면 결합 위치로 전진되고 상기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와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보조 카시트가 분리되면 상기 커버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폐쇄 위치와 후퇴 위치로 원복시키는 탄성부, 상기 커버와 일체로 회동되는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제1캠, 상기 와이어가 결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회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제2캠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제1캠이 회동되면서 상기 제2캠을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를 회동시키고, 상기 베이스가 회동되면 이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결합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커버와 상기 와이어는, 회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회동 경로상에 상기 와이어가 진입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의 회동 경로상에 상기 와이어가 진입하되, 상기 커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커버와 상기 커버의 폐쇄 위치 사이로 진입하여 결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커버의 회동 경로상에서 이탈하여 후퇴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가 회동하는 공간과 상기 와이어가 회동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베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의 양측면에는 호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호형 홈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호형 홈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커버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회동축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베젤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접하는 제1리턴스프링과, 상기 제2회동축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에 접하는 제2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푸쉬 개폐 방식의 커버를 적용하여 보조 카시트의 장착이 간편하다.
둘째, 보조 카시트를 장착할 ‹š 와이어가 돌출되는 기능이 있어 와이어를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장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ISOFIX에 커버를 장착하여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푸쉬 커버를 적용한 ISOFIX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과 지지체가 전부 적용된 상태의 ISOFIX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과 지지체가 전부 적용된 상태의 ISOFIX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과 지지체를 제외한 상태의 ISOFIX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과 지지체를 제외한 상태의 ISOFIX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OFIX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OFIX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방 방향은 보조 카시트 또는 좌석이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방향은 보조 카시트 또는 좌석의 배면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폭방향은 보조 카시트 또는 좌석의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도 2 및 3에는 베젤(30) 및 지지체(40)가 전부 조립된 상태의 ISOFIX를 측면도, 사시도로 나타내었다.
도 4 및 5에는 베젤(30) 및 지지체(40)를 제외한 커버(11) 및 와이어(21) 부위만이 조립된 ISOFIX를 측면도, 사시도록 나타내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11)와 와이어(21)가 교차되는 작동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버(11)와 와이어(21)가 교차되지 않는 작동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ISOFIX의 외부를 덮고 회동 방식으로 개폐되는 커버(11)와, 커버(11)가 개방될 때 외부로 노출되어 보조 카시트와 결합되되, 커버(11)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와이어(21)와, 커버(11) 및 와이어(21)를 원래 위치로 원복시키기 위한 탄성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11)는 그 하단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회동축(13)이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회동축(13)의 일단부에는 제1캠(12)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11)는 그 상단부가 후방 방향으로 쓰러지듯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미도시)가 후방 방향으로 진입하면서 커버(11)에 접하면, 그 압력에 의해 커버(11)가 회동되면서 개방되는 것이다. 보조 카시트 및 그 연결바의 구조는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와이어(21)는 커버(11)의 후방 방향에 설치되어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와 연결된다. 와이어(21)는 체결부와 고정부로 구분되는데, 체결부는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와 결합되고, 고정부는 베이스(23)를 매개로 지지체(40)에 연결되어 차체에 의해 지지된다.
와이어(21)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중 양 변이 고정부, 밑 변이 체결부로 형성된다고 보아도 좋다. 이 중 고정부가 베이스(23)의 상부에 결합되고, 와이어(21)와 베이스(23)는 한 몸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21)와 베이스(23)는 제2회동축(24)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제2회동축(24)은 베이스(23)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고, 제2회동축(24)의 일단부에는 제2캠(12)이 결합되어 상술한 제1캠(12)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서로 접하게 된다.
제2회동축(24)은 또한 지지체(40)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데, 지지체(40)는 차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전체를 지지하게 된다. 제2회동축(24)과 지지체(40)는 한 몸이 아니라, 지지체(40)와 별개로 제2회동축(24)이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은 커버(11)가 회동하는 공간과 와이어(21)가 회동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베젤(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젤(30)은 일종의 케이스로서, 커버(11)에 개방될 때 노출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베젤(30)의 양측면에는 각각 호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에는 커버(11)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호형 홈 내부를 돌출부가 활주함으로써, 커버의 회동 방향이 틀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후방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회동축(13) 및 제2회동축(24)에 각각 설치되어 커버(11) 및 와이어(21)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구성이다. 즉, 커버(11)를 폐쇄 위치로, 와이어(21)를 분리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탄성부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회동축(13)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베젤(30)에 접하고 타단이 커버(11)에 접하는 제1리턴스프링(미도시)과, 제2회동축(24)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베이스(23)에 접하고, 타단이 지지체(40)에 접하는 제2리턴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리턴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캠(12)과 제2캠(12)은 원통형 본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캠의 치수 등을 한정하지는 않지만, 후술할 커버(11)와 와이어(21)의 교차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가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진입되면, 연결바의 단부가 커버(11)에 접하면서 커버(11)를 후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 압력에 의해 커버(11)와 커버(11)에 결합되어 있는 제1회동축(13)이 정방향(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1회동축(13)에 결합된 제1캠(12)의 돌출부가 제2캠(12)의 돌출부를 가압하여, 제2캠(12)이 역방향(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2캠(12)에는 베이스(23)와 와이어(2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베이스(23)와 와이어(21) 역시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렇게 와이어(21)가 역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와이어(21)의 단부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되고, 결과적으로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와 더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와이어(21)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용이해지므로, 카시트를 ISOFIX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21)의 크기,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부의 길이에 따른 두 가지 실시예가 있다.
도 6에는 고정부의 길이가 짧아 커버(11)의 회동 경로상에 와이어(21)가 진입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고정부가 충분히 길어 커버(11)의 회동 경로상에 와이어(21)가 진입하지 않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커버(11)와 와이어(21)가 전혀 간섭되지 않으므로 제1캠(12) 및 제2캠(12)의 형상이 비교적 덜 정교해도 무관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와이어(21)가 길어짐에 따라, ISOFIX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커버(11)와 와이어(21)가 간섭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1캠(12)과 제2캠(12)의 형상을 정밀하게 제어해야 한다. 즉, 커버(11)가 먼저 개방 위치로 빠르게 이동되고, 와이어(21)는 비교적 천천히 결합 위치로 이동하도록 캠의 형상을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보조 카시트 분리 시에는 반대로 와이어(21)가 먼저 분리 위치로 빠르게 이동되고, 커버(11)는 비교적 천천히 폐쇄 위치로 복귀해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a): 종래의 커버(폐쇄상태) 1(b): 종래의 커버(개방상태)
2: 종래의 와이어 3: 종래의 베젤
11: 커버 12: 제1캠
13: 제1회동축 21: 와이어
22: 제2캠 23: 베이스
24: 제2회동축 30: 베젤
40: 지지체

Claims (7)

  1. 자동차의 후석에 설치되어 보조 카시트가 장착되는 ISOFIX로서,
    상기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가 결합 방향으로 진입시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커버;
    상기 커버가 개방 위치로 회동되면 결합 위치로 전진되고 상기 보조 카시트의 연결바와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보조 카시트가 분리되면 상기 커버와 상기 와이어를 각각 폐쇄 위치와 후퇴 위치로 원복시키는 탄성부;
    상기 커버와 일체로 회동되는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제1캠;
    상기 와이어가 결합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회동축의 단부에 설치된 제2캠;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제1캠이 회동되면서 상기 제2캠을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를 회동시키고, 상기 베이스가 회동되면 이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가 결합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와이어는, 회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회동 경로상에 상기 와이어가 진입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회동 경로상에 상기 와이어가 진입하되, 상기 커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커버와 상기 커버의 폐쇄 위치 사이로 진입하여 결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커버의 회동 경로상에서 이탈하여 후퇴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회동하는 공간과 상기 와이어가 회동하는 공간이 내부에 마련된 베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의 양측면에는 호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호형 홈에 삽입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호형 홈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커버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회동축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베젤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커버에 접하는 제1리턴스프링과, 상기 제2회동축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지지체에 접하는 제2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KR1020150181268A 2015-12-17 2015-12-17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KR101716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68A KR101716978B1 (ko) 2015-12-17 2015-12-17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268A KR101716978B1 (ko) 2015-12-17 2015-12-17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978B1 true KR101716978B1 (ko) 2017-03-16

Family

ID=5849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268A KR101716978B1 (ko) 2015-12-17 2015-12-17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9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11B1 (ko) * 2018-09-17 2019-12-0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일드 시트용 앵커 커버 장치
US10960791B1 (en) 2019-11-19 2021-03-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nchor assembly
CN114312521A (zh) * 2020-09-30 2022-04-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KR20220067747A (ko) 2020-11-18 2022-05-2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isofix 장착 브래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937U (ja) * 1992-05-19 1993-12-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ドア開閉連動ストライカカバー開閉装置
JP2001071798A (ja) * 1999-09-03 2001-03-21 Tachi S Co Ltd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構造
JP2008105580A (ja) * 2006-10-26 2008-05-08 Kasai Kogyo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カバー装置
KR20140090832A (ko) 2013-01-10 2014-07-18 이지현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KR20150113226A (ko) * 2014-03-27 2015-10-08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차일드 시트 고정용 앵커의 커버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937U (ja) * 1992-05-19 1993-12-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ドア開閉連動ストライカカバー開閉装置
JP2001071798A (ja) * 1999-09-03 2001-03-21 Tachi S Co Ltd 車両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の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構造
JP2008105580A (ja) * 2006-10-26 2008-05-08 Kasai Kogyo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アンカーカバー装置
KR20140090832A (ko) 2013-01-10 2014-07-18 이지현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KR20150113226A (ko) * 2014-03-27 2015-10-08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차일드 시트 고정용 앵커의 커버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11B1 (ko) * 2018-09-17 2019-12-0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일드 시트용 앵커 커버 장치
US10960791B1 (en) 2019-11-19 2021-03-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nchor assembly
CN114312521A (zh) * 2020-09-30 2022-04-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CN114312521B (zh) * 2020-09-30 2024-02-0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座椅
KR20220067747A (ko) 2020-11-18 2022-05-2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isofix 장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978B1 (ko) 커버 연동 돌출식 isofix
CN101722879B (zh) 车辆用座椅的操作杆结构和操作杆结构的制造方法
CN205440034U (zh) 用于锁定车辆座椅轨道的装置
KR101673339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스윙 록킹장치
EP2901894B1 (en) Head rest
EP1849649B1 (en) Device for fastening a child seat to a fixed striker in a motor vehicle
CN100581407C (zh) 具有自动锁定装置的用于双面拉链的拉头
US20060061175A1 (en) Forwardly movable automotive vehicle seat, more specifically for a two door vehicle
JP5790221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EP2901893A1 (en) Head rest
US8966826B2 (en) Handle base attachment structure
EP2937498B1 (en) Fixing device for vehicle doors
CN105960498A (zh) 用于车辆的门把手系统
KR100627732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EP2639389B1 (en) Hinge with a checkarm
US11760174B2 (en) Flush glass apparatus
KR101449153B1 (ko) 자동차의 후석 시트백용 가변 웨빙가이드
KR20180039864A (ko) 윙 아웃 헤드레스트의 플레이트연결수단
CN111137186A (zh) 滑动装置
KR101371255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997283B1 (ko) 차량 트렁크 개방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개방 방법
KR101554744B1 (ko) 차량 시트트랙용 록킹장치의 조립방법
KR20130032613A (ko)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JP4497461B2 (ja) エクステンションユニット付きサンバイザ
KR101593843B1 (ko)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